자유시 (고전 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시(고전 시대)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 자치권을 누리고 자체 법률을 통해 통치되었던 도시를 의미한다. 마케도니아 왕국의 암피폴리스는 기원전 357년 이후 자유 도시의 예시이며, 셀레우코스 제국 시대에는 많은 도시가 자치권을 누리고 동전을 발행했다. 'Autonomi' 또는 'Autonomoi'는 그리스인들이 스스로의 법률로 통치되는 도시에게 부여한 이름으로, 로마 제국 시대에도 자유 도시에게 적용되어 큰 특권으로 여겨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시대의 그리스 - 마케도니아 속주
마케도니아 속주는 기원전 146년 로마에 정복된 후 설치되어 비아 에그나티아 건설로 로마와 동부 지중해를 연결하고 북쪽의 방어선 역할을 했으며, 디오클레티아누스 시대에 분할된 후 동로마 제국에 속해 7세기까지 존속했다. - 고전 고대 - 고대 후기
고대 후기는 3세기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통치부터 7세기 말 우마이야 칼리파의 수립까지 로마 제국과 주변 지역에서 사회, 문화, 정치적으로 큰 변화가 일어난 시기이며, 게르만족 대이동, 서로마 제국 멸망, 동로마 제국 번영, 기독교 성장, 이슬람교 발흥 등의 사건과 함께 도시, 건축, 예술,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 고전 고대 - 고대 그리스의 과학
고대 그리스의 과학은 소크라테스 이전의 자연 철학,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 헬레니즘 시대의 발전, 로마 시대의 연구를 아우르며, 탈레스의 자연 철학, 엠페도클레스의 4원소설,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 플라톤의 이데아론,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 알렉산드리아 시대의 수학, 천문학, 의학 발전, 그리고 로마 시대의 플리니우스, 갈레노스, 프톨레마이오스 등의 연구를 포함한다.
자유시 (고전 시대) | |
---|---|
개요 | |
이름 | 자유 도시 (고전 시대) |
로마자 표기 | Jayu dosi (gojeon sidae) |
설명 |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의 자치 도시 |
특징 | |
정치 | 자체 정부를 가졌으나 주변 강대국의 영향력 하에 있었음. |
법률 | 자체 법률 및 관습을 유지함. |
경제 | 자체적인 경제 활동을 영위함. |
군사 | 자체 방어를 위한 군사력을 보유하기도 함. |
역사적 배경 | |
기원 |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에서 유래함. |
로마 시대 | 로마 제국 내에서 특권적인 지위를 누림. |
예시 | 아테네, 로도스, 마실리아, 타르수스, 테살로니카, 키지쿠스, 에페수스 등 |
관련 용어 | |
라틴어 | civitas libera, urbs liberae condicionis |
그리스어 | ἐλευθέρα καὶ αὐτόνομος πόλις (eleuthéra kaì autónomos pólis) |
그리스어 (고대) | ἡ πόλις Παλέων τῆς Κεφαληνίας ἐλευθέρα καὶ αὐτόνομος διὰ ἐπιμελητοῦ (hē pólis Paléōn tēs Kephalēnías eleuthéra kaì autónomos dià epimelētú) |
관리인 (그리스어) | epistates |
관리인 (라틴어) | curator |
2. 역사적 배경
자유 도시의 예로는 기원전 357년 이후 마케도니아 왕국 내에서 영구적으로 자유롭고 자치적인 도시로 남았던 암피폴리스가 있으며,[2] 카산드레이아와 필리피도 해당될 가능성이 있다.
셀레우코스 제국의 통치 하에서, 수많은 도시가 자치권을 누렸고 동전을 발행했다. 셀레우키아와 타르수스와 같은 도시들은 폼페이우스에 의한 로마 정복 이후에도 자유 도시로 남았다. 니코폴리스는 설립자인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자유 도시가 되었다.[3] 테살로니카는 필리피 전투 이후 승리자 편에 섰을 때 기원전 42년에 자유 도시가 되었다.[4] 고대 아테네는 자체적인 법률을 가진 자유 도시였으며, 하드리아누스에게 드라콘 (입법자)과 솔론이 부여한 법률을 모델로 한 새로운 법률을 제정해 달라고 요청했다.[5]
그리스인들은 자체 법률에 의해 통치되고 어떤 외국 세력에도 종속되지 않는 국가를 ''Autonomi''[6] 또는 ''Autonomoi''라고 불렀다.[7] 이 이름은 로마에 속해 있으면서도 자체 법률을 누리고 자체 치안 판사를 선출할 수 있도록 허가된 도시에도 부여되었다.[8] 이 허가는 큰 특권이자 명예의 표시로 여겨졌으며, 동전과 메달에 기록되어 있다(예: 안티오키아의 자치 도시).[9]
2. 1. 고대 그리스와 헬레니즘 시대
마케도니아 왕국 내에서 암피폴리스는 기원전 357년 이후 자유롭고 자치적인 도시로 남았다.[2] 카산드레이아와 필리피도 자유 도시였을 가능성이 있다.셀레우코스 제국 통치 하에서, 수많은 도시가 자치권을 누리고 동전을 발행했다.
그리스인들은 자체 법률에 의해 통치되고 어떤 외국 세력에도 종속되지 않는 국가를 ''Autonomi''[6] 또는 ''Autonomoi''라고 불렀다.[7]
2. 2. 로마 시대
셀레우코스 제국 통치 아래에서, 수많은 도시들이 자치권을 누렸고 동전을 발행했다. 셀레우키아, 타르수스와 같은 도시들은 폼페이우스의 로마 정복 이후에도 자유 도시로 남았다.[3] 니코폴리스는 설립자인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자유 도시가 되었다.[3] 테살로니카는 필리피 전투 이후 승리자 편에 서면서 기원전 42년에 자유 도시가 되었다.[4] 고대 아테네는 자체적인 법률을 가진 자유 도시였으며, 하드리아누스에게 드라콘 (입법자)과 솔론이 부여한 법률을 모델로 한 새로운 법률을 제정해 달라고 요청했다.[5]''Autonomi''[6] 또는 ''Autonomoi''는 그리스인들이 자체 법률에 의해 통치되고 어떤 외국 세력에도 종속되지 않는 국가에 부여한 이름이었다.[7] 이 이름은 로마에 속해 있으면서도 자체 법률을 누리고 자체 치안 판사를 선출할 수 있도록 허가된 도시에도 부여되었다.[8] 이 허가는 큰 특권이자 명예의 표시로 여겨졌으며, 동전과 메달에 기록되어 있다(예: 안티오키아의 자치 도시).[9]
3. 자유 도시의 특징
''Autonomi''[6] 또는 ''Autonomoi''는 그리스인들이 자체 법률에 의해 통치되고 어떤 외국 세력에도 종속되지 않는 국가에 부여한 이름이었다.[7] 이 이름은 로마에 속해 있으면서도 자체 법률을 누리고 자체 치안 판사를 선출할 수 있도록 허가된 도시에도 부여되었다.[8] 이 허가는 큰 특권이자 명예의 표시로 여겨졌으며, 동전과 메달에 기록되어 있다(예: 안티오키아의 자치 도시).[9]
참조
[1]
웹사이트
IG II² 3301
http://epigraphy.pac[...]
[2]
서적
A History of Macedonia: Volume II: 550-336 B.C.
Clarendon Press
[3]
서적
The Greek city from Alexander to Justinian
[4]
서적
The Epistles of Paul the Apostle to the Thessalonians
[5]
서적
Municipal Administration in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6]
문서
REDIRECT
[7]
기타
Thuc. v. 18, 27 ; Xen. Hell. v. 1. § 31.
[8]
인용구
Omnes suis legibus et judiciis usae autonomian adeptae, revixerunt
[9]
서적
Dissertationes de praestantia et usu numismatum
Amst
[10]
웹사이트
IG II² 3301
http://epigraphy.pac[...]
[11]
서적
A History of Macedonia: Volume II: 550-336 B.C.
Clarendon Press
[12]
서적
The Greek city from Alexander to Justinian
[13]
서적
The Epistles of Paul the Apostle to the Thessalonians
[14]
서적
Municipal Administration in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15]
문서
転送
[16]
기타
Thuc. v. 18, 27 ; Xen. Hell. v. 1. § 31.
[17]
인용구
Omnes suis legibus et judiciis usae autonomian adeptae, revixerunt
[18]
서적
Dissertationes de praestantia et usu numismatum
Amst
[19]
웹사이트
IG II² 3301
http://epigraphy.pac[...]
[20]
서적
A History of Macedonia: Volume II: 550-336 B.C.
Clarendon Press
[21]
서적
The Greek city from Alexander to Justinian
[22]
서적
The Epistles of Paul the Apostle to the Thessalonians
[23]
서적
Municipal Administration in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24]
문서
SmithDGRA
[25]
기타
Thuc. v. 18, 27 ; Xen. Hell. v. 1. § 31.
[26]
인용구
Omnes suis legibus et judiciis usae autonomian adeptae, revixerunt
[27]
서적
Dissertationes de praestantia et usu numismatum
Am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