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잠스랑긴 체베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잠스랑긴 체베엔은 부랴트 출신의 몽골 문화 전문가이자 정치인으로, 1881년에 태어나 1942년에 사망했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몽골학을 공부하고, 부랴티야와 내몽골에서 민속을 수집하며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1911년 외몽골 혁명 이후, 몽골에서 교육 고문으로 활동하며 몽골 최초의 중학교를 설립하고 몽골 문자를 제작하는 등 몽골 근대화에 기여했다. 1921년 몽골 혁명 이후에는 신정부 교육부에서 경전 및 원고 연구소를 설립하는 등 활동을 이어갔으나, 1930년대에 '우익'으로 몰려 추방당하고, 1937년 대숙청 기간에 체포되어 1942년 수용소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확인동물학자 - 라인홀트 메스너
    라인홀트 메스너는 이탈리아 남티롤 출신의 산악인이자 탐험가로, 8,000미터 이상 14개 봉우리 세계 최초 등정, 알파인 스타일 등반 옹호, 무산소 등반 고집, 메스너 마운틴 박물관 설립, 유럽 의회 의원 활동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부랴트인 - 소요트족
    러시아 부랴티야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소수 민족인 소요트족은 순록 유목을 하며 샤머니즘과 라마교를 믿는 씨족 사회를 이루었으나, 소련 시대를 거치며 부랴트족에 동화되어 민족 정체성이 약화되었고, 소련 붕괴 후 문화 부흥 운동과 소요트어 보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부랴트인 - 우게치 카스하
    우게치 카스하는 15세기 초 오이라트 부족 연맹의 지도자로, 부냐시리와의 전투 패배 후 부족 연맹을 이끌며 세력을 유지했지만 암살당한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죽음 이후 오이라트 분열은 몽골 고원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켰고, 그의 정체와 가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잠스랑긴 체베엔
기본 정보
몽골의 위치
몽골의 위치
출생1880년 또는 1881년
출생지자카멘 현
사망1942년
사망지스타라야 토이다
국적몽골
직업학자
민속학자
학력
교육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활동
분야부랴트 민속학
몽골 문학
기타 정보
종교불교

2. 초기 생애와 교육

잠스랑긴 체베엔은 1881년 4월 26일 러시아 제국 자바이칼 주 호이토-아가에서 아가 호리 부랴트 가문의 샤라이드 씨족 ''자이상''(족장)의 아들로 태어났다. 1892년부터 치타 초등학교에서 정규 교육을 받았고, 증조할머니와 조부모로부터 전해지는 이야기와 서사시, 아버지로부터 인도 이야기와 부랴트족의 법을 배웠다. 1895년, 부랴트 궁정 의사 표트르 바드마예프가 설립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사립 김나지움에 다녔으며, 1897년까지 이르쿠츠크 교육 아카데미에서 수학하고 이르쿠츠크 대학교를 졸업했다.

3. 학술 및 정치 활동

잠스랑긴 체베엔은 바자르 바라딘과 함께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강의를 청강하며, 부랴트 및 몽골 문화 전문가가 되었다. 잠스랑긴은 민속과 샤머니즘을, 바라딘은 불교를 전문으로 했다. 1903년부터 1907년까지 부랴티야에서 민속 자료를 수집하고, 1909년부터 1910년까지 내몽골(당시 의 일부)을 여행했다.[1][2]

1917년 2월 혁명 이후 부랴티야로 돌아왔다. 10월 혁명러시아 내전 발발 이후, 1917년 12월 잠시 독립했던 부랴트 민족 위원회(Burnatskom)의 의장을 역임했다. 이르쿠츠크 대학교에서 강의했고, 1920년 여름 볼셰비키백군으로부터 부랴티야를 회복한 후, 치타 소비에트의 회원이 되어, 몽골 혁명가들과 연락하여 중국에 대한 소련의 지원을 요청했다.[1][2]

3. 1. 몽골 근대화 기여

1911년 외몽골 혁명 이후, 잠스랑긴 체베엔은 수도 니슬 훼레(오늘날의 울란바토르)의 러시아 영사관과 복드 칸 정부 외무부에서 동시에 일했다. 교육 고문으로서 1912년 3월 수도에 최초의 중학교를 설립했고, 활자 인쇄기를 만들어 몽골 문자를 제작했다.[1][2]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월간지 《신 톨리》(“새 거울”)를 발간하여 문서와 조약, 사회에 대한 논의, 프랑스 작가 레옹 카운의 몽골 제국 역사 소설 《라 반니에르 블루》(“푸른 깃발”) 등의 번역을 게재했다. 논란으로 인해 잡지는 폐간되었고, 잠스랑긴 체베엔은 1915년 수도에서 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했다.[1][2]

3. 2. 범몽골주의 활동과 한계

1921년 몽골 혁명에 참여, 몽골 인민당 창당을 주도하고 초기 강령 작성에 참여했다.[1][2] 그는 모든 몽골인을 통합하는 중립적인 몽골 건설을 추구했다.[1][2]

혁명 성공 후, 잠스랑긴은 새 정부의 교육부에 합류했다. 1921년 11월 경전 및 원고 연구소(또는 위원회)를 설립하고 옹구딘 잠얀 지휘 아래 상임 비서로서 "지도 정신"이 되었다.[1][2] 몽골 지도자들은 원로 정치인이자 "인간 백과사전"으로서 그의 조언을 구했다.[1][2] 불교 라마교를 비판했지만, 부처의 견해가 공산주의와 완전히 양립할 수 있다고 믿고 많은 불교 작품을 재인쇄했다.[1][2]

1924년 정부가 설립한 경제 위원회의 회원이었다. 그는 중국 상인들을 몰아내기 위해 협동조합을 만드는 것을 초기에 지속적으로 옹호했다.[1][2]

4. 망명과 죽음

1928년 가을, 제7차 콩그레스에서 잠차라노는 코민테른의 지시를 받은 좌파들에게 맹렬한 비난을 받았다. 그는 몽골에 머물렀지만, 학술 연구에만 제한되었다. 1932년 3월, "우익"으로 몰려 레닌그라드의 동양학 연구소로 추방되었다.[1][2] 그는 학술 연구를 계속하여 몽골에 대한 포괄적인 민족지 조사를 몽골어로 저술(1934)했고, 논문 ''17세기의 몽골 연대기''(1936, 러시아어; 1955, 영어 번역)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2] 1937년 8월 10일, 대숙청 기간에 체포되었다.[1][2] 범몽골주의 일본 첩자로 기소되었지만, 고문에도 불구하고 혐의를 부인하고 다른 사람들을 연루시키지 않았다.[1][2] 1940년 2월 19일 소련 최고 법원 군사 합의체에서 5년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1942년 4월 14일(또는 5월) 솔-이레츠크의 노동 수용소에서 사망했다.[1][2]

5. 사후 평가

잠스랑긴 체베엔은 몽골의 독립과 근대화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몽골 민족주의 사상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Facts on File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ngolia Rowman & Littlefiel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