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가 (입헌군주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가(Royal Assent)는 입헌군주제 국가에서 의회를 통과한 법안이 법률로서 효력을 갖도록 군주가 승인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초기에는 군주가 의회의 자문을 받아 입법권을 행사했으나, 의회의 발전과 함께 군주의 역할은 점차 축소되었다. 영국에서는 1708년 이후 군주가 법안에 대한 재가를 거부한 사례는 없으며, 현대에는 일반적으로 장관의 자문에 따라 행동한다.
영국 외 연방 왕국에서는 국왕 또는 총독이 재가를 승인하거나 거부하며,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등에서는 주지사 또는 부총독이 재가를 행사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재가와 함께 공포가 필요하며, 헌법에 따라 군주가 재가를 거부할 권한을 갖는 경우도 있다. 재가와 관련된 논쟁은 군주의 역할, 정부와의 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특권 - 특권 (군주제)
특권(군주제)은 군주가 국가를 통치하던 시대부터 존재한 군주의 권한으로, 입헌군주제 하에서는 의회의 견제를 받으며 권한이 제한되었고, 현대에는 의례적 기능으로서 국가 권력을 상징적으로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각국의 헌법과 정치 상황에 따라 범위와 행사 방식이 다르다. - 특권 - 은사권
은사권은 형벌이나 판결의 결과로부터 개인을 해방시키는 행위로, 사면, 감형, 조건부 사면, 완전 사면 등으로 나뉘며, 영국을 포함한 여러 영연방 국가에서 각국의 법률과 관례에 따라 행사된다. - 웨스트민스터 체제 - 불신임 결의
불신임 결의는 의회 시스템에서 정부의 신임을 철회하는 절차로, 의원내각제 국가에서 중요한 정치적 수단이며, 각국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발의, 통과 요건 및 투표 방식 등이 다양하게 규정된다. - 웨스트민스터 체제 - 야당
야당은 의회 내에서 정부를 구성하지 않은 정당을 의미하며, 정부 정책에 대한 비판과 대안 제시를 통해 권력 균형을 유지하고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역할을 한다. - 군주제 - 전제군주제
전제군주제는 군주가 최고의 권력을 독점하여 국민의 참여 없이 통치하는 정치 체제로, 중세 후기 봉건제 발전 과정에서 등장하여 왕권신수설로 정당화되었으나, 계몽주의 시대 이후 쇠퇴하여 현대에는 일부 국가에서만 유지되고 있다. - 군주제 - 섭정
섭정은 군주가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그 권한을 대신 행사하는 직책이며, 한국사에서는 대리청정이나 수렴청정으로 불리고 동서양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재가 (입헌군주제) | |
---|---|
지도 | |
개요 | |
설명 | 입헌군주제 국가에서, 의회가 제정한 법률안이 국왕(군주)의 승인을 받아 법률로서 최종 확정되는 절차이다. |
역할 | 군주의 재가는 법률 제정의 필수적인 요소이며, 군주가 법률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법률이 될 수 없다. |
의미 | 군주의 승인은 실질적인 권력 행사라기보다는 전통적인 권위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
국가별 현황 | |
영국 | 영국에서는 군주가 재가를 거부한 마지막 사례는 1708년의 스코틀랜드 민병대 법이다. 현대 영국에서는 군주의 재가는 형식적인 절차이며, 군주는 의회가 통과시킨 법안을 거부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군주는 왕실 법률위원회에서 해당 법률에 대한 자문을 받을 수 있다. 군주의 재가는 양원법률안이 통과된 후 군주에 의해 부여되며, 국새를 부착하여 공식적으로 시행된다. |
캐나다 | 캐나다에서는 총독이 왕실 재가를 부여하며, 이는 사실상 형식적인 절차이다. 캐나다 법률은 국왕(국왕의 대리인인 총독)이 법안에 재가해야 효력이 발생한다. 법안은 상원과 하원을 모두 통과한 후 총독에게 전달되며, 총독은 '여왕 폐하의 이름으로' 재가를 부여한다. |
호주 | 호주에서는 총독이 국왕을 대신하여 법안에 재가를 한다. 호주 헌법 제5조에 따라 재가를 받은 법률안은 국왕의 동의를 받아야 효력이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호주에서 총독의 재가는 형식적인 절차이지만, 호주 헌법은 총독에게 법안을 승인하거나 보류할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
뉴질랜드 | 뉴질랜드에서는 총독이 국왕을 대신하여 재가를 한다. 뉴질랜드에서는 통상적으로 재가는 형식적인 절차이다. |
추가 정보 | |
거부 사례 | 군주의 재가가 거부된 사례는 역사적으로 존재하지만, 현대 입헌군주제 국가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현재 군주는 정치적 중립을 지키며, 의회의 결정을 존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왕실 특권 | 왕실 재가는 군주의 왕실 특권 중 하나이다. 왕실 특권은 군주가 가지는 특별한 권한으로, 현대에는 주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다. |
관련 용어 | 재가: 법안에 대한 승인 군주: 국왕, 여왕 등 총독: 군주를 대신하여 재가를 하는 사람 입헌군주제: 군주가 존재하지만 헌법에 의해 권한이 제한되는 정치 체제 |
2. 역사적 발전
초기에는 국왕이 최고 귀족과 성직자들이 참여하는 왕실 의회(Curia regis)의 자문을 받아 입법권을 행사했으며, 이는 의회(Parliament)로 발전했다.[16] 1265년, 레스터 백작 사이먼 드 몽포르는 왕의 허락 없이 불규칙적으로 전체 의회를 소집했다.[17] 1295년 에드워드 1세 치하에서 설립된 모범 의회의 구성원은 결국 두 집으로 나뉘었다. 주교, 수도원장, 백작, 남작들은 상원(House of Lords)을 구성했고, 각 주에서 두 명의 기사와 각 자치구에서 두 명의 시민이 하원(House of Commons)을 이끌었다.[18] 국왕은 법을 제정하기 전에 양원의 자문과 동의를 구했다.[19]
헨리 6세 통치 기간 동안, 양원이 법안 형태로 입법을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 되었다. 법안은 국왕의 재가를 받아야만 법률이 될 수 있었는데, 국왕은 법률 제정자였고, 지금도 그렇다. [19]
의회가 법안을 통과시키는 권한은 종종 군주에 의해 방해받았다. 찰스 1세는 의회가 그의 독단적인 권력 행사를 비판하고 제한하려는 결의안과 법안을 통과시킨 후 1629년 의회를 해산했다.[20] 이후 11년간의 찰스 1세의 친정 기간 동안, 찰스는 의회의 승인 없이 세금을 거두는 등 법적으로 모호한 행위를 했다.[20]
제임스 1세와 찰스 1세를 포함한 군주들이 치렀던 대관식 선서에는 정당한 법률과 관습을 준수하겠다는 약속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문구의 의미에 대해 논란이 있었는데, 동사 ''elegerit''은 모호하여 미래완료("일반 백성이 선택할 것들") 또는 완료 가정법("일반 백성이 선택했을 수도 있는 것들")을 나타냈다. 찰스 1세는 후자의 해석을 채택하여 대관식 당시에 이미 존재했던 법률과 관습만을 준수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했다.[22] 장기 의회는 전자의 번역을 선호하여, 선서를 "일반 백성"을 대표하는 의회가 통과시킨 모든 법률에 동의하겠다는 약속으로 해석했다.
잉글랜드 내전 이후, 의회가 정기적으로 소집되어야 한다는 것이 받아들여졌지만, 군주가 법안에 대한 왕실 재가를 거부하는 것은 여전히 일반적이었다. 1661년 반역죄법은 의회가 "국왕 없이 입법권을 가진다"고 주장하는 것을 반역죄로 만들었다.[25] 1678년, 찰스 2세는 "민병대를 증강하고 42일 동안 복무를 지속함으로써 왕국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법안에 대한 재가를 거부했다.[23] 그는 의회가 아닌 자신이 민병대를 통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4] 윌리엄 3세는 왕실 거부권을 비교적 자유롭게 사용하여 1692년부터 1696년 사이에 5개의 공공 법안에 대한 재가를 거부했다.[25]
카라파노는 윌리엄 3세가 왕실 거부권을 "그의 개인적인 입법 도구"로 간주했다고 주장한다.[25] 반대로, 마지막 스튜어트 군주인 앤 여왕은 단 한 번만 법안에 대한 재가를 거부했다. 1708년 3월 11일, 그녀는 장관들의 조언에 따라 스코틀랜드 민병대 법안에 대한 재가를 거부했다. 그 이후로 어떤 군주도 의회가 통과시킨 법안에 대한 왕실 재가를 거부한 적이 없다.[27][28]
이후 하노버 왕조 통치 기간 동안, 의회와 정부가 점차 더 많은 권력을 행사했다. 조지 1세는 영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고 처음에는 영국 정치와 관습에 익숙하지 않았던 그는 이전 군주들보다 장관들에게 더 많이 의존했다. 조지 3세와 조지 4세는 모두 가톨릭 해방에 공개적으로 반대했고[29][30] 가톨릭 해방 법안에 대한 재가는 대관식 선서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조지 4세는 장관들의 조언에 따라 마지못해 재가를 승인했다.[30] 따라서 장관 책임제의 개념이 발전함에 따라, 왕실 재가를 거부하는 권한은 영국과 다른 연방 왕국 모두에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1914년, 조지 5세는 아일랜드 자치법에 대한 왕실 재가 거부에 대한 법률 자문을 구했다. 그는 "그것이 국가적 재앙을 피하거나, 적어도 당시의 혼란스러운 상황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확신할 수 있는 증거"가 없으면 재가를 거부하지 않기로 결정했다.[31]
현대에는 정부가 국왕에게 왕실 재가를 거부하라고 조언할 수 있다는 것이 제기되었지만, 선출된 정치인들은 그러한 시나리오를 피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한다.[32] 현대에는 군주는 정부의 자문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법안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1708년에 앤 여왕이 장관의 자문에 따라 스코틀랜드 민병법을 거부한 것이 마지막 사례이다.[111]
2. 1. 영국
1541년 왕실 재가 위임 법이 왕실 위원에게 권한 위임을 허용하기 전까지는, 의회 앞에서 국왕이 직접 재가를 해야 했다.[4] 국왕이 의회에서 직접 재가를 한 마지막 경우는 빅토리아 여왕 재위 시절인 1854년 8월 12일 휴회 때였다.[5] 이 법은 폐지되었고 1967년 왕실 재가 법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그 법 제1조 제2항은 국왕이 원할 경우 직접 재가를 선언하는 것을 막지 않는다.왕실 재가는 의회 법안이 법률이 되는 데 필요한 최종 단계이다. 법안이 국왕에게 제출되면, 국왕은 다음과 같은 공식적인 선택지를 가지고 있다.
재가가 거부된 마지막 법안은 앤 여왕 재위 시절인 1708년의 스코틀랜드 민병대 법안이었다.[8]
얼스킨 메이의 ''의회 관례''는 "...그리고 그 승인에서 법적으로 제외될 수 없다"라고 조언하는데, 이는 법안을 왕실 재가를 위해 보내야 한다는 의미이지, 반드시 재가를 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9] 그러나 일부 권위자들은 국왕은 더 이상 장관의 자문에 ''반하여'' 법안에 대한 재가를 거부할 권한이 없다고 말한다.[10][11]
현대 헌법 관례에 따라, 국왕은 일반적으로 장관의 자문에 따라 행동한다.[12] 그러나 학자들 사이에서는 국왕이 장관의 자문에 따라 법안에 대한 왕실 재가를 거부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의견이 다소 일치하지 않는다.[13]
이러한 장관들은 대부분 의회의 지지를 받고 법안의 통과를 얻기 때문에, 국왕에게 재가를 거부하라고 자문할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현대 관행에서 이 문제는 발생한 적이 없으며, 왕실 재가가 거부된 적이 없다.[14] 이러한 가능성은 보리스 존슨 총리 초기, 영국이 EU와 브렉시트 협정을 협상하는 동안 발생했다. 하원 의장은 정부의 의사에 반하는 법안에 대한 논의를 허용했고, 당시 정부는 당시 가장 시급한 의회 문제에서 사실상 소수였다. 따라서 총리가 당시 국왕 엘리자베스 2세에게 불리한 법안에 대한 재가를 거부하라고 자문할 수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15]

영국에서 법안은 하원과 상원 모두에서 필요한 모든 단계를 통과한 후 왕실 재가를 위해 제출된다. 1911년 의회법과 1949년 의회법에 따라 하원은 특정 상황에서 상원의 통과 없이도 법안을 재가를 위해 제출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69][70]
의회를 통과한 모든 법안의 목록은 채널러리 왕실 서기관이 작성하며, 이 목록은 의회 서기관의 승인을 받는다. (총리, 다른 장관 및 추밀원 의원은 일반적으로 목록 작성에 관여하지 않는다.) 그런 다음 왕실 서기관은 모든 관련 법안을 열거한 칙서를 작성하여 군주가 서명한다.[71]
공식적으로 재가는 국왕 또는 칙서에 의해 권한을 부여받은 추밀원 위원에 의해 허여된다. 왕실 재가는 의회 내부 또는 외부에서 허여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각 하원은 법안이 발효되기 전에 별도로 통보받아야 한다.
상원의 최고 관리인인 의회 서기관은 전통적으로 앵글로-노르망어 법률 프랑스어로 공식을 선언하여 국왕의 결정을 나타낸다. 예산안에 대한 왕실 재가는 "Le Roy remercie ses bons sujets, accepte leur benevolence, et ainsi le veult"[14]("국왕은 선량한 백성에게 감사하며, 그들의 호의를 받아들이고, 그렇게 할 것이다.")라는 말로 표시된다. 다른 공공 또는 사적 법안의 경우 공식은 단순히 "Le Roy le Veult"("국왕이 원한다.")이다. 개인 법안의 경우 문구는 "Soit fait comme il est désiré"("원하는 대로 하라.")이다. 재가를 거부하는 데 적절한 공식은 완곡한 표현인 "Le Roy s'avisera"("국왕은 그것을 고려할 것이다.")이다.[72] 국왕이 여성일 경우 "Le Roy"는 "La Reyne"으로 바뀐다.

헨리 8세의 통치 기간 동안 재가를 허여하는 새로운 방법이 만들어졌다. 1542년 헨리는 간음 혐의로 다섯 번째 아내인 캐서린 하워드를 처형하려고 했는데, 처형은 재판 후가 아니라 단죄 법안에 따라 승인될 것이었고, 그는 전체 텍스트를 듣고 직접 재가를 해야 했다. 헨리는 "그렇게 끔찍한 이야기의 반복과 그렇게 악명 높은 범죄의 언급"이 그의 면전에서 "이미 닫히고 있는 왕실의 가슴에 상처를 다시 열 수 있다"고 결정했다.[74] 따라서 의회는 단죄 법안에 위원에 의해 허여된 재가는 "현재 그리고 항상 그랬고, 항상 그럴 것이다, 국왕이 직접 허여한 재가만큼 효력이 있다"는 조항을 삽입했다.[75] 이 절차는 16세기에는 5번만 사용되었지만, 특히 조지 3세의 건강이 악화되기 시작하면서 17세기와 18세기에는 더 자주 사용되었다. 빅토리아 여왕은 1854년에 마지막으로 직접 재가를 허여했다.[76][77]
위임에 의해 재가를 허여할 때, 국왕은 3명 이상(일반적으로 5명)의 추밀원 의원들에게 자신의 이름으로 재가를 선언할 권한을 부여한다. 국왕의 대표로 알려진 추밀원 위원들은 진홍색 의회 예복을 입고 왕좌와 울색 사이의 벤치에 앉는다. 상원 독서 서기관이 위임장을 소리내어 읽고, 수석 위원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신사 여러분, 폐하의 명령에 따라, 지금 낭독된 위임장에 따라, 우리는 의회에 모인 영적 귀족, 세속 귀족, 그리고 하원 의원 여러분께 폐하께서 위임장에 언급된 여러 법률에 대한 왕실 재가를 주셨음을 선언하고 통지합니다."[78][79]
1960년대에 위임에 의한 재가 의식은 중단되었고 현재는 연례 의회 회기 말에만 1년에 한 번 사용된다. 1960년, 검은 지팡이의 신사 호위관이 격렬한 논쟁 중인 하원을 소환하기 위해 도착했고, 여러 의원들이 의식에 참석을 거부함으로써 이러한 방해에 항의했다. 이러한 난처한 상황은 1965년에 반복되었는데, 이번에는 의장이 상원으로 가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서자 일부 의원들이 연설을 계속했다. 결과적으로 1967년 왕실 재가법이 통과되어 왕실 재가를 허여하는 추가적인 형태가 만들어졌다. 법무장관의 설명에 따르면, "관련된 의회 시간의 손실뿐만 아니라, 아마도 설득력 있는 연설의 흐름이 끊기고 논쟁이 방해받을 수 있다는 것에 대해 많은 불만이 있었다."[80]
1967년 왕실 재가법에 따라 왕실 재가는 칙서를 통해 서면으로 국왕에 의해 허여될 수 있으며, 이는 의회 각 하원의 의장에게 제출된다.[73] 그런 다음 의장은 각 하원에 왕실 재가가 언급된 법률에 허여되었음을 알리는 공식적이지만 간단한 성명을 발표한다. 따라서 국왕이 직접 또는 왕실 위원에 의해 왕실 재가를 허여하는 것과 달리, 1967년 왕실 재가법에 의해 만들어진 방법은 왕실 재가 통지를 받기 위해 양원이 공동으로 회의할 필요가 없다. 칙서의 표준 텍스트는 1992년 왕실 사무소(서식 및 선포 규칙) 명령[81]에 명시되어 있으며, 2000년에 약간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실제로 이것이 표준 방법으로 남아 있지만, 왕실 위원 임명을 위한 칙서의 표현과 1967년 법률에 따라 서면으로 왕실 재가를 허여하기 위한 칙서의 표현("...그리고 우리가 현재 우리의 상원인 왕실 재가를 허여하는 통상적인 장소에 있을 수 없기 때문에...")은 이 사실을 부정한다.[82]
왕실 재가를 알리는 데 사용되는 방법에 관계없이, 양원에 재가가 정식으로 통보되면 의회 서기관은 공식적인 앵글로-노르망어 법률 프랑스어 공식으로 국왕의 이름으로 법률을 승인할 뿐만 아니라 재가가 허여되었음을 증명할 책임이 있다.[83] 서기관은 법안의 정본 한 부에 서명하고 법률 제목 뒤에 재가가 양원에 통보된 날짜(영어로)를 삽입한다.[84]
현대에는 군주는 정부의 자문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법안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로버트 블랙번은 군주의 재가는 현재 정당한 절차에 한정되며, 법안이 의회의 확립된 절차를 모두 통과했음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시사했다.[109]
재가가 거부되는 상황은 법안이 내각의 의향에 반하여 의회에 의해 가결되고, 재가 단계에서 법안이 법률이 되는 것을 막는 최후의 수단으로 여겨지는 경우이다.[110] 영국에서는 법안에 대한 재가로서 영국 내 입법에 대한 국왕 재가 거부는 1708년에 앤 여왕이 장관의 자문에 따라 스코틀랜드 민병법을 거부한 것이 마지막 사례이다.[111]
2. 2. 기타 영연방 왕국
영국을 제외한 연방 왕국에서는 국왕의 재가가 국왕 자신, 또는 더 흔한 경우 국왕의 대표자인 총독에 의해 승인되거나 거부된다.[54] 연방 국가인 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에서는 각 주 또는 지역의 재가가 각각 해당 주지사 또는 부총독에 의해 승인되거나 거부된다.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헌법 개정을 제안하는 법안의 경우, 법안은 국민투표에 회부되며 국왕의 재가를 받기 전에 과반수의 지지를 받아야 한다. 의회에서 정상적으로 통과된 다른 모든 법안은 국왕의 재가를 받으면 의회법이 된다.[55]
솔로몬 제도와 투발루에서는 국왕의 재가를 거부할 수 없으며, 헌법 조항에 따라 시기적절하게 승인되어야 한다.[56][57] 앤티가 바부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에서는 법안이 모든 헌법적 요건을 충족한 경우 총독은 재가를 거부할 수 없다.[58][59][60] 파푸아뉴기니에서는 법안 통과에 국왕의 재가가 필요하지 않으며, 대신 국회 의장의 인증 시 법률로 발효된다.[61]
캐나다의 경우, 부총독은 총독에게 재가를 유보할 수 있으며,[62] 총독은 연방 의안에 대해 군주에게 재가를 유보할 수 있다.[63] 총독이 재가를 할 수 없는 경우, 캐나다 대법원 판사인 대리가 재가할 수 있다. 캐나다 역사상 부총독이 재가를 거부한 경우는 약 90회이며, 마지막으로 서스캐처원주에서 1961년에 발생했다.[64]
총독이 입법부가 통과시킨 법안에 서명할 필요는 없으며, 서명은 단순히 증명일 뿐이다. 법안이 법률로 간주되기 전에 의회에 재가 부여 사실을 알려야 한다.[65] 재가 부여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군주의 대표자는 양원의 존재 하에 재가를 부여할 수 있다. 또는 각 의회에 별도로 통지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각 의회의 의장이 통지한다. 양원 모두 같은 날 통지받아야 한다. 하원이 휴회 중일 때는, ''하원 의사록''의 특별호를 발행하여 통지할 수 있다. 상원은 개회 중이어야 하며, 총독의 서한은 의장이 소리내어 낭독해야 한다.[65]
호주에서는 의회에서의 공식적인 칙허 수여식이 20세기 초 이후로 정기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오늘날 법안은 발의된 의회에서 총독 또는 총독 관저로 보내진다. 그런 다음 총독은 법안에 서명하고 상원 의장과 하원 의장에게 통보하며, 그들은 각 의회에 총독의 조치를 통보한다.[85] 뉴질랜드에서도 비슷한 관례가 따르는데, 총독이 1875년 이후로 의회에서 직접 왕실 칙허를 수여한 적이 없다.[85]
3. 현대적 관행
현대 입헌군주제 국가에서 국왕의 재가는 대부분 형식적인 절차로 여겨진다. 국왕은 일반적으로 장관의 자문에 따라 법안에 서명하며, 독자적으로 거부권을 행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영국에서는 국왕의 재가가 법안 통과의 최종 단계이며, 1708년 앤 여왕이 스코틀랜드 민병법안을 거부한 이후 실제로 거부권이 행사된 적은 없다.[111] 재가는 전통적으로 앵글로-노르만어로 된 문구('''국왕소를욕스''' 또는 '''여왕소를욕스''')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이는 노르망디 정복 이후 프랑스어가 의회에서 사용되던 시대의 유산이다. 1541년 이전에는 국왕이 직접 의회에서 재가를 해야 했으나, 이후 재가권이 귀족 위원에게 위임될 수 있게 되었다. 1967년 국왕 재가법은 국왕 재가의 절차를 간소화하여, 국왕이 직접 출석하지 않고도 서면으로 재가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국왕은 여전히 법안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예를 들어, 영국 왕실은 개인 재산과 관련된 법안 초안을 의회보다 먼저 열람할 권한이 있으며, 법안 내용에 대한 변경을 요청할 수도 있다. 1968년 인종 관계법 등 일부 법률에는 왕실을 면제하는 규정이 포함되기도 했다.
다른 입헌군주제 국가에서도 국왕의 재가는 대체로 형식적인 절차이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국왕에게 명시적인 거부권이 부여되어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노르웨이 헌법은 국왕이 의회에서 통과된 법안에 대한 재가를 거부할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100]
3. 1. 영국
오늘날 군주는 장관의 조언 없이는 법안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는다. 로버트 블랙번은 군주가 왕실 재가를 부여하는 행위는 이제 적절한 절차에 국한되며, 법안이 모든 확립된 의회 절차를 통과했음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2] 그러나 로드니 브레이저는 군주가 여전히 "헌법의 민주적 기반을 전복하려는" 법안에 대해 왕실 재가를 거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브레이저는 그러한 행위는 "정의의 심각한 어려움"으로 이어질 것이며, 군주가 우려를 표명하는 다른 방법을 찾는 것이 더 낫다고 인정했다.[3] 왕실 재가가 거부될 수 있는 유일한 상황은 입법부의 의사에 반하여 내각의 의사에 반하여 법안이 통과되었을 경우이며, 왕실 재가 단계에서 후자가 법안이 법률이 되는 것을 막는 마지막 기회를 얻게 된다.[3]1541년 왕실 재가 위임 법이 왕실 위원에게 권한 위임을 허용하기 전까지는, 의회 앞에서 국왕이 직접 재가를 해야만 했다.[4] 국왕이 의회에서 직접 재가를 한 마지막 경우는 빅토리아 여왕 재위 시절인 1854년 8월 12일의 휴회 때였다.[5] 이 법은 폐지되었고 1967년 왕실 재가 법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그 법 제1조 제2항은 국왕이 원할 경우 직접 재가를 선언하는 것을 막지 않는다.
왕실 재가는 의회 법안이 법률이 되는 데 필요한 최종 단계이다. 법안이 국왕에게 제출되면, 국왕은 다음과 같은 공식적인 선택지를 가지고 있다.
재가가 거부된 마지막 법안은 앤 여왕 재위 시절인 1708년의 스코틀랜드 민병대 법안이었다.[8]
얼스킨 메이의 ''의회 관례''는 "...그리고 그 승인에서 법적으로 제외될 수 없다"라고 조언하는데, 이는 법안을 왕실 재가를 위해 보내야 한다는 의미이지, 반드시 재가를 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9] 그러나 일부 권위자들은 국왕은 더 이상 장관의 자문에 ''반하여'' 법안에 대한 재가를 거부할 권한이 없다고 말한다.[10][11]
현대 헌법 관례에 따라, 국왕은 일반적으로 장관의 자문에 따라 행동한다.[12] 그러나 학자들 사이에서는 국왕이 장관의 자문에 따라 법안에 대한 왕실 재가를 거부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의견이 다소 일치하지 않는다.[13]
이러한 장관들은 대부분 의회의 지지를 받고 법안의 통과를 얻기 때문에, 국왕에게 재가를 거부하라고 자문할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현대 관행에서 이 문제는 발생한 적이 없으며, 왕실 재가가 거부된 적이 없다.[14] 이러한 가능성은 보리스 존슨 총리 초기, 영국이 EU와 브렉시트 협정을 협상하는 동안 발생했다. 하원 의장은 정부의 의사에 반하는 법안에 대한 논의를 허용했고, 당시 정부는 당시 가장 시급한 의회 문제에서 사실상 소수였다. 따라서 총리가 당시 국왕 엘리자베스 2세에게 불리한 법안에 대한 재가를 거부하라고 자문할 수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15]
영국에서 법안은 하원과 상원 모두에서 필요한 모든 단계를 통과한 후 왕실 재가를 위해 제출된다. 1911년 의회법과 1949년 의회법에 따라 하원은 특정 상황에서 상원의 통과 없이도 법안을 재가를 위해 제출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69][70]
의회를 통과한 모든 법안의 목록은 채널러리 왕실 서기관이 작성하며, 이 목록은 의회 서기관의 승인을 받는다. (총리, 다른 장관 및 추밀원 의원은 일반적으로 목록 작성에 관여하지 않는다.) 그런 다음 왕실 서기관은 모든 관련 법안을 열거한 칙서를 작성하여 군주가 서명한다.[71]
공식적으로 재가는 국왕 또는 칙서에 의해 권한을 부여받은 추밀원 위원에 의해 허여된다. 왕실 재가는 의회 내부 또는 외부에서 허여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각 하원은 법안이 발효되기 전에 별도로 통보받아야 한다.
상원의 최고 관리인인 의회 서기관은 전통적으로 앵글로-노르만어 법률 프랑스어로 공식을 선언하여 국왕의 결정을 나타낸다. 예산안에 대한 왕실 재가는 "Le Roy remercie ses bons sujets, accepte leur benevolence, et ainsi le veult"[14]("국왕은 선량한 백성에게 감사하며, 그들의 호의를 받아들이고, 그렇게 할 것이다.")라는 말로 표시된다. 다른 공공 또는 사적 법안의 경우 공식은 단순히 "Le Roy le veult"("국왕이 원한다.")이다. 개인 법안의 경우 문구는 "Soit fait comme il est désiré"("원하는 대로 하라.")이다. 재가를 거부하는 데 적절한 공식은 완곡한 표현인 "Le Roy s'avisera"("국왕은 그것을 고려할 것이다.")이다.[72]
국왕이 여성일 경우 "Le Roy"는 "La Reyne"으로 바뀐다.
헨리 8세의 통치 이전에는 국왕이 항상 직접 재가를 허여했다. 왕관을 쓴 국왕은 왕족과 왕실 법정 구성원들에 둘러싸여 상원 의장석의 왕좌에 앉아 있었다. 오늘날 이 장면은 연례 의회 개원식에서만 반복된다. 하원 의원들은 그들의 의장의 주도하에, 의장석 바로 밖의 상원 바에서 경청했다. 의회 서기관은 재가를 기다리는 법안을 군주에게 제출했지만, 예산안은 전통적으로 의장이 가져왔다. 왕실 서기관은 국왕의 오른쪽에 서서 법안의 제목을 소리내어 읽었다(이전에는 법안의 전체 텍스트를 읽었다). 국왕의 왼쪽에 선 의회 서기관은 적절한 노르망디 프랑스어 공식을 말함으로써 응답했다.[73]
헨리 8세의 통치 기간 동안 재가를 허여하는 새로운 방법이 만들어졌다. 1542년 헨리는 간음 혐의로 다섯 번째 아내인 캐서린 하워드를 처형하려고 했는데, 처형은 재판 후가 아니라 단죄 법안에 따라 승인될 것이었고, 그는 전체 텍스트를 듣고 직접 재가를 해야 했다. 헨리는 "그렇게 끔찍한 이야기의 반복과 그렇게 악명 높은 범죄의 언급"이 그의 면전에서 "이미 닫히고 있는 왕실의 가슴에 상처를 다시 열 수 있다"고 결정했다.[74] 따라서 의회는 단죄 법안에 위원에 의해 허여된 재가는 "현재 그리고 항상 그랬고, 항상 그럴 것이다, 국왕이 직접 허여한 재가만큼 효력이 있다"는 조항을 삽입했다.[75] 이 절차는 16세기에는 5번만 사용되었지만, 특히 조지 3세의 건강이 악화되기 시작하면서 17세기와 18세기에는 더 자주 사용되었다. 빅토리아 여왕은 1854년에 마지막으로 직접 재가를 허여했다.[76][77]
위임에 의해 재가를 허여할 때, 국왕은 3명 이상(일반적으로 5명)의 추밀원 의원들에게 자신의 이름으로 재가를 선언할 권한을 부여한다. 국왕의 대표로 알려진 추밀원 위원들은 진홍색 의회 예복을 입고 왕좌와 울색 사이의 벤치에 앉는다. 상원 독서 서기관이 위임장을 소리내어 읽고, 수석 위원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신사 여러분, 폐하의 명령에 따라, 지금 낭독된 위임장에 따라, 우리는 의회에 모인 영적 귀족, 세속 귀족, 그리고 하원 의원 여러분께 폐하께서 위임장에 언급된 여러 법률에 대한 왕실 재가를 주셨음을 선언하고 통지합니다."[78][79]
1960년대에 위임에 의한 재가 의식은 중단되었고 현재는 연례 의회 회기 말에만 1년에 한 번 사용된다. 1960년, 검은 지팡이의 신사 호위관이 격렬한 논쟁 중인 하원을 소환하기 위해 도착했고, 여러 의원들이 의식에 참석을 거부함으로써 이러한 방해에 항의했다. 이러한 난처한 상황은 1965년에 반복되었는데, 이번에는 의장이 상원으로 가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서자 일부 의원들이 연설을 계속했다. 결과적으로 1967년 왕실 재가법이 통과되어 왕실 재가를 허여하는 추가적인 형태가 만들어졌다. 법무장관의 설명에 따르면, "관련된 의회 시간의 손실뿐만 아니라, 아마도 설득력 있는 연설의 흐름이 끊기고 논쟁이 방해받을 수 있다는 것에 대해 많은 불만이 있었다."[80]
1967년 왕실 재가법에 따라 왕실 재가는 칙서를 통해 서면으로 국왕에 의해 허여될 수 있으며, 이는 의회 각 하원의 의장에게 제출된다.[73] 그런 다음 의장은 각 하원에 왕실 재가가 언급된 법률에 허여되었음을 알리는 공식적이지만 간단한 성명을 발표한다. 따라서 국왕이 직접 또는 왕실 위원에 의해 왕실 재가를 허여하는 것과 달리, 1967년 왕실 재가법에 의해 만들어진 방법은 왕실 재가 통지를 받기 위해 양원이 공동으로 회의할 필요가 없다. 칙서의 표준 텍스트는 1992년 왕실 사무소(서식 및 선포 규칙) 명령[81]에 명시되어 있으며, 2000년에 약간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실제로 이것이 표준 방법으로 남아 있지만, 왕실 위원 임명을 위한 칙서의 표현과 1967년 법률에 따라 서면으로 왕실 재가를 허여하기 위한 칙서의 표현("...그리고 우리가 현재 우리의 상원인 왕실 재가를 허여하는 통상적인 장소에 있을 수 없기 때문에...")은 이 사실을 부정한다.[82]
왕실 재가를 알리는 데 사용되는 방법에 관계없이, 양원에 재가가 정식으로 통보되면 의회 서기관은 공식적인 노르망디 프랑스어 공식으로 국왕의 이름으로 법률을 승인할 뿐만 아니라 재가가 허여되었음을 증명할 책임이 있다.[83] 서기관은 법안의 정본 한 부에 서명하고 법률 제목 뒤에 재가가 양원에 통보된 날짜(영어로)를 삽입한다.[84]
현대에는 군주는 정부의 자문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법안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로버트 블랙번은 군주의 재가는 현재 정당한 절차에 한정되며, 법안이 의회의 확립된 절차를 모두 통과했음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시사했다.[109]
재가가 거부되는 상황은 법안이 내각의 의향에 반하여 의회에 의해 가결되고, 재가 단계에서 법안이 법률이 되는 것을 막는 최후의 수단으로 여겨지는 경우이다.[110]
영국에서는 법안에 대한 재가로서 영국 내 입법에 대한 국왕 재가 거부는 1708년에 앤 여왕이 장관의 자문에 따라 스코틀랜드 민병법을 거부한 것이 마지막 사례이다.[111]
- -|]]|thumb|1832년, 양피지에 적힌 개혁법. 국왕 윌리엄 4세의 재가를 기록한 서기관의 기록이 법안 위에 적혀 있으며, 전문은 ''Le Roy le Veult. Soit baillé aux Seigneurs. A cette Bille avecque des amendemens les Seigneurs sont assentuz. A ces Amendemens les Communes sont assentuz.''이다.
- -|]]|thumb|새로운 국왕 재가 방법을 발안한 헨리 8세
1541년에 제정된 재가법에 의해 재가권이 귀족 위원에게 위임될 수 있게 되기 전에는, 재가는 항상 군주가 직접 의회에서 하는 것이 의무였다.[112] 마지막으로 군주가 직접 의회에서 재가한 것은 빅토리아 여왕의 치세하, 1854년 8월 12일의 의식이었다.[113][114] 단, 동법 제1조 제2항은, 군주가 스스로 원하면, 스스로 재가하는 것을 선언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고 있다.
1967년 5월 10일 엘리자베스 2세의 재가를 받은 1967년 국왕 재가법에서 국왕 재가의 의의와 대략적인 절차가 정해졌다.
현재 영국에서는, 헌법 관습으로서 의회 양원에서 가결된 법안이 법률이 되기 전에, 장관의 자문에 따른 국왕 재가를 거쳐야 한다. 군주는 스스로 상원에 출석하거나, 상원 위원을 임명하여 웨스트민스터 궁전에서 열리는 의식에서 국왕의 재가를 얻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특허장이 양원 의원 출석하에, 상원에서 관습적으로 행해진 형식으로 낭독하거나, 양원 각각의 의장으로부터 재가 통지를 별도로 받는다.
영국 연합왕국 의회에서, 군주가 공법안에 국왕 재가를 주었다는 것을 보여줄 때 앵글로-노르만어의 성구인 '''국왕소를욕스'''(Le Roy le veultxno), 또는 '''여왕소를욕스'''(La Reyne le veultxno)가 사용된다. 이것은 1066년의 노르망디 정복부터 1488년까지 의회와 사법의 업무에 (지식인 계층의 언어로 여겨졌던) 프랑스어가 사용되었던 시대의 유물이며, 현대에는 의사진행에서 계속 사용되는 몇 안 되는 앵글로-노르만어 성구 중 하나이다.
재가가 거부된 경우, 「국왕/여왕 심사숙고하라」( Le Roy s'avisera/La Reynexno,)가 사용된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영국에서는 법안에 대한 재가로서 영국 내의 입법에 대한 국왕 재가에 의한 거부는, 1708년에 앤 여왕이 장관의 자문에 따라 스코틀랜드 민병법을 거부한 것이 마지막 예이다.[115]
금전 법안에 대한 재가에서는 「국왕/여왕 선량한 신민의 봉사를 많이 받은 것처럼 여기며, 그들의 호의를 받아들이고, 그리하여 소망대로 하노라」( Le Roy/La Reyne remercie ses bons sujets, accepte leur benevolence, et ainsi le veultxno)가 사용된다.[116] 또, 사법안에 대한 재가에서는 「소망대로 하라」( Soit fait comme il est désiréxno)가 사용된다.
많은 경우, 장관이 자신의 권한으로, 또는 국왕에 대한 자문을 통해 국왕 대권상의 권한의 대부분을 행사하고 있으며, 영국 군주는 헌법상 이 자문에 따를 것을 의무화되어 있다. 특히, 법안에 대한 재가에 이르러서는 국왕 대권이 상실되거나, 실질적 효력을 상실하고 있지만, 민중에게 공개되지 않거나, 또는 명언하는 일 없이 압력을 행사하여 상당한 영향력을 줄 수 있다.[117]
영국 군주와 그 후계자는, 재가의 권한하에 개인의 이익에 관한 법률의 모든 초안을 열람할 권한이 있으며, 때로는 의회 즉 국민(신민)에 의해 선출된 의원보다 먼저 열람하기도 한다. 이러한 초안에는 왕실이 소유하는 재산에 관한 또는 영향을 미치는 모든 초안이 포함된다(예로서, 랭커스터 공령이나 콘월 공령 등).
더욱이, 재가의 권한에는 군주가 정부에 영향이 미칠 가능성이 있는 법안에 대해 법안의 일부를 변경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예로서 1968년 인종 관계법이 있다. 이 법률은 인종 차별 방지를 위해 제정되었지만, 여왕(즉 군주)과 그 가족(즉 왕실)을 면제하는 규정을 두었다. 이와 같은 면제는 1970년 동일 임금법이나 1975년 성차별법 등에서도 두어졌다.
3. 2. 기타 국가
벨기에, 덴마크, 일본, 말레이시아, 네덜란드,[90] 노르웨이, 스페인, 태국과 같은 일부 군주국에서는 왕실의 재가뿐 아니라 공포도 필요하다. 그러나 스웨덴에서는 군주가 1975년 정부(총리가 의장인 내각)에 의해 공식적으로 법률이 공포되도록 절차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헌법 관례 또는 헌법의 명시적 조항에 의해 동의 및 공포 절차는 일반적으로 형식적인 절차이다.벨기에 헌법 제109조에는 "국왕은 법률을 재가(sanction)하고 공포(promulgates)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벨기에에서 국왕의 재가는 프랑스어로 'sanction royale', 플랑드르어로 'koninklijke bekrachtiging'(왕실 재가)이라고 하며, 국왕이 제안된 법률안에 서명하고 장관이 부서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벨기에 헌법은 이론적으로 가능한 국왕의 재가 거부에 대해서도 다른 국왕의 행위와 마찬가지로 하원 앞에서 책임을 지는 장관이 부서명해야 함을 요구한다. 국왕은 법률을 공포하는데, 이는 법률이 공식적으로 발표되고 시행되도록 공식적으로 명령하는 것을 의미한다. 1990년, 보두앵 국왕은 낙태를 비범죄화하는 법안에 양심상 서명할 수 없다고 내각에 통보했다(이는 장관의 책임으로 다룰 수 없는 명백한 거부였다). 이에 각료회의는 국왕의 요청에 따라 보두앵 국왕이 권한을 행사할 수 없다고 선언했다. 벨기에 헌법에 따라 국왕의 무능력 선언 시 각료회의는 의회가 국왕의 무능력에 대해 결정하고 섭정을 임명할 때까지 국가 원수의 권한을 행사했다. 그 후 법안은 각료회의 모든 구성원이 "벨기에 국민을 대표하여" 재가했다.[91] 양원의 합동회의에서 의회는 다음 날 국왕이 다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고 선언했다.[92]
일본국 헌법 제6조와 제7조는 국회의 결정 중 천황의 재가를 필요로 하는 사항들을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사항들은 헌법 제3조에 따르면 내각의 조언과 승인을 필요로 하며, 그 책임은 내각에 있다.[93]
룩셈부르크 헌법 제34조는 과거 새로운 법률이 효력을 발생하려면 대공 또는 대공비의 ‘재가’와 ‘공포’를 필요로 했으나, 앙리 대공이 총리에게 룩셈부르크에서 안락사를 허용하는 법안에 양심적으로 동의할 수 없다고 알린 후 2008년에 재가 요건이 삭제되었다. 그 후 헌법 개정으로 대공의 재가 필요성은 없어졌지만, 새로운 법률을 공포할 필요는 여전히 남아 있다.[95] 대공의 서명은 여전히 필요하지만, 재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공포(의회에서 법률이 제정되었음을 알리는 것)만을 의미한다.[96] 대공은 이 새로운 헌법적 체계에 따라 안락사 법에 서명했다.[97]
말레이시아 연방헌법 제66조(3)항은 의회 양원을 통과한 법안은 공포되어 법률이 되기 전에 양 디-퍼르투안 아궁(말레이시아 국왕)의 재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1983년 이후로, 법안이 국왕에게 제출된 후 30일 이내에 왕실의 재가를 받지 못하면 헌법 제66조(4A)항에 따라 자동으로 법률이 된다.[98][99] 마찬가지로, 1994년 이후로 말레이시아 주의 통치자가 주 의회를 통과한 법안에 대해 30일 이내에 재가를 하지 않으면 그 법안은 자동으로 법률이 된다. 2016년 기준으로, 왕실의 재가를 받지 못했지만 제66조(4A)항에 따라 법률이 된 유일한 연방법은 2016년 국가안보위원회법이다.[99]
노르웨이 헌법 제77조부터 제79조까지는 국왕이 스토르팅에서 통과된 법안에 대한 재가를 거부할 권리를 명시적으로 부여하고 있다.[100] 만약 국왕이 이 권한을 행사하기로 결정할 경우, 제79조는 거부권을 무효화하는 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어떤 법안이 두 번의 선거 이후 구성된 스토르팅의 두 회기에서 수정 없이 통과되었고, 그 사이에 최소 두 회기의 스토르팅이 개최되었으며, 그 기간 동안 다른 법안이 스토르팅에서 통과되지 않았고, 이후 국왕에게 가장 신중한 심의 끝에 스토르팅이 이익이 된다고 생각하는 법안에 대한 재가를 거부하지 말라는 청원과 함께 제출되면, 스토르팅이 휴회하기 전에 왕실 재가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법률이 된다."[100]
1978년 스페인 헌법 제2편 왕위에 관한 조항들 중, 제62조 (a)항은 법률의 재가(Royal Assent) 및 공포를 스페인 국왕에게 부여한다. 제3편 제2장 법안 작성에 관한 내용은 법안이 통과되는 방식을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제91조에 따르면 국왕은 코르테스 헤네랄레스(Cortes Generales)가 법안을 통과시킨 후 15일 이내에 재가하고 새로운 법률을 공포해야 한다. 제92조는 국왕에게 정부 총리의 자문과 코르테스의 승인을 받아 국민투표를 실시할 권한을 부여한다. 헌법에는 국왕이 직접 법률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은 없지만, 국왕이 재가를 거부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도 없다. 스페인 언론이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에게 동성 결혼을 합법화하는 법안을 승인할 것인지 질문했을 때, 그는 "나는 스페인 국왕이지 벨기에 국왕이 아니다"라고 대답했다. 이는 낙태 합법화 법안에 서명을 거부했던 보두앵 1세 국왕을 언급한 것이다.[101] 국왕은 2005년 7월 1일 13/2005 법률에 대한 재가를 했으며, 이 법률은 7월 2일 스페인 관보(Boletín Oficial del Estado)에 게재되었고 7월 3일부터 시행되었다.[102]
통가 헌법 제41조와 제68조는 헌법에 따라 국왕에게 입법회가 통과시킨 법안에 대한 재가를 거부할 권한을 부여한다.[103] 2010년 왕국은 더 큰 민주주의를 향해 나아갔고, 조지 투포 5세 국왕은 자신의 권한 행사에 있어 총리의 의견을 따르겠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거부권 행사에 대한 독자적인 왕실 결정을 배제하지 않는다. 2011년 11월, 입법회는 불법적인 화기 소지에 대한 형사 처벌을 감소시키는 무기 및 탄약(개정)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10대 8로 통과되었다. 입법회 의원 두 명이 최근 불법적인 화기 소지를 이유로 기소된 바 있다. 투이바카노 경 총리는 개정안에 찬성표를 던졌다. 야당 의원들은 이 법안을 규탄하고 국왕에게 거부권 행사를 요청했고, 국왕은 12월에 거부권을 행사했다.[104][105][106][107]
4. 왕실 재가와 관련된 논쟁
왕실 재가와 관련된 논쟁은 역사적으로 여러 가지가 있었다. 특히 왕족의 배우자 선택은 단순한 개인의 문제를 넘어 국가적, 정치적 문제로 비화되기도 했다.
과거에는 왕족의 결혼이 정략결혼의 성격을 띠는 경우가 많아, 왕실의 권력 유지나 외교 관계 강화 등을 위해 특정 가문이나 국가 출신의 배우자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경우, 왕족 개인의 의사보다는 국익이 우선시되었기 때문에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현대에 들어서는 왕족의 결혼이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강해졌지만, 여전히 왕실의 전통과 국민 정서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특히 왕족의 배우자가 외국인이거나, 종교가 다르거나, 사회적 배경이 크게 차이 나는 경우 등에는 논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왕실 재가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문제도 논쟁거리가 되기도 한다. 왕실 결혼식은 국가적인 행사로 치러지는 경우가 많아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데, 이에 대한 국민들의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Australian Constitution – Section 5 – Sessions of Parliament – Prorogation and Dissolution
https://australianpo[...]
2021-08-22
[2]
논문
Monarchy and the Personal Prerogatives
Public L
[3]
간행물
The Crown in the 21st Century
https://www.constitu[...]
Centre for Constitutional Studies
2023-05-31
[4]
서적
Co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Law
https://books.google[...]
Financial Times/Prentice Hall
1998
[5]
서적
Erskine May's Treatise on The Law, Privileges, Proceedings and Usage of Parliament
Butterworths
1976
[6]
서적
Erskine May's Treatise on The Law, Privileges, Proceedings and Usage of Parliament
Butterworths
1976
[7]
서적
A Practical Treatise on the Law, Privileges, Proceedings and Usage of Parliament
1851
[8]
서적
Lords' Journals (1705–1709)
[9]
서적
Erskine May's Treatise on The Law, Privileges, Proceedings and Usage of Parliament
Butterworths
1976
[10]
서적
Lives of the Chancellors
[11]
서적
A History of my Own Time
(Unspecified)
1734
[12]
웹사이트
The Royal Prerogative
https://www.parliame[...]
House of Commons Library
2014-08-26
[13]
웹사이트
Robert Craig: Could the Government Advise the Queen to Refuse Royal Assent to a Backbench Bill?
https://ukconstituti[...]
2019-02-03
[14]
논문
Modern Royal Assent Procedure at Westminster
1981-11
[15]
웹사이트
Brexit Dragged the Queen into Politics – And Isn't Letting Go
https://fortune.com/[...]
2022-11-09
[16]
서적
The Evolution of Parliament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
1920
[17]
논문
The Development and Decline of Medieval Voting Institutions: A Comparison of England and France
1997
[18]
서적
The King's Parliament of England
https://archive.org/[...]
W. W. Norton
1974
[19]
웹사이트
House of Lords
https://web.archive.[...]
2011-12-09
[20]
웹사이트
Charles I (r. 1625–49)
https://web.archive.[...]
2007-04-12
[21]
서적
The Manner of the Coronation of King Charles the First of England
https://archive.org/[...]
Henry Bradshaw Liturgical Text Society
1892-01-01
[22]
서적
Subjects and Sovereigns: The Grand Controversy Over Legal Sovereignty in Stuart Englan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01-01
[23]
웹사이트
House of Lords Journal Volume 13: 27 November 1678
http://www.british-h[...]
2007-04-12
[24]
웹사이트
The making and keeping of Acts
http://www.parliamen[...]
2007-04-18
[25]
학술지
William III and the Negative Voice
[26]
서적
Statutes at Large From the Eighth Year of King William to the Second Year of Queen Anne, Vol. X
https://archive.org/[...]
Joseph Bentham
1764-01-01
[27]
웹사이트
House of Lords Journal Volume 18: 11 March 1708
http://www.british-h[...]
2017-04-30
[28]
웹사이트
parliament.uk FAQs
http://www.parliamen[...]
2017-04-30
[29]
웹사이트
Book Review: George III: An Essay in Monarchy
http://www.history.a[...]
The Institute of Historical Research
2007-04-12
[30]
웹사이트
George IV (1762–1830)
https://www.bbc.co.u[...]
2007-04-12
[31]
서적
Co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Law
Longmans
[32]
웹사이트
Could the Government Advise the Queen to Refuse Royal Assent to a Backbench Bill?
https://ukconstituti[...]
2019-01-22
[33]
웹사이트
Scotland Act 1998
http://www.legislati[...]
The National Archives
[34]
웹사이트
Stage of a bill
https://web.archive.[...]
The Scottish Parliament
[35]
웹사이트
The Scottish Parliament (Letters Patent and Proclamations) Order 1999
http://www.legislati[...]
The National Archives
[36]
뉴스
UK government to block Scottish gender bill
https://www.bbc.com/[...]
2023-01-16
[37]
웹사이트
Section 102 of the Government of Wales Act 2006
http://www.legislati[...]
The National Archives
[38]
웹사이트
Order in Council
https://web.archive.[...]
Offic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2008-07-09
[39]
웹사이트
Welsh referendum 2011
https://web.archive.[...]
Welsh Assembly Government
[40]
웹사이트
The National Assembly for Wales (Letters Patent) Order 2011
http://www.legislati[...]
Legislation.gov.uk
2011-03-16
[41]
웹사이트
The Northern Ireland (Royal Assent to Bills) Order 1999
http://www.legislati[...]
Legislation.gov.uk
2011-10-08
[42]
웹사이트
CAIN: Government of Ireland Act, 1920
http://cain.ulst.ac.[...]
2012-06-15
[43]
웹사이트
States of Jersey Law 2005
https://www.jerseyla[...]
2013-04-07
[44]
웹사이트
R (on the application of Barclay and others) v Secretary of State for Justice and others
https://web.archive.[...]
UK Supreme Court
2010-10-25
[45]
법률문서
R (Barclay) v Secretary of State for Justice
[46]
서적
Statutes of the Isle of Man
[47]
서적
Statutes of the Isle of Man
[48]
서적
Statutes of the Isle of Man
[49]
웹사이트
Royal Assent to Legislation (Isle of Man) Order 1981
https://web.archive.[...]
2017-06-03
[50]
웹사이트
Church Legislation Procedure Act 1993 section 2
http://www.gumbley.n[...]
2010-01-06
[51]
간행물
Church (Application of General Synod Measures) Act 1979
[52]
간행물
Sodor and Man Diocesan Synod Measures Order 1994
[53]
웹사이트
Church Legislation Procedure Act 1993 Sch.1 para.4(2)
http://www.gumbley.n[...]
2010-01-06
[54]
웹사이트
Constitution Act 1986
http://www.legislati[...]
Parliamentary Counsel Office
2010-10-29
[55]
웹사이트
House of Representatives Practice
https://web.archive.[...]
Parliament of Australia
2018-09-20
[56]
뉴스
Section 59, Constitution of Solomon Islands
https://www.constitu[...]
Constitute Project
2024-11-28
[57]
뉴스
Section 88, Constitution of Tuvalu
https://tuvalu-legis[...]
Government of Tuvalu
2024-11-28
[58]
뉴스
Section 52, Constitution of Antigua and Barbuda
https://pdba.georget[...]
Political Database of the Americas
2024-11-28
[59]
뉴스
Section 47, Constitution of St Lucia
https://www.constitu[...]
Constitute Project
2024-11-28
[60]
뉴스
Section 43, Constitution of St Vincent and the Grenadines
https://www.oas.org/[...]
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2024-11-28
[61]
뉴스
Section 110, Constitution of Papua New Guinea
https://www.parliame[...]
Parliament of Papua New Guinea
2024-11-28
[62]
서적
A Crown of Maples
https://web.archive.[...]
Queen's Printer for Canada
2016-02-05
[63]
간행물
Constitution Act, 1867
http://www.solon.org[...]
2016-02-05
[64]
서적
[65]
간행물
Senate Procedure and Practice
http://sen.parl.gc.c[...]
Queen's Printer for Canada
2015-11-15
[66]
웹사이트
Action of Second Continental Congress, 4 July 1776
http://www.law.emory[...]
2007-04-18
[67]
웹사이트
The Honourable John C. Bowen, 1937–50
https://www.assembly[...]
2007-04-22
[68]
서적
Odgers' Australian Senate Practice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the Senate
[69]
웹사이트
Bill becomes an Act of Parliament
http://www.parliamen[...]
[70]
웹사이트
Money bills – Glossary page
http://www.parliamen[...]
2013-10-21
[71]
서적
The Veiled Sceptre: Reserve Powers of Heads of State in Westminster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4-12
[72]
서적
The Assembled Commons; or, Parliamentary Biographer, with an abstract of the law of election and the usages of Parliament
https://books.google[...]
Scott, Webster and Geary
[73]
웹사이트
Companion to the Standing Orders and guide to the Proceedings of the House of Lords
https://publications[...]
United Kingdom Parliament
2007-11-18
[74]
간행물
History Today
Stanford University
1951
[75]
법률
Royal Assent by Commission Act 1541
[76]
간행물
Modernisation of Royal Assent in Canada
http://www.revparl.c[...]
2013-10-17
[77]
웹사이트
Bill S-15: The Royal Assent Act
http://www.parl.gc.c[...]
Library of Parliament, Canada
2015-02-20
[78]
웹사이트
Companion to the Standing Orders and guide to the Proceedings of the House of Lords
https://publications[...]
The Stationery Office Ltd
2007-04-11
[79]
서적
Anson's Law and Custom of the Constitution
[80]
웹사이트
Royal Assent Bill Lords
https://api.parliame[...]
House of Commons
1967-04-07
[81]
웹사이트
The Crown Office (Forms and Proclamations Rules) Order 1992
http://www.legislati[...]
The National Archives
2014-08-30
[82]
웹사이트
Souvenir of the inauguration of the Australian Commonwealth, 1901
https://web.archive.[...]
State Library of New South Wales
2007-04-11
[83]
웹사이트
Acts of Parliament (Commencement) Act 1793
http://www.legislati[...]
UK Statute Law Database
2014-12-04
[84]
웹사이트
Hansard
https://api.parliame[...]
House of Lords
1967-03-02
[85]
간행물
Journals of the Senate
https://sencanada.ca[...]
Senate of Canada
2012-08-14
[86]
서적
Senate of Canada
[87]
웹사이트
Parliament > Officers and Officials of Parliament > Procedural Officers and Senior Officials > Senate
https://web.archive.[...]
Queen's Printer for Canada
2009-05-19
[88]
웹사이트
https://sencanada.ca[...]
Senate of Canada
2021-01-23
[89]
서적
Senate of Canada
[90]
웹사이트
How does an Act become law? Assent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the Netherlands
2010-03-15
[91]
웹사이트
Abortion Act 1990
http://reflex.raadvs[...]
Belgian official journal
2014-06-22
[92]
간행물
De liberalisering van de abortus-wetgeving in België (1970–1990)
[93]
웹사이트
Japan's Emperor and Imperial Family
https://www.nippon.c[...]
nippon.com
2020-02-02
[94]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Jordan
http://www.kinghusse[...]
2009-06-08
[95]
웹사이트
Loi du 12 mars 2009 portant révision de l'article 34 de la Constitution
http://legilux.publi[...]
2017-05-29
[96]
뉴스
Luxembourg strips monarch of legislative role
https://www.theguard[...]
2008-12-12
[97]
웹사이트
Euthanasia Act 2009
https://web.archive.[...]
Luxembourg official journal
2014-06-22
[98]
논문
Malaysia: Constitution (Amendment) Act 1983 And Constitution (Amendment) Act 1984
https://ejournal.um.[...]
1984
[99]
웹사이트
A precedent but no blanket pass
https://www.malaysia[...]
2016-06-23
[100]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http://www.stortinge[...]
The Storting's Information Service
2012-04-12
[101]
뉴스
Don Juan Carlos, sobre el matrimonio gay: 'Soy el Rey de España y no el de Bélgica'
http://www.elmundo.e[...]
El Mundo
2006-05-13
[102]
간행물
Disposiciones Generales
http://www.boe.es/bo[...]
Boletin Oficial del Estado
2005-06-02
[10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Tonga
http://legislation.t[...]
[104]
웹사이트
Democracy at Work?
http://www.taimionli[...]
Taimi Media Network
2011-11-17
[105]
뉴스
Houses slashes penalties for firearms offenses
http://www.matangito[...]
Matangi Tonga
2011-10-14
[106]
뉴스
King withholds assent on lower firearms penalties
http://www.matangito[...]
Matangi Tonga
2012-01-09
[107]
뉴스
Tonga king blocks arms amendment act
http://www.rnzi.com/[...]
Radio New Zealand International
2012-01-10
[108]
웹사이트
The Australian Constitution – Section 5 – Sessions of Parliament – Prorogation and Dissolution
https://australianpo[...]
[109]
논문
Monarchy and the Personal Prerogatives
Public L
[110]
논문
The Crown in the 21st Century
https://www.constitu[...]
Centre for Constitutional Studies
[111]
논문
英国憲法における国王と行政権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調査及び立法考査局
2024-06-02
[112]
서적
Co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Law
https://books.google[...]
Financial Times/Prentice Hall
1998
[113]
서적
Erskine May's Treatise on The Law, Privileges, Proceedings and Usage of Parliament
1976
[114]
서적
Erskine May: Parliamentary Practice
1976
[115]
논문
英国憲法における国王と行政権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調査及び立法考査局
2024-06-02
[116]
논문
Modern Royal Assent Procedure at Westminster
https://academic.oup[...]
1981-11
[117]
웹사이트
How the British crown has more power than you think – video
https://www.theguard[...]
2022-12-01
[118]
웹사이트
Scotland Act 1998
http://www.legislati[...]
The National Archives
2014-08-30
[119]
웹사이트
Stage of a bill
https://web.archive.[...]
2015-06-29
[120]
웹사이트
The Scottish Parliament (Letters Patent and Proclamations) Order 1999
http://www.legislati[...]
The National Archives
2014-08-30
[121]
뉴스
UK government to block Scottish gender bill
https://www.bbc.com/[...]
2023-01-16
[122]
웹사이트
The Northern Ireland (Royal Assent to Bills) Order 1999
http://www.legislati[...]
Legislation.gov.uk
2011-10-08
[123]
웹사이트
CAIN: Government of Ireland Act, 1920
http://cain.ulst.ac.[...]
[124]
서적
A Crown of Maples
http://canadiancrown[...]
Queen's Printer for Canada
[125]
간행물
Constitution Act, 1867
http://www.solon.org[...]
1867-03-29
[126]
harvard
[127]
웹사이트
Senate Procedure and Practice
http://sen.parl.gc.c[...]
Queen's Printer for Canada
2015-06-01
[128]
논문
オーストラリアの議会制度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調査及び立法考査局
2017-08-20
[129]
논문
諸外国の憲法事情 オーストラリア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調査及び立法考査局
2003-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