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재무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무관(Quaestor)은 "조사하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동사에서 유래되었으며, 로마 공화정 시대의 행정 관직이다. 초기에는 살인죄 조사관의 역할을 했으며, 점차 집정관의 보좌관으로서 국고 관리, 세금 징수, 행정 업무 등을 담당했다. 로마 제정 시대에는 황제의 재무관이 등장했고, 후기 로마 제국에서는 법률 제정 및 법적 청원을 담당하는 직책으로 변화했다. 재무관은 로마의 정치, 행정, 재정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대 법무부 장관과 유사한 기능을 하기도 했다.

2. 어원

'재무관'(Quaestor)은 "조사하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동사 'quaerola', 'quaererela'에서 유래했다.[2][3] 이는 재무관의 초기 역할이 회계 감사 및 조사를 포함했음을 시사한다.

3. 역사

고전적인 재무관은 이전의 ''quaestores parricidii''와 관련이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문제는 여전히 논쟁 중이며, 최근에는 이름 외에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두 직책을 연결하는 것에 반대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두 가지 가설은 재무와 관련된 고전적인 퀘스토르십(재무관직)이 이전의 사법 퀘스토르십과 완전히 별도로 만들어졌거나, 더 큰 행정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이전의 퀘스토르십에서 진화했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cursus honorum''(경력 경로)는 느슨하게 규제되었지만 기원전 197년 이후 더욱 강화되어 퀘스토르십(재무관직)을 먼저 수행한 후 프라에토르 또는 집정관과 같은 더 높은 직책을 고려하는 기본적 진행 방식을 가졌으며, 퀘스토르는 가장 낮은 직책이었다. 술라의 개혁 이후, ''cursus honorum''은 확고해졌으며, 퀘스토르십에 출마하려면 먼저 vigintiviri 중 한 명이었고 군사 호민관을 역임해야 한다는 요구 사항이 추가되었다. 이 개혁은 또한 후보자의 최소 연령이 30세여야 한다고 규정했다.[6]

퀘스토르는 가장 낮은 계급이었기 때문에 선거 코미티아에서 마지막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공화국 말기에는 1월 1일이 아닌 12월 5일에 더 선배인 동료보다 먼저 임기를 시작했다. 이는 공화국의 주요 행정관 중 가장 빠른 임기 시작일로, 평민 호민관 (12월 10일에 취임)보다 빨랐다.

초기에는 두 명의 재무관이 있었으며, 이들은 처음에는 집정관에 의해 임명되었지만, 타키투스에 따르면 기원전 447년 이후 민회에서 선출되었다. 기원전 421년에 평민이 재무관직에 출마할 수 있게 되면서 두 명이 더 추가되었고, 원로원의 지시 아래 ''국고''를 관리하는 임무를 맡았다. 리비우스는 이 시기에 재무관과 공공 재무부 간의 관계를 보고하고 있다. 기원전 267년 이후, 이탈리아 반도의 여러 도시(예: 식량 공급 관리를 위한 오스티아)에 배정될 수 있는 재무관 4명이 더 추가되었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의 기원전 81년 개혁 이전에는 19명의 재무관이 있었고, 그의 개혁으로 상수도 공급을 위한 재무관 1명이 추가되어 총 20명이 되었다. 그는 또한 재무관직을 다음 관직으로 진출하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만들었다. 이 개혁으로 재무관은 선출되면 자동으로 원로원 의원이 되었지만, 이전에는 감찰관이 몇 년마다 원로원 명단을 수정해야 원로원 의원이 될 수 있었다.[15]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독재 기간 동안 그는 재무관의 수를 40명으로 두 배로 늘렸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초대 보충 집정관인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푸블리콜라가 발레리우스 법으로, 사투르누스 신전을 국고로 정하고, 그 관리를 위해 두 명의 퀘스토르를 민중이 선출하도록 규정했다고 한다.[19]

3. 1. 로마 왕정 시대

가장 초기 형태의 재무관은 살인 등의 범죄를 수사하는 '살친죄 조사관(quaestores parricidiila)'이었다.[18] 이들은 필요에 따라 임명되는 임시직이었으며, 상설 직위는 아니었다.[18] 고대 작가들은 이 직책의 정확한 선출 방식과 연대기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으며, 일부는 이를 로물루스의 신화적인 통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기도 한다.[18]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신뢰하기 어려우며 재무관의 시작에 대한 구체적인 날짜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없다.[18]

모름젠에 따르면, 퀘스토르는 원래 집정관의 보좌관으로 일했다. 형사 재판에서 집정관 본인이 재판을 하는 경우는 기본적으로 없었고, 항상 그가 지명하는 대리인, 비상임 반역죄 심리 이인관(duoviri perduellionis)과 두 명의 상임 살친죄 조사관(quaestores parricidii)을 통해 그 판결권을 행사했다고 한다. 이 직책은 왕정 시대에서 유래했을 것이라고 하며, 후자는 집정관의 퇴임과 함께 사임했기 때문에 상임제, 동료제, 1년 임기이며, 아마도 이후의 하급 관료 제도의 출발점일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집정관이 담당하는 국고와 공문서 관리 업무와 관련해서도, 집정관의 보좌역으로서 부관이 되는 퀘스토르가 매우 빠른 시기에 배치되었다고 추측하고 있다.

타키투스에 따르면, 퀘스토르는 왕정 시대에 있던 직책을 브루투스가 부활시켰으며, 왕이 가지고 있던 임명권은 집정관이 물려받았다고 한다.[18]

3. 2. 로마 공화정 시대

초기에는 집정관이 재무관을 임명했으나, 타키투스에 따르면 기원전 447년 이후 민회에서 선출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18][19] 기원전 421년에는 평민도 재무관에 출마할 수 있게 되었고, 재무관의 수도 4명으로 늘어났다. 이들은 원로원의 지시 아래 ''국고''를 관리하는 임무를 맡았다. 기원전 267년에는 이탈리아 반도 내 여러 도시에 재무관이 배치되면서 총 10명으로 증원되었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기원전 81년 개혁을 통해 재무관의 수를 20명으로 늘리고, 재무관직을 역임한 자는 자동으로 원로원 의원이 되도록 했다.[15] 또한, 귀족은 28세, 평민은 30세 이상이어야 재무관에 출마할 수 있도록 연령 제한을 두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재무관의 수를 40명으로 늘렸다.

3. 3. 로마 제정 시대

원수정 시대에 아우구스투스는 재무관의 수를 20명으로 줄였다. 그는 ''국고'' 행정에서 재무관을 제외했지만, 클라우디우스 황제 때 잠시 복구되었다.[15] 황제와 두 명의 집정관은 각각 두 명의 재무관을 두었으며, 황제는 자신의 재무관인 ''카이사르의 재무관''을 선택했는데, 이들은 주로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재무관의 이전 의무는 황실 관리들에게 흡수되었지만, 원로원 관할 지역에서는 원수정 시대 동안 어느 정도 재정 기능을 유지했다.

3. 4. 로마 제정 후기 ~ 비잔틴 제국

콘스탄티누스 1세 황제 통치 기간 동안, 새로운 재무관 직위가 설립되었으며, 이는 'quaestor sacri palatii|성스러운 궁정의 재무관la'이라고 불렸다. 이 직책은 황제의 대변인 역할을 했으며, 법률 제정 및 법적 청원 관리를 담당했고, 사실상 법무부 장관 역할을 했다.[16] 이 직책의 공식적인 사법 권한은 미미했지만, 황제의 수석 법률 고문으로서, 그 직책을 가진 자들은 상당한 영향력을 얻었다. 안티오쿠스 추존과 트리보니아누스를 포함한 다양한 유명 법률가들이 이 재무관 직을 맡았으며, 그들은 각각 테오도시우스 법전과 유스티니아누스 법전 제작에 크게 기여했다.

440년 이후부터, 재무관 직은 동방 프라이토리아 현청과 함께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최고 재판소, 즉 대법원을 감독하는 역할을 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다양한 하위 법원과 총독의 항소를 심리했다.[17]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는 또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사법 및 경찰 관리인 'quaesitor|심문관la'와 하 다뉴브 국경을 담당하는 단기적인 군사-행정 직책인 'quaestor exercitus|군 재무관la'를 만들었다. 'quaestor sacri palatii|성스러운 궁정의 재무관la'는 비잔틴 제국 시대까지 오래 살아남았지만, 9세기경에는 다양한 분쟁을 해결하는 사법관인 'quaesitor|심문관la'에 맞춰 그 임무가 변경되었다.

이 직책은 14세기까지 순전히 명예로운 칭호로 존속되었다.

4. 역할과 권한

재무관의 주요 역할은 시대와 배치 지역에 따라 다양했다.

선거 후, 재무관들은 보통 취임 첫날 제비뽑기를 통해 업무를 배정받았다.[7] 극히 드물게 원로원의 승인을 받아 집정관의 요청에 의해 특정 업무에 직접 배정되기도 했다.[7] 재무관은 상사에게 해임될 수 있었지만, 이는 드문 일이었다.[7]

초기 공화정 시대에는 각 집정관에게 재무관이 한 명씩 배속되어 시민 업무와 군사 작전을 보좌했다.[7] 기원전 227년까지, 임페리움을 가진 모든 집정관과 법무관은 재무관과 함께 도시를 떠났다.[7] 이들은 군사적 역할과 행정적 업무에서 상사를 보좌했으며, 연장 임기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pro quaestore''로 연장되기도 했다.[7]

속주에서의 임기는 보통 1년 또는 2년이었다.[7] 재무관은 지휘관의 후원과 임페리움 하에서만 군사적 역할을 수행했으며, 지휘관 사망과 같은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그러했다.[7]

총독과 재무관의 관계는 후원자와 고객의 관계와 유사했지만, 공식적인 관계였다. 재무관은 총독에게 경의를 표하고, 총독은 부하를 존중해야 했다.[8]

모름젠에 따르면, 재무관은 원래 집정관의 보좌관으로 일했다. 형사 재판에서 집정관은 대리인을 통해 판결권을 행사했고, 살친죄 조사관(quaestores parricidii)은 집정관의 퇴임과 함께 사임했기 때문에 상임제, 동료제, 1년 임기였다.[7]

기원전 421년에는 전쟁에서 집정관을 보좌하는 재무관을 증원하는 것이 제안되었고, 귀족평민 양쪽에서 4명을 선출하도록 정해졌다.[7]

이탈리아 반도 통일을 앞둔 기원전 267년에는 재무관이 10명으로 증원되었다. 이들은 로마 등 특정 도시 담당, 속주 총독이나 정무관 아래 배치, 군대나 군사 행동의 재정을 담당하는 등 직무 범위가 넓어졌다. 각 속주에는 총독 아래 1명씩 배치되었지만, 시칠리아에는 2명이 배치되었다.

기원전 81년 술라의 개혁으로 재무관 취임 연령 제한이 설정되고 인원이 20명으로 늘어났다. 재무관으로 선출된 자는 자동적으로 원로원 의원이 되었다.[7]

4. 1. 로마 시

로마 시에는 보통 두 명의 재무관이 배정되었으며, 이들을 도시 재무관이라고 불렀다. 이들은 함께 재무 업무를 담당했다.[9] 일부 고대 학자들은 도시 재무관이 도시를 떠나는 것이 금지되었다고 믿었지만, 현재는 이 견해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9]

도시 재무관의 주된 임무는 아에라리움(공공 재무)을 관리하는 것이었다. 여기에는 다음의 내용들이 포함된다.

  • 보관된 금과 동전 관리
  • 재무부 열쇠 보관
  • 모든 공공 지출 및 세금 수입 감독
  • 공식 문서의 유효성 검사 및 보관
[9]

재무관들은 ''apparitores''라고 불리는 조력자들의 도움을 받았으며, 이들은 업무에 익숙해지기 위해 여러 해 동안 근무했다. 이들의 수는 행정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후기 공화국 시대에 증가했다.[9]

재무부 관리의 일환으로, 이들은 로마에 의해 정복된 국가로부터의 전쟁 배상금 및 조공의 수령 및 감사를 처리했다.[11] 세금 징수도 도시 재무관과 그들의 직원이 처리했으며, 자금이 확보되면 과다 지불된 금액을 환불했다.[9] 이들은 또한 원로원의 지시에 따라 건물 건설, 군대 급여, 사원 유지, 국빈 방문, 국장, 도로 유지, 동전 주조 등을 포함한 다양한 지출을 충당하기 위해 재무부에서 적절한 금액을 인출했다.[9]

도시 재무관은 공공 토지 (''ager publicus'') 경매도 담당했다. 그러한 토지는 정복을 통해 획득되었고 로마인의 소유가 되었다.[9] 토지 판매는 원로원에서 자금 부족을 충족시키기 위해 지시될 수 있었는데, 제2차 포에니 전쟁 때 도시 재무관들이 자금 마련을 위해 카푸아 주변의 토지를 경매에 부친 경우가 그 예이다.[9] 이들은 또한 승리한 장군들이 공공 재무부에 반환한 전쟁 전리품의 공공 경매를 처리할 책임이 있었다. 여기에는 물건뿐만 아니라 노예도 포함되었으며, 수익금은 공공 재무부에 예치되었다.[9] 이들은 또한 부채가 있거나 국가에 벌금을 내야 하지만 지불할 수 없는 시민들로부터 압류한 재산의 공공 경매를 담당했다.[9] 공공 부채에 대한 이러한 책임에는 일반적으로 벌금 징수도 포함되었는데, 벌금 납부를 명령받은 유죄 판결은 도시 재무관에게 보증금을 내고 ''아에라리움''에 돈을 예치해야 했다.[9]

귀환하는 행정관과 총독들은 공공 자금 취급에 대한 상세한 회계 장부를 작성해야 했고, 이는 재무부에 예치되어 도시 재무관과 그들의 직원이 감사했다.[9] 이 기록들은 다음의 내용들을 포함해야 했다.

  • 시작 잔액의 누적 원장
  • 모든 유입과 유출의 품목별 회계
  • 해당 지역의 최종 잔액
[9]

또한 장군들의 경우, 총독직 동안 획득한 모든 돈, 금, 은, 전리품 및 기타 자산에 대한 상세한 목록이 포함되었다.[12] 서기관들은 회계 장부를 확인하여 거래 문서 및 산술 오류를 찾았고, 그 결과는 재무관에 의해 승인 또는 거부되었다.[9] 부정적인 감사는 부패 혐의의 근거가 될 수 있었으며, 이는 공화국 마지막 두 세기 동안 규칙적이었다.[9]

영구 법원 (quaestiones perpetuae|쿠아에스티오네스 페르페투아에la)이 설치된 후, 도시 재무관은 배심원단을 구성하고 해당 배심원단의 일부를 각 법원에 할당할 책임도 맡았다.[9] 이들은 또한 원로원에서 임시로 할당한 다양한 임무를 처리했는데, 예를 들어 국빈 방문 시 외국 귀빈을 만나 동행하거나[9] 특별 임무를 위해 로마를 떠나 지방으로 가는 것과 같은 일이었다.[13]

4. 2. 속주

기원전 44년 카이사르 암살 직전 로마 공화국과 속주의 영토.


속주 재무관은 총독을 보좌하며, 재정 및 행정 업무를 담당했다. 이들은 "사실상... 해당 ''속주''와 관련된 정부의 모든 측면에 의존하는 전권 대리인"으로서, 때로는 군사 지휘 및 사법 기능까지 수행했다.[7]

속주 재무관의 핵심 임무는 군대 보급과 관련된 행정이었다. 이들은 속주의 과세를 관리하고, 지역 지도자들로부터 식량, 물품, 돈을 징수했다.[7] 전쟁 전리품을 목록화하고 기록하여 로마의 국고에 예치하는 일도 담당했다.[7] 임기가 끝나면 속주 회계를 로마에 제출하여 도시 재무관의 검토를 받았다.[7]

전시에는 총독의 부관으로서 군대를 지휘하거나 외교 사절로 파견되기도 했다.

참조

[1] OED quaestor
[2] 서적 A Latin Dictionary http://www.perseus.t[...] Clarendon Press
[3] 서적 A Latin Dictionary http://www.perseus.t[...] Clarendon Press
[4] 학술지 The Fifth century, the decemvirate, and the quaestorship http://www.ascs.org.[...] Australasian Society for Classical Studies 2012-08-11
[5]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https://penelope.uch[...] John Murray 2012-08-12
[6] 학술지 The Minimum Age for the Quaestorship in the Late Republic https://www.jstor.or[...] 1996
[7] 서적
[8] 학술지 The Relationship between Provincial Quaestors and Their Commanders-in-Chief https://www.jstor.or[...] 1962
[9] 백과사전 aerarium https://oxfordre.com[...] Oxford University Press
[10] 백과사전 tabularium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학술지 The Minimum Age for the Quaestorship in the Late Republic https://www.jstor.or[...] 1996
[16] 학술지 Review of Les institutions du Bas-Empire Romain, de Constantin à Justinien, 1: Les institutions civiles palatines https://www.jstor.or[...] 1998
[17] 서적 Ruling the later Roman Empire http://archive.org/d[...] Harvard University Press 2004
[18] 서적 연대기
[19] 서적 영웅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