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접영은 수영의 한 영법으로, 평영에서 발전하여 1956년 독립된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팔을 물 밖으로 들어올려 앞으로 휘두르는 동작과 돌핀 킥을 사용하며, 국제 수영 연맹(FINA)의 규칙에 따라 경기된다. 접영은 올림픽과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의 주요 종목이며, 다양한 선수들이 뛰어난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접영 - 수영 접영 5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수영 접영 50m 대한민국 기록은 남자와 여자 부문으로 나뉘어 관리되며, 남자부는 양정두가 23초 77, 여자부는 류윤지가 26초 76으로 최고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접영 - 수영 접영 1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대한민국 수영 접영 100m 기록 추이는 한국 수영 선수들이 접영 100m 종목에서 세운 기록 변화를 시대 순으로 나타낸 것으로, 김태욱, 최윤희 등 주요 선수들이 한국 신기록을 경신하며 대한민국 수영 발전에 기여한 과정을 보여준다. - 영법 - 평영
평영은 물에 엎드려 팔다리를 사용해 추진력을 얻는 수영 영법으로, 개구리 수영 동작을 모방한 다리 동작이 특징이며, 팔 동작, 다리 동작, 호흡, 몸의 움직임 간의 조화가 중요한 영법이다. - 영법 - 횡영
횡영은 고대 수영 선수들이 평영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수영 기술로, 머리를 옆으로 돌리고 어깨를 내린 자세에서 가위차기를 사용하며, 트러젠 영법의 기원이 되기도 한다.
접영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나비헤엄 |
종류 | 수영 영법 |
특징 | 양팔을 동시에 움직이는 영법 |
상세 정보 | |
팔 동작 | 양팔을 동시에 앞으로 뻗어 물을 잡고, S자 형태로 물을 밀어낸다. 물 밖으로 팔을 되돌릴 때, 양팔을 동시에 움직인다. |
다리 동작 | 양다리를 모아 돌고래 꼬리처럼 물을 차는 '돌핀킥'을 사용한다. 발등으로 물을 누르며 추진력을 얻는다. |
호흡 | 팔 동작과 함께 얼굴을 물 밖으로 내밀어 숨을 쉰다. 물 속에서 코로 숨을 내쉰다. |
웨이브 | 팔, 가슴, 허리, 다리가 물결처럼 이어지는 동작이다. 추진력을 높이고 저항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역사 | |
기원 | 배영 변형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1930년대에 접영으로 발전하였다. |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 | 1956년 |
장점 및 단점 | |
장점 |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 전신 근육을 사용하는 운동 효과가 크다. |
단점 | 체력 소모가 크다.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기 어렵다. |
기술 | |
키 포인트 | 가슴을 눌러주는 것이 중요하다. |
참고 자료 | |
관련 링크 | I believe I can butterfly (The Guardian) Butterfly - Press The Chest (YouTube) FINA Swimming Rules (FINA) |
2. 역사
접영은 평영에서 발전된 영법으로, 초기에는 평영의 규칙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시도되었다.
1928년 암스테르담 올림픽에서 독일의 에리히 라데마허는 현재의 접영과 유사한 손 젓기와 평영의 발 젓기를 조합한 영법으로 평영 경기에 출전하여 일본의 쓰루타 요시유키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36] 이후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몇몇 선수들이 이와 유사한 영법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36]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서는 대부분의 선수가 접영의 손 젓기를 사용하게 되었다.[36]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존 허버트 히긴스는 나비 평영 기술을 사용하여 4위를 기록했다.[20][21] 1948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결선 진출자 중 한 명을 제외한 모든 선수가 나비 평영 기술을 사용했다.[22]
1935년 이전, 국제수영연맹(FINA)과 미국 대학 체육 협회(NCAA)의 평영 규칙은 팔을 회수할 때 동시에 앞으로 밀어야 한다고 규정했다.[8] 이에 몇몇 수영 선수들은 팔을 물 밖으로 회수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렸고, 이것은 처음에는 "플라잉 피쉬(flying fish)"라고 불렸다.[11] 국제 수영 명예의 전당은 시드니 캐빌(Sydney Cavill)이 팔을 물 밖으로 회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하지만,[12] 에리히 라데마허가 1927년 독일에서 독립적으로 이 기술을 발견했을 가능성도 있다.[13] 라데마허는 턴을 할 때 "플라잉 평영 턴", 레이스 마지막에는 "플라잉 피니시"라 불리는 기술을 사용했다.[14]
1938년 10월 FINA 회의에서 다리의 수직 평면에서의 상하 운동을 만장일치로 금지하기로 합의했다.[10]
1956년 멜버른 올림픽부터 접영이 독립된 종목으로 되었다. 이때 한 선수가 무릎을 다쳐 평영의 발 젓기를 할 수 없게 되어, 양발을 상하로 움직이는 현재의 발 동작(돌핀 킥)을 고안했는데, 고안자는 일본의 나가사와 지로라고 한다.[36] 1995년경부터 아오야마 아야리가 100m 출발 지점에서 30m 이상 잠영하는 영법으로 기록을 경신하자, 잠영은 15m까지로 제한하는 규정이 생겼다.
2. 1. 접영의 기원
1928년 독일의 에리히 라데마허는 현재 접영과 유사한 팔 동작과 평영의 발차기를 조합한 영법을 처음 선보였다.[36] 그는 1928년 하계 올림픽 평영 경기에 이 영법으로 출전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36]1930년대에는 미국의 헨리 마이어스 등이 팔을 물 밖으로 빼는 동작을 더욱 발전시켰다.[8] 마이어스는 1933년 12월 혼영 경기에서 평영 구간 전체에 이 기술을 사용하여 승리하였다.[8] 그는 "평영 경기는 매우 흥미로운 경주이다. 물이 튀고 격렬한 팔 동작은 관중의 열광을 유도하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18]
돌고래 킥은 미국의 볼니 윌슨, 잭 시그 등이 물고기의 움직임을 연구하여 개발했다.[6][7] 잭 시그는 데이비드 암브스터 코치의 지도를 받으며 물고기를 흉내 내어 돌고래 킥을 개발했다.[7] 암브스터는 이 발차기를 "돌고래 평영 발차기"라고 불렀다.[8]
일본의 나가사와 지로는 돌고래 킥을 접영에 도입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36]
2. 2. 독립된 영법으로의 발전
1952년 헬싱키 올림픽 이후, 국제 수영 연맹(FINA)은 평영과 접영을 분리하기로 결정했다.[26] 1956년 멜버른 올림픽부터 접영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27] 초기에는 평영 발차기(웨지 킥)도 허용되었으나, 이후 양발을 상하로 움직이는 돌고래 킥으로 통일되었다.[36]3. 기술
접영은 양팔과 다리를 동시에 움직여 추진력을 얻기 때문에 자유형보다 순간 최고 속도는 빠르다. 그러나 회복 단계에서 속도가 느려져 장거리에서는 자유형보다 약간 느리다. 또한, 접영은 다른 영법보다 더 많은 신체적 노력을 요구하여 전체적으로 속도가 느려지는 경향이 있다.
접영 기술의 핵심은 팔 동작, 다리 동작, 호흡, 그리고 신체 움직임의 조화이다.[28] 효과적인 접영을 위해서는 좋은 기술이 필수적이며, 파도와 같은 신체 움직임은 추진력을 생성하고, 물 위로 팔을 회복하며, 호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접영은 자유형 다음으로 빠른 영법이다. 최고 수준의 수영 선수들은 약 1.98m/s의 속도를 낼 수 있는데, 이는 배영(1.84m/s)이나 평영(1.67m/s)보다 빠른 속도이다. 접영은 스트로크 중 팔을 당기고 밀 때(풀, 푸시)는 자유형보다 빠르지만, 팔을 회복하는 단계에서는 자유형보다 느리다. 접영은 자세에 매우 민감한 영법으로, 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빠르게 헤엄치기 어렵다. 팔과 상체가 제대로 올라오지 않으면 호흡이 어려워지거나, 심하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접영을 어려워하거나, 올바른 자세를 익히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생각한다.
3. 1. 팔 동작
팔 동작은 풀(Pull), 푸시(Push), 리커버리(Recovery)의 세 가지 주요 부분으로 구성된다.[28]- 풀(Pull): 초기 자세는 평영과 유사하게 시작한다. 처음에는 손바닥이 바깥쪽을 향하고 어깨 너비로 약간 아래를 향하면서 손이 약간 가라앉는다. 그 다음 손을 바깥쪽으로 움직여 Y자를 만든다. 이것을 물을 잡는다고 한다. 풀 동작은 팔꿈치가 손보다 높고 손이 몸의 중심을 향하며 아래로 향하여 "열쇠 구멍" 모양을 만들며 반원을 그린다.
- 푸시(Push): 손바닥을 물 속에서 뒤로 밀어내며, 몸 아래에서 시작하여 몸 옆에서 끝낸다. 수영자는 팔을 엉덩이까지 1/3 정도만 밀어내어 리커버리에 더 쉽게 진입하고 리커버리를 짧게 만들며 호흡 시간을 단축한다. 이 동작은 손이 푸시의 끝에서 가장 빨라질 때까지 풀-푸시 단계 전체에서 속도를 증가시킨다. 이 단계는 릴리스라고 하며 리커버리에 매우 중요하다. 푸시의 끝에서의 속도는 리커버리에 도움이 된다.
- 리커버리(Recovery): 팔을 물 표면 위로 옆으로 휘둘러 앞으로 가져오며, 팔꿈치는 펴져 있어야 한다. 팔은 수중 동작의 끝에서 앞으로 휘둘러야 한다. 삼두근의 신장은 접영 발차기와 함께 팔을 빠르고 편안하게 앞으로 가져올 수 있게 한다. 자유형 리커버리와는 달리, 팔 리커버리는 탄도적인 동작으로, 중력과 운동량이 대부분의 역할을 한다. 팔과 어깨를 물 밖으로 들어 올리는 유일한 방법은 엉덩이를 떨어뜨리는 것이다. 따라서 리커버리에서 팔의 가속은 전혀 편안하지 않다. 팔이 수영 방향에 반하여 앞으로 움직이면서 추가적인 저항을 생성하기 때문에 너무 일찍 물에 들어가는 것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장거리에서는 이를 피하기가 쉽지 않으며, 엉덩이를 떨어뜨리는 것을 피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자유형에서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높은 팔꿈치 리커버리는 그 결과로 발생하는 물결과 삼두근 신장에 의해 생성된 운동량 감소로 인해 접영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것이다. 인체의 어깨 움직임의 제한으로 인해 그러한 움직임은 일어나기 어렵다. 손은 엄지손가락이 먼저 들어가고 새끼손가락이 마지막으로 들어가면서 좁은 V자 모양(시계처럼 보면 11시와 1시 방향)으로 물에 들어가야 한다.
팔은 어깨 너비로 엄지손가락이 먼저 물에 들어간다. 더 넓게 들어가면 다음 풀 단계에서 동작을 잃고, 손이 닿으면 에너지를 낭비한다. 이 주기는 풀 단계로 반복된다. 그러나 일부 수영 선수들은 물을 잡는 데 도움이 되므로 앞에서 터치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들이 이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한,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
3. 2. 돌고래 킥
돌고래 킥은 양 발을 모아 동시에 상하로 움직여 추진력을 얻는 기술이다.[35] 발등 부분으로 물을 차며, 허리와 엉덩이의 유연한 움직임이 중요하다. 접영뿐만 아니라 자유형의 스타트와 턴에도 사용된다.[35]경쟁 접영 규칙에는 수영 선수가 접영에서 고정된 횟수의 발차기를 해야 한다는 규정이 없다.[29] 수영 선수는 원하는 만큼 발차기를 할 수 있지만,[29] 전형적인 접영 수영 방법은 두 번의 발차기를 하는 것이다.
다양한 근육을 사용하여 다리를 함께 움직인다. 어깨는 강한 위쪽 발차기와 중간 아래쪽 발차기로 올라가고, 강한 아래쪽 발차기와 위쪽 발차기로 내려간다. 유연한 물결 모양이 이 동작을 연결한다. 발은 수압 손실을 피하기 위해 함께 붙어 있으며, 자연스럽게 아래쪽을 향한다. 아래쪽으로 추진력을 주며, 발을 위로 올리고, 머리를 누른다.
1953년 평영이 접영과 분리된 이후에도, 접영에서 평영 발차기는 2001년까지 공식적으로 금지되지 않았다.[30] 그러나 일부 마스터스 수영 선수들은 이러한 변화에 불만을 품었고,[31] 이후 국제 수영 연맹(FINA)은 마스터스 수영에서 평영 발차기를 허용하도록 설득되었다.[32] 대부분의 수영 선수는 돌고래 발차기 동작을 사용하지만, 여전히 소수의 수영 선수는 레크리에이션 수영이나 경쟁에서도 평영 발차기를 선호한다.
3. 3. 호흡
접영에서 호흡은 팔 동작의 리커버리(회복) 단계에서 머리를 들어 숨을 들이쉬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호흡은 짧고 빠르게 이루어져야 한다.[28]접영 수영자는 호흡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파동과 호흡을 동기화한다. 호흡은 스트로크의 수중 "누르기" 부분에서 시작된다. 손과 팔뚝이 가슴 아래로 움직이면서 신체는 자연스럽게 수면으로 올라가고, 수영자는 최소한의 노력으로 머리를 들어 입으로 숨을 들이쉰다. 팔이 수면 위로 나오면 머리는 다시 물속으로 들어간다. 머리가 물 밖에 너무 오래 있으면 회복이 어려워진다.[28]
일반적으로 수영자는 두 번의 스트로크마다 한 번씩 숨을 쉬지만, 마이클 펠프스와 같은 숙련된 선수들은 매 스트로크마다 호흡하기도 한다. 엘리트 수영 선수들은 "2회 호흡, 1회 비호흡"과 같은 호흡 간격을 연습하기도 한다. 폐활량이 좋은 수영 선수는 마지막 전력 질주(스프린트) 때 매 세 번째 스트로크마다 호흡하거나, 단거리 경기에서는 숨을 참기도 한다. 호흡할 때 머리를 숙이는 것이 중요하며, 머리를 너무 높이 들면 엉덩이가 가라앉아 저항이 증가하여 수영 속도가 느려진다.[28]
3. 4. 신체 움직임
접영 기술은 돌핀 킥과 함께 동기화된 팔 동작, 그리고 동기화된 다리 킥으로 구성된다.[28] 이 수영법을 효과적으로 구사하기 위해서는 좋은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파도와 같은 신체 움직임은 추진력을 만드는 데 매우 중요하며, 이는 쉽고 동기화된 물 위로의 팔 회복과 호흡의 핵심 요소이다.코어 근육을 적절하게 사용하면 정확한 타이밍과 유연한 신체 움직임을 통해 접영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다. 신체는 코어에 의해 제어되는 물결 모양으로 움직이는데, 가슴을 아래로 누르면 엉덩이가 위로 올라가면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이와 함께 유연한 킥이 이어진다. 푸시 단계에서는 가슴이 위로 올라가고 엉덩이는 가장 낮은 위치에 있게 된다. 이 수영법에서는 사이클의 두 번째 맥동이 첫 번째 맥동보다 더 강한데, 이는 두 번째 맥동이 신체 움직임과 더 잘 조화되기 때문이다.
현대적인 접영 스타일에서는 신체의 수직 움직임이 거의 없다.
4. 규칙
국제수영연맹(FINA)의 접영 규칙은 다음과 같다.[3]
- '''SW 8.1''' 스타트 후 첫 번째 팔 스트로크의 시작부터 각 턴까지, 몸은 가슴 위에 있어야 한다. 벽을 터치한 후 턴을 할 때 벽에서 떨어질 때 몸이 가슴에 있는 한 어떤 방식으로든 턴을 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떤 경우에도 등을 뒤집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 '''SW 8.2''' SW 8.5에 따라, 레이스 전체에서 두 팔을 동시에 물 위로 앞으로 가져오고 물 아래로 동시에 뒤로 가져와야 한다.
- '''SW 8.3''' 다리의 모든 상하 움직임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다리 또는 발이 같은 높이에 있을 필요는 없지만, 서로 번갈아 가며 움직여서는 안 된다. 평영 발차기 동작은 허용되지 않는다.
- '''SW 8.4''' 각 턴과 레이스 결승에서는, 물 표면 위, 아래 또는 표면에서 양손을 벌려 동시에 터치해야 한다.
- '''SW 8.5''' 스타트와 턴에서 수영 선수는 한 번 이상의 다리 킥과 한 번의 팔 당기기를 물속에서 할 수 있으며, 이는 수면으로 올라오게 해야 한다. 스타트 후와 각 턴 후 15m 이내의 거리 동안 수영 선수가 완전히 잠수하는 것이 허용된다. 그 지점까지는 머리가 수면 위로 나와야 한다. 수영 선수는 다음 턴 또는 결승까지 수면 위에 있어야 한다.
심판장의 호루라기 신호 후, 스타트대에 올라 출발 신호원의 "''Take your marks...''"[37]에 맞춰 자세를 잡은 후, '''총성이 울릴 때까지 정지해야 한다'''. 총성 후 입수하여 헤엄친다. 총성 전에 동작을 취했을 경우 실격 처리된다. 총성 후 입수하여, 풀의 벽(끝)까지 자신의 레인 이외의 곳으로 가거나, 코스 로프에 닿거나, 풀 바닥에 서거나 걷거나 발로 차서는 안 된다. 스타트 후 및 턴 후의 벽으로부터 15미터까지를 제외하고, 경기 중에는 신체의 일부가 수면 위에 나와 있어야 한다. 스타트 및 턴 후, 첫 번째 팔 젓기 시작부터 몸은 엎드린 상태여야 한다. 턴 동작 중에는 엎드린 상태가 아니어도 되지만, 발이 벽에서 떨어질 때는 엎드린 상태여야 한다. 양손 양발은 번갈아 움직여서는 안 된다. 평영의 발차기를 해서는 안 된다. 팔의 리커버리는 반드시 수면 위에서 해야 한다. 턴 및 골 터치는 양손 동시에, 그리고 떨어진 상태에서 해야 한다.
5. 주요 선수
성별 | 국가 | 선수 |
---|---|---|
남자 | 미국 | 이언 크로커, 마이클 펠프스, 케일럽 드레슬 |
서독 | 미하엘 그로스 | |
오스트레일리아 | 마이클 클림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채드 르 클로스 | |
일본 | 야마모토 타카시, 코모토 코헤이, 키시다 마사유키, 마츠다 타케시, 세토 다이야 | |
여자 | 미국 | 메리 마허, 제니 톰슨 |
오스트레일리아 | 수잔 오닐, 제시카 시퍼 | |
네덜란드 | 잉에 데 브루인 | |
폴란드 | 오틸리아 예제이차크 | |
스웨덴 | 사라 셰스트룀 | |
스페인 | 미레이아 벨몬테 | |
중국 | 류쯔거 | |
여자 | 일본 | 아오야마 아야리, 나카니시 유코, 호시 나쓰미, 하세가와 료카, 이케에 리카코 |
5. 1. 세계
접영은 세계적으로 다양한 스타일과 기록 경신이 이루어지는 종목이다.접영에는 네 가지 스타일이 있는데, 오늘날 주로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스타일은 다음과 같다.[33]
- "돌핀 킥과 동시에 팔을 들어올리기": 머리가 물속으로 들어간 후, 양팔이 물속에 있지만 머리보다 높게 위치한다. 첫 번째 돌핀 킥 후, 양팔을 즉시 아래로 움직여 당긴다. 팔을 아래로 움직이는 시점이 물에 잠기는 것에서 뜨는 것으로 바뀌는 시점이다.
- "돌핀 킥과 동시에 팔을 아래로 당기기": 머리가 물속으로 들어간 후, 양팔이 머리보다 낮아질 때까지 물속으로 들어간다. 첫 번째 돌핀 킥 후, 양팔을 이완하면서 들어 올린다. 돌핀 킥을 실행하면서 양팔을 아래로 당긴다. 허리를 구부리는 시점이 물에 잠기는 것에서 뜨는 것으로 바뀌는 시점이다.
위의 두 스타일과 유사하지만 "두 번째" 돌핀 킥이 없는 두 가지 추가 스타일도 있다.[34] 이 스타일은 수영 선수가 에너지를 절약하고 더 편안하게 수영할 수 있게 한다.
주요 선수 및 기록
성별 | 국가 | 선수 |
---|---|---|
남자 | 미국 | 이언 크로커, 마이클 펠프스, 케일럽 드레슬 |
서독 | 미하엘 그로스 | |
오스트레일리아 | 마이클 클림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채드 르 클로스 | |
일본 | 야마모토 타카시, 코모토 코헤이, 키시다 마사유키, 마츠다 타케시, 세토 다이야 | |
여자 | 미국 | 메리 마허, 제니 톰슨 |
오스트레일리아 | 수잔 오닐, 제시카 시퍼 | |
네덜란드 | 잉에 데 브루인 | |
폴란드 | 오틸리아 예제이차크 | |
스웨덴 | 사라 셰스트룀 | |
스페인 | 미레이아 벨몬테 | |
중국 | 류쯔거 | |
여자 | 일본 | 아오야마 아야리, 나카니시 유코, 호시 나쓰미, 하세가와 료카, 이케에 리카코 |
6. 올림픽 및 세계 선수권 대회
접영은 올림픽 수영과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의 주요 종목 중 하나이다. 올림픽에서는 남자 100m, 200m, 여자 100m, 200m 경기가 열리며, 혼성 혼계영에서도 접영 구간이 포함된다.[3]
대한민국은 올림픽 접영 종목에서 아직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그러나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황선우, 김서영 등의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거두며 활약하고 있다.
역대 올림픽 남자 100m 접영 메달리스트
대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68 멕시코시티 | Doug Russell|더그 러셀영어 (미국) | Mark Spitz|마크 스피츠영어 (미국) | Ross Wales|로스 웨일스영어 (미국) |
1972 뮌헨 | Mark Spitz|마크 스피츠영어 (미국) | Bruce Robertson|브루스 로버트슨영어 (캐나다) | Jerry Heidenreich|제리 하이덴라이히영어 (미국) |
1976 몬트리올 | Matt Vogel|매트 보겔영어 (미국) | Joe Bottom|조 보텀영어 (미국) | Gary Hall, Sr.|게리 홀 시니어영어 (미국) |
1980 모스크바 | Pär Arvidsson|파르 아르비드손sv (스웨덴) | Roger Pyttel|로거 피텔de (동독) | David López-Zubero|다비드 로페스-수베로es (스페인) |
1984 로스앤젤레스 | Michael Gross|미하엘 그로스de (서독) | Pablo Morales|파블로 모랄레스영어 (미국) | Glenn Buchanan|글렌 뷰캐넌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1988 서울 | Anthony Nesty|앤서니 네스티영어 (수리남) | Matt Biondi|맷 비온디영어 (미국) | Andy Jameson|앤디 제임슨영어 (영국) |
1992 바르셀로나 | Pablo Morales|파블로 모랄레스영어 (미국) | Rafał Szukała|라파우 슈카와pl (폴란드) | Anthony Nesty|앤서니 네스티영어 (수리남) |
1996 애틀랜타 | Denis Pankratov|데니스 판크라토프ru (러시아) | Scott Miller|스콧 밀러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Vladislav Kulikov|블라디슬라프 쿨리코프ru (러시아) |
2000 시드니 | Lars Frölander|라르스 프뢸란데르sv (스웨덴) | Michael Klim|마이클 클림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Geoff Huegill|제프 휴길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2004 아테네 | Michael Phelps|마이클 펠프스영어 (미국) | Ian Crocker|이언 크로커영어 (미국) | Andriy Serdinov|안드리 세르디노프uk (우크라이나) |
2008 베이징 | Michael Phelps|마이클 펠프스영어 (미국) | Milorad Čavić|밀로라드 차비치sr (세르비아) | Andrew Lauterstein|앤드루 로터스타인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2012 런던 | Michael Phelps|마이클 펠프스영어 (미국) | Chad le Clos|채드 르 클로스영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 Yevgeny Korotyshkin|예브게니 코로티시킨ru (러시아)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Joseph Schooling|조셉 스쿨링영어 (싱가포르) | Michael Phelps|마이클 펠프스영어 (미국) | Chad le Clos|채드 르 클로스영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
2020 도쿄 | Caeleb Dressel|케일럽 드레슬영어 (미국) | Kristóf Milák|크리스토프 밀라크hu (헝가리) | Noè Ponti|노에 폰티de (스위스) |
2024 파리 | Kristóf Milák|크리스토프 밀라크hu (헝가리) |
역대 올림픽 남자 200m 접영 메달리스트
대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56 멜버른 | William Yorzyk|윌리엄 요르지크영어 (미국) | Ishimoto Takashi|이시모토 다카시일본어 (일본) | Tumpek György|튐페크 죄르지hu (헝가리) |
1960 로마 | Mike Troy|마이크 트로이영어 (미국) | Neville Hayes|네빌 헤이스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David Gillanders|데이비드 길랜더스영어 (미국) |
1964 도쿄 | Kevin Berry|케빈 베리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Carl Robie|칼 로비영어 (미국) | Fred Schmidt|프레드 슈미트영어 (미국) |
1968 멕시코시티 | Carl Robie|칼 로비영어 (미국) | Martyn Woodroffe|마틴 우드로프영어 (영국) | John Ferris|존 페리스영어 (미국) |
1972 뮌헨 | Mark Spitz|마크 스피츠영어 (미국) | Gary Hall, Sr.|게리 홀 시니어영어 (미국) | Robin Backhaus|로빈 백하우스영어 (미국) |
1976 몬트리올 | Mike Bruner|마이크 브루너영어 (미국) | Steve Gregg|스티브 그레그영어 (미국) | Bill Forrester|빌 포레스터영어 (미국) |
1980 모스크바 | Sergey Fesenko|세르게이 페센코ru (소련) | Phil Hubble|필 허블영어 (영국) | Roger Pyttel|로거 피텔de (동독) |
1984 로스앤젤레스 | Jon Sieben|존 지벤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Michael Gross|미하엘 그로스de (서독) | Rafael Vidal|라파엘 비달es (베네수엘라) |
1988 서울 | Michael Gross|미하엘 그로스de (서독) | Benny Nielsen|베니 닐센da (덴마크) | Anthony Mosse|앤서니 모스영어 (뉴질랜드) |
1992 바르셀로나 | Melvin Stewart|멜빈 스튜어트영어 (미국) | Danyon Loader|대니언 로더영어 (뉴질랜드) | Franck Esposito|프랑크 에스포지토프랑스어 (프랑스) |
1996 애틀랜타 | Denis Pankratov|데니스 판크라토프ru (러시아) | Tom Malchow|톰 말초영어 (미국) | Scott Goodman|스콧 굿맨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2000 시드니 | Tom Malchow|톰 말초영어 (미국) | Denys Sylantyev|데니스 실란티예프uk (우크라이나) | Justin Norris|저스틴 노리스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2004 아테네 | Michael Phelps|마이클 펠프스영어 (미국) | Yamamoto Takashi|야마모토 다카시일본어 (일본) | Stephen Parry|스티븐 패리영어 (영국) |
2008 베이징 | Michael Phelps|마이클 펠프스영어 (미국) | Cseh László|체흐 라슬로hu (헝가리) | Matsuda Takeshi|마쓰다 다케시일본어 (일본) |
2012 런던 | Chad le Clos|채드 르 클로스영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 Michael Phelps|마이클 펠프스영어 (미국) | Matsuda Takeshi|마쓰다 다케시일본어 (일본)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Michael Phelps|마이클 펠프스영어 (미국) | Sakai Masato|사카이 마사토일본어 (일본) | Kenderesi Tamás|켄데레시 터마시hu (헝가리) |
2020 도쿄 | Kristóf Milák|크리스토프 밀라크hu (헝가리) | Honda Tomoru|혼다 도모루일본어 (일본) | Federico Burdisso|페데리코 부르디소it (이탈리아) |
2024 파리 | Léon Marchand|레옹 마르샹프랑스어 (프랑스) |
역대 올림픽 여자 100m 접영 메달리스트
대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56 멜버른 | Shelley Mann|셸리 맨영어 (미국) | Nancy Ramey|낸시 래미영어 (미국) | Mary Sears|메리 시어스영어 (미국) |
1960 로마 | Carolyn Schuler|캐롤린 슐러영어 (미국) | Marianne Heemskerk|마리아너 헴스케르크nl (네덜란드) | Janice Andrew|재니스 앤드루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1964 도쿄 | Sharon Stouder|샤론 스투더영어 (미국) | Ada Kok|아다 코크nl (네덜란드) | Kathy Ellis|캐시 엘리스영어 (미국) |
1968 멕시코시티 | Lyn McClements|린 매클레먼츠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Ellie Daniel|엘리 대니얼영어 (미국) | Susan Shields|수전 실즈영어 (미국) |
1972 뮌헨 | Aoki Mayumi|아오키 마유미일본어 (일본) | Roswitha Beier|로즈비타 바이어de (동독) | Gyarmati Andrea|저르머티 언드레어hu (헝가리) |
1976 몬트리올 | Kornelia Ender|코르넬리아 엔더de (동독) | Andrea Pollack|안드레아 폴락de (동독) | Wendy Boglioli|웬디 보글리올리영어 (미국) |
1980 모스크바 | Caren Metschuck|카렌 메추크de (동독) | Andrea Pollack|안드레아 폴락de (동독) | Christiane Knacke|크리스티아네 크나케de (동독) |
1984 로스앤젤레스 | Mary T. Meagher|메리 T. 메이거영어 (미국) | Jenna Johnson|제나 존슨영어 (미국) | Karin Seick|카린 자이크de (서독) |
1988 서울 | Kristin Otto|크리스틴 오토de (동독) | Birte Weigang|비르테 바이강de (동독) | Qian Hong|첸훙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
1992 바르셀로나 | Qian Hong|첸훙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 Crissy Ahmann-Leighton|크리시 아만-레이턴영어 (미국) | Catherine Plewinski|카트린 플레빈스키프랑스어 (프랑스) |
1996 애틀랜타 | Amy Van Dyken|에이미 밴 다이켄영어 (미국) | Liu Limin|류리민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 Angel Martino|에인절 마티노영어 (미국) |
2000 시드니 | Inge de Bruijn|잉어 더 브라윈nl (네덜란드) | Martina Moravcová|마르티나 모라우초바sk (슬로바키아) | Dara Torres|데어라 토러스영어 (미국) |
2004 아테네 | Petria Thomas|페트리아 토머스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Otylia Jędrzejczak|오틸리아 옝제이차크pl (폴란드) | Inge de Bruijn|잉어 더 브라윈nl (네덜란드) |
2008 베이징 | Lisbeth Trickett|리즈베스 트리킷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Christine Magnuson|크리스틴 매그너슨영어 (미국) | Jessicah Schipper|제시카 시퍼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2012 런던 | Dana Vollmer|데이나 볼머영어 (미국) | Lu Ying|루잉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 Alicia Coutts|얼리샤 쿠츠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Sarah Sjöström|사라 셰스트룀sv (스웨덴) | Penny Oleksiak|페니 올렉시액영어 (캐나다) | Dana Vollmer|데이나 볼머영어 (미국) |
2020 도쿄 | Maggie Mac Neil|매기 맥닐영어 (캐나다) | Zhang Yufei|장위페이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 Emma McKeon|엠마 매키언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2024 파리 | Torri Huske|토리 허스케영어 (미국) |
역대 올림픽 여자 200m 접영 메달리스트
대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68 멕시코시티 | Ada Kok|아다 코크nl (네덜란드) | Helga Lindner|헬가 린트너de (동독) | Ellie Daniel|엘리 대니얼영어 (미국) |
1972 뮌헨 | Karen Moe|캐런 모영어 (미국) | Lynn Colella|린 콜렐라영어 (미국) | Ellie Daniel|엘리 대니얼영어 (미국) |
1976 몬트리올 | Andrea Pollack|안드레아 폴락de (동독) | Ulrike Tauber|울리케 타우버de (동독) | Rosemarie Gabriel|로제마리 가브리엘de (동독) |
1980 모스크바 | Ines Geißler|이네스 가이슬러de (동독) | Sybille Schönrock|지빌레 쇤로크de (동독) | Michelle Ford|미셸 포드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1984 로스앤젤레스 | Mary T. Meagher|메리 T. 메이거영어 (미국) | Karen Phillips|캐런 필립스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Ina Beyermann|이나 바이어만de (서독) |
1988 서울 | Kathleen Nord|캐슬린 노르트de (동독) | Birte Weigang|비르테 바이강de (동독) | Mary T. Meagher|메리 T. 메이거영어 (미국) |
1992 바르셀로나 | Summer Sanders|서머 샌더스영어 (미국) | Wang Xiaohong|왕샤오훙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 Susie O'Neill|수지 오닐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1996 애틀랜타 | Susie O'Neill|수지 오닐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Petria Thomas|페트리아 토머스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Michelle Smith|미셸 스미스영어 (아일랜드) |
2000 시드니 | Misty Hyman|미스티 하이먼영어 (미국) | Susie O'Neill|수지 오닐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Petria Thomas|페트리아 토머스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2004 아테네 | Otylia Jędrzejczak|오틸리아 옝제이차크pl (폴란드) | Petria Thomas|페트리아 토머스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Nakanishi Yuko|나카니시 유코일본어 (일본) |
2008 베이징 | Liu Zige|류쯔거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 Jiao Liuyang|자오류양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 Jessicah Schipper|제시카 시퍼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2012 런던 | Jiao Liuyang|자오류양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 Mireia Belmonte|미레이아 벨몬테es (스페인) | Hoshi Natsumi|호시 나쓰미일본어 (일본)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Mireia Belmonte|미레이아 벨몬테es (스페인) | Madeline Groves|매들린 그로브스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Hoshi Natsumi|호시 나쓰미일본어 (일본) |
2020 도쿄 | Zhang Yufei|장위페이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 Regan Smith|리건 스미스영어 (미국) | Hali Flickinger|핼리 플리킹거영어 (미국) |
2024 파리 | Summer McIntosh|서머 매킨토시영어 (캐나다) |
역대 세계 선수권 대회 남자 50m 접영 메달리스트{| class="wikitable"
|-
! 대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2001 후쿠오카
| 제프 휴길 (AUS)
| 라르스 프뢰란데르 (SWE)
| 마크 포스터 (GBR)
|-
| 2003 바르셀로나
| 매트 웰시 (AUS)
| 이안 크로커 (USA)
| 예브게니 코로티시킨 (UKR)
|-
| 2005 몬트리올
| 롤랜드 슈먼 (RSA)
| 이안 크로커 (USA)
| 세르히 브레우스 (UKR)
|-
| 2007 멜버른
| 롤랜드 슈먼 (RSA)
| 이안 크로커 (USA)
| 야코브 안드키에르 (DEN)
|-
| 2009 로마
| 밀로라드 차비치 (SRB)
| 매튜 타겟 (AUS)
| 라파엘 무뇨스 (ESP)
|-
| 2011 상하이
| 세자르 시엘루 (BRA)
| 매튜 타겟 (AUS)
| 제프 휴길 (AUS)
|-
| 2013 바르셀로나
| 세자르 시엘루 (BRA)
| 유진 고드소 (USA)
| 프레데리크 부스케 (BRA)
|-
| 2015 카잔
| 플로랑 마노두 (FRA)
| 니콜라스 산투스 (BRA)
| 라슬로 체흐 (HUN)
|-
| 2017 부다페스트
| 벤 프라우드 (GBR)
| 니콜라스 산투스 (BRA)
| 안드리 호보로프 (UKR)
|-
| 2019 광주
| 케일럽 드레슬 (USA)
| 올레크 코스틴 (RUS)
| 니콜라스 산투스 (BRA)
|-
| 2022 부다페스트
|
7. 기록
접영의 세계 기록과 한국 기록은 별도의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장거리 수영장 (50m)
종목 | 기록 | 선수 | 국적 | 수립일 | 대회 | 장소 |
---|---|---|---|---|---|---|
남자 50m | 22초 27 | Andriy Govorov|안드리 고보로프영어 | 2018년 7월 1일 | 세테 콜리 컵 | 로마 | |
남자 100m | 49초 50 | 케이레브 드레슬 | 미국 | 2019년 7월 26일 |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 광주 |
남자 200m | 1분 50초 73 | 크리스토프 밀라크 | 2019년 7월 24일 |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 광주 | |
colspan=7| | ||||||
여자 50m | 24초 43 | 사라 셰스트룀 | 2014년 7월 5일 | 스웨덴 선수권 대회 | 보로스 | |
여자 100m | 55초 18 | 그레첸 월시 | 미국 | 2024년 6월 15일 | 전미 대표 선발전 | 인디애나폴리스 |
여자 200m | 2분 01초 81 | 류쯔거 | 중국 | 2009년 10월 21일 | 중국 전국 운동회 | 지난 |
; 단거리 수영장 (25m)
종목 | 기록 | 선수 | 국적 | 수립일 | 대회 | 장소 |
---|---|---|---|---|---|---|
남자 50m | 21초 75 | Nicholas Santos|니콜라스 산토스영어 | 브라질 | 2018년 10월 6일 | 2018 FINA Swimming World Cup|2018 FINA 수영 월드컵영어 | 부다페스트 |
남자 100m | 48초 08 | 채드 르 클로스 | 남아프리카 공화국 | 2016년 12월 8일 | 세계 쇼트코스 선수권 대회 | 윈저 |
남자 200m | 1분 48초 24 | 세토 다이야 | 일본 | 2018년 12월 11일 | 2018 FINA World Swimming Championships (25 m)|2018년 세계 쇼트코스 수영 선수권 대회영어 | 항저우 |
colspan=7| | ||||||
여자 50m | 24초 38 | Therese Alshammar|테레스 알샤마르영어 | 2009년 11월 22일 | 2009 FINA Swimming World Cup|2009 FINA 수영 월드컵영어 | 싱가포르 | |
여자 100m | 54초 61 | 사라 셰스트룀 | 2014년 12월 7일 | 세계 쇼트코스 선수권 대회 | 도하 | |
여자 200m | 1분 59초 61 | 미레이아 벨몬테 | 스페인 | 2014년 12월 3일 | 세계 쇼트코스 선수권 대회 | 도하 |
; 장수영로 (일본 기록)
종목 | 기록 | 선수 | 소속 | 수립일 | 대회 | 장소 | 비고 |
---|---|---|---|---|---|---|---|
남자 50m | 23초 27 | 이다 겐고 | 자위대 | 2019년 4월 2일 | 제95회 일본 선수권 수영 경기 대회 | 도쿄 다쓰미 국제 수영장 | |
남자 100m | 51초 00 | 가와모토 고헤이 | 니가타 | 2009년 9월 11일 | 제64회 국민 체육 대회 | 다이에 프로비스 피닉스 풀 | |
남자 200m | 1분 52초 53 | 세토 다이야 | ANA | 2020년 1월 18일 | 수영 챔피언스 시리즈 | 베이징 | 아시아 기록 |
colspan=8| | |||||||
여자 50m | 25초 11 | 이케에 리카코 | 르네상스 가메이도 | 2018년 6월 10일 | 유럽 GP 카네 대회 | 카네=탕=루시용 | 아시아 기록 |
여자 100m | 56초 08 | 이케에 리카코 | 르네상스 가메이도 | 2018년 8월 11일 | 범태평양 수영 선수권 | 도쿄 다쓰미 국제 수영장 | |
여자 200m | 2분 04초 69 | 호시 나쓰미 | 스윈 대교 | 2012년 4월 5일 | 제88회 일본 선수권 수영 경기 대회 | 도쿄 다쓰미 국제 수영장 |
; 단수영로 (일본 기록)
종목 | 기록 | 선수 | 소속 | 수립일 | 대회 | 장소 | 비고 |
---|---|---|---|---|---|---|---|
남자 50m | 22초 49 | 기시다 마사유키 | 킹소프트 | 2009년 12월 20일 | 도쿄도 북부 블록 클럽 대항 수영 경기 대회 | 도쿄 다쓰미 국제 수영장 | 아시아 기록 |
가와모토 다케시 | TOYOTA | 2018년 10월 27일 | 세계 단수영로 대표 선수 선발회 | 도쿄 다쓰미 국제 수영장 | 아시아 기록 | ||
남자 100m | 49초 60 | 가와모토 다케시 | TOYOTA | 2018년 10월 28일 | 세계 단수영로 대표 선수 선발회 | 도쿄 다쓰미 국제 수영장 | 아시아 기록 |
남자 200m | 1분 48초 24 | 세토 다이야 | 일본 | 2018년 12월 11일 | 2018 FINA World Swimming Championships (25 m)|2018년 세계 단수영로 선수권영어 | 항저우 | 세계 기록 |
colspan=8| | |||||||
여자 50m | 24초 71 | 이케에 리카코 | 르네상스 가메이도 | 2018년 1월 13일 | 도쿄도 신춘 수영 경기 대회 | 도쿄 다쓰미 국제 수영장 | 아시아 기록 |
여자 100m | 55초 31 | 이케에 리카코 | 르네상스 가메이도 | 2018년 11월 11일 | 월드컵 도쿄 대회 | 도쿄 다쓰미 국제 수영장 | |
여자 200m | 2분 02초 96 | 하세가와 료카 | 도쿄 돔 | 2017년 1월 14일 | 도쿄도 신춘 수영 경기 대회 | 도쿄 다쓰미 국제 수영장 |
참조
[1]
뉴스
I believe I can butterfly
https://www.theguard[...]
2014-09-07
[2]
Citation
Butterfly - Press The Chest
https://www.youtube.[...]
2023-10-08
[3]
웹사이트
FINA Swimming Rules
https://resources.fi[...]
2023-12-09
[4]
서적
Swimming Fastest
https://books.google[...]
Human Kinetics
[5]
웹사이트
Dave Armbruster - ISHOF
https://ishof.org/ho[...]
2023-12-12
[6]
서적
The Making of the Atomic Bomb
Simon and Schuster
[7]
간행물
The Dolphin Breast Stroke
https://www.tandfonl[...]
1935
[8]
문서
A long night's journey into day: the Odyssey of the butterfly stroke in international swimming.
https://go.gale.com/[...]
2023-12-12
[9]
서적
1937 NCAA Swimming and Diving Guide
American Publishing Company
[10]
문서
FINA (Federation Internationale de Natation Amateur) Bureau Bulletin
1938-10
[11]
서적
Swimming
http://archive.org/d[...]
1940
[12]
웹사이트
The Cavill Family
https://ishof.org/ho[...]
2023-12-12
[13]
웹사이트
Erich Rademacher
https://ishof.org/ho[...]
2023-12-12
[14]
서적
Breakthrough Swimming
https://books.google[...]
Human Kinetics
2002-02-20
[15]
문서
The History of Swimming
Swimming World Books
1970
[16]
문서
1935 NCAA Swimming and Diving Guide
American Sports Publishing Company
1935
[17]
뉴스
Swim News - April 1997 (No.227)
https://archive.org/[...]
2023-12-12
[18]
문서
Swimming
The Ronald Press Company
1940-10-13
[19]
웹사이트
1936 US Olympic Team Trials
https://www.usaswimm[...]
2023-12-12
[20]
웹사이트
Olympedia – 200 metres Breaststroke, Men
https://www.olympedi[...]
2023-12-12
[21]
Citation
1936 Olympic 200 breaststroke
https://www.youtube.[...]
2023-12-12
[22]
웹사이트
Olympedia – 200 metres Breaststroke, Men
https://www.olympedi[...]
2023-12-12
[23]
문서
1949-03-06
[24]
문서
FINA Bureau Bulletin
1949-01
[25]
문서
FINA Bureau Bulletin
1952-04
[26]
문서
1953-1956 FINA Rules Book
[27]
웹사이트
Olympedia – 200 metres Butterfly, Men
https://www.olympedi[...]
2023-12-13
[28]
뉴스
Rhythm of Butterfly Stroke
https://news.google.[...]
1966-08-10
[29]
웹사이트
USA Swimming rule 101.2.3
http://www.usaswimmi[...]
[30]
웹사이트
FINA rule SW 8.3
http://www.fina.org/[...]
[31]
문서
Butterfly's Emergence Challenged 1950s Swimmers
http://www.usmsswimm[...]
2005-03
[32]
웹사이트
FINA rule MSW 3.10
http://www.fina.org/[...]
[33]
Youtube
Underwater Comparison Of Butterfly Strokes
https://www.youtube.[...]
2017-02-18
[34]
Youtube
YouTube
https://www.youtube.[...]
2017-02-18
[35]
서적
DVDレベルアップ! 水泳 4泳法完全マスター
西東社
[36]
웹사이트
国際水泳殿堂のホームページにおける殿堂入り選手の紹介ページ
https://www.ishof.or[...]
[37]
문서
2017年3月まで日本では、「よーい」だった
[38]
문서
접영
[39]
서적
Australian Dictionary of Biography
http://adb.anu.edu.a[...]
National Centre of Biograph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7-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