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백은 일제강점기 및 해방 이후 좌익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한국 전쟁 중 사망한 인물이다. 그는 3·1 운동 이후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서울청년회 활동, 조선공산당 활동 등을 하였으며, 제3차 조선공산당 사건으로 체포되어 투옥되기도 했다. 광복 후에는 좌익 운동을 재개하여 건국준비위원회에 참여하고, 조선공산당을 결성하는 등 활동을 펼쳤으나, 이후 월북하여 남북연석회의에 참석한 뒤 다시 월남하여 체포되었다. 그는 사상 전향을 선언하고 보도연맹 간부로 활동했으나, 한국 전쟁 중 북조선 정치보위부에 의해 총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범죄인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범죄인 - 리승엽
리승엽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남로당 간부, 한국 전쟁 당시 서울시 인민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나, 월북 후 금강정치학원 사건으로 처형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삶은 한국 현대사의 이념 갈등과 권력 투쟁을 드러내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근로인민당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근로인민당 - 여운홍
여운홍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활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과도입법의원과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친일 행적 의혹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정치인이다. - 강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출신 - 박재훈 (음악가)
대한민국의 음악가, 교육자, 목회자인 박재훈은 동요 "구슬비", "어머님 은혜" 등의 작곡가로 알려져 있으며, 해군 군악대 하사로 한국 전쟁에 참전, 영락교회 장로,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등을 역임하며 교회 음악 발전과 후학 양성에 기여했고, 캐나다 이민 후에는 목회 활동을 병행하며 음악과 신앙을 융합한 삶을 살았다. - 강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출신 - 이종우 (1903년)
대한민국의 철학자, 교육자, 정치인인 이종우는 교토제국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과 서울대학교에서 철학 및 국어국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학장, 대학원장, 총장을 역임하고 문교부 장관과 국회의원을 지냈다.
정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백 |
원래 이름 | 鄭栢 |
출생지 | 대한제국 강원도 김화군 군내면 운장리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본관 | 해주(海州) |
주요 경력 | |
직책 | 조선총독부 대화숙평의회 대표상무평의원 |
임기 | 1941년 5월 31일 ~ 1942년 4월 25일 |
군주 | 히로히토 |
총리 | 도조 히데키 |
총독 | 미나미 지로 |
섭정 | 도조 히데키 |
의장 | 리종만 (총독부 대화숙평의회 의장 직대) 리승엽 (총독부 대화숙평의회 의장 직대) |
부의장 | 인정식 (총독부 대화숙평의회 부의장 직대) |
직책2 | 조선인민공화국 중앙인민위원회 기획부 부장 |
임기2 | 1945년 9월 6일 ~ 1946년 2월 19일 |
부주석2 | 여운형 |
총리2 | 허헌 |
부총리2 | 최근우 |
기타 정보 | |
정당 | 조선로동당 |
경력 | 국민보도연맹 명예간사장 조선로동당 중앙대표최고위원 |
학력 |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졸업 |
2. 생애
강원도 김화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강원도 철원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휘문고등보통학교에 다니며 홍사용, 박종화와 교유하였다.[3]
3·1 운동 이후 사회주의 계열의 청년들인 김명식, 윤자영, 이영, 김사국 등이 1921년 결성한 서울청년회에 참가하면서 좌파 운동에 뛰어들었다. 김명식이 주필을 맡은 《신생활》에도 참가했으나 신생활 필화 사건으로 잡지사는 폐간되었다. 이후 이영과 함께 서울파 공산주의 계파를 이끌었으며, 1927년 제3차 조선공산당 사건으로 체포되었다. 이 사건으로 2년 여를 복역하고 1931년 석방된 후로는 좌익 운동을 중단하고 1945년 광복 시점까지 광산업에 종사했다.
그는 전향 전력과 오랜 공백 기간에도 불구하고, 해방과 동시에 비슷한 입장이었던 화요파의 리승엽, 조일명과 손을 잡고 다시 공산주의 운동을 개시했다. 건국준비위원회에 참가한 것을 시작으로 1945년 8월 15일 밤에 장안파 조선공산당을 결성한 것이다. 구 서울파에서는 이영이 정백과 행보를 함께 했다. 하지만 곧 박헌영의 재건파에 리승엽 등 장안파 내의 구 화요회 계열이 흡수되었고, 정통성과 주도권을 빼앗긴 정백은 조선인민공화국과 민주주의민족전선), 사로당 간부를 거쳐 근로인민당을 창당하는 등 여운형, 백남운 등과 연대하여 남로당과는 별도의 독자적인 좌익 정치 활동을 벌였고 조선인민공화국 중앙인민위원회 기획부(차장: 리영) 부장을 지냈다.
1947년 1월 16일 월북 이후 평양시에서 열린 남북연석회의에 참석한 뒤 북조선에 머물다가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소속으로 1949년 월남하면서 경찰에 체포되었다. 그는 공개적으로 사상 전향 선언을 하고 전향자들로 구성된 보도연맹 간부로 임명되어 반공 운동에 나섰다. 일제 때부터 좌파 운동가로 유명한 거물급 공산주의자 정백의 전격적인 전향과 보도연맹 가입은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었다.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서울을 점령한 북조선 정치보위부에 의해 총살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강원도 김화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강원도 철원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휘문고등보통학교에 다니며 홍사용, 박종화와 교유하였다.[3]2. 2. 사회주의 운동 투신 (1919년 ~ 1931년)
강원도 김화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강원도 철원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휘문고등보통학교에 다니며 홍사용, 박종화와 교유하였다.[3]3·1 운동 이후 사회주의 계열의 청년들인 김명식, 윤자영, 이영, 김사국 등이 1921년 결성한 서울청년회에 참가하면서 좌파 운동에 뛰어들었다. 김명식이 주필을 맡은 《신생활》에도 참가했으나 신생활 필화 사건으로 잡지사는 폐간되었다. 이후 이영과 함께 서울파 공산주의 계파를 이끌었으며, 1927년 제3차 조선공산당 사건으로 체포되었다. 이 사건으로 2년 여를 복역하고 1931년 석방되었다.[3]
2. 3. 해방 이후 정치 활동 (1945년 ~ 1949년)
1945년 광복 이후, 정백은 전향 전력과 오랜 공백 기간에도 불구하고 화요파의 리승엽, 조일명과 손을 잡고 공산주의 운동을 다시 시작했다.[3] 건국준비위원회 참가를 시작으로, 1945년 8월 15일 밤에 장안파 조선공산당을 결성했다.[3] 구 서울파에서는 이영이 정백과 함께했다.[3] 하지만 곧 박헌영의 재건파에 리승엽 등 장안파 내의 구 화요회 계열이 흡수되었고, 정통성과 주도권을 빼앗긴 정백은 조선인민공화국과 민주주의민족전선, 사로당 간부를 거쳐 근로인민당을 창당했다.[3] 그는 여운형, 백남운 등과 연대하여 남로당과는 별도의 독자적인 좌익 정치 활동을 벌였고, 조선인민공화국 중앙인민위원회 기획부(차장: 리영) 부장을 지냈다.[3]1947년 1월 16일 월북 이후 평양시에서 열린 남북연석회의에 참석한 뒤 북조선에 머물렀다.[3] 1949년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소속으로 월남하면서 경찰에 체포되었는데, 공개적으로 사상 전향을 선언하고 전향자들로 구성된 보도연맹 간부로 임명되어 반공 운동에 나섰다.[3] 일제 강점기부터 좌파 운동가로 유명했던 거물급 공산주의자 정백의 전격적인 전향과 보도연맹 가입은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3]
2. 4. 월북, 전향, 그리고 죽음 (1947년 ~ 1950년)
강원도 김화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강원도 철원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휘문고등보통학교에 다니며 홍사용, 박종화와 교유하였다.[3]3·1 운동 이후 사회주의 계열의 청년들인 김명식, 윤자영, 이영, 김사국 등이 1921년 결성한 서울청년회에 참가하면서 좌파 운동에 뛰어들었다. 김명식이 주필을 맡은 《신생활》에도 참가했으나 신생활 필화 사건으로 잡지사는 폐간되었다. 이후 이영과 함께 서울파 공산주의 계파를 이끌었으며, 1927년 제3차 조선공산당 사건으로 체포되었다. 이 사건으로 2년 여를 복역하고 1931년 석방된 후로는 좌익 운동을 중단하고 1945년 광복 시점까지 광산업에 종사했다.
그는 전향 전력과 오랜 공백 기간에도 불구하고, 해방과 동시에 비슷한 입장이었던 화요파의 리승엽, 조일명과 손을 잡고 다시 공산주의 운동을 개시했다. 건국준비위원회에 참가한 것을 시작으로 1945년 8월 15일 밤에 장안파 조선공산당을 결성한 것이다. 구 서울파에서는 이영이 정백과 행보를 함께 했다. 하지만 곧 박헌영의 재건파에 리승엽 등 장안파 내의 구 화요회 계열이 흡수되었고, 정통성과 주도권을 빼앗긴 정백은 조선인민공화국과 민주주의민족전선), 사로당 간부를 거쳐 근로인민당을 창당하는 등 여운형, 백남운 등과 연대하여 남로당과는 별도의 독자적인 좌익 정치 활동을 벌였고 조선인민공화국 중앙인민위원회 기획부(차장: 리영) 부장을 지냈다.
1947년 1월 16일 월북 이후 평양시에서 열린 남북연석회의에 참석한 뒤 북조선에 머물다가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소속으로 1949년 월남하면서 경찰에 체포되었다. 그는 공개적으로 사상 전향 선언을 하고 전향자들로 구성된 보도연맹 간부로 임명되어 반공 운동에 나섰다. 일제 때부터 좌파 운동가로 유명한 거물급 공산주의자 정백의 전격적인 전향과 보도연맹 가입은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었다.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서울을 점령한 북조선 정치보위부에 의해 총살되었다.
3. 학력
- 1912년 일본 오사카 이케다 공립 소학교 졸업
- 1915년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전퇴 (1946년 5월 31일 미 군정 남조선과도정부 시절 서울 휘문중·고등학교 명예 졸업장을 각각 수여)
- 1918년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졸업
4. 평가
참조
[1]
웹사이트
http://theme.archive[...]
[2]
웹사이트
납북자 명부 - 정백
http://reunion.uniko[...]
2007-09-27
[3]
웹사이트
동인지同人誌를 통한 문학의 현대성 구축작업(4) - 5. 낭만주의와 자연주의의 향연, 동인지 백조
http://www.readersne[...]
독서신문
2007-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