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승복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1544년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옥구현감 재직 시 왜구를 물리쳤으며, 을묘왜변과 기미왜변에서 큰 공을 세워 만호, 현감 등을 역임했다. 함흥판관으로 재직 중 파직된 후 낙향하여 만년을 보냈고, 사후 증직되었다. 임진왜란 때 그의 아들, 손자, 사위들이 이순신 휘하에서 활약하며 공을 세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을묘왜변 관련자 - 이준경
이준경은 조선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명종 대에 영의정을 지냈고 선조 즉위 후 원상으로서 국정을 주도했으며, 을사사화 때 사림을 보호하고 을묘왜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운 문신이자 정치가이다. - 을묘왜변 관련자 - 심연원
심연원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영의정까지 올랐고, 을사사화 때 위사공신에 책록되었으며, 손녀가 명종의 비 인순왕후가 되면서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고 심의겸, 심충겸 형제가 서인의 영수로 활동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 1580년 사망 - 안드레아 팔라디오
안드레아 팔라디오는 고대 로마 건축 원리에 기반한 팔라디오 양식을 정립하여 르네상스 건축에 큰 영향을 미친 이탈리아 건축가로, 《건축 사서》를 통해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고 팔라디안 건축 운동을 일으켰다. - 1580년 사망 - 혜정옹주
혜정옹주는 조선 중종의 딸로 태어나 혜정옹주로 봉해졌으며, 홍여와 혼인하여 딸을 낳았고, 폐서인되었다가 복권되었으며, 사위 윤호에게 의지하며 살다가 사망했다. - 경주 정씨 - 정상학
정상학은 1937년생으로 판사로 임용되어 제주지방법원과 대구지방법원 법원장을 역임하며 국가보안법 및 노동 운동 관련 사건 등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불러일으킨 사건들에 대해 강경한 판결을 내린 인물이다. - 경주 정씨 - 정순균
정순균은 중앙일보 기자, 국정홍보처장 등을 역임하고 문재인 후보의 언론특보를 지낸 언론인 출신 정치인이며, 서울 강남구청장에 당선되었으나 재선에는 실패했다.
정승복 |
---|
2. 생애
정승복은 문정공(文正公) 정진후(鄭珍厚)의 후손으로, 어릴 때부터 호방하고 담대했으며 담력이 뛰어났다. 9세에 어머니 상을 당했을 때는 예법에 따라 상을 치렀다. 성장하여 무관의 길을 걸었다.
1562년(명종 17) 함흥판관에서 물러난 뒤 고향에 돌아와 냇가에 옥계정이라는 정자를 짓고 만년을 보냈다. 이때 석천(石川) 임억령(林億齡)과 교류하며 "수많은 전투를 치르고 돌아와 계곡물에 칼을 씻으며, 쓸쓸한 야복(野服)을 입고 한적한 집으로 드는구나"라는 시를 헌정받기도 했다.
2. 1. 가계 배경
할아버지는 부사과(副司果)를 지낸 갑선(甲先)이고, 아버지는 돈용교위(敦勇校尉)를 지낸 정내(鄭鼐)이며, 어머니는 훈련원습독(訓鍊院習讀) 왕침(王琛)의 딸 왕씨이다. 고조부 노송정(老松亭) 정지년(鄭知年)은 단종 폐위에 분개하여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였으며, 사후 공주 숙모전에 배향되었다. 증조부 정효종(鄭孝終)은 예조참의(禮曹參議)를 지냈다.아버지 정내가 전라남도 순천으로 내려오면서 정황 가문은 전라도에 뿌리내리게 되었다. 그의 딸은 보성 출신 저명한 학자인 안방준에게 시집갔다.
2. 2. 관직 생활과 왜변 격퇴
그는 어려서부터 호방하고 담대했으며, 무관의 길에 뜻을 두었다.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 무과에 을과 1위로 급제하였고, 여러 벼슬을 거쳐 1546년(명종 1) 중시(重試)에 장원하여 당상관으로 승진했다. 1548년 아버지 상을 당하여 3년상을 마친 뒤 선전관(宣傳官)이 되었다가 옥구현감(沃溝縣監)을 역임하였고, 옥구현감 재직 중 해안가로 침입한 왜구를 물리쳤다.1555년(명종 10) 을묘왜변 때 왜구가 전라도 남부 지역에 침략하여 달량진 등의 변장과 전라병마절도사를 죽이고 10진을 함락시켰다. 이후 전라북도 군산까지 올라온 왜구와 교전하여 여러 차례 군공(軍功)을 세웠고, 어란진 만호(於蘭鎭萬戶)로 전보되었다. 1559년(명종 14) 어란진 만호 재직 중 기미왜변(己未倭變)이 터지자 추자도(楸子島)에서 왜구를 궤멸시켜 큰 승리를 거두고 왜선 1척을 포획하고 왜구들을 일부 생포하였다. 감사 박충원(朴忠元)과 수사 최희효(崔希孝)가 계를 올려 상을 받았다. 그 뒤 웅천현감(熊川縣監), 영덕현령(盈德縣令), 함흥판관(咸興判官), 어모장군(禦侮將軍) 경상도수군우후(慶尙道水軍虞侯) 등을 역임했다.
1562년(명종 17) 함흥판관(咸興判官) 재직 중 파직을 당하자 고향으로 낙향하였다. 만년에는 석천(石川) 임억령(林億齡)과 교유하였다.
2. 3. 사후
1801년(순조 1) 순천 지역 유생들의 상소로 통정대부 좌승지에 증직되었다가 1812년(순조 12) 증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되었고, 1823년(순조 23) 전라남도 순천의 옥계서원(玉溪書院)에 배향되었다. 순천군 동쪽 명말산 간좌(艮坐)에 안장되었고, 후에 심재(心齋) 송환기가 묘비문을 찬하고, 김지산(金志山)이 신도비(神道碑)를 썼다.정승복의 아들 정사준(鄭思竣)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이순신의 군관으로서 조총 제작에 참여하였다. 아들 정사횡(鄭思竑)은 임진왜란이 터지자 모친의 시묘살이 중이었으나, 조정의 식량이 떨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조카 정빈과 함께 곡식 천여 석을 모아 뱃길로 의주(義州) 행재소에 기부, 운반하였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는 다시 수백 석의 군량미를 모아 충무공(忠武公) 이순신의 휘하에 들어가 노량 해전에 참전하여 적선을 격파하였다. 아들 정사정(鄭思靖)은 형 정사횡(鄭思竑)과 함께 가동들과 의병을 조직해서 적을 방어하면서 곡식을 갹출하여, 임금이 있는 의주(義州) 행재소까지 수송하였다. 손자 정빈은 임진왜란 때 27세의 나이로, 숙부 정사횡(鄭思竑)과 함께 거병, 가동을 거느리고, 군량미 1천 석을 임금이 있던 의주행재소로 수송하는 것을 지원하였다. 아들 정사립(鄭思立)과 사위 정상명(鄭翔溟) 또한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휘하에서 조정에 올리는 장계를 작성하는 최측근 군관으로 활동하였다.
3. 가족
관계 | 이름 및 설명 |
---|---|
증조부 | 정효종(鄭孝終), 예조참의 역임 |
조부 | 정갑선(鄭甲先), 부사과 역임 |
아버지 | 정내(鄭鼐), 돈용교위 역임 |
어머니 | 개성 왕씨, 습독(習讀) 왕침(王琛)의 딸 |
배우자 | 죽산 안씨(竹山安氏), 군수(郡守) 안수금(安秀嶔)의 딸, 슬하 2남 2녀 (정사안, 정사익, 정유경의 남편, 한척의 남편) |
배우자 | 연안 김씨(延安金氏), 부사(府使) 김엽(金燁)의 딸, 슬하 3남 2녀 (정사준, 정사횡, 정사정, 이명남의 남편, 안방준의 남편) |
배우자 | 의령 남씨(宜寧南氏), 참군(參軍) 남기(南沂)의 딸, 슬하 1남 1녀 (정사립, 정상명의 남편) |
장남 | 정사안(鄭思安, 요절) |
장남의 배우자 | 미상, 손녀는 김용(金容)의 처 |
차남 | 정사익(鄭思翊) |
차남의 자녀 | 손자: 정돈(鄭惇), 정빈(鄭賓), 정순(鄭恂), 정열(鄭悅) |
삼남 | 정사준(鄭思竣) |
삼남의 자녀 | 손자: 정선(鄭愃), 정론(鄭惀), 손녀: 이집(李潗)의 처 |
사남 | 정사횡(鄭思竑) |
사남의 자녀 | 손자: 정희(鄭憘), 정회(鄭懷), 손녀: 조기번(趙基蕃)의 처, 감역 이기영(李耆英)의 처, 현감 이우신(李遇臣)의 처, 진사 김우(金俁)의 처 |
오남 | 정사정(鄭思靖) |
오남의 자녀 | 손자: 정면(鄭愐), 정출(鄭怵), 정인(鄭䄷) |
육남 | 정사립(鄭思立) |
육남의 자녀 | 손자: 정담(鄭憺), 정침(鄭忱) |
딸 | 정유경(鄭惟敬) |
사위 | 미상 |
딸 | 한척(韓惕) |
사위 | 미상 |
딸 | 이명남(李命男) |
사위 | 미상 |
딸 | 안방준(安邦俊) |
사위 | 미상 |
딸 | 정상명(鄭翔溟) |
사위 | 미상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