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연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연원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중종 반정 직후 정국원종공신에 녹선되었으며 김안국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1516년 생원과에 장원하고 1522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권지가 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대사간, 관찰사, 대사성, 형조참판 등을 역임했다. 명종 즉위 후 호조판서, 병조판서, 좌찬성 등을 지냈으며, 을사사화 공신으로 위사공신 2등에 봉해지고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 영의정에 이르렀다. 그는 문장이 뛰어나고, 제주 목사 재임 시 지도를 제작하는 등 업적을 남겼으며, 명종의 부인이 된 손녀 인순왕후를 배출하여 외척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을묘왜변 관련자 - 이준경
이준경은 조선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명종 대에 영의정을 지냈고 선조 즉위 후 원상으로서 국정을 주도했으며, 을사사화 때 사림을 보호하고 을묘왜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운 문신이자 정치가이다. - 을묘왜변 관련자 - 이광식 (1493년)
조선 시대 무신 이광식은 무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거치며 변방 방비와 민생 안정에 힘썼고 을묘왜변 당시 왜적 토벌에 공을 세웠으며 사후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 위사공신 - 홍언필
홍언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갑자사화와 기묘사화에 연루되기도 했으나 여러 관직을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고 을사사화에 가담하여 위사공신에 책록되었으며, 시서화에도 능했던 인물이다. - 위사공신 - 이기 (1476년)
이기(李芑)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중종반정 공신이자 을사사화에 가담하여 우의정과 좌의정을 역임했으나, 만년의 권력 농단과 을사사화에 대한 비판으로 사후 훈작이 추삭되었다.
심연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심연원 |
한자 이름 | 沈連源 |
군호 |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
출생일 | 1491년 |
사망일 | 1558년 |
국적 | 조선 |
종교 | 유교(성리학) |
자 | 맹용(孟容) |
호 | 보암(保庵) |
시호 | 충혜(忠惠) |
학력 | |
학력 사항 | 1516년 생원과에 장원 급제 1522년 식년문과에 급제 1526년 문과 중시(重試)에 급제 |
가족 관계 | |
부 | 심순문(沈順門) |
모 | 증 정경부인 평산 신씨 |
배우자 | 정경부인 경주 김씨 |
자녀 | 1남 3녀 |
아들 | 청릉부원군 심강 |
형제 | 심달원(동생) 심봉원(동생) 심통원(동생) |
친인척 | 신영석(외조부) 김당(장인) 전성군 이대(사돈) 이원빈(사위) 윤건(사위) 이인건(사위) 인순왕후(손녀) 심인겸(손자) 심의겸(손자) 심예겸(손자) 심지겸(손자) 심신겸(손자) 심충겸(손자) 심효겸(손자) 심제겸(손자) 명종(손서) 임영로(손서) 추계수 이벽(손서) |
관직 및 업적 | |
직책 | 조선의 영의정 |
서훈 | 위사공신 2등 |
2. 생애
1506년 학생 신분으로 중종 반정 직후 동생인 심달원과 함께 정국원종공신 3등에 녹선되었다.[1] 김안국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중종 때인 1516년 생원과에 장원하였고, 1522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권지가 되었다. 이후 승문원 정자·예문관 검열·대교·봉교 등을 거쳐, 1526년 다시 문과 중시에 급제, 의정부 검상, 사복시 부정, 경상도 진휼 경차관, 의주목사, 군기시 정, 동부승지(同副承旨), 병조참의를 거쳐, 사간원 대사간, 경상도 관찰사, 공조참판, 사헌부 대사헌, 성균관 대사성, 1542년 특진관, 형조참판에 이르렀을 때, 그의 손녀가 경원대군(훗날의 명종)의 부인(대군부인, 부부인)이 되었다. 이후, 한성부 좌윤, 사역원 제조, 호조참판, 병조참판 등을 지냈다.
1545년(명종 즉위년) 호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지경연관사, 병조판서, 의정부 좌참찬, 예조판서, 의정부 우찬성, 판의금부사, 의정부 좌찬성 등을 지냈다.[1] 1548년 을사사화에 대한 추가 공신 책록으로, 위사공신 2등으로 청천군(靑川君)에 봉해지고[2], 의정부 우의정에 올랐다. 1549년 의정부 좌의정에 오르고, 1550년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으로 진봉되었다.[3] 1550년 좌의정 겸 춘추관 감사로서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을 총괄 감독하였다.[3] 1551년 의정부 영의정에 올랐다. 1557년 영의정으로서 세자시강원 부(왕세자의 사부)를 겸하였다. 1558년 노환으로 영의정에서 물러나,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진출
1506년 학생 신분으로 중종 반정 직후 동생인 심달원과 함께 정국원종공신 3등에 녹선되었다.[1] 김안국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중종 때인 1516년 생원과에 장원하였고, 1522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권지가 되었다. 이후 승문원 정자·예문관 검열·대교·봉교 등을 거쳤다.[1] 1526년 다시 문과 중시에 급제, 의정부 검상, 사복시 부정, 경상도 진휼 경차관, 의주목사, 군기시 정, 동부승지(同副承旨), 병조참의를 거쳐, 사간원 대사간, 경상도 관찰사, 공조참판, 사헌부 대사헌, 성균관 대사성, 1542년 특진관, 형조참판 등을 역임했다.2. 2. 중종 재위 기간 관료 생활
1506년 학생 신분일 때 중종 반정 직후 동생인 심달원과 함께 정국원종공신 3등에 녹선되었다.[1] 김안국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중종 때인 1516년 생원과에 장원하였고, 1522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권지가 되었다. 이후 승문원 정자·예문관 검열·대교·봉교 등을 거쳐, 1526년 다시 문과 중시에 급제, 의정부 검상, 사복시 부정, 경상도 진휼 경차관, 의주목사, 군기시 정, 동부승지(同副承旨), 병조참의를 거쳐, 사간원 대사간, 경상도 관찰사, 공조참판, 사헌부 대사헌, 성균관 대사성, 1542년 특진관, 형조참판에 이르렀을 때, 그의 손녀가 경원대군(훗날의 명종)의 부인(대군부인, 부부인)이 되었다. 이후, 한성부 좌윤, 사역원 제조, 호조참판, 병조참판 등을 지냈다.2. 3. 명종 재위 기간 정승 역임
1545년(명종 즉위년) 호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지경연관사, 병조판서, 의정부 좌참찬, 예조판서, 의정부 우찬성, 판의금부사, 의정부 좌찬성 등을 지냈다.[1] 1548년 을사사화에 대한 추가 공신 책록으로, 위사공신 2등으로 청천군(靑川君)에 봉해지고[2], 의정부 우의정에 올랐다. 1549년 의정부 좌의정에 오르고, 1550년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으로 진봉되었다.[3] 1550년 좌의정 겸 춘추관 감사로서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을 총괄 감독하였다.[3] 1551년 의정부 영의정에 올랐다. 1557년 영의정으로서 세자시강원 부(왕세자의 사부)를 겸하였다. 1558년 노환으로 영의정에서 물러나, 영중추부사가 되었다.3. 업적
심연원의 문장은 아름다우면서도 날카로웠으며, 중국과의 국경선을 자세히 알고 있었다. 제주 목사로 있을 때 산과 강의 높낮이·굴곡 등을 자세하게 지도로 잘 그려 두었다. 1555년 을묘왜변 때, 해적들이 쳐들어오자 이를 이용하여 잘 막아내었다.
4. 가계 및 가족 관계
심연원은 세조 때 영의정을 지낸 청송부원군 심회의 증손이며, 갑자사화 때 연산군에 의해 참수된 심순문(沈順門)의 장남이다. 소헌왕후의 아버지 심온은 그의 고조부가 된다.
기묘명현 심달원, 동지돈녕부사 심봉원(沈逢源), 명종 때 좌의정을 지낸 심통원의 형이다.
청릉부원군 심강의 아버지이며, 명종비 인순왕후, 선조 때 병조판서를 지낸 서인의 초대 영수 청양군 심의겸, 청림군 심충겸 형제의 할아버지이다.
- 할아버지 : 심원(沈湲)
- 아버지 : 심순문(沈順門) - 증 영의정
- 어머니 : 증 정경부인 평산 신씨(贈 貞敬夫人 平山 申氏) - 사헌부 감찰 신영석(申永錫)의 딸
- 동생 : 심달원(沈達源) - 기묘명현(己卯名賢)
- 동생 : 심봉원(沈逢源)
- 동생 : 심통원(沈通源) - 좌의정
- 부인 : 정경부인 경주 김씨(貞敬夫人 慶州 金氏) - 좌찬성 공절공 김당(恭節公 金璫)의 딸
- 아들 : 심강(沈鋼) - 명종의 국구, 영돈녕부사, 증 영의정
- 며느리 : 완산부부인 전주 이씨(完山府夫人 全州 李氏) - 용강현령 증 영의정 전성군 이대(全城君 李薱)의 딸, 효령대군의 5세손
- 손자 : 심인겸(沈仁謙)
- 손자 : 심의겸(沈義謙) - 병조판서
- 손자 : 심예겸(沈禮謙) - 증 영의정
- 손자 : 심지겸(沈智謙)
- 손자 : 심신겸(沈信謙)
- 손자 : 심충겸(沈忠謙) - 병조판서, 증 좌찬성
- 손자며느리 : 증 정경부인 전주 이씨(贈 貞敬夫人 全州 李氏) - 조선 제11대 국왕 중종 왕자 봉성군의 딸
- 손자 : 심효겸沈孝謙)
- 손자 : 심제겸(沈悌謙)
- 손녀 : 인순왕후(仁順王后)
- 손서 : 조선 제13대 국왕 명종
- 손녀 : 청송심씨
- 손서 : 풍천임씨 문과장원급제 종부시정 임영로(任榮老) - 한성부판윤 문정공 임열(文靖公 任說)의 아들
- 손녀 : 청송심씨
- 손서 : 전주이씨 추계수 이벽(秋溪守 李鼊) - 수원군 이덕수(水原君 李德守)의 아들
- 딸 : 전주이씨 주부 이원빈(李元賓)에게 출가
- 딸 : 파평윤씨 부사 윤건(尹健)에게 출가
- 딸 : 전주이씨 현감 이인건(李仁健)에게 출가
- 사돈 : 용강현령 증 영의정 전성군 이대(全城君 李薱)
- 장인 : 좌찬성 공절공 김당(恭節公 金璫)
- 외조부 : 사헌부 감찰 신영석(申永錫)
4. 1. 가계
심연원은 조선 세조 때 영의정을 지낸 청송부원군 심회의 증손이며, 갑자사화 때 연산군에 의해 참수된 심순문(沈順門)의 장남이다. 소헌왕후의 아버지 심온은 그의 고조부가 된다.기묘명현 심달원, 동지돈녕부사 심봉원, 명종 때 좌의정을 지낸 심통원의 형이다.
청릉부원군 심강의 아버지이며, 명종비 인순왕후, 선조 때 병조판서를 지낸 서인의 초대 영수 청양군 심의겸, 청림군 심충겸 형제의 할아버지이다.
4. 2. 형제 관계
심순문(沈順門)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사헌부 감찰 신영석(申永錫)의 딸인 증 정경부인 평산 신씨이다. 동생으로는 심달원(沈達源), 심봉원(沈逢源), 심통원(沈通源)이 있다. 부인은 좌찬성 공절공 김당(恭節公 金璫)의 딸인 정경부인 경주 김씨이다.4. 3. 혼인 관계
심연원은 정경부인 경주 김씨(貞敬夫人 慶州 金氏)와 혼인하였다. 경주 김씨는 좌찬성 공절공 김당(恭節公 金璫)의 딸이다. 심연원은 경주 김씨와의 사이에서 아들 심강(沈鋼)을 두었다. 심강은 명종의 국구이자 영돈녕부사를 지냈으며,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심강의 부인은 완산부부인 전주 이씨(完山府夫人 全州 李氏)로, 용강현령 증 영의정 전성군 이대(全城君 李薱)의 딸이자 효령대군의 5세손이다.4. 4. 자녀 및 후손
심연원의 할아버지는 심원(沈湲)이며, 아버지는 증 영의정 심순문(沈順門)이다. 어머니는 증 정경부인 평산 신씨(贈 貞敬夫人 平山 申氏)로 사헌부 감찰 신영석(申永錫)의 딸이다. 동생으로는 심달원(沈達源), 심봉원(沈逢源), 심통원(沈通源)이 있다. 심통원(沈通源)은 좌의정을 역임했다.부인은 정경부인 경주 김씨(貞敬夫人 慶州 金氏)로 좌찬성 공절공 김당(恭節公 金璫)의 딸이다. 아들은 심강(沈鋼)이며, 며느리는 완산부부인 전주 이씨(完山府夫人 全州 李氏)이다. 완산부부인 전주 이씨는 용강현령 증 영의정 전성군 이대(全城君 李薱)의 딸이자 효령대군의 5세손이다.
심강은 명종의 국구이자 영돈녕부사를 지냈으며, 증 영의정이다. 심강의 아들, 즉 심연원의 손자는 심인겸(沈仁謙), 심의겸(沈義謙), 심예겸(沈禮謙), 심지겸(沈智謙), 심신겸(沈信謙), 심충겸(沈忠謙), 심효겸(沈孝謙), 심제겸(沈悌謙)이다. 심의겸(沈義謙)은 병조판서를, 심예겸(沈禮謙)은 증 영의정을 지냈다. 심충겸(沈忠謙)은 병조판서를 지내고 증 좌찬성에 올랐다. 심충겸의 부인은 증 정경부인 전주 이씨(贈 貞敬夫人 全州 李氏)로, 조선 제11대 국왕 중종의 왕자 봉성군의 딸이다.
심연원의 손녀 중 한 명은 인순왕후(仁順王后)로 조선 제13대 국왕 명종의 왕비이다. 다른 손녀들은 각각 풍천 임씨 임영로(任榮老), 전주 이씨 이벽(李鼊)과 혼인하였다. 임영로는 문과 장원 급제자이자 종부시정을 지냈으며, 한성부판윤 문정공 임열(文靖公 任說)의 아들이다. 이벽은 수원군 이덕수(水原君 李德守)의 아들이다.
심연원의 딸들은 전주 이씨 이원빈(李元賓), 파평 윤씨 윤건(尹健), 전주 이씨 이인건(李仁健)에게 각각 출가했다.
5. 평가
참조
[1]
문서
정국원종공신녹권
[2]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3]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