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병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병조는 조선 시대 육조 중 하나로 군사 업무를 관장하던 관청이다. 1389년 이성계 세력에 의해 육조 체제가 만들어지면서 시작되었고, 초기에는 병적 관리를 담당했다. 1405년 군사권을 승추부로부터 이관받아 국가의 군사기관 역할을 수행했으나, 1510년 비변사의 설치와 임진왜란 이후 비변사의 권한 강화로 인해 군사적 기능이 약화되었다. 병조는 판서, 참판, 참의, 정랑, 좌랑 등의 관직으로 구성되었으며, 무선사, 승여사, 무비사 등의 소속 부서를 두었다. 오위, 사복시, 군기시, 훈련원 등 여러 속아문을 관할했으며, 청사는 경복궁 광화문 앞에 위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병조 - 오위
    조선 시대 중앙군의 근간인 오위는 고려 시대 십위군에서 비롯되었으며, 의흥위, 용양위, 호분위, 충좌위, 충무위로 구성되어 각 지역을 방위했으나, 오군영 체제 확립 후 기능이 축소되어 궁궐 수비를 담당하며 명맥을 유지했다.
  • 육조 - 이조 (육조)
    이조는 조선시대 육조 중 하나로, 문관 인사, 관리 평가, 공신 책봉 등 인사행정 전반을 담당하며 태종 때 무관과 여관의 인사권까지 관장하여 조선 최고의 인사행정 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 육조 - 형조
    형조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형벌, 사법, 노비 관련 업무를 담당한 중앙 행정 기관으로, 조선 시대에는 삼심제를 법제화하고 노비 제도를 운영했으며, 갑오개혁 이후 법무아문, 법부 등으로 이어져 현대 대한민국의 법무부와 법원에 해당한다.
  • 나라별 정부 기관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나라별 정부 기관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병조
병조
개요
설치 시기고려 충렬왕 때 군부(軍府) 설치, 조선시대에 정식 관서로 설치
역할군사, 병마에 관한 일
군적(軍籍)
병기
병선
봉수
역참 등 관장
소속이조와 함께 군인 인사 관할
구성
정1품판서 (判書)
종1품좌참찬 (左參贊), 우참찬 (右參贊)
정2품판서 (判書)
종2품참판 (參判)
정3품참의 (參議)
승지 (承旨): 승정원 소속, 병조 업무 담당
종3품정랑 (正郞)
겸사복장 (兼司僕將)
정4품정랑 (正郞)
사직 (司直)
겸사복 (兼司僕)
사용 (司勇)
종4품좌랑 (佐郞)
부사직 (副司直)
부겸사복 (副兼司僕)
부사용 (副司勇)
정5품좌랑 (佐郞)
사정 (司正)
별장 (別將)
종5품부사정 (副司正)
우후 (虞侯)
정6품군기주부 (軍器主簿)
봉사 (奉事)
별대장 (別隊長)
종6품부봉사 (副奉事)
군기부주부 (軍器副主簿)
파총 (把摠)
정7품사령 (司令)
참군 (參軍)
종7품부사령 (副司令)
군관 (軍官)
정8품주부 (主簿)
종8품부주부 (副主簿)
정9품전적 (典籍)
종9품부전적 (副典籍)
기타산학(算學) 교관
산사(算士)
노비
관할 부서
병조 직할 부서병조낭관(兵曹郞官): 병조의 실무 담당
군기시(軍器寺): 병기 제조 및 관리
사복시(司僕寺): 왕실 마필 및 군마 관리
제용감(濟用監): 군수 물자 조달 및 관리
병조 외속 부서훈련도감(訓鍊都監): 수도 방위 및 군사 훈련
어영청(御營廳): 왕실 호위 및 수도 방위
금위영(禁衛營): 수도 방위 및 궁궐 경비
총융청(摠戎廳): 북한산성 방어 담당
수어청(守禦廳): 남한산성 방어 담당
기타
주요 업무군정, 군령, 군사 인사, 병기, 병선, 봉수, 역참 등 총괄
조선 후기 병조국방력 약화와 함께 권한 축소, 훈련도감 등 부서로 기능 분산

2. 역사

병조는 군사권을 장악하고 있었기에 기성, 서전이라 불렸고, 관리의 별칭은 하관이었다. 1389년(공양왕 원년) 이성계 세력에 의해 육조 체제가 만들어진 것이 그 시작이지만, 조선 초기에는 병적을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했다.[1] 1405년(태종 5년) 육조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승추부에서 병조로 군사권이 이양되어 국가 군사 기관이 되었으나,[1] 1510년(중종 5년) 비변사 설치로 인해 군사권이 약화되었다.[1]

직책은 무선, 군무, 의위, 우역, 병갑, 기장이었다. 무선은 이조의 서임 없이 무관을 임면할 수 있었다.

2. 1. 초기 기능

병조는 군사권을 장악하고 있었기에 기성, 서전이라 불렸고, 관리의 별칭은 하관이었다. 1389년(공양왕 원년) 이성계 세력에 의해 육조 체제가 만들어진 것이 그 시작이지만, 조선 초기에는 병적을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했다.[1]

2. 2. 군사권 이관

1405년(태종 5년) 육조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그때까지 승추부가 담당하던 군사권이 병조로 이양되어 병조는 국가의 군사 기관이 되었다.[1]

2. 3. 군사권 약화

1510년 (중종 5년) 비변사 설치로 인해 병조의 군사권이 약화되었다.[1]

2. 4. 임진왜란 이후

임진왜란 이후 비변사의 권한이 강화되면서 병조의 군사권은 더욱 약화되었다.[1]

3. 구성

병조는 정2품 판서 1명, 종2품 참판 1명, 정3품 참의와 참지 각 1명, 정5품 정랑 3명, 정6품 좌랑 3명 등으로 구성되었다. 그 외에도 록사, 서리, 서사, 고직, 대청직, 문서직, 피궤직, 방직, 다모, 사령, 군사 등이 있었다.[1]

3. 1. 주요 관직

품계관직정원비고
정2품판서1명현재의 국방부장관
종2품참판1명현재의 국방부차관
정3품참의, 참지각 1명품계는 같으나 참의가 참지의 윗서열이다.
정5품정랑3명무선사, 승여사, 무비사에 각 1인
정6품좌랑3명무선사, 승여사, 무비사에 각 1인
록사 1명, 서리 100명, 서사 1명, 고직 7명, 대청직 2명, 문서직 6명, 피궤직 4명, 방직 9명, 다모 7명, 사령 10명, 군사 2명


3. 2. 기타 관직

공이 있고 덕이 있는 신하, 공신, 원로대신들에게 주는 직책으로 판병조사(判兵曹事)가 있었다. 녹봉만 받고 실제 병조 업무는 행사하지 않는 명예직에 가까웠다.

3. 3. 인원 구성

병조의 인원 구성
품계관직정원비고
정2품판서1명현재의 국방부장관
종2품참판1명현재의 국방부차관
정3품참의, 참지각 1명품계는 같으나 참의가 참지의 윗서열이다.
정5품정랑3명무선사, 승여사, 무비사에 각 1명
정6품좌랑3명무선사, 승여사, 무비사에 각 1명
기타록사, 서리, 서사, 고직, 대청직, 문서직, 피궤직, 방직, 다모, 사령, 군사1명, 100명, 1명, 7명, 2명, 6명, 4명, 9명, 7명, 10명, 2명-


4. 소속 부서

병조 본청에는 3개의 속사(屬司)가 있었으며, 각 정랑과 좌랑 각 1인이 할당되었다.


  • 무선사(武選司): 무관 관원 인사 관련 사무를 담당하였다.
  • 승여사(乘輿司): 군사용 말 관리와 보충대 편성 사무를 담당하였다.
  • 무비사(武備司): 갑병 명단, 무예 훈련, 지도 제작, 국경 지역 요새 관리, 봉화 관련 사무를 담당하였다.


이러한 주요 부서 이외에도 시기에 따라 일군색(一軍色), 이군색(二軍色) 등의 부서가 존재하였다.[1]

4. 1. 무선사(武選司)

무선사는 무관 관원의 인사, 발령, 무과 과거시험 시행, 천거, 부위(관청 경비), 군융(군인 선발) 사무를 담당하였다.[1]

4. 2. 승여사(乘輿司)

승여사는 군대에서 사용하는 말을 관리하고, 보충대를 편성하는 등의 사무를 담당하였다.[1]

4. 3. 무비사(武備司)

무비사는 중앙과 지방 갑병(甲兵)의 명단 관리, 무예 훈련, 지도 제작, 진융(鎭戎)·성보(城堡)와 국경 지역 요새 관리, 봉화, 출정(出征) 등의 사무를 담당하였다.[1]

무비사 담당 사무
담당 사무
중앙과 지방 갑병(甲兵)의 명단 관리
무예 훈련
지도 제작
진융(鎭戎)·성보(城堡)와 국경 지역 요새 관리
봉화·출정


4. 4. 기타 부서

병조 본청에는 3개의 속사(屬司, 소속 부서)가 있었으며, 각 정랑과 좌랑 각 1인이 할당되었다. 이러한 주요 부서 이외에도 시기에 따라 일군색(一軍色), 이군색(二軍色) 등의 부서가 존재하였다.[1]

5. 속아문

병조의 속아문에는 오위, 사복시, 군기시, 전설사, 세자익위사, 훈련원, 비변사 등이 있었다.[1] 비변사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의정부와 동등한 최고 관청으로 승격되었다.[1]

5. 1. 오위(五衛)

오위(五衛)는 병조에서 관장하는 속아문(屬衙門, 하급 관청) 중 하나였다.[1]

5. 2. 사복시(司僕寺)

사복시조선시대에 병조의 속아문(屬衙門, 하급 관청)이었다.[1]

5. 3. 군기시(軍器寺)

군기시(軍器寺)는 조선 시대 병조의 속아문(屬衙門, 하급 관청) 중 하나로, 무기 제조를 담당하였다.[1]

5. 4. 전설사(典設司)

전설사는 병조에 소속된 하급 관청 중 하나였다.[1]

5. 5.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는 병조에서 관장하는 속아문(屬衙門, 하급 관청) 중 하나였다.[1]

5. 6. 훈련원(訓鍊院)

훈련원은 조선 시대 군사 훈련을 담당하던 기관이다.[1] 병조에서 관장하는 속아문(屬衙門, 하급 관청) 중 하나였다.[1]

5. 7. 비변사(費邊司)

비변사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의정부와 동등한 최고 관청으로 승격되었다.[1]

6. 청사

병조 청사는 경복궁 광화문 앞 세종대로 서편에 있었으며,[3] 판서, 참판, 참의, 참지 등 당상관이 근무하던 당상대청과 정랑, 좌랑이 근무하던 낭청대청 등의 건물이 있었다.

6. 1. 위치

경복궁 광화문 앞 세종대로 서편에 있었으며,[3] 판서, 참판, 참의, 참지가 근무하던 당상대청, 정랑과 좌랑이 근무하던 낭청대청 등의 건물이 존재하였다.

6. 2. 건물

병조 청사는 경복궁 광화문 앞 세종대로의 서편에 있었으며,[3] 판서, 참판, 참의, 참지가 근무하던 당상대청, 정랑과 좌랑이 근무하던 낭청대청 등의 건물이 존재하였다.

참조

[1] 텍스트
[2] 텍스트
[3] 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