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정진집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정진집단은 1943년 일본 육군이 창설한 사단 규모의 공수 부대로, 태평양 전쟁 중 여러 작전에 투입되었다. 1930년대 후반부터 공수 부대 개발을 시작하여, 독일 공수 부대의 성공적인 작전을 참고하여 창설되었다. 1942년 팔렘방 전투에 처음 실전에 투입되었으나, 이후 높은 사상자 비율과 훈련의 어려움으로 인해 작전 투입이 제한되었다. 필리핀 전역에 투입되어 루손 섬 방어전을 수행했으나, 연합군의 공격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종전 시까지 일부 병력이 본토 방어 및 기타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했으며, 다양한 장비를 사용하고 실험적인 무기를 개발하려 했으나, 대부분 실현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사단 - 제6사단 (일본군)
제6사단은 구마모토 진대를 모체로 창설된 일본 제국 육군 사단으로, 주요 전쟁에 참전했으나 난징 대학살 가담과 태평양 전쟁에서의 괴멸 직전 상황, 주요 지휘관들의 전쟁 범죄 처벌 등으로 어두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사단 - 제5사단 (일본군)
제5사단은 1888년 창설되어 청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일본 제국주의 주요 전쟁에 참전한 일본군 사단으로, 청일 전쟁에서 청군을 몰아내고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에서 활약했으나 뉴기니 전역에서 큰 피해를 입고 종전 후 해체되었다.
제1정진집단 | |
---|---|
기본 정보 | |
명칭 | 제1정진집단 |
원어 명칭 | 第一挺進集団 (다이이치 테이신슈단) |
통칭 | 란 (鸞, 란) |
군사 정보 | |
소속 | 일본 제국 육군 |
병과 | 공수부대 (낙하산병, 글라이더병) |
규모 | 집단 (사단 상당) |
상급 부대 | 제14방면군 |
역사 | |
창설 | 1944년 11월 30일 |
해체 | 1945년 |
활동 기간 | 1944년 ~ 1945년 |
담당 지역 | 미야자키현 필리핀 |
편성지 | 가와미나미무라 |
최종 위치 | 필리핀 루손섬 |
주요 전투 | |
참전 | 태평양 전쟁 (루손섬 전투) |
2. 역사
1944년 11월, 제2차 필리핀 전역에 대응하기 위해 제2정진단이 창설되고 정진연습부가 정진집단 사령부로 재편성되면서 제1정진집단이 창설되었다. 쓰카다 리키치 소장이 제1정진집단장에 임명되었다. 부대는 곧바로 필리핀 루손섬으로 전개하기 위해 수송선에 올랐다.
12월 11일, 정진비행단 사령부는 수송선에 승선했다가 전멸하였다. 12월 19일에는 제1정진집단 사령부의 일부, 활공보병 제1연대, 정진통신대, 정진공병대의 각 1개 중대, 정진비행전대의 일부, 제103비행장중대가 운류에 승선하여 필리핀으로 향하던 중, 운류가 격침되면서 전멸하였다.[2]
12월 29일, 나머지 정진집단 사령부는 산페르난도에 상륙하여 클라크 지구 비행장에 지휘소를 설치하고 방어 준비를 하였으나, 활공보병 제2연대, 정진기관포대, 정진통신대만이 도착하였다. 이후 정진집단은 제10사단 보병 제39연대와 여러 육군 및 해군 항공부대를 지휘하는 루손 북서부 지구 방어대인 建武集団(켄부집단)의 사령부가 되었고, 야마시타 도모유키 중장의 제14방면군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
제1정진공병대와 정진 제1연대 소속 작업중대는 루손섬에 배치되었으나, 운송 수단 부족으로 클라크 지구 비행장까지 가지 못하고 바기오에서 유격대와 전투를 벌였고, 이후 독립혼성 제58여단으로 전속되었다.
2. 1. 창설 배경
일본 제국 육군은 1930년대 후반에 공수 강하 부대를 개발했지만, 1940년 전격전 당시 독일 공수 부대의 성공을 검토하기 전까지 대본영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3]이에 일본 육군은 1940년(쇼와 15년) 말에 하마마츠 육군 비행학교에 연습부를 설치하고, 다음 1941년(쇼와 16년)에 만주의 백성자 육군 비행학교로 이전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육군 항공총감부에 예속된 '''육군 정진 연습부'''가 되어 미야자키현의 닛타바루로 옮겨졌다. 이 육군 정진 연습부가 일본 육군 공수부대 연구·양성의 중심이 되었다.[4]
태평양 전쟁 초반, 남방 작전을 위해 2개 정진연대와 정진 비행 전대 (수송기대)로 구성된 제1정진단이 편성되었다. 이는 일반 일본 육군 항공 부대의 비행단에 해당하는 여단 규모의 부대로, 단장에는 정진 연습부장이었던 구메 세이이치 대좌가 부임했다. 타국의 공수부대와 비교하면 육전 요원뿐만 아니라 수송기 부대까지 포함한 편성이 특징이다. 동 부대는 팔렘방 강하 작전을 실시했다.

1942년 6월, 남방 작전 종료 후 제1정진단은 일본 본토로 귀환하여 복귀했으며, 예하 부대는 정진 연습부 아래로 모였다. 1943년(쇼와 18년)에 다시 제1정진단이 동원되어 뉴기니 전선으로 향했지만, 실제로 작전에 투입되지 않고 1944년(쇼와 19년) 7월에 본토로 귀환했다.
일본 육군은 글라이더 공수부대 편성과 같은 공수부대 확충을 추진했으며, 그 일환으로 비행 사단급 부대의 창설도 검토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개 사단의 창설안이 나왔지만 실현되지 않은 채, 1944년 10월 연합군의 필리핀 반격을 맞이하여, 11월 초에 일단 여단급의 제2정진단이 새로 동원되었다. 그 후, 같은 달 11월 말에 정진 연습부를 폐지하고 제1정진집단이 편성되어, 일본 육군 최초이자 유일한 사단 규모의 공수부대가 탄생하게 되었다. 집단 사령부는 11월 26일에 편성이 하달되어, 같은 달 30일에 편성이 완료되었다. 제1정진집단의 예하에는 2개의 정진단을 비롯해, 수송기 부대인 정진 비행단 등 모든 육군 공수부대가 소속되었다. 집단장에는 정진 연습부장이었던 쓰카다 리키치소장이 그대로 부임했다.[5]
2. 2. 주요 작전
- 팔렘방 전투 (1942년 2월): 일본 제국 육군 제1공수 습격 연대 소속 425명이 네덜란드령 동인도(현재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팔렘방 비행장을 점령하고, 제2공수 습격 연대가 도시와 정유 시설을 점령했다.[4] 제1습격 연대는 수송선 메이코 마루의 화재 침몰로 장비를 잃고 작전에 참여하지 못했다.[1]
- 버마 전역 (1942년): 일본군 공수부대가 투입되었으나 작전은 중단되었다.
- 제2차 필리핀 전역
- 루손 전투: 제1정진집단은 루손섬 방어를 위해 투입되었으나, 주력 부대는 수송선 침몰 등으로 전멸하거나 전개하지 못했다. 잔존 부대는 클라크 공군기지 방어를 담당하는 建武集団에 편성되어 야마시타 도모유키 중장의 제14방면군 지휘를 받았다.[5] 1945년 1월 클라크 지구 전투에서 큰 피해를 보고 피나투보산으로 후퇴했으며, 종전 시 생존자는 100여 명에 불과했다.[7]
- 레이테 전투: 제2정진단은 제4항공군 지휘를 받다가 제4비행사단으로 전속되었다.[8] 제10사단과 함께 전투에 투입되었으며, 종전 시 잔존 인원은 약 80명이었다.
- 오키나와 전투: 본토에 잔류한 제1정진단 일부가 의열공정대로 특공 작전에 투입되었다.
2. 3. 종전
제1정진단은 본토에 남아 예비대로 항공총군 직할 배속 부대가 되었다. 오키나와 전투에서 분견대인 기레쓰 공정대가 유격전을 펼쳤고,[3] 마리아나 제도와 오키나와에 대한 몰락 작전에 대비한 결호 작전을 위해 미야자키현 가와미나미, 홋카이도 지토세 비행장, 지바현 요코시바 등지에서 주둔하며 종전을 맞이했다.[3]3. 편제
1944년 11월, 제2차 필리핀 전역에 대응하기 위해 제2정진단이 창설되고 정진연습부가 정진집단 사령부로 재편성되면서 제1정진집단이 창설되었다. 제1정진집단은 2개의 정진단과 1개의 정진비행단으로 구성되었다. 각 정진단은 2개의 정진연대로, 정진비행단은 3개의 비행전대와 비행장중대로 편성되었다.[5]
각 부대의 상세 편제는 다음과 같다.
- '''제1정진단''' (1RB)
- 정진 제1연대 (1Ri)
- 정진 제2연대 (2Ri)
- '''제2정진단''' (2RB) (威19040)
- 정진 제3연대 (3Ri) (威9948)
- 정진 제4연대 (4Ri) (鸞9949)
- '''제1정진비행단''' (RFB) ( 19150)
- 정진비행 제1전대 挺進飛行戦隊일본어
- 정진비행 제1전대 (2RFR)
- 활공비행 제1전대
- 제101비행장중대
- 제102비행장중대 (帥19152)
- 제103비행장중대
- 통신대 (鸞19151)
- 활공보병 제1연대 (1Ki) (鸞19045)
- 활공보병 제2연대 (2Ki) (鸞19046)
- 제1정진전차대 挺進戦車隊일본어 (1RTK)
- 제1정진기관포대 (鸞19047)
- 제1정진공병대 (鸞19048)
- 제1정진통신대 (鸞19044)
- 제1정진정비대
제1정진집단에 배속된 부대의 부대명에 덧붙여진 괄호 안의 통칭은 후생성 원호국에서 작성한 부대 약력에 기재된 것이며, 창설 시점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정진집단 예하 부대의 원래 병단 문자는 '난(鸞)'이다.
3. 1. 부대 구성
부대 | 통칭 | 비고 |
---|---|---|
제2정진단 | 威19040 | |
제1정진비행단 | 19150 | |
활공보병 제1연대 | 鸞19045 | |
활공보병 제2연대 | 鸞19046 | |
제1정진전차대 | 1RTK | |
제1정진기관포대 | 鸞19047 | |
제1정진공병대 | 鸞19048 | |
제1정진통신대 | 鸞19044 | |
제1정진정비대 |
4. 지휘부
쓰카다 리키치 소장이 1944년 11월에 제1정진집단장으로 임명되었다.[5] 제1정진집단은 제2차 필리핀 전역에 대응하기 위해 같은 해 11월에 제2정진단을 창설하고 정진연습부를 정진집단 사령부로 재편성하면서 창설되었다.
제1정진집단 사령부(鸞19038)의 주요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 고급참모: 오카다 야스하루(岡田安治) 대좌
- 참모: 후지다 고지로(藤田幸次郎) 소좌
- 고급부관: 고바야시 게사오(小林朝男) 중좌
- 경리부원: 고야마 지유키(小山致航) 주계대좌
- 군의부장: 마스다 후미오(益田二三雄) 군의중장
4. 1. 연습부 부장
# | 계급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
초대 | 久米精一|구메 세이이치일본어 대좌 | 1941년 10월 | 1941년 12월 | |
2 | 가와시마 게이고 중좌 | 1941년 12월 | 1942년 6월 | |
3 | 久米精一|구메 세이이치일본어 대좌 | 1942년 6월 | 종전 | |
4 | 쓰카다 리키치 소장 | 1944년 11월 | 종전 |
4. 2. 집단장
쓰카다 리키치 소장(후에 중장)은 1944년 11월부터 종전 때까지 제1정진집단장을 역임했다.[5] 그는 이전에는 정진 연습부장을 역임했다.[5]
# | 계급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
초대 | 소장/중장 | 쓰카다 리키치 | 1944년 11월 | 종전 |
4. 3. 참모
- 고급참모: 오카다 야스하루(岡田安治) 대좌
- 참모: 후지다 고지로(藤田幸次郎) 소좌
- 고급부관: 고바야시 게사오(小林朝男) 중좌
- 경리부원: 고야마 지유키(小山致航) 주계대좌
- 군의부장: 마스다 후미오(益田二三雄) 군의중장
5. 장비
제1정진집단은 다양한 종류의 장비를 사용했다. 보병 장비, 대전차 화기, 전차, 항공기로 분류할 수 있다.
보병 장비[1]
대전차 화기[1]
- 97식 20mm 대전차총
- 97식 유탄발사기
- 11식 70mm 보병 박격포
- 99식 81mm 박격포
- 11식 37mm 보병포
- 4식 70mm 대전차 로켓 발사기
- 5식 45mm 무반동포 (일부)
전차[1]
- 95식 경전차
- 2식 경전차
항공기[1]
- 97식 중폭격기
- 100식 수송기
- 쿠-8 II 글라이더
일부 중화기는 특수 낙하산 용기에 담겨 투하되었다. 전쟁 후반에는 4식 70mm 대전차 로켓 발사기와 5식 45mm 무반동포와 같은 실험적인 대전차 무기를 포함한 일부 첨단 무기를 장비할 계획이었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정진' 부대는 마에다 Ku-6 비행 전차를 비롯한 특별 3형 비행 전차 '소라' 또는 '쿠로'와 같은 실험적인 날개 달린 전차를 사용할 예정이었으나 생산되지 않았다.
6. 평가
제1정진집단은 일본 육군 최초의 사단급 공수부대였으나, 실전 경험과 장비 부족, 연합군의 제공권 장악으로 인해 큰 활약을 보이지는 못했다. 특히 수송기 부족과 낙하산 훈련 부족은 공수부대로서의 작전 능력을 크게 제한했다.[1]
팔렘방 전투에서의 성공적인 작전 수행은 일본군 공수부대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이후 필리핀 전역에서 제1정진집단은 큰 피해를 보았다. 루손 섬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항공모함 운류가 격침되어 많은 병력과 장비를 잃었고,[6] 클라크 지구 전투에서는 궤멸에 가까운 피해를 보고 피나투보 산으로 후퇴해야 했다.[7]
결과적으로 제1정진집단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제한적인 역할만을 수행했으며, 많은 인명 피해를 보았다.
참조
[1]
서적
Rikugun: Guide to Japanese Ground Forces 1937-1945: Volume 1
Helion and Company
2015
[2]
서적
The Story of World War II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001
[3]
문서
土肥原賢二「陸軍挺進練習部編成並白城子陸軍飛行学校練習部復帰完結の件報告」[[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JACAR) Ref.C04123718200
[4]
문서
土肥原賢二「第1挺進団臨時編成完結に関する書類提出の件報告」JACAR Ref.C04123676400
[5]
간행물
防衛研究所|防衛庁防衛研修所
1976
[6]
간행물
1976
[7]
간행물
1976
[8]
간행물
방위청방위연수소전사실
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