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대 멜버른 자작 윌리엄 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대 멜버른 자작 윌리엄 램은 18세기 후반에 태어나, 휘그당과 토리당을 오가며 정치 경력을 쌓은 영국의 정치가이다. 그는 하원 의원을 거쳐, 조지 캐닝 내각에서 아일랜드 수석 비서관을 역임했고, 이후 1830년 내무 장관, 1834년과 1835년부터 1841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총리를 지냈다. 빅토리아 여왕 즉위 후에는 여왕의 정치적 조언자 역할을 했으며, 1841년 총리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여왕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관계를 유지했다. 멜버른은 중도적인 정치 성향을 보였으며, 자유 무역과 민주주의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제6대 하원 의원 - 윌리엄 윌버포스
    윌리엄 윌버포스는 복음주의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노예 무역 폐지 운동을 주도하고 도덕 개혁 운동, 선교 활동, 동물 복지 등 다양한 사회 운동에 헌신한 영국의 정치인이자 자선가이다.
  • 영국의 제6대 하원 의원 - 제1대 러셀 백작 존 러셀
    존 러셀은 1792년에 태어나 1878년에 사망한 영국의 정치인으로, 휘그당 출신으로 개혁법 제정을 주도하고 곡물법 폐지를 이끌었으며, 두 차례 총리를 역임하고 외무 장관을 지냈다.
  • 영국의 제8대 하원 의원 - 제14대 더비 백작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
    제14대 더비 백작 에드워드 조지 제프리 스미스스탠리는 영국의 정치가, 귀족, 지주로서 보수당 당수와 총리를 역임했으며, 휘그당에서 시작하여 보수당으로 당적을 옮겨 빅토리아 시대 주요 정치인으로서 선거법 개정에 기여했다.
  • 영국의 제8대 하원 의원 - 제1대 러셀 백작 존 러셀
    존 러셀은 1792년에 태어나 1878년에 사망한 영국의 정치인으로, 휘그당 출신으로 개혁법 제정을 주도하고 곡물법 폐지를 이끌었으며, 두 차례 총리를 역임하고 외무 장관을 지냈다.
제2대 멜버른 자작 윌리엄 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멜버른 자작의 초상화
"존 파트리지의 멜버른 경의 초상, 1844년"
본명헨리 윌리엄 램
작위제2대 멜버른 자작
존경 칭호각하
출생일1779년 3월 15일
출생지잉글랜드 런던
사망일1848년 11월 24일
사망지하트퍼드셔주 브로켓 홀
안장 장소세인트 에설드레다 교회, 해트필드
윌리엄 램, 제2대 멜버른 자작 서명
잉크로 쓴 필기체 서명
정치 경력
소속 정당휘그당
의회 경력하원 의원
과거 선거구





주요 직책총리
내무부 장관

상원 원내대표
야당 대표
총리 재임 기간
1차1834년 7월 16일 ~ 1834년 11월 14일
2차1835년 4월 18일 ~ 1841년 8월 30일
주요 활동
이전 직책내무부 장관
학력이튼 칼리지
글래스고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가족 관계
부모페니iston 램
엘리자베스 밀뱅크
배우자캐롤라인 폰손비 (1805년 결혼, 1828년 사별)
자녀사산된 아이
조지 오거스터스 프레데릭

2. 초기 생애 및 교육

존 호프너의 1796년 초상화


토머스 로렌스가 그린 젊은 시절의 윌리엄 램


1779년 3월 15일, 런던에서 휘그당을 지지하는 귀족 가문[46]인 페니스턴 램과 그의 아내 엘리자베스 램(1751–1818)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러나 그의 친아버지는 어머니의 불륜 상대로 알려진 조지 와인덤, 제3대 에그몬트 백작이라는 설이 있으며, 실제로 램은 에그몬트 백작과 외모가 상당히 닮았다고 여겨졌다[46][47]. 램은 에그몬트 백작이 사망할 때까지 그의 저택인 페트워스 하우스를 방문했으며, 임종 당시 그의 곁으로 불려가기도 했다. 하지만 램 자신은 에그몬트 백작이 자신의 아버지라는 설에 대해 "모두 거짓말"이라고 부인했다.

램은 명문 사립학교인 이튼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고, 1796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하여 1799년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1799년부터 1801년까지는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동생 프레더릭 램과 함께 존 밀러 교수의 개인 지도를 받았다. 1797년 링컨 법학원에 입학하여 법률 공부를 시작했고, 1804년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48].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는 허트퍼드셔 의용 보병대에 입대하여 1803년 대위, 1804년 소령으로 복무했다.

원래 차남이었기에 작위를 계승할 예정은 아니었으나, 1805년 형 페니스턴이 사망하면서 아버지의 작위를 이을 후계자가 되었다[46]. 같은 해, 의용 보병대에서 사임하고 미들랜드 부대, 허트퍼드셔 요먼리의 대장이 되었다. 또한 베스버러 백작의 딸이자 소설가인 캐롤라인 폰손비 부인과 결혼했다[46][49]. 결혼 후 두 번의 유산과 사산을 겪은 뒤, 1807년 아들 조지 어거스터스 프레더릭을 낳았다. 조지는 간질과 정신 장애를 앓아 평생 특별한 보살핌이 필요했으며, 1836년에 사망했다. 1809년에는 딸을 낳았으나, 조산으로 태어나 하루 만에 사망했다.

3. 정치 경력

1806년 영국 하원 의 레오민스터 선거구에서 휘그당 소속으로 처음 당선되어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48] 이후 해딩턴 버그 선거구를 거쳐, 1807년 선거에서는 포타링턴 선거구에서 당선되어 1812년까지 의원직을 유지했다.[13] 그러나 1812년 선거에서는 가톨릭 해방을 지지했다는 이유로 낙선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1816년 선거에서 다시 당선되었을 때는 토리당으로 당적을 옮겼다.[50]

정치 경력 초기인 1812년, 아내인 캐롤라인이 시인 바이런 경과 공개적인 불륜 관계를 맺으면서 큰 스캔들에 휘말렸다.[14][46] 캐롤라인은 바이런을 "미치고, 나쁘고, 알아서는 안 될 위험한 사람"이라고 묘사하기도 했으며,[14] 이 사건은 당시 영국 사회에서 큰 화제가 되었다. 이후 캐롤라인이 1816년 자신들의 결혼 생활과 바이런과의 관계를 노골적으로 묘사한 소설 ''글레나번''을 출판하면서 램은 더욱 곤란한 입장에 처하기도 했다. 이 스캔들은 그의 정치적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두 사람은 1825년 별거했다.[46][49]

3. 1. 토리당 및 캐닝파 활동

1816년 재선되었을 때 토리당으로 이적하였고,[50] 당내 자유주의 파벌인 조지 캐닝의 지지자가 되었다.

1827년 4월 29일, 조지 캐닝과 고드리치 경이 이끄는 온건 토리당 정부가 출범하자 아일랜드 수석 비서관 직을 수락했다.[50][13] 그러나 1827년 8월 캐닝이 사망하고 고드리치 자작의 짧은 내각을 거쳐, 1828년 1월 토리당 보수파인 웰링턴 공작 내각이 들어섰다.

램은 이 내각에 잠시 유임되었으나, 캐닝의 노선을 지지하는 캐닝파(Canningite영어)에 속해 있었다. 캐닝파는 가톨릭 문제와 선거법 개정 문제를 놓고 웰링턴 공작과 대립하였고, 결국 1828년 6월 윌리엄 허스키슨, 팜스턴 자작, 더들리 백작 존 워드 (초대 더들리 백작), 찰스 그랜트 찰스 그랜트 (초대 글레넬그 남작) 등 다른 캐닝파 각료들과 함께 사임했다.[52]

1828년 아버지가 사망하면서 멜버른 자작위를 계승하여 귀족원으로 옮겨갔다.[15]

3. 2. 휘그당 복귀 및 야당 활동

웰링턴 공작 내각에서 다른 캐닝파 각료들과 함께 수상 웰링턴 공작의 보수적인 방침에 반발하여 사임했다. 이후 윌리엄 허스키슨을 중심으로 한 캐닝파에 속하여 야당 활동을 시작했다.

1828년 7월 22일, 부친의 사망으로 멜버른 자작위를 비롯한 작위를 상속받았다. 상속받은 작위 중에는 연합 왕국 귀족의 멜버른 남작위도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귀족원 의원이 되었다.

1830년 9월, 허스키슨이 철도 사고로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멜버른은 팜스턴 자작과 함께 캐닝파 중 허스키슨이 이끌던 파벌의 리더 역할을 맡았다. 멜버른과 팜스턴은 곧바로 휘그당의 홀랜드 남작과 런던에서 만나 양측의 협력을 확인했다. 야당의 결속을 바탕으로, 같은 해 11월 15일 왕실비 반대 동의안을 가결시켜 웰링턴 공작 내각을 총사퇴시키는 데 성공했다.[53]

3. 3. 휘그당 정권 각료

1830년 11월, 조지 4세의 서거와 야당 세력의 결집으로 휘그당, 구 캐닝파, 토리 분파의 연립에 의한 그레이 백작 내각이 성립했다.[54] 멜버른 자작은 이 내각에서 내무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내무 장관으로서 멜버른은 1830년부터 1832년까지 이어진 사회적 소요 사태에 대응해야 했다. 그는 이 기간 동안 "강력하고 민감하게 행동했으며, 개혁적인 동료들은 그에게 진심으로 감사했다"고 평가받는다.[13] 특히 1830년에서 1831년 사이에 발생한 스윙 폭동 당시, 그는 군사력 사용을 거부하며 토리당 소속 치안 판사들의 과잉 대응을 견제했다. 대신 그는 치안 판사들의 기존 권한을 충분히 활용하고, 특별 경관을 배치하며, 폭동 가담자나 선동가 체포에 현상금을 거는 방식을 선호했다. 그는 체포된 약 1,000명의 재판을 위해 특별 위원회를 임명했으며, 재판 과정에서 엄격한 정의가 실현되도록 노력했다. 그 결과, 체포된 이들 중 3분의 1은 무죄로 풀려났고, 사형 선고를 받은 5분의 1은 실제로는 노역 이송으로 감형되었다.[13]

그러나 머서 티드필 폭동의 시위자였던 딕 펜더린의 교수형 집행은 논란의 대상이다. 당시에도 그리고 현재까지도 펜더린은 무죄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은데, 그가 오직 "본보기"를 만들고자 했던 멜버른의 의도 때문에 희생되었다는 주장이 있다.[16] 1831년에서 1832년 사이의 개혁 관련 소요 사태에 대해서도 멜버른은 통상적인 법 집행으로 대응했으며, 반역죄에 대한 비상 입법 제정 요구를 거부했다.[13]

또한 멜버른은 1834년, 농업 노동자들의 임금 삭감에 항의하며 노동조합을 결성하려 했던 톨퍼들 순교자들을 기소하고 오스트레일리아로 노역 이송시키는 결정을 지지했다.

그레이 백작 내각의 최우선 과제는 제1차 선거법 개정이었다. 하지만 개정의 범위와 수준을 두고 각료들 사이에서는 의견 차이가 있었다. 대법관 브룸 남작, 추밀원 의장 더럼 백작, 육군·식민지성 사무 차관 존 러셀 경 등은 급진적인 개혁을 주장했지만, 멜버른 자작과 외무 장관 파머스턴 자작 등은 최소한의 개정만을 원하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55]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레이 백작의 지도력 아래 내각은 분열 없이 1832년 6월, 제1차 선거법 개정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냈다.[56]

3. 4. 제1차 멜버른 내각 (1834)

1834년 5월, 아일랜드 국교회에 징수되던 교회세 전용 문제를 둘러싸고 그레이 백작 내각은 분열되었다. 결국 세금 전용에 반대하던 육군·식민지 장관 스탠리 경(훗날 더비 백작) 등 휘그당 우파가 탈당하면서, 그레이 백작 내각은 1834년 7월 총사퇴했다. 퇴임하는 그레이 백작은 국왕 윌리엄 4세에게 후임 총리로 멜버른 자작을 추천했는데, 이는 영국 역사상 퇴임하는 총리가 후임자를 국왕에게 추천한 첫 사례였다.[57]

당시 국왕 윌리엄 4세는 토리당의 세력이 정부를 구성할 만큼 강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다른 휘그당 인사를 임명해야 했다. 멜버른은 국왕이 받아들이기에 가장 무난하고 휘그당을 통합할 가능성이 높은 인물로 여겨졌다. 그러나 정작 멜버른 본인은 그레이 백작으로부터 국왕이 정부 구성을 논의하기 위해 면담을 요청한다는 서신을 받고 총리직 수락을 망설였다. 그는 총리직에 따르는 과중한 업무를 즐기지 못할 것이라 생각했지만, 동시에 당과 동료들을 실망시키고 싶지 않았다. 찰스 그레빌의 기록에 따르면, 멜버른은 자신의 비서 톰 영에게 "젠장, 지겨워. 어떻게 해야 할지 여러 생각이 들어"라고 토로했다고 한다. 이에 영은 "이런, 빌어먹을, 그런 자리는 그리스나 로마 시대에도 없었어. 단 3개월만 지속되더라도 잉글랜드의 총리가 된 보람은 있을 겁니다"라고 답했고, 멜버른은 "맙소사, 그 말이 맞군. 가겠어!"라며 총리직을 수락하기로 결정했다.[17]

하지만 멜버른 내각은 오래가지 못했다. 국왕 윌리엄 4세는 휘그당의 개혁 정책에 노골적인 반감을 가지고 있었고, 특히 휘그당 좌파인 존 러셀 경을 하원 원내총무로 임명하려는 멜버른의 인선안에 강하게 반대하며 갈등이 깊어졌다. 결국 국왕은 1834년 11월 14일, 멜버른 자작을 총리직에서 파면했다.[58] 이는 영국 군주가 자신의 정치적 선호에 따라 총리를 임명하거나 해임하려 시도한 마지막 사례로 기록된다.[21] 이로써 제1차 멜버른 자작 내각은 불과 4개월 만에 막을 내렸다.[58]

일각에서는 멜버른의 파면이 어느 정도 계산된 행동이었다는 해석도 있다. 즉, 소수 정당인 보수당(토리당)에게 잠시 정권을 넘겨주어 그들의 무능함을 드러낸 뒤, 다시 정권을 잡아 휘그당 정부의 안정성을 확보하려 했다는 것이다.[59]

3. 5. 제2차 멜버른 내각 (1835-1841)

1834년 11월 윌리엄 4세에 의해 파면된 후, 멜버른은 보수당로버트 필이 이끄는 소수 정부가 오래가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59]. 필은 1835년 총선거를 통해 의석을 늘렸으나 과반수 확보에는 실패했다. 멜버른은 휘그당, 급진파, 그리고 오코넬이 이끄는 아일랜드 독립파와의 연합을 통해 아일랜드 교회세 문제를 빌미로 1835년 4월, 필 내각을 총사퇴시켰다.

윌리엄 4세는 여전히 멜버른을 불신하여 그레이 백작에게 다시 조각을 의뢰하려 했으나, 정계 은퇴를 선언한 그레이 백작은 멜버른을 추천했다. 결국 1835년 4월, 제2차 멜버른 내각이 출범했다. 이 내각은 급진파나 오코넬파가 요구하는 과격한 개혁을 추진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야당인 보수당과 정권 운영에 관한 암묵적인 합의를 맺었다. 이러한 균형 외교를 통해 멜버른 내각은 이후 6년간 정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

멜버른의 두 번째 총리 재임 기간 동안, 1837년 빅토리아 여왕이 즉위하면서 멜버른은 젊은 여왕의 중요한 정치적 스승이자 조언자 역할을 맡게 되었다. 또한 그의 정부는 사형 선고가 가능한 범죄의 수를 줄이고 지방 정부를 개혁하는 법률을 제정했으나, 동시에 빈곤층에 대한 구제 조건을 제한하고 구빈원 수용을 강화한 빈민법 개정을 시행하기도 했으며, 차티스트 운동과 같은 노동자 운동에 대해서는 강경하게 탄압하는 입장을 보였다.

1839년 5월에는 내각이 사임 위기에 처했으나, 후임으로 지목된 로버트 필과 빅토리아 여왕 사이의 궁정 시녀 임명 문제 갈등으로 인해 멜버른은 총리직을 계속 수행하게 되었다[32]. 멜버른은 1840년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의 결혼을 지원하기도 했다. 1841년 2월 25일에는 왕립 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33]

그러나 내각의 정치적 기반은 점차 약화되었고, 1841년 보수당의 존 스튜어트 워틀리가 발의한 내각 불신임 결의안이 가결되었다[34]. 이어진 총선거에서 휘그당이 패배하면서 멜버른 내각은 1841년 8월 30일 총사퇴했다[34].

3. 5. 1. 빅토리아 여왕 즉위 (1837)

1837년 6월 20일 심야에 윌리엄 4세가 서거하자, 당시 총리였던 멜버른 자작은 같은 날 오전 9시 국왕의 조카이자 추정 상속인인 18세의 빅토리아 공주가 있는 켄싱턴 궁전을 방문했다. 빅토리아를 알현하고 계속해서 국정을 맡아달라는 요청을 받았다[65].

갓 성년이 된 빅토리아 여왕은 어머니 켄트 공작부인과 그녀의 고문인 존 콘로이 경의 지배적인 영향력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조언자를 필요로 하던 시점이었다. 멜버른 자작은 이후 4년 동안 빅토리아 여왕에게 정치 기술을 가르치며 친구이자 스승이 되었다. 여왕은 그에게서 태어난 지 8개월 만에 세상을 떠난 아버지 켄트 공작의 모습을 보았다고 전해지며, 멜버른 역시 젊은 나이에 아들을 잃은 경험이 있었다[25].

멜버른 자작은 윈저 성에 개인 아파트를 부여받았고, 두 사람의 관계가 매우 가까워지자 여왕이 40세 연상의 총리와 결혼할 것이라는 근거 없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멜버른은 여왕을 가르치는 것을 자신의 경력에서 가장 중요한 일로 여겼다. 그는 매일 4~5시간씩 여왕을 방문하거나 편지를 썼고, 여왕 역시 열정적으로 화답했다[26]. 그의 세련된 매너와 말솜씨는 빅토리아를 매료시켰으며[67], 두 사람은 매일 6시간을 함께 보내며[68] 군신의 관계를 넘어 마치 아버지와 딸 같은 관계를 형성해 나갔다[69].

''외출하는 빅토리아 여왕'' by 프랜시스 그랜트, 1840


젊은 여왕 빅토리아


이 시기 여왕의 일기에는 매일같이 "멜버른 경", "M경"의 이름이 등장했다[69][70]. 빅토리아가 처음으로 귀족원에 출석하여 의회 개회 선언을 한 날의 일기에는 "그가 옥좌 곁에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안심할 수 있다"라고 적혀 있을 정도로 여왕의 신뢰는 깊었다[71].

그러나 멜버른 경이 빅토리아 여왕을 가르치는 동안 플로라 헤이스팅스 부인 사건과 침실 위기라는 두 가지 정치적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했다. 특히 플로라 헤이스팅스 부인 사건은 1839년 궁정 내 음모로 인해 여왕의 평판에 손상을 입혔다. 당시 헤이스팅스 부인의 복부 종양이 존 콘로이 경과의 혼외 임신이라는 소문으로 번졌고, 멜버른 경과 여왕 모두 이 소문을 믿었다[27][28][29].

멜버른 자작과 빅토리아 여왕의 친밀한 관계는 계속되었지만, 1840년 여왕이 앨버트 공자와 결혼한 후 점차 여왕의 주요 상담역은 남편인 앨버트 공자가 맡게 되면서 멜버른 자작의 궁정 내 영향력은 점차 줄어들었다[92].

3. 5. 2. 국내 정책

1830년 11월, 휘그당그레이 경 아래 정권을 잡았을 때, 멜버른은 내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3] 그는 1830년부터 1832년까지 이어진 사회적 소요 사태에 대응해야 했다.

1830년부터 1831년까지 발생한 스윙 폭동 당시, 멜버른은 군사력 사용을 자제하고 토리당 성향 치안 판사들의 과잉 대응을 경계했다.[13] 대신 그는 치안 판사들의 기존 권한을 활용하고, 특별 경관을 배치하며, 폭동 가담자나 선동가 체포에 현상금을 거는 방식을 선호했다. 체포된 약 1,000명에 대해서는 특별 위원회를 통해 재판을 진행했으며, 이 중 3분의 1은 무죄로 풀려났고 사형 선고를 받은 이들 대부분은 오스트레일리아 등지로의 노역 이송으로 감형되었다.[13]

그러나 1831년 머서 티드필 폭동에서는 시위자 딕 펜더린의 처형을 강행했는데, 이는 당시에도 무죄라는 주장이 많았으며 멜버른이 "본보기"를 만들기 위해 희생자를 찾았다는 비판이 현재까지도 제기된다.[16] 1831년부터 1832년까지 이어진 선거법 개혁 요구 소요 사태에 대해서도 그는 반역죄 관련 비상 입법 제정을 거부하고 통상적인 법 집행으로 대응했다.[13]

또한, 1834년에는 농업 노동자들의 임금 삭감에 항의하기 위해 노동조합을 결성하려 했던 톨퍼들 순교자들을 기소하여 오스트레일리아로 노역 이송시키는 결정을 지지했다. 이는 초기 노동 운동에 대한 탄압으로 평가받는다.

총리 재임 기간(1834년, 1835년~1841년) 동안 멜버른 정부는 사형을 선고할 수 있는 범죄의 수를 줄이고 지방 정부를 개혁하는 등의 법률 개정을 추진했다. 하지만 동시에 1834년 빈민법 개정법을 지지하여, 빈곤층에 대한 구제 조건을 크게 제한하고 구빈원에서의 강제 수용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이는 빈곤층의 삶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1838년부터 본격화된 노동자들의 차티스트 운동에 대해서는 매우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차티스트 운동은 남성 보통 선거권 등을 포함한 "인민 헌장"을 내걸고 의회 개혁을 요구했지만[73][75], 멜버른은 의회 외부에서의 정치적 압력 운동을 용납하지 않았다.[77] 그는 1839년부터 1840년 사이에 약 500명의 차티스트 운동 지도자들을 체포하며 운동을 탄압했다.[78]

3. 5. 3. 외교 정책

멜버른 자작 재임 기간 동안 영국은 복잡한 국제 문제에 직면했으며, 외교 정책은 주로 외무 장관이었던 파머스턴 자작이 주도했다. 멜버른은 파머스턴을 전폭적으로 신뢰했으며, 파머스턴은 멜버른의 여동생과 오랜 연인 관계 끝에 결혼하여 공적으로나 사적으로나 가까운 사이였다.[87]

멜버른 정부는 벨기에 독립 혁명과 제2차 이집트-터키 전쟁으로 인한 국제 분쟁(제2차 동방 문제)의 중재에 참여했다. 또한 미국과의 국경 분쟁 등 여러 외교적 현안에 대응해야 했다.

북아메리카에서는 1837년-1838년 반란의 여파로 더럼 경의 ''영국령 북아메리카 문제 보고서''가 제출되었고, 이는 1840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제정으로 이어져 새로운 정치 체제인 캐나다주가 설립되었다.

아시아에서는 영국의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이 노골화되었다. 1839년 10월 1일, 멜버른 내각은 청나라 도광제의 아편 금지 정책에 반하여 영국의 아편 밀수 이익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중국 원정군 파견을 결정했다.[30] 이 결정은 제1차 아편 전쟁(1839-1842)으로 이어졌고, 전쟁 결과 청나라는 홍콩을 영국에 할양해야 했으며 홍콩은 영국의 왕령 식민지가 되었다.

같은 시기, 영국은 러시아 제국의 남하를 견제한다는 명목으로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1839-1842)을 일으켰다. 전쟁 초기 동인도 회사 군대는 아프가니스탄 군대를 격파하고 1839년 카불을 점령하는 등 군사적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 그러나 이 전쟁은 결국 영국의 처참한 실패로 끝났으며, 멜버른 내각이 붕괴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88]

한편, 오세아니아에서는 1840년 2월 6일, 영국 왕실 대표와 마오리족 추장들 사이에 와이탕이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을 근거로 같은 해 11월, 빅토리아 여왕은 왕실 칙허장에 서명하여 뉴질랜드를 영국의 왕령 식민지로 공식 설립했다.[31]

3. 5. 4. 사임

존 도일의 풍자화, 1840년 12월 31일 침실 사건 풍자화


1839년 5월 7일, 멜버른은 총리직에서 물러나려 했으나, 이는 침실 사건으로 알려진 일련의 사건으로 이어졌다. 당시 차기 총리로 유력했던 보수당로버트 필은 빅토리아 여왕에게 여왕의 측근 시녀 중 휘그당 소속 의원들의 아내와 딸 일부를 해임할 것을 요청했다. 이는 새 정부가 이전 정당의 영향력 아래 있다는 인상을 주지 않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빅토리아 여왕은 이를 거부했고, 멜버른은 여왕의 입장을 지지했다. 멜버른은 필이 모든 시녀의 사임을 요구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정확히 알지 못했다. 결국 필은 정부 구성을 포기했고, 멜버른은 여왕의 설득으로 총리직을 계속 수행하게 되었다.[32]

멜버른 정부는 재임 기간 동안 사형 선고가 가능한 범죄의 수를 줄이고, 지방 정부를 개혁했으며, 빈민법 개정을 추진했다. 이 빈민법 개정은 빈곤층에 대한 구제 조건을 더욱 엄격하게 만들고 구빈원 입소를 강제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정부의 입지는 점차 약화되었다. 1841년 4월, 멜버른은 곡물법 폐지 운동에 양보하는 모습을 보이며 정권 연장을 시도했으나, 지주를 비롯한 농업 이익 집단의 반발에 부딪혔다. 같은 달 제출한 설탕 관세 인하 법안마저 의회에서 부결되었다. 이는 사실상 내각 불신임과 같은 의미였으나 멜버른은 사퇴나 의회 해산 대신 정권을 유지하려 했다. 이에 보수당의 존 스튜어트 워틀리는 6월에 내각 불신임안을 제출했고, 이 안건은 1표 차이로 가결되었다.[34]

결국 멜버른은 의회를 해산하고 총선거를 실시했으나, 휘그당은 선거에서 패배했다. 선거 패배의 결과로 멜버른 내각은 1841년 8월 30일에 총사퇴했다.[34] 보수당으로의 정권 교체를 앞두고, 멜버른은 앨버트 공을 중재자로 내세워 로버트 필과 협상했다. 앨버트 공은 앤슨 비서관을 통해 필과 연락하여, 보수당 정부가 들어서면 휘그당 소속의 여왕 시녀들이 물러나고 필이 추천하는 인물로 교체한다는 합의를 이끌어냈다. 이 합의 덕분에 필의 새 정부는 비교적 순조롭게 출범할 수 있었다.

4. 총리 퇴임 이후

1841년 8월 멜버른 자작이 총리직에서 물러난 후, 빅토리아 여왕은 정치 문제에 관해 계속 편지를 보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편지 내용은 정중하고 비정치적인 것으로 바뀌었다.

수상 퇴임 다음 해인 1842년에 병으로 쓰러져 휘그당 당수직과 귀족원 원내 총무직에서 물러났다. 후임으로는 서민원의 존 러셀 경과 귀족원의 랜즈다운 후작이 임명되었다.[92] 같은 해 10월 23일에는 뇌졸중을 겪었으나 회복했다.[35]

퇴임 후에도 여왕과의 서신 교환은 계속되었고, 멜버른은 관료 임명 등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93] 예를 들어, 헤이스버리 남작을 주오스트리아 대사로 추천하자 여왕이 이를 외무 대신에게 요구하는 일이 있었다.[94] 이 사실을 알게 된 앨버트 공의 고문 슈토크마 남작은 멜버른의 행동이 "비헌법적"이라고 지적하며 개입했다. 이후 멜버른이 여왕에게 보내는 편지는 점차 정치적 색채를 잃고 일상적인 내용으로 바뀌었다.[95]

은퇴 후 그는 브로켓 홀에서 지냈다. 1845년 7월 그레이 백작이 사망하자 멜버른은 정계의 최고 원로로 여겨졌다.[96] 같은 해 말 내각이 곡물법 폐지를 둘러싸고 분열하여 총사퇴 의사를 밝혔을 때, 빅토리아 여왕은 멜버른의 조언을 구하려 했으나 그의 병세가 심각하여 정국에 영향을 미칠 수 없었다.[97] 1846년 휘그당의 존 러셀 경이 새 내각을 구성했지만, 고령과 병환으로 인해 멜버른에게 입각 제의는 없었다.[99]

1848년 11월 24일, 멜버른은 69세의 나이로 브로켓 홀 자택에서 사망했으며,[36][100] 인근 세인트 에델드레다 교회, 하트퍼드셔에 묻혔다.[37] 세인트 폴 대성당에는 그의 기념비가 세워졌다.[38] 빅토리아 여왕은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숙부 레오폴드 1세에게 보낸 편지에서 "멜버른 경이 선량하고 친절하며 애정 깊은 분이었다는 것을 결코 잊을 수 없다"고 적었지만, 동시에 "그 시절이 다시 돌아오기를 전혀 바라지 않는다"고 덧붙였다.[101]

그의 아들 조지 오거스터스 프레데릭(1807–1836)이 이미 사망했기 때문에, 멜버른 자작 작위는 동생인 프레데릭 램이 계승했다.

5. 유산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의 주도인 멜버른은 1837년 3월, 당시 영국 총리였던 멜버른 경을 기념하여 이름이 붙여졌다.[39][40] 또한 남극에 위치한 멜버른 산 역시 1841년 영국의 해군 장교이자 탐험가인 제임스 클라크 로스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41]

6. 평가

멜버른 자작의 초상화


멜버른은 휘그당 소속이었지만 정치적으로는 보수당에 가까운 입장을 취했으며[102], 휘그당 내부 분열로 인해 하원에서 과반수를 겨우 유지하는 상황에서 총리직을 수행했다. 그는 중도적인 입장을 취하며 급진적인 개혁에는 소극적이었으나, 정권 유지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개혁을 수용하는 실용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104] 예를 들어, 그는 개인적으로 1832년 개혁법과 곡물법 폐지에 반대했지만 결국 마지못해 동의하는 모습을 보였다.[18] 이러한 태도는 그를 '교활한 기회주의자'로 평가받게 만들었다.[104]

그는 "정부의 책무는 범죄를 방지하고, 계약을 보장하는 것에 있다"고 보았으며, 사회 개혁은 최악의 사태를 초래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103][102] 교육 보급은 무익하거나 빈자에게는 오히려 위험하다고 여겼고, 자유 무역은 기만, 민주주의는 어리석은 것이라고 생각했다. 공장 아동 노동 문제에 대해서는 "그냥 내버려두면 될 텐데!"라고 반응할 정도로 무관심했다.[104] 또한, 그는 노예 제도의 강력한 지지자였으며, 1833년 노예제 폐지법을 "큰 어리석음"이라고 비판했다.[19][20] 톨퍼들 순교자들의 오스트레일리아 유배를 지지했고,[13] 차티스트 운동은 철저하게 탄압했다.

빅토리아 여왕이 1837년 즉위했을 때, 멜버른은 여왕의 초기 통치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젊은 여왕에게 정치적 조언을 아끼지 않았고, 여왕은 그를 아버지 같은 존재로 여기며 깊이 신뢰했다.[25] 약 4년간 멜버른은 여왕의 정치적 멘토로서 매일 4~5시간씩 만나거나 편지를 주고받으며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26] 그러나 플로라 헤이스팅스 부인 사건이나 침실 위기와 같은 정치적 논란에서 여왕에게 편향된 조언을 하여 비판받기도 했다.[27][28][32] 여왕이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 공과 결혼한 후에는 여왕과의 관계가 점차 형식적으로 변해갔다.

멜버른의 사생활은 여러 스캔들로 얼룩졌다. 아내 캐롤라인 램과 바이런 경의 불륜 사건은 당시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14] 이후 캐롤라인 노턴과의 불륜 혐의로 고소당했으나 법정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22][23] 그러나 역사학자 보이드 힐튼은 멜버른이 귀족 여성들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었으며, 자선 명목으로 집에 들인 고아 소녀들에게 채찍질을 가했다고 비판했다.[24]

그는 종교나 진보적 가치를 믿지 않았으며, 어떤 것에도 특별한 가치를 두지 않는 냉소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평가받는다.[102][103] 빅토리아 여왕 앞에서는 품행이 단정하고 공손했지만[105], 총리로서의 직무 수행은 다소 태만했다는 평가도 있다. 고관들이 방문했을 때 침대에 누워있거나 면도를 하고 있는 경우가 있었고, 각의 중에 졸기도 했다고 전해진다.[106] 그럼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화술 덕분에 사교계에서는 매력적인 인물로 평가받았다.[107]

하퍼 리의 소설 ''앵무새 죽이기''에서는 등장인물 잭 핀치가 주인공 스카우트 핀치에게 멜버른 경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는 장면이 나온다.[43]

7. 작품

윌리엄 램은 그의 생애와 정치 경력을 바탕으로 여러 영화와 드라마 작품에서 주요 인물로 다루어졌다.

7. 1. 영화

스크린에서 멜버른 자작은 여러 배우가 연기했다.

배우작품명연도매체 구분출처
Otto Tressler|오토 트레스러de《여왕 폐하의 젊음》1936년독일 영화[110]
H. B. 워너《빅토리아 더 그레이트》 (Victoria the Great)1937년영국 영화[110]
프레데릭 레이스터《수상》 (The Prime Minister)1941년영국 영화[110]
카를 루트비히 디엘《도버의 빅토리아》1954년오스트리아 영화[110]
펠릭스 에일머《빅토리아 레지나》1961년영화
존 핀치《레이디 캐롤라인 램》1972년영국 영화[110]
조셉 오코너《에드워드 7세》1975년드라마
나이젤 호손《빅토리아 & 앨버트》2001년드라마
폴 베타니영 빅토리아》 (The Young Victoria)2009년영국 영화[110]
루퍼스 스웰《빅토리아》2016-2017영국 드라마


7. 2. 드라마

스크린에서 멜버른 자작은 여러 배우에 의해 묘사되었다.

  • H. B. 워너: 영화 《빅토리아 더 그레이트》(1937)
  • 프레데릭 레이스터: 영화 《수상》(1941)
  • 카를 루트비히 디엘: 오스트리아 영화 《도버의 빅토리아》(1954)
  • 펠릭스 에일머: 영화 《빅토리아 레지나》(1961)
  • 존 핀치: 영화 《레이디 캐롤라인 램》(1972)
  • 조셉 오코너: 드라마 《에드워드 7세》(1975)
  • 나이젤 호손: 드라마 《빅토리아 & 앨버트》(2001)
  • 폴 베타니: 영화 《영 빅토리아》(2009)
  • 루퍼스 스웰: 영국 TV 드라마 《빅토리아》(2016-2017)

참조

[1] 서적 The Companion to British Histor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9-07-09
[2] 웹사이트 LAMB, Hon. William (1779-1848), of Brocket Hall, Herts. |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https://www.historyo[...]
[3] 문서 Petworth- From 1660 to the present day The Window Press 2006
[4] 서적 Nineteenth-Century British Premiers 2008
[5] 문서 Lord Melbourne, 1779–1848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6] 문서
[7] 서적 Memoirs of the Right Honourable William, Second Viscount Melbourne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9-06-28
[8] 서적 John Millar of Glasgow 1735–180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6-28
[9] 웹사이트 History of Parliament article by R.G. Thorne http://www.histparl.[...]
[10] 서적 "The Hertfordshire Yeomanry: An Illustrated History 1794–1920" Welwyn: Hart Books/Hertfordshire Yeomanry and Artillery Historical Trust 1994
[11] 웹사이트 Profile of Viscount Melbourne https://www.gov.uk/g[...] gov.uk 2022-12-28
[12] 간행물 The Madness of Writing: Lady Caroline Lamb's Byronic Identity https://scholarworks[...] 1999
[13] 웹사이트 "Lamb, William, second Viscount Melbourne (1779–1848)"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4-09
[14] 뉴스 Ireland: Poetic justice at home of Byron's exiled lover http://property.time[...] 2010-02-21
[15] 문서 Lord Melbourne
[16] 웹사이트 Wales ''Online: Trade unions to mark the legacy of Dic Penderyn and the Merthyr Uprising on 70-mile memorial walk'': Robin Turner 2 August 2013 http://www.walesonli[...] 2013-08-02
[17] 서적 The Young Melbourne & Lord M W&N
[18] 문서 Melbourne 1954
[19] 문서 Lord Melbourne, 1779–1848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20] 문서 Lord Melbourne, 1779–1848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21] 간행물 William IV and the Dismissal of the Whigs, 1834
[22] 서적 Until They Are Seven, The Origins of Women's Legal Rights https://archive.org/[...] Waterside Press
[23] 문서 Melbourne
[24] 웹사이트 A Mad, Bad, and Dangerous People? England 1783–1846 https://books.google[...] 2006
[25] 웹사이트 History of William Lamb, 2nd Viscount Melbourne – GOV.UK https://www.gov.uk/g[...] 2016-09-30
[26] 문서 Melbourne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뉴스 Out of our minds: opium's part in imperial history https://www.theguard[...] 2023-06-21
[31] 웹사이트 New Zealand officially becomes British colony https://nzhistory.go[...]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17-07-25
[32] 웹사이트 BBC - Radio 4 - This Sceptred Isle - The Bedchamber Crisis and Afghanistan https://www.bbc.co.u[...] 2021-07-14
[33] 웹사이트 Lists of Royal Society Fellows http://www.royalsoc.[...] 2006-12-15
[34] 웹사이트 Confidence in the Ministry—Adjourned Debate (Fifth Day) https://api.parliame[...] 2016-02-20
[35] 웹사이트 Lord Melbourne https://www.britanni[...] 2020-05-13
[36] 간행물 Encyclopaedia Britannica, Vol. 18, 11th Edition
[37] 웹사이트 William Lamb, 2nd Viscount Melbourne https://www.geni.com[...] 1779-03-15
[38] 간행물 Memorials of St Paul's Cathedral Chapman & Hall, Ltd 1909
[39] 웹사이트 Short history of Melbourne http://www.onlymelbo[...]
[4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ity of Melbourne http://www.melbourne[...] City of Melbourne 1997-11
[41] 서적 A Voyage of Discovery and Research in the Southern and Antarctic Regions, During the Years 1839–43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42] 서적 Fisher's Drawing Room Scrap Book, 1837 https://play.google.[...] Fisher, Son & Co.
[43] 서적 To Kill a Mockingbird HarperCollins 1960-07-11
[44] 웹사이트 Victoria (TV Series 2016– ) https://www.imdb.com[...] 2018-10-27
[45] 웹사이트 Mr William Lamb https://api.parliame[...] 2014-08-10
[46] 웹사이트 William Lamb, the 2nd Viscount Melbourne, 1779-1848 http://www.victorian[...] 2014-08-10
[47] 문서 ストレイチイ(1953) p.63
[48] 문서 Venn Lamb, the Hon. Henry William
[49] 문서 森(1986) p.558
[50] 문서 君塚(1999) p.87
[51] 문서 ストレイチイ(1953) p.67
[52] 문서 君塚(2006) p.28
[53] 문서 君塚(1999) p.58-59
[54] 문서 君塚(1999) p.59
[55] 문서 君塚(1999) p.60
[56] 문서 君塚(1999) p.61
[57] 문서 君塚(1999) p.62
[58] 문서 君塚(1999) p.63
[59] 문서 神川(2011) p.71
[60] 문서 君塚(1999) p.63
[61] 문서 君塚(1999) p.63
[62] 문서 君塚(1999) p.64
[63] 문서 木畑・秋田(2011) p.89
[64] 문서 君塚(1999) p.65
[65] 문서 ストレイチイ(1953) p.53
[66] 문서 尾鍋(1984) p.54
[67] 문서 森(1986) p.559
[68] 문서 ワイントラウブ(1993) 上巻 p.165
[69] 문서 君塚(2007) p.31
[70] 문서 ストレイチイ(1953) p.71-74
[71] 서적 ワイントラウブ(1993) 上巻
[72] 서적 村岡、木畑(1991)
[73] 서적 村岡、木畑(1991)
[74] 서적 村岡、木畑(1991)
[75] 서적 村岡、木畑(1991)
[76] 서적 村岡、木畑(1991)
[77] 서적 木畑・秋田(2011)
[78] 서적 君塚(1999)
[79] 서적 尾鍋(1984)
[80]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81] 서적 ワイントラウブ(1993) 上巻
[82] 서적 君塚(1999)
[83]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84] 서적 君塚(1999)
[85] 서적 君塚(1999)
[86] 서적 ワイントラウブ(1993) 上巻
[87] 서적 君塚(2006)
[88] 서적 浜渦(1999)
[89] 서적 神川(2011)
[90] 서적 神川(2011)
[91]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92] 서적 君塚(1999)
[93]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94]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95]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96] 서적 君塚(1999)
[97] 서적 君塚(1999)
[98] 서적 君塚(1999)
[99]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100] 서적 君塚(1999)
[101]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102] 서적 ワイントラウブ(1993) 上巻
[103]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104]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105]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106] 문서 ストレイチイ(1953) p.66
[107] 문서 ストレイチイ(1953) p.63
[108] 웹사이트 Melbourne, Viscount (I, 1781 - 1853) http://www.cracrofts[...] 2015-12-03
[109] 서적 List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1660 – 2007 https://royalsociety[...] 왕립협회
[110] 웹사이트 IMDb http://www.imdb.com/[...]
[111] 서적 Melbourne, William Lamb, 2nd Viscount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