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은 1939년 아돌프 히틀러의 명령에 따라 경찰 병력으로 창설된 무장친위대 사단이다. 프랑스 전역에서 훈련 및 전투를 수행했으며, 1941년 동부 전선에 투입되어 레닌그라드 공방전에 참여했다. 이후 무장친위대로 정식 편입되었으며, 1943년 기갑척탄병 사단으로 재편성되어 그리스에서 반(反)파르티잔 작전을 수행하며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 1944년 세르비아와 헝가리에서 전투를 벌였으며, 1945년 포메라니아에서 소련군에 포위되어 엘베 강에서 미군에 항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치 독일의 경찰 조직 - 질서경찰
    질서경찰은 나치 독일의 경찰 조직으로, 친위대에 통합되어 이념적 반대자 박해와 홀로코스트에 가담했으며,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국방군에 인력을 제공하다 독일 패전 후 해체되었다.
  • 나치 독일의 경찰 조직 - 행정경찰
    행정경찰은 나치 독일에서 주 경찰국과 지방 경찰국을 중심으로 운영된 경찰 조직의 일부로, 재정, 여권, 외국인 통제, 주민등록, 교통 규제, 상업 시설 관리, 범죄 규정, 사회복지, 공중보건 등 다양한 행정 업무를 수행했으며, 행정경찰 공무원의 승진은 근무 성적, 상사 평가, SS 회원 여부 등에 따라 결정되었다.
  • 무장친위대 기갑척탄병사단 - 제17SS기갑척탄병사단 괴츠 폰 베를리힝겐
    제17SS기갑척탄병사단 괴츠 폰 베를리힝겐은 1943년 프랑스에서 창설되어 루마니아 및 발칸반도 출신 징집병으로 구성되었으며, 서부 전선에서 여러 전투에 참전했고, 전쟁 말기 독일 본토 방어전에 참여한 후 미군에 항복했으며, 소속 병사들의 전쟁 범죄 혐의가 있었다.
  • 무장친위대 기갑척탄병사단 - 제18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호르스트 베셀
    제18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호르스트 베셀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무장 친위대 소속으로, 유격대 소탕전과 동부 전선 등지에서 전투를 치르다 1945년 체코에서 포로로 잡혀 처형되었다.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부대 휘장
존속 기간1939년–1945년
국가나치 독일
소속무장친위대
병과보병, 기갑척탄병
규모사단
지휘관
주요 지휘관카를 페퍼-빌덴브루흐
알프레트 뷔넨베르크
카를 쉬머스
식별
전투 및 작전
주요 전투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전투프랑스 침공
바르바로사 작전
레닌그라드 포위전
기타 정보
창설일1939년 10월 1일
해체일1945년 5월 8일
주둔지프라이부르크
파리
디나부르크
루가
발칸 반도
슬로바키아

2. 편성과 프랑스 전역 (1939년-1941년)

1939년 9월 18일, 아돌프 히틀러의 명령에 따라 질서경찰 병력을 중심으로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이 편성되었다. 이 부대는 10월 1일 반데른 훈련장에서 창설되었으며, 1934년경부터 존재했던 경찰 인적 자원을 활용한 보충 부대를 기반으로 3개 연대, 1개 정찰 대대, 통신 대대, 그리고 보급 부대로 구성되었다.

초기에는 경찰관을 주축으로 구성되어 장비와 경험이 부족하여 2선급 부대로 평가받았다. 폴란드 전역에는 참전하지 못했고, 프랑스 전역에 처음으로 투입되었다. 1940년 1월부터 5월까지는 독일-프랑스 국경의 프라이부르크 근방에서 제7군 예하로 배치되어 국경 경비와 훈련을 병행했고, 프랑스군과의 소규모 전투에서 11명의 사상자를 냈다.

프랑스 전역 초기 독일군이 프랑스 북방으로 침공할 당시(황색 작전)에는 전략 예비로서 북방의 튀빙겐 근방으로 이동했다. 프랑스 북부에서 승리가 확정된 후, 프랑스 본토 침공(적색 작전) 발동에 맞춰 12 군에 배치되어 룩셈부르크를 경유, 파리로 진격했다. 뫼즈강을 따라 진격하다 중도에 프랑스군과 몇 번의 전투를 치렀지만, 이미 패배가 결정되어 있던 프랑스군은 사기가 매우 낮아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

1941년 6월경까지 파리를 포함한 프랑스 북부 지구 점령 부대로서 생 디지에에 주둔하며 훈련 및 재편성이 이루어졌지만, 전력은 여전히 2선급 부대 수준이었다.

2. 1. 편성 배경

아돌프 히틀러는 국방군이 SS에 부과한 징집 제한을 우회하고, 경찰관들이 군 복무 의무를 다하면서도 징병을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사단을 창설했다.[1] 초대 사단장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경력이 있는 경찰 지휘관 카를 페퍼-빌덴부르흐였다.[2]

1939년 9월 18일, 히틀러는 질서경찰에게 사단 편성 명령을 내렸고, 같은 해 10월 1일 반데른 훈련장에서 사단이 창설되었다. 1934년경부터 존재했던 경찰 인적 자원을 활용한 보충 부대를 기반으로 3개 연대, 1개 정찰 대대, 통신 대대, 보급 부대로 구성되었다.

2. 2. 프랑스 전역 참전

사단은 폴란드 전역에는 참전하지 못했고, 1940년 프랑스 전역에서 처음으로 실전에 투입되었다. C 집단군 예비대로 라인란트에 주둔하다가 6월 9일에 아른 강과 아르덴 운하를 건너는 작전에 참전했다.[2] 사단은 격전을 치렀고, 목표를 확보한 후 아르곤 숲으로 이동하여 프랑스군 후위 부대와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다.[2]

1940년 1월부터 5월까지는 국경에 위치한 프라이부르크(Freiburg) 근방에서 7 군 소속으로 국경 경비와 훈련을 병행했다. 당시 프랑스군과 소규모 전투로 11명의 사상자를 냈다. 프랑스 전역 초기 독일군이 프랑스 북방으로 침공할 당시(황색 작전)에는 전략 예비로서 북방에 위치한 튀빙겐(Tübingen) 근방으로 이동했다. 프랑스 북부에서 승리가 확정된 후, 프랑스 본토 침공(적색 작전) 발동에 맞춰 12 군에 배치되어 룩셈부르크를 경유, 파리로 진격했다. 마스강을 따라 진격하다 중도에 프랑스군과 몇 번의 전투를 치렀지만, 이미 패배가 결정되어 있던 프랑스군은 사기가 매우 낮아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

1940년 6월 말, 사단은 전투에서 철수하여 동프로이센의 북부 집단군 예비대로 이동했다. 1941년 1월, 사단의 행정 책임은 경찰에서 무장 친위대의 SS-지도본부(SS-Führungshauptamt)로 이관되었지만, 병력은 여전히 경찰관 신분이었다.[2]

3. 동부 전선 (1941년-1943년)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이 발발하면서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은 북부 집단군 예하 4 기갑 집단에 배속되어 소련 침공에 참여했다. 초기에는 예비대로 편성되었으나,[2] 이후 루가 등 주요 전투에 투입되었다.

3. 1. 루가 공방전 (1941년 8월)

바르바로사 작전이 시작되면서 북부 집단군 4 기갑 집단에 배속되었다. 사단 대전차 대대는 먼저 도착해 있었고, 본대는 이미 함락된 디나부르그로 이동, 스탈린그라드를 지나 레닌그라드에 당도했다. 사단은 레닌그라드 근방의 루가 마을에서 태세를 재정비한 소련군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다.[2]

루가 주변의 소련군은 습지, 산림, 호수 등 지형과 참호를 이용해 방위선을 구축해 놓고 있었다. 루가 공략은 1941년 8월 7일로 계획되었다. 작전명 "베를린"에서는 제56 군단이 루가 주변의 적을 포위할 예정이었다. 날씨 문제로 공격은 8월 9일 밤늦게부터 8월 10일 새벽 사이에 이루어졌다. 좌익에는 269 보병 사단, 우익에는 3 차량화 보병 사단이 배치되어 루가 남쪽에 위치한 쿠트(Kut), 스메르디(Smerdi), 스토야놉치나(Stojanowtschina) 근방의 소련군에게 공격을 가했다. 스토야놉치나는 8월 12일에 함락되었지만 소련군의 강력한 저항으로 독일군은 큰 피해를 입었다.

8월 16일, 만슈타인은 소련 제34군의 측면을 찌르기 위해서 3 SS기갑사단 토텐코프과 3 차량화 보병 사단을 차출했다. 이는 루가 주변의 좌익 공격을 담당할 부대가 사라졌다는 걸 의미했고, 그로 인해 계획의 재검토가 필요해졌다. 따라서 남쪽에서의 공격은 포기하고 동쪽에서 공격한다는 계획이 입안되었다. 출발점 작전(Unternehmen "Startplatz")에서 사단 예하 2연대와 3연대는 동쪽에서부터 루가를 공격했다. 공격은 성공했고, 8월 24일에는 루가가 함락되었다.

이 전투에서 사단은 아르투어 뮐버슈테트 사단장을 포함하여 2,000명 이상의 사상자를 냈다.[2] 늪지대와 숲 지형에서의 일련의 공격 실패 이후, 이 사단은 다른 군 부대와 함께 루가 북부로 진격하여 소련군 방어선을 포위하고 격파했다.[2]

3. 2. 레닌그라드 포위전 (1942년)

1942년 1월, 사단은 볼호프강 지역으로 이동했고, 2월 24일 무장친위대로 정식 편입되어 병력은 경찰 휘장을 SS 휘장으로 변경했다.[2] 1월에서 3월 사이에는 류반 전투에 참여하여 소련 제2 충격군을 격파하는 데 기여했다.[2] 그 해 나머지 기간은 레닌그라드 전선에서 방어전을 수행했다.[2]

3. 3. 1943년의 재편성

1943년 2월, 사단은 라도가호 남쪽에서 전투를 벌였다. 큰 피해를 입고 콜피노의 새로운 방어선으로 후퇴해야 했다.[2]

이후 사단 병력은 서부로 이동하여 재훈련을 받고 기갑척탄병 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동부에는 소규모 전투단 (Kampfgruppe)이 남았고, 네덜란드 의용군, "네덜란드"가 병력을 보충했다.[3] 전투단은 1943년 5월에 해산되었고, 사단은 작전 가능 상태가 되었다.[3]

4. 발칸반도와 전쟁범죄 (1943년-1944년)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은 재편성 이후 그리스로 파견되어 나치의 치안전에 참여했다. 이 부대는 1944년 8월까지 그리스에 주둔하다가 베오그라드에서 진격하는 붉은 군대에 맞서기 위해 소환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큰 손실을 입었다.[3]

그리스 주둔 기간 동안 이 사단은 반(反)파르티잔 작전을 수행하면서 민간인들을 상대로 여러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에서의 전쟁범죄 참고)

이후 사단은 1944년 9월 세르비아로 이동하여 트란실바니아에서 소련의 진격을 막기 위해 베오그라드-티미쇼아라-아라드 선의 다뉴브 강 외곽에 주둔했다. 1944년 10월 6일, 데브레첸 점령 이후 센타와 사니콜라우 마레로 후퇴했고, 10월 9일에는 세게드에서 티사 강 뒤로 후퇴하며 다리를 폭파했다.[11]

소련군이 티사 강 동쪽 강둑에서 성공을 거두자, 제4SS사단은 서쪽 강둑으로의 이동을 막고 졸노크를 점령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1944년 11월 4일, 부다페스트 공세가 시작되면서 졸노크는 소련군에게 함락되었다. 제4SS사단은 북쪽으로 후퇴하며 11월 12일에 야스베레니 서쪽으로 이동했지만, 11월 14일에 이 도시도 함락되었고, 하트반으로 후퇴했다. 11월 25일, 하트반마저 함락되자, 제4SS사단은 하트반 북쪽에 참호를 팠다. 막대한 사상자를 낸 이들은 방어 작전에 800명의 병력과 13대의 장갑 돌격포만을 투입할 수 있었다. 12월 5일, 소련군의 강력한 진격은 수치 마을 북쪽 독일군 방어선 뒤로 6km 깊숙이 돌파했고, 12월 15일까지 제2 우크라이나군은 체르하트 산맥에 진입했다. 바토니테레네 전선에서 극심한 사상자를 낸 후, 사단의 대부분은 당시 슬로바키아-헝가리 국경인 체보브체로 후퇴했다. 12월 27~28일 사이에 도착했고, 가장 많은 사상자는 반스카 비스트리차로 후퇴했다. 체보브체에는 450명의 병력과 3문의 중포만 남았고, 3개의 소련 소총 사단에 맞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이 마을은 여러 번 주인이 바뀌었다. 12월 31일, 마을 고지대를 잃은 후, 이 사단은 슬로바키아로 후퇴했고, 결국 독일로 돌아갔으며, 남은 병력은 제1 기갑군과 함께 싸웠다.[12]

4. 1. 그리스에서의 전쟁범죄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은 그리스 주둔 동안 민간인을 상대로 전쟁 범죄와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 특히 클레이수라 학살[4][5][6]과 디스토모 학살을 저질렀는데, 디스토모 학살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무장친위대가 저지른 최악의 만행 중 하나로 꼽힌다.[7][8] 1944년 6월 10일, 프리츠 로텐바흐의 지휘 하에 이 사단의 병력은 2시간이 넘는 시간 동안 집집마다 문을 두드리며 그리스 레지스탕스의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그리스 민간인들을 학살했다. 델포이 근처의 작은 마을인 디스토모에서 총 214명의 남녀와 어린이가 사망했다.[3][9] 생존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SS 병사들은 "아기들을 요람에서 총검으로 찌르고, 임산부를 찌르고, 마을 신부의 목을 베었다."[3]

1944년 5월과 6월에는 그리스 중부 산맥(Ρούμελη)에서 잔혹 행위를 저질러 스페르치아다가 파괴되고 이파티에서 민간인 28명이 학살되었다. 이후 같은 산에서 그리스 인민 해방군(ELAS) 기지를 제거하기 위한 크로이초터 작전(1944년 8월 5일~31일)에 참여했으나 군사적으로 실패했다. 하지만 이 작전으로 민간인 170명이 사망하고 수십 개의 마을과 도시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파괴되었다.[10]

5. 1944년 이후의 전투와 종전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은 1944년 8월까지 그리스에 주둔하다가 베오그라드에서 진격하는 붉은 군대(소련군)에 맞서기 위해 소환되었다.[3] 이 과정에서 큰 손실을 입었다.

그리스 주둔 기간 동안 이 사단은 반(反)파르티잔 작전을 수행하면서 민간인들에게 전쟁 범죄와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 특히 클레이수라 학살[4][5][6]과 디스토모 학살을 저질렀는데, 후자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무장친위대가 저지른 최악의 만행 중 하나였다. 1944년 6월 10일, 프리츠 로텐바흐의 지휘 아래 이 사단의 병력은 2시간이 넘는 시간 동안 그리스 레지스탕스의 부대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델포이 근처 디스토모에서 그리스 민간인 214명을 학살했다.[7][8] 생존자들에 따르면, SS 병사들은 "아기들을 요람에서 총검으로 찌르고, 임산부를 찌르고, 마을 신부의 목을 베었다."라고 증언했다.[3][9]

1944년 5월과 6월에는 그리스 중부 산맥(Ρούμελη)에서 잔혹 행위를 저질러 스페르치아다가 파괴되고 이파티에서 민간인 28명이 학살되었다. 같은 산에서 그리스 인민 해방군(ELAS) 기지를 제거하기 위한 크로이초터 작전 (1944년 8월 5일~31일)에 참여했으나 군사적으로 실패했다. 하지만 이 작전으로 민간인 170명이 사망하고 수십 개의 마을과 도시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파괴되었다.[10]

5. 1. 헝가리와 슬로바키아에서의 전투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은 1944년 9월 세르비아로 이동하여 베오그라드-티미쇼아라-아라드 선의 다뉴브 강 외곽에 주둔하며 트란실바니아에서 진격하는 소련군을 막으려 했다.[11] 제2 우크라이나 전선이 데브레첸을 점령하자, 1944년 10월 6일 센타와 사니콜라우 마레로 후퇴했고, 10월 9일에는 세게드에서 티사 강 뒤로 물러서며 다리를 폭파했다.[11]

소련군이 티사 강 동쪽 강둑에서 성공을 거두자, 제4SS사단은 서쪽 강둑으로의 이동을 막고 졸노크를 점령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졸노크는 11월 4일 부다페스트 공세가 시작되면서 소련군에게 함락되었다. 제4SS사단은 북쪽으로 후퇴하여 11월 12일 야스베레니 서쪽으로 이동했지만, 이 도시도 11월 14일에 함락되었고, 하트반으로 다시 후퇴했다. 11월 25일 하트반마저 함락되자, 제4SS사단은 하트반 북쪽에 참호를 팠다. 이 과정에서 막대한 사상자가 발생하여, 방어 작전에 투입 가능한 병력은 800명과 13대의 장갑 돌격포뿐이었다.[12]

12월 5일, 소련군의 강력한 진격이 수치 마을 북쪽 독일군 방어선 뒤로 6km 깊숙이 돌파했고, 12월 15일 제2 우크라이나군은 체르하트 산맥에 진입했다. 바토니테레네 전선에서 큰 피해를 입은 사단 대부분은 당시 슬로바키아-헝가리 국경인 체보브체로 후퇴했다. 12월 27~28일 사이에 도착했고,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병력은 반스카 비스트리차로 후퇴했다. 체보브체에는 450명의 병력과 3문의 중포만 남았고, 3개의 소련 소총 사단에 맞서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12월 31일 마을 고지대를 잃은 후, 사단은 슬로바키아로 후퇴했고, 남은 병력은 제1 기갑군과 함께 싸웠다.[12]

5. 2. 종전 (1945년)

이 사단은 포메라니아 북부의 전선으로 이동했다. 히틀러는 이 부대를 슈타이너 집단군에 배속하여 베를린을 구원하도록 했다. 이 부대는 남쪽에서 오는 제4 기갑군과 합류하여 제1 우크라이나 전선을 포위한 후 파괴하는 북쪽의 집게 역할을 해야 했다.[3] 슈타이너는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장군에게 이 작전을 수행할 사단이 없고, 병력에게 필요한 중화기가 부족하다고 설명했고, 그래서 히틀러가 계획한 대로 공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3] 단치히로 이동한 SS-''폴리차이'' 사단은 붉은 군대에 포위되었고, 헬 반도를 건너 슈비네뮌데로 이송되었다.[3] 잠시 휴식을 취한 후, 사단의 잔존 병력은 엘베 강을 건너 비텐베르거-렌첸 근처에서 미국에게 항복했다.[3]

6. 역대 지휘관

취임일계급성명
1939년 11월 15일SS 대장카를 페퍼-빌덴브루흐
1940년 9월 1일경찰 중장콘라트 리처
1940년 9월 8일SS 대장카를 페퍼-빌덴브루흐
1940년 11월 10일SS 중장아르투어 뮐버슈타트
1941년 8월 16일에밀 횔링
1941년 8월 18일SS 대장발터 크뤼거
1941년 12월 15일경찰 중장알프레트 뷔넨베르크
1942년 5월 15일알프레트 보르허트 (알프레트 뷔넨베르크 대리)
1942년 7월 19일경찰 중장알프레트 뷔넨베르크
1943년 6월 10일SS 소장프리츠 슈메데스
1943년 7월 5일오토 빙에
1943년 8월 18일SS 소장프리츠 프라이탁
1943년 10월 20일SS 상급대령프리드리히 빌헬름 보크
1944년 4월 19일SS 소장위르겐 바그너
1944년 5월SS 상급대령프리드리히 빌헬름 보크
1944년 5월 7일SS 소장헤르베르트 에른스트 팔
1944년 7월 22일SS 대령카를 쉼머스
1944년 8월 16일SS 상급대령헬무트 되르너
1944년 8월 22일SS 소장프리츠 슈메데스
1944년 11월 27일SS 대령발터 하르처
1945년 3월 1일SS 대령프리츠 괼러
1945년 3월SS 대령발터 하르처


7. 전투 서열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의 전투 서열은 시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14][15][16][17]

시기별 전투 서열
시기명칭주요 구성 부대
1939년 10월 1일 - 1940년 4월 1일경찰 사단
1940년 4월 1일 - 1941년 4월 21일경찰 사단
1942년 2월 ~ 1943년 6월SS 경찰 사단(자료 부족)
1943년 6월 ~ 1943년 10월SS 경찰 기갑척탄병 사단(자료 부족)
1943년 10월 ~ 1945년 5월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1944년 7월 - 1944년 8월 14일 과 1944년 8월 15일 - 1945년 5월 8일자 자료 참조)
1944년 7월 - 1944년 8월 14일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
1944년 8월 15일 - 1945년 5월 8일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


8. 병력 상황

시기병력
1941년 6월17,347명
1942년 12월13,399명
1943년 12월16,081명
1944년 6월16,139명
1944년 12월9,000명


참조

[1] 서적 The Waffen SS: Hitler's Elite Guard at War, 1939-1945 Cornell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Waffen-SS
[3] 서적 The Waffen-SS
[4]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Nuremberg Military Tribunal
[5] phd Αντιποινα των Γερμανικων Αρων Κατοχης στη Μακεδονία 1941-1944 https://web.archive.[...] Αριστοτέλιο Πανεπιστημιο Θεσσαλονίκης 2016-12-28
[6] 학술지 Ο διαβόητος συνταγματάρχης Καρλ Σύμερς και τα αντίποινα του στρατού κατοχής εναντίον των "απείθαρχων" αμάχων στη Μακεδονία. Οι λίστες θανάτου των Ες Ες http://www.tovima.gr[...] 2008-01-20
[7] 웹사이트 Greek Government response to ICJ Ruling http://greeceinfo.wo[...]
[8] 뉴스 Greeks lose Nazi massacre claim. http://news.bbc.co.u[...] BBC 2003-06-26
[9] 웹사이트 Greeks lose Nazi massacre claim http://news.bbc.co.u[...] 2003-06-26
[10] 웹사이트 5-31 Αυγούστου 1944: Η μεγάλη γερμανική εκκαθαριστική επιχείρηση "Kreuzotter" (Έχιδνα) στην κεντρική Ρούμελη. http://www.mag24.gr/[...] 2015-08-14
[11] 웹사이트 A Waffen-SS Magyarországon https://mek.oszk.hu/[...] 2001
[12] 웹사이트 A Waffen-SS Magyarországon https://mek.oszk.hu/[...] 2001
[13] 문서 발터 크뤼거 SS대장, 헤베르트 에른스트 발 SS소장, 발터 하르처 SS대령을 제외한 사단장들은 본래부터 경찰 소속이었거나 후에 경찰에 배속되어 SS 계급과 경찰 계급을 동시에 부여받았다. 덧붙여, 참고한 일본어 위키백과의 SS 경찰 사단 항목에 기재된 사단장 목록에는 다수의 오류가 존재한다. 자료의 원출처인 Axishistory.com의 SS 경찰 사단장 목록 자체에 오류가 존재하기 때문으로 앞서 언급한 서적으로 오류를 수정했다.
[14] 서적 Waffen Ss and Other Units in World War II: The German Order of Battle Combined Publishing
[15] 서적 Waffen Ss and Other Units in World War II: The German Order of Battle Combined Publishing
[16] 서적 Waffen Ss and Other Units in World War II: The German Order of Battle Combined Publishing
[17] 서적 Waffen Ss and Other Units in World War II: The German Order of Battle Combined Publishing
[18] 서적 Waffen-SS Encyclopedia The Aberjon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