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군 (신성 로마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국군(Reichsarmee)은 후스 전쟁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1422년 신성 로마 제국 의회에서 창설되었다. 이후 1681년 제국군 헌법을 통해 각 제국 관구의 병력 제공 규모가 정해졌으며, 28,000명의 보병과 12,000명의 기병(용기병 2,000명 포함)을 기본으로 하는 체제를 갖추었다. 30년 전쟁에는 참여하지 않았으며,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등 다양한 전쟁에 참전했다. 1804년 오스트리아 황제의 즉위 이후 제국군은 쇠퇴하였고, 1806년 신성 로마 제국 해체와 함께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22년 설립 - 장악서
장악서는 조선 시대 궁중 음악과 무용을 관장하던 장악원의 청사이며, 현재는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2가에 하나금융그룹 명동사옥이 위치해 있다. - 1806년 폐지 - 제국사법실
제국사법실은 신성 로마 제국의 최고 법원 중 하나로, 호프게리히트에서 기원하여 카머게리히트 기능 약화 후 설립되었으며, 공공 평화 위반, 재산 압류, 국고 소송 등 다양한 사건을 관할하며 베츨라에서 해체되었다. - 1806년 폐지 -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은 1235년 오토 1세에게 공작위가 수여되면서 성립되어 여러 공국으로 분할되었다가 하노버가 영국 왕위 계승과 연결된 후 1871년 독일 제국에 편입되었다.
제국군 (신성 로마 제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제국군 |
원어 명칭 | (프랑스어) (독일어) (라틴어) |
존속 기간 | 1422년 – 1806년 |
국가 | 신성 로마 제국 |
소속 | 해당 없음 |
군종 | 육군 |
규모 | 불명 |
지휘 구조 | 불명 |
본부 | 빈 |
별칭 | 해당 없음 |
표어 | 해당 없음 |
수호성인 | 해당 없음 |
군 색상 | 해당 없음 |
군가 | 해당 없음 |
마스코트 | 해당 없음 |
장비 | 해당 없음 |
전투 및 전쟁 | |
주요 참전 | 북방 전쟁 스 코네 전쟁 사국 동맹 전쟁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바이에른 왕위 계승 전쟁 |
기념일 | |
기념일 | 해당 없음 |
훈장 | 해당 없음 |
전투 훈장 | 해당 없음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니콜라우스 폰 잘름 카를 5세 요한 체르클라에스 폰 틸리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 라이몬도 몬테쿠콜리 백작 에른스트 뤼디거 폰 슈타렘베르크 백작 오이겐 폰 자보이엔 클로드 플로리몽 드 메르시 백작 루트비히 안드레아스 폰 케펜휠러 백작 레오폴트 폰 다운 백작 에른스트 기데온 폰 라우돈 남작 프란츠 모리츠 폰 라키 백작 카를 폰 외스터라이히-테셴 대공 |
식별 기호 | |
식별 기호 | 해당 없음 |
2. 역사
후스 전쟁의 위협으로 1422년 뉘른베르크에서 열린 제국 의회는 제국의 각 지역에서 특정 병력 분견대를 요구하여 제국군을 창설했다.[2] 1420년부터 1434년까지 지속된 후스 전쟁에서 제국군은 그 가치를 증명했다. 이후 백 년 동안 군대 규모는 징집병 수나 관련 비용을 제한하여 통제되었다. 1521년 보름스 제국 의회에서는 보병 20,063명과 기병 4,202명을 유지하기로 합의했으나, 이후 보병 20,000명과 기병 4,000명으로 단순화되었다. 이 규모의 군대를 유지하는 데 드는 월별 비용은 로마 달("Römermonat")이라고 불렸다.[3] 제국 구성 국가들의 기여를 결정하는 제국 등록부("Reichsmatrikel" 또는 "Heeresmatrikel")는 1422년에 처음 작성되었다.[4]
일반적인 통념과는 달리, 제국군은 1618년부터 1648년까지의 30년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다. 황제는 대신 제국군("Kaiserliche Armee")과 함께 참전했다.[5]
1681년, 제국군 헌법("Reichsdefensionalordnung")을 통해 제국군의 구성이 확정되어, 여러 제국 관구에서 제공할 병력이 고정되었다. "Simplum"이라고 불리는 기본 병력은 40,000명으로, 보병 28,000명, 기병 12,000명, 용기병(기마 보병) 2,000명을 포함했다. 비상시에는 병력을 두 배("duplum")나 세 배("triplum")로 증원할 수 있었다.[6][7][8]
제국 관구 | 기병 | 보병 |
---|---|---|
오스트리아 관구 | 2,522 | 5,507 |
부르군트 관구 | 1,321 | 2,708 |
라인 선제후 관구 | 600 | 2,707 |
프랑코니아 관구 | 980 | 1,902 |
바이에른 관구 | 800 | 1,494 |
슈바벤 관구 | 1,321 | 2,707 |
상 라인 관구 | 491 | 2,853 |
하 라인-베스트팔렌 관구 | 1,321 | 2,708 |
상 작센 관구 | 1,322 | 2,707 |
하 작센 관구 | 1,322 | 2,707 |
합계 | 12,000 | 28,000 |
각 제국 관구에서 제공해야 할 병력 수치는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거의 변동이 없었다. 실제 제국군은 여러 독립적인 연대로 구성되었으며, 병력 대신 자금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었다.[11]
2. 1. 초기 역사 (15세기-17세기)
후스 전쟁의 위협으로, 1422년 뉘른베르크에서 열린 제국 의회는 제국의 각 지역에서 특정 병력 분견대를 요구하여 제국군을 창설했다.[2] 1420년부터 1434년까지 지속된 후스 전쟁에서 군대는 그 가치를 증명했다. 이후 백 년 동안, 군대의 규모는 징집된 병력의 수를 엄격하게 규제하거나 그에 대한 비용을 제한하여 통제되었다. 1521년 보름스 제국 의회에서 보병 20,063명과 기병 4,202명을 유지하기로 약속했으나, 나중에 보병 20,000명과 기병 4,000명으로 단순화되었다. 이 규모의 군대를 유지하는 데 드는 월별 비용은 로마 달("Römermonat")이라고 알려졌다.[3]
제국 등록부("Reichsmatrikel" 또는 "Heeresmatrikel")는 제국을 구성하는 개별 국가의 기여를 결정했으며, 첫 번째는 1422년 등록부였다.[4]
일반적인 통념과는 달리, 제국군은 1618년부터 1648년까지의 30년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다. 황제는 대신 제국군("Kaiserliche Armee")과 함께 이 전쟁에 참여했다.[5]
1681년 제국군 헌법("Reichsdefensionalordnung")은 마침내 군대의 구성을 결정하여 다양한 제국 관구에서 제공할 병력을 고정했다. 라틴어로 "Simplum"이라고 불리는 단순 총력은 이제 40,000명으로 고정되었으며, 여기에는 28,000명의 보병과 12,000명의 기병이 포함되었으며, 2,000명의 용기병(기마 보병)도 포함되었다. 비상시에는 병력 분견대를 두 배 또는 세 배로 늘려 군대 규모를 늘릴 수 있었다.[6][7] 이러한 배수는 라틴어로 "duplum"과 "triplum"이라고 불렸다.[8]
제국 관구 | 기병 | 보병 |
---|---|---|
오스트리아 관구 | 2,522 | 5,507 |
부르군트 관구 | 1,321 | 2,708 |
라인 선제후 관구 | 600 | 2,707 |
프랑코니아 관구 | 980 | 1,902 |
바이에른 관구 | 800 | 1,494 |
슈바벤 관구 | 1,321 | 2,707 |
상 라인 관구 | 491 | 2,853 |
하 라인-베스트팔렌 관구 | 1,321 | 2,708 |
상 작센 관구 | 1,322 | 2,707 |
하 작센 관구 | 1,322 | 2,707 |
합계 | 12,000 | 28,000 |
각 제국 관구에서 제공해야 할 병력 수치는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거의 변경되지 않았다. 실제로는 여러 개의 독립적인 연대로 구성되었다. 경우에 따라 황제에 대한 이러한 군사적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병력 대신 돈이 제공되었다.[11]
2. 2. 제국군 헌법과 안정화 (17세기 후반-18세기)
1681년 제국군 헌법("Reichsdefensionalordnung")에 따라 제국 관구별로 제공할 병력이 고정되면서 제국군의 구성이 결정되었다. 단순 총력(라틴어로 "Simplum")은 40,000명으로 고정되었으며, 여기에는 28,000명의 보병과 12,000명의 기병(2,000명의 용기병, 즉 기마 보병 포함)이 포함되었다. 비상시에는 병력 분견대를 두 배("duplum") 또는 세 배("triplum")로 늘려 군대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6][7][8]제국 관구 | 기병 | 보병 |
---|---|---|
오스트리아 관구 | 2,522 | 5,507 |
부르군트 관구 | 1,321 | 2,708 |
라인 선제후 관구 | 600 | 2,707 |
프랑코니아 관구 | 980 | 1,902 |
바이에른 관구 | 800 | 1,494 |
슈바벤 관구 | 1,321 | 2,707 |
상 라인 관구 | 491 | 2,853 |
하 라인-베스트팔렌 관구 | 1,321 | 2,708 |
상 작센 관구 | 1,322 | 2,707 |
하 작센 관구 | 1,322 | 2,707 |
합계 | 12,000 | 28,000 |
각 제국 관구에서 제공해야 할 병력 수치는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거의 변경되지 않았다. 실제 제국군은 여러 개의 독립적인 연대로 구성되었다. 경우에 따라 황제에 대한 군사적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병력 대신 돈을 제공하기도 했다.[11]
2. 3. 주요 참전 전쟁
제국군은 1590년대부터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사이 기간 동안, 신성 로마 제국 황제 군대의 부대 및 기타 지역 영토군과 함께 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쟁에서 싸웠다. 그러나 1618년부터 1648년까지의 30년 전쟁에는 참여하지 않았다.[18]제국군이 참전한 주요 전쟁은 다음과 같다.
-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663–1664)
-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1673–1679)
- 9년 전쟁 (1688–1697)
-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1714)
-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1734–1735)
-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1792–1797)
-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1798–1801)
3. 해체
1804년, 프란츠 2세가 "프란츠 1세"로 오스트리아 황제로 즉위하면서 새롭게 창설된 오스트리아 황제의 영토에서 기원한 제국군은 황실 및 왕립군(''Kaiserlich-königliche Armee'')이 되었으며, 1805년 울름 전투와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프랑스에 패배했다.[12] 1806년, 승리한 프랑스는 이전 제국의 많은 부분을 라인 동맹으로 조직했는데, 이는 프랑스 제1제국의 종속국들의 집합체였으며, 공통의 연방군을 가지고 있었다.[13]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military history and the art of war
1994
[2]
서적
Europe in the late Middle Ages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65
[3]
서적
Rural Society and the Search for Order in Early Modern Germany
2002
[4]
서적
Reich and nation: the Holy Roman Empire as idea and reality, 1763-1806
Indiana University Press
1980
[5]
서적
Imperial Armies of the Thirty Years' War
2009
[6]
서적
History of the House of Austria
https://books.google[...]
1807
[7]
간행물
Militärgeschichtliche Zeitschrift
Militärgeschichtlichen Forschungsamt
2003
[8]
서적
1994
[9]
간행물
Pütter's Political History of Germany
https://books.google[...]
"[s.n.]"
1790
[10]
간행물
Militärgeschichte - Zeitschrift für historische Bildung
2006-03
[11]
서적
2002
[12]
서적
The Reader's Companion to Military History
2001
[13]
서적
Early modern Germany, 1477-1806
1992
[14]
서적
A dictionary of military history and the art of war
1994
[15]
서적
Europe in the late Middle Ages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65
[16]
서적
Rural Society and the Search for Order in Early Modern Germany
2002
[17]
서적
Reich and nation: the Holy Roman Empire as idea and reality, 1763-1806
Indiana University Press
1980
[18]
서적
Imperial Armies of the Thirty Years' War
2009
[19]
서적
History of the House of Austria
https://books.google[...]
1807
[20]
간행물
Militärgeschichtliche Zeitschrift
Militärgeschichtlichen Forschungsamt
2003
[21]
서적
1994
[22]
간행물
Pütter's Political History of Germany
https://books.google[...]
"[s.n.]"
1790
[23]
간행물
Militärgeschichte - Zeitschrift für historische Bildung
2006-03
[24]
서적
2002
[25]
서적
The Reader's Companion to Military History
2001
[26]
서적
Early modern Germany, 1477-1806
1992
[27]
간행물
Pütter's Political History of Germany
https://books.google[...]
"[s.n.]"
1790
[28]
간행물
Militärgeschichte - Zeitschrift für historische Bildung
20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