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붓꽃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비붓꽃은 다년생 초본으로, 줄기는 50~120cm까지 자란다. 5~6월에 보라색 꽃이 피고, 7~8월에 타원형 열매를 맺으며 윤기 나는 갈색 씨앗을 가진다. 북반구 온대에 약 200종이 분포하며 대한민국에는 14종이 자생한다. 습지에서 자라며 지리산, 일본, 중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일본 환경성 레드리스트에서 준위협종으로 분류된다.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일본에서는 문화적 상징성을 가지며, 꽃말은 우아한 심정 또는 행운이다. 아이치현의 현화이며, 네즈 미술관에 오가타 고린의 붓꽃 그림 병풍이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치현의 상징 - 소쩍새
소쩍새는 유라시아 대륙과 아프리카에 분포하며, 몸길이 약 20cm의 야행성 곤충류를 먹는 새이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 아이치현의 상징 - 보리새우
몸에 짙은 가로 줄무늬가 있는 갑각류인 보리새우는 연안의 얕은 바다에 서식하며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양식되는 고급 식재료이다. - 일본의 고유종 식물 - 삼나무
삼나무는 일본 고유의 상록 침엽 교목으로, 곧게 자라는 원추형 수관과 적갈색 수피, 바늘 모양 잎을 가지며, 건축재, 가구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꽃가루 알레르기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 일본의 고유종 식물 - 일본잎갈나무
일본잎갈나무는 일본 특산종으로, 가을에 단풍이 들며 방풍림, 목재 등으로 이용되고, 1960~70년대 한국에서 대규모 조림이 이루어졌다. - 붓꽃아과 - 꽃창포
꽃창포는 6~7월에 자주색 꽃잎과 노란색 줄무늬가 있는 꽃을 피우는 60~120cm 높이의 여러해살이 풀로,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습지나 물가에서 자생하고 원예용, 약재로도 사용되며 자생지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붓꽃아과 - 각시붓꽃
각시붓꽃은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보라색 또는 자주색 꽃을 피우며 관상용, 약재로 사용되지만 독성이 있고 IUCN 적색 목록에 취약 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제비붓꽃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분류 | |
| 계 | 식물계 |
| 문 (미분류) | 속씨식물군 |
| 강 (미분류) | 외떡잎식물군 |
| 목 | 비짜루목 |
| 과 | 붓꽃과 |
| 속 | 붓꽃속 |
| 종 | 카키츠바타 |
| 학명 | Iris laevigata |
| 학명 출처 | Tropicos.org. Missouri Botanical Garden. 15 Jun 2021 |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 멸종위기 2급 |
| 대한민국 환경부 출처 |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
| 기타 | |
| 네이버 백과사전 (한국화재식물도감) | 한국화재식물도감, 제비붓꽃 |
| 네이버 백과사전 (두산백과) | 두산백과, 제비붓꽃 |
| 외부 정보 | |
| EOL | Iris laevigata |
| BSBI | BSBI 2007 |
2. 특징
줄기는 높이 50~120cm까지 자라며, 줄기 기부에서 두 줄로 폭 2~3cm이다. 잎은 포 2~3cm, 길이 40~60cm이다. 5~6월에 피는 꽃은 3개씩 피며 보라색이다. 7~8월에 열매가 익으며 형태는 타원형이고, 씨앗은 윤기나는 갈색이다.[17][18]
제비붓꽃은 북반구 온대에 약 200종이 있으며, 대한민국에는 14종이 자생한다. 주로 습지에서 자라며 지리산, 일본,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아무르, 우스리 등지에 분포한다.[17][18][19][20] 2012년부터 3년간 러시아 생물학토양연구소와 프리모스키 남서 지역 식물상에 관한 공동 연구를 통해 두만강 유역에서 한국 멸종 위기 식물들이 다수 발견되었는데, 그중에 제비붓꽃도 포함되어 있었다.[21]
제비붓꽃은 습지에서 무리 지어 자라며, 매년 5월부터 6월에 걸쳐 보라색 꽃을 피운다. 안쪽 꽃덮이 조각은 가늘고 곧게 서며, 바깥쪽 꽃덮이 조각(앞쪽으로 처진 꽃잎)의 중앙에는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의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습지에 무리지어 자라며, 매년 5월부터 6월에 걸쳐 보라색 꽃을 피운다. 안쪽 꽃덮이 조각이 가늘고 곧게 서며, 바깥쪽 꽃덮이 조각(앞쪽으로 처진 꽃잎)의 중앙에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의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아이치현의 현화이기도 한데, 이는 미카와쿠니 야츠하시(현재의 치타시 야츠하시)가 『이세 이야기』에서 아리와라노 요리히라가 붓꽃에 관한 노래를 지었다고 전해지는 것에 유래한다.[11]
에도 시대 전반에는 이미 많은 품종이 탄생하였고, 고전 원예 식물의 하나이기도 하지만,[12] 에도 시대 후반에는 꽃창포가 매우 발전하여 붓꽃은 별로 주목받지 못했다. 현대에는 다시 품종 개량이 진행되고 있다.
키는 50~80cm 정도이다. 붓꽃( ''Iris sanguinea'')은 비교적 건조한 곳을 좋아하는 반면, 꽃창포는 습지를 좋아한다.[13] 잎의 너비는 붓꽃이 좁고 꽃창포가 넓다(붓꽃과 꽃창포의 중간이 붓꽃이다).[13] 꽃잎의 밑부분은 붓꽃은 그물무늬이고, 꽃창포는 흰색의 한 줄기 선이 있으며, 붓꽃은 노란색이다.[13]
3. 분포 지역
시베리아 남부에서 일본에 걸쳐 분포하며,[10] 구체적으로는 러시아(이르쿠츠크주, 사하 공화국, 구 치타주, 부랴트 공화국, 아무르주, 프리모르스키 지방, 쿠릴 열도(일본에서는 지시마 열도라고 부른다), 사할린주, 하바롭스크 지방), 중국(남중부, 만주, 북중부), 조선, 일본에 분포한다. 더 나아가 오스트레일리아 서부에도 도입되었다.[10]
4. 생태
아이치현의 현화이기도 한데, 이는 미카와국 야츠하시(현재의 지타시 야츠하시)가 『이세 이야기』에서 아리와라노 나리히라가 붓꽃에 관한 노래를 지었다고 전해지는 것에서 유래한다.[11]
'''か'''ら衣
'''き'''つつなれにし
'''つ'''ましあれば
'''は'''るばるきぬる
'''た'''びをしぞ思ふ|아리와라노 나리히라의 시일본어
에도 시대 초기에는 이미 많은 품종이 만들어졌고, 고전 원예 식물 중 하나이기도 하지만,[12] 에도 시대 후기에는 꽃창포가 크게 발전하여 제비붓꽃은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현대에는 다시 품종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자 표기 중 하나인 '杜若'은 원래는 산파대극이라는 다른 종의 한자 이름('토쟈쿠'라고 읽는다)이었지만, 제비붓꽃과 혼동된 것이다.
키는 50~80cm 정도이다. 붓꽃( ''Iris sanguinea'')은 비교적 건조한 곳을 좋아하지만, 꽃창포는 습지를 좋아한다.[13] 잎의 너비는 붓꽃이 좁고 꽃창포가 넓다(붓꽃과 꽃창포의 중간이 제비붓꽃이다).[13] 꽃잎의 밑부분은 붓꽃은 그물무늬이고, 꽃창포는 흰색의 한 줄기 선이 있으며, 제비붓꽃은 노란색이다.[13]
4. 1. 보전 상태
제비붓꽃은 북반구 온대에 약 200종, 대한민국에는 14종이 자란다. 습지에서 자라며 지리산, 일본,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아무르, 우스리에 분포한다.[17][18][19][20] 2012년부터 3년간 러시아 생물학토양연구소와 러시아 프리모스키 넘서 지역 식물상에 관한 공동 연구를 통해 한국 멸종 위기 식물들이 두만강 유역에서 다수 발견되었는데 그중에 제비붓꽃도 있었다.[21] 일본 환경성에서는 제비붓꽃을 (NT)으로 지정하였다. 2007년 8월 레드리스트에서는 이전 일본 환경성 레드 데이터 북에서 멸종위기 II류(VU)로 지정했었다.
5. 재배 및 품종
제비붓꽃은 관상용으로 쓰이며, 원예 품종이 많다.[18] 아이치현의 현화이기도 한데, 이는 미카와쿠니 야츠하시(현재의 치타시 야츠하시)가 『이세 이야기』에서 아리와라노 요리히라가 붓꽃에 관한 노래를 지었다고 전해지는 것에 유래한다.[11]
'''か'''ら衣
'''き'''つつなれにし
'''つ'''ましあれば
'''は'''るばるきぬる
'''た'''びをしぞ思ふ|가라코로모
기쓰쓰나레니시
쓰마시아레바
하루바루키누루
다비오시조오모일본어
: 아리와라노 요리히라의 시
에도 시대 전반에는 이미 많은 품종이 탄생하였고, 고전 원예 식물의 하나이기도 하지만,[12] 에도 시대 후반에는 꽃창포가 매우 발전하여 붓꽃은 별로 주목받지 못했다. 현대에는 다시 품종 개량이 진행되고 있다.
무늬가 있는(variegated) 재배품종인 ''I. laevigata'' 'Variegata'[5]는 왕립원예학회의 정원 공로상을 수상했다.
6. 문화적 상징성
제비붓꽃의 꽃말은 우아한 심정 또는 행운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17] 붓꽃을 그린 미술 작품으로는 오가타 고린의 「제비붓꽃 그림병풍」 등이 있다.

6. 1. 한국
대한민국에는 14종의 제비붓꽃이 자라며, 습지에서 자란다. 지리산, 일본,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아무르, 우스리에 분포한다.[17][18][19][20] 2012년부터 3년간 러시아 생물학토양연구소와 러시아 프리모스키 넘서 지역 식물상에 관한 공동 연구를 통해 한국 멸종 위기 식물들이 두만강 유역에서 다수 발견되었는데 그중에 제비붓꽃도 있었다.[21]6. 2. 일본
아이치현 치류시의 무료주지(Muryojuji Temple)에 있는 야쓰하시 가키쓰바타 정원(八橋かきつばた園)은 빼어난 수생 정원의 예시로 꼽힌다.[6] 이 정원은 헤이안 시대부터 가키쓰바타(붓꽃) 정원으로 유명했으며, 일본의 시인 아리와라노 나리히라가 『이세 이야기』에서 가키쓰바타의 앞글자 다섯 글자를 사용하여 지은 시가 전해지는 곳이기도 하다. 가키쓰바타(붓꽃)는 아이치현과 지류시의 현화(県花)이기도 하다. 매년 4월 말에는 이 사찰 정원에서 가키쓰바타의 개화를 기념하는 축제가 열리며, 매년 약 25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한다.[8]도쿄 중심부 아오야마의 네즈 미술관에는 오가타 고린이 그린 국보급 병풍, 「붓꽃(Irises)」이 소장되어 있다. 이 병풍은 예술 작품 속 가키쓰바타(붓꽃)를 가장 유명하게 묘사한 작품으로 꼽힌다. 미술관 정원 연못의 붓꽃이 만개하는 매년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 전시된다.
아이치현의 현화이기도 한데, 이는 미카와쿠니 야츠하시(현재의 치타시 야츠하시)가 『이세 이야기』에서 아리와라노 요리히라가 붓꽃에 관한 노래를 지었다고 전해지는 것에 유래한다.[11]
에도 시대 전반에는 이미 많은 품종이 탄생하였고, 고전 원예 식물의 하나이기도 하지만,[12] 에도 시대 후반에는 꽃창포가 매우 발전하여 붓꽃은 별로 주목받지 못했다. 현대에는 다시 품종 개량이 진행되고 있다.
7.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BSBI 2007
2014-10-17
[2]
웹사이트
Iris laevigata
https://eol.org/page[...]
2020-09-25
[3]
웹사이트
Iris laevigat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4]
웹사이트
The Gardener's Iris Book – William Shears (2002)
https://www.amazon.c[...]
Taunton Press Inc
2002-10-17
[5]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Iris laevigiata'' 'Variegata'
https://www.rhs.org.[...]
2020-09-07
[6]
웹사이트
Major Attractions in Chiryu
https://web.archive.[...]
2008-02-22
[7]
웹사이트
Ise Monogatari
https://web.archive.[...]
2008-03-09
[8]
웹사이트
Rabbit Ear Iris Festival
https://web.archive.[...]
2013-07-19
[9]
웹사이트
Tropicos.org
http://www.tropicos.[...]
2021-06-15
[10]
웹사이트
World Checklist of Iridaceae
https://web.archive.[...]
2021-06-15
[11]
웹사이트
あいちのシンボル(花・木・鳥・魚)
https://www.pref.aic[...]
愛知県
2018-04-20
[12]
웹사이트
日本伝統の園芸植物「花菖蒲」の魅力に迫る!
http://www.tamagawa.[...]
玉川大学農学部 田淵研究室
2020-06-04
[13]
문서
あやめの見分け方
https://www.city.ita[...]
潮来市
2022-05-10
[14]
문서
ほげほげ
[15]
Youtube
Pii「カキツバタ」Music Video
https://www.youtube.[...]
2021-05-30
[16]
간행물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17]
웹인용
한국화재식물도감, 제비붓꽃
https://terms.naver.[...]
2015-12-07
[18]
웹인용
두산백과, 제비붓꽃
https://terms.naver.[...]
2015-12-07
[19]
웹인용
자연지리정보관 : 동식물, 제비붓꽃
https://terms.naver.[...]
2015-12-07
[20]
웹인용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제비붓꽃
https://terms.naver.[...]
2015-12-07
[21]
뉴스
두만강서 우리나라 멸종위기 식물 다수 발견…제비붓꽃·독미나리 등
http://www.hkbs.co.k[...]
2015-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