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개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개옥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군인으로, 1894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일본 와세다 대학에서 정치학을 전공하고 중국 국민혁명군에 입대하여 군사 훈련을 받았다. 광복 후에는 건국준비위원회에서 활동하다가 이승만의 추천으로 경기도 경찰부장에 임명되었으나, 중장 사칭 의혹으로 사퇴했다. 이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6.25 전쟁에 참전하여 김포에서 전사했다. 사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으며,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198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으며,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제 2397호)에 서훈되었다.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묘역에 안장되었다.
2. 생애
2. 1. 생애 초반
조개옥은 1894년 9월 9일 한성부 북부 순화방 사재감하패계 체부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체부동)에서 아버지 조태영(趙泰永)과 어머니 고령 박씨 박희식(朴熙植)의 딸 사이의 1남 1녀 중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조태영은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임곡리 출신으로, 그의 일족이 같은 곳에 살고 있어 조개옥을 음성군 출신으로 보기도 한다. 한때 부인 김창기의 고향인 경기도 이천군이 조개옥의 고향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아버지 조태영은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천석의 대지주였다. 훗날 조개옥이 독립운동에 참여하면서, 그의 부모는 논밭을 팔아 독립운동 자금으로 지원했다.
1914년 일본으로 유학, 와세다 대학 정치학과에 입학했다. 1916년 와세다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와세다 대학 유학 중 쑨원의 삼민주의 및 애국심에 감화되어, 와세다 대학 졸업 후 중화민국으로 건너가 국민혁명군에 입대하였다.
2. 2. 중국 국민당군 활동
1917년 후난성에 있던 중국 국민혁명군 군사교육기관인 강무당 보병과를 수료하고, 후난성 국민당군 제1사 제1단부(第一團部) 부관(副官)에 임명되어 보병장교로 복무하였다.
1920년경에는 보정군관학교 제8기 포병과에 입학하였다. 이때 그는 조윤식이라는 본명 대신 조송평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922년 보정군관학교 졸업 후 1924년부터 우페이푸, 김동식 등이 지휘하는 화북성 독군(督軍)에 배속되어 상위(上尉)에까지 승진했다.
조개옥이라는 이름은 장개석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가족들의 1977년 경향신문 진술에 의하면 돌 석보다는 구슬 옥을 택하게 되었다 한다.
1923년 10월부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독립군 양성을 위해 김구를 회장으로 하는 한국노병회를 조직했는데, 조개옥은 노병회 창설에 참여하였다. 그는 중국 내에 있는 조선인 장교들에게 홍보, 조선인 청년들의 훈련 알선을 전달, 홍보하게 하였다.
1924년 6월경 조개옥이 있던 화북군에 채원개, 조석구 등 50여 명의 조선인 청년을 뤄양 강무당에 유학시키게 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조개옥은 국민혁명군 장교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연락을 유지하면서 본격적으로 광복군 창설 교섭활동을 하였다.
1924년 그의 부모가 골라서 중국으로 보내준 이천 출신 신부 김창기와 결혼, 가족들을 데리고 임지로 부임해 다녔다. 1929년 펑위샹 휘하 국민당군 서북군의 작전참모가 되었다.
1931년 만주사변으로 관동군에 밀려 국민혁명군이 중국 변방으로 쫓겨가자 그 또한 한때 외몽골 지방에서 중국군 조직의 일종인 도통서(都統署)의 장교로 관동군과 교전하였다. 1933년에는 항일 제3로(第三路) 사령(司令)으로 복무하였다.
1934년 황푸군관학교 군사교관이 되고, 1935년 국민혁명군 중좌(중령급)로 진급했다. 1945년 귀국 이후 그는 자신을 중국군 예비역 중좌라고 소개했으나, 중국군 중장을 사칭했다는 루머가 확산되었다. 1936년 난징 중앙군 육군대학에서 교관이 되었다.
1940년 국민혁명군에서 퇴역하였다. 그해 만주 열하에서 항일민병대를 조직해 사령관이 되었으나 곧 그만두었다. 이후 부인 김해 김씨 김창기와 함께 상업에 종사했으나 주로 부인이 상점을 경영하였다. 이때 그는 만주 일본군의 눈을 피해 조축숭, 조중학 등으로 이름을 개명하며 살았다.
2. 3. 귀국과 경기도 경찰부장
1945년 8월 광복 직후 귀국하여 건국준비위원회 성북지구 치안대장 및 국민군창설준비위원장으로 활동했다. 같은 해 10월 16일 미국에서 귀국한 이승만의 추천으로 경찰에 투신하였다. 이승만은 하지 중장에게 조개옥을 추천했고, 조개옥은 조병옥에게 소개되었다. 10월 12일 경기도 경찰부장으로 내정되어 11월 6일 경성 부민관에서 초대 경기도 경찰부장에 취임하였다.
그러나 중국군 중좌 이력을 중장으로 속였다는 소문과 조병옥과의 정실인사라는 의혹이 확산되어 11월 17일 사퇴하였다. 부하 경찰들은 그가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상업에 종사한 경력을 이유로 배척하기도 했다. 일부 부하들은 그를 '장군님'이라 부르며 뒤에서 비웃었고, 가짜 장군이었다는 소문은 1977년까지도 계속되었다.
이승만은 조개옥의 사퇴를 만류하며 복직을 권유했으나, 조개옥은 군인의 길을 가겠다며 사양했다. 1945년 12월 3일 복직 청원이 올라왔지만 조개옥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1946년 1월 12일부터 9월 24일 후임자 박명제가 임명될 때까지 수도경찰청장 장택상이 경기도경찰국장을 겸직하였다.
2. 4. 군인 활동과 전사
1945년 12월 군사영어학교가 개교하자, 중국 국민당군 출신들에 대한 추천권한을 위임받아 이성가, 유해준 등을 1기 입교생으로 추천하였다. 1947년 5월 16일 자신도 육군사관학교 4기 특별반으로 입교하여 4개월 훈련을 수료한 뒤 같은 해 9월 10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되었다. 1949년 예비군 성격의 대한민국 호국군이 창단되자, 호국군 중령으로 참모장에 오르기도 했다.
1950년 6.25 전쟁 당시 육군 중령으로 참전했다가 7월 15일 경기도 김포군(현 김포시)에서 조선인민군과 교전 중에 실종되었다. 묘소는 가묘 여부는 불분명하나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임곡리에 조성되어 있다가 후일 대전 현충원으로 이장, 대전국립현충원 애국지사묘 260번에 안치되었다.
3. 사후
4. 평가
5. 가족 관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