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재기는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이자 체육 행정가이다. 하동 출신으로 동아대학교 유도부에 입부하여 유도를 시작했으며, 1972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 우승, 1973년 국가대표 발탁,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했다. 1980년 현역 은퇴 후 1988년 서울 올림픽 조직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조정위원, 대한체육회 사무총장, 대한카바디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국민체육진흥공단 이사장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동고등학교 (부산) 동문 - 이준식 (교육인)
이준식은 연세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대한민국민족근현대사기념관 관장, 통일부 공보관, 독립기념관 관장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교육인이다. - 대동고등학교 (부산) 동문 - 김헌정
김헌정은 1958년 부산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검사,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헌법재판소 사무차장과 사무처장을 역임했다. - 동아대학교 대학원 동문 - 오거돈
오거돈은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부산광역시장과 해양수산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여성 보좌관 성추행으로 시장직에서 사퇴하고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아 수감되었다가 2024년 만기 출소했다. - 동아대학교 대학원 동문 - 강달수 (1962년)
강달수는 동아대학교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시인으로 부산광역시 사하구의회 의원과 부산광역시의회 의원을 역임했으며, 활발한 문학 활동으로 다수의 저서와 문학상을 수상하고 의정 활동 관련 상도 받았으나 여학생 불법 촬영 혐의로 시의원직에서 사퇴하였다. - 1976년 하계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 - 소노다 이사무
소노다 이사무는 일본의 유도 선수이자 지도자로, 1969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후 후쿠오카현 경찰 유도 강사로 활동하며 후진을 양성했고, 그의 업적을 기리는 유도 대회가 개최되기도 했다. - 1976년 하계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 - 블라디미르 네브조로프
블라디미르 네브조로프는 소련의 유도 선수이자 지도자로, 197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소련 및 러시아 유도 국가대표팀 코치, 러시아 유도 연맹 부회장을 거쳐 현재 러시아 유도 연맹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조재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대한민국 |
출생일 | 1950년 3월 17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하동군 |
신장 | 183cm |
체중 | 93kg |
선수 경력 | |
종목 | 유도 |
체급 | +95kg, 무제한급 |
올림픽 | |
1976 몬트리올 | 동메달 |
세계 선수권 대회 | |
1979 파리 | +95kg 동메달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
1974 서울 | 무제한급 동메달 |
범태평양 선수권 대회 | |
1980 호놀룰루 | 무제한급 금메달 +95kg 은메달 |
2. 선수 경력
1972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1973년부터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1978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1회 가노 지고로 컵에 참가했으나 8강에서 야마시타 야스히로에게 패했다. 은퇴 후 씨름 도장에서 당시 고등학생이었던 하형주를 유도로 권유하여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 성장시켰다.
2. 1. 초기 경력 (1973년 이전)
하동군 출신으로 농가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중학생 때 부산의 중학교로 전학했다. 동아대학교에 입학하면서 유도부에 들어가 유도를 시작했다. 가벼운 마음으로 유도부에 들어갔지만, 유도의 즐거움에 눈을 뜨면서 학업 대신 스포츠에 매진하게 되었다. 대학교 3학년 때 전국 단체전에서 우승했고, 4학년 때는 단체전 및 개인전을 모두 석권했으며,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대학교 졸업 후에는 한국철도공단 유도부에 입단했다.2. 2. 국가대표 경력 (1973년 - 1980년)
1973년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1973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93kg 이하급에 참가했으나 3회전에서 영국의 데이비드 스타브룩에게 패했다.[3] 같은 해 7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크리스털 팰리스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스타브룩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4]1974년 11월 서울에서 열린 1974년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 무제한급에서 대표팀 동료인 권맹방과 함께 일본의 후지이 쇼조와 엔도 스미오의 뒤를 이어 동메달을 획득했다.
1976년 7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1976년 하계 올림픽 유도 무제한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 하프헤비급에서는 첫 상대인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빌럼 마뒤로를 꺾었으나 다음 상대인 소련의 라마스 하르실라제에게 패하여 탈락했다. 무제한급에서는 모로코의 무함마드 자와그와 헝가리의 버르거 임레를 꺾고 8강에 올랐으나, 8강에서 영국의 키스 렘프리에게 패했다. 이후 패자부활전에서 서독의 귄터 노이로이터와 아르헨티나의 호르헤 포르테이를 누르고 동메달을 획득했다.[5]
1979년 11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1979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하프헤비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무제한급에서는 첫 상대인 일본의 엔도 스미오에게 패하여 탈락했고, 하프헤비급에서는 첫 상대인 영국의 아서 맵을 이기고 스웨덴의 울프 에크베리, 스위스의 장 치니커를 차례로 꺾으며 준결승에 올랐으나, 준결승 상대인 프랑스의 장뤼크 루제에게 패했다. 이후 동메달 결정전에서 유고슬라비아의 라도미르 코바체비치를 상대로 판정승을 거두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1980년 1월 미국 호놀룰루에서 열린 1980년 범태평양 유도 선수권 대회 하프헤비급에서 은메달, 무제한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 출전할 예정이었으나, 대한민국의 보이콧으로 인해 좌절되었다. 1980년 한국 개인종합 선수권 대회 이후 은퇴했다.
2. 3. 일본 유학 및 지도 (1974년 - 1979년)
197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일본 선수들이 전 체급을 석권하는 것을 보고 일본 유학을 결심했다.[3] 1974년 경기대학교에 선수 겸 지도자로 초빙되었고, 덴리 대학과의 교류를 통해 일본에서 훈련했다.[4] 1975년에는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 출신이자 덴리 대학 유도부 코치인 김의태의 지도를 받았다.3. 은퇴 후 경력
은퇴 후, 씨름 도장에서 당시 고등학생이었던 하형주를 유도에 입문시켰다. 하형주는 이후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도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1986년에 올림픽 조직 위원에 임명되어, 대한민국 국내에서 열리는 국제 경기에서 매니지먼트 업무를 담당했다.[1]
2007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와세다 대학 스포츠 과학 학술원에 적을 두고, 유도 체험 교실과 강의를 개최했다. 또한, 가노 지고로의 사상과 동양 철학을 바탕으로 "학문으로서의 유도"에 대해 연구했다.[1]
참조
[1]
Sports-Reference
https://web.archive.[...]
2012-06-22
[2]
웹사이트
국민체육진흥공단 조재기 이사장 "조직, 재정, 기능...그래서 조재기 아닙니까"
http://www.sportsseo[...]
[3]
뉴스
世界유도大會라이트헤비級 趙在基 四回戰서 脫落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73-06-23
[4]
뉴스
런던柔道大會 韓國,金메달2…綜合2位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73-07-02
[5]
뉴스
柔道 趙在基 삭발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76-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