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본 네덜란드 대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일본 네덜란드 대사관은 일본에 주재하는 네덜란드 외교 공관으로, 17세기 초부터 시작된 유구한 역사를 자랑한다. 1609년 히라도에 네덜란드 상관이 개설된 이후, 쇄국 시대에는 데지마로 이전하여 200년 이상 존속했다. 1859년 에도에 공사관이 설치되었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시나가와로 이전했다. 1942년 란인 작전으로 일란 전쟁이 발발하며 단절되었다가,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발효로 일본이 독립한 후 재개관되었다. 현재는 도쿄도 미나토구 시바코엔에 위치하며, 2024년 7월 18일부터 힐스 베스호 푸르흐가 특명전권대사로 재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재외 공관 - 주한 네덜란드 대사관
주한 네덜란드 대사관은 1968년 6월 대한민국과 네덜란드 수교 이후 서울에 설립된 네덜란드 외교 공관으로, 외교, 투자 유치, 문화 교류, 네덜란드 국민 보호, 영사 업무 등을 수행한다. - 네덜란드-일본 관계 - 데지마
데지마는 에도 막부가 포르투갈인을 수용하기 위해 나가사키에 건설한 인공 섬으로, 쇄국 정책 하에 서양과의 유일한 교류 창구로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상관이 위치하여 무역과 학문 교류의 중심지였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매립되었고, 현재 나가사키시에서 복원 사업을 추진 중이다. - 네덜란드-일본 관계 - 난학
난학은 17세기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일본에서 네덜란드어를 통해 서양 학문을 수용하는 용어이며, 에도 시대 쇄국 정책 속에서 서양 문물을 접하는 유일한 통로가 되어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 - 도쿄 주재 공관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조선인 단체로, 북한을 지지하며 교육, 금융, 언론 기관을 산하에 두고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일본 정부의 감시 대상이자 사회 갈등, 북한 관계 변화,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도쿄 주재 공관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 외교부 소속 기관으로, 대한민국과 일본 간의 외교를 담당하며, 1949년 주일본 한국대표부로 시작하여 1965년 대사관으로 승격되었고, 현재 도쿄도 미나토구에 위치하며 박철희 대사가 특명전권대사로 임명되어 도쿄도 등 6개 현을 관할한다.
주일본 네덜란드 대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주일본 네덜란드 대사관 |
현지 명칭 (네덜란드어) | Nederlandse Ambassade in Japan |
현지 명칭 (일본어) | 駐日オランダ大使館 (주일 네덜란드 대사관) |
영어 명칭 | Embassy of the Netherlands in Japan / Dutch Embassy in Japan |
기타 영어 명칭 | Embassy of the Netherlands in Tokyo / Dutch Embassy in Tokyo |
외교 관계 | |
개설 | 1609년 - 1641년 (히라도 네덜란드 상관) 1641년 - 1859년 (데지마 네덜란드 상관) 1859년 - 1942년 (공사관) 1953년 - 현재 (대사관) |
대사 | 히르스 베스호-플루흐 |
상세 정보 | |
위치 | 일본 도쿄도 미나토구 시바고엔 3-6-3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일본에 상주하는 네덜란드 외교 대표의 역사는 유럽 국가 중 가장 오래되었으며, 17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도쿠가와 이에미쓰 치세에 스페인, 포르투갈, 잉글랜드 왕국(후의 영국)과의 외교 관계가 단절된 후, 네덜란드는 일본과 외교 관계를 유지한 가장 오래된 유럽 국가였다.
1859년 (안세이 6년), 에도의 사이오지 경내(현 미나토 유치원 부지 내[9])에 최초의 '''주일본 네덜란드 공사관'''(Nederlandse Legatie in Japan|네덜란드어 발음 표기nl)이 설치되었다. 1867년 (게이오 3년) 말 에도 사쓰마 번 저택 방화 사건으로 사이오지가 소실되자, 네덜란드 공사관은 시나가와의 초오지로 이전했다.[10] 네덜란드의 디르크 데 흐라프 판 폴스브루크 대리 공사는 초오지에서 메이지 유신을 맞이했다.[11]
2. 1. 에도 시대 (1603년 - 1868년)
17세기 초, 도쿠가와 이에미쓰 치세에 스페인, 포르투갈, 잉글랜드 왕국(후의 영국)과의 외교 관계가 단절된 후, 네덜란드는 유럽 국가 중 유일하게 일본과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1][2] 이는 쇄국 체제의 시작이었다.1609년 (게이초 14년), 네덜란드 상인 야쿠스 스펙스는 히젠국히라도 (현 나가사키현히라도시)에 네덜란드 상관을 설치하고 초대 상관장이 되었다.[3] '카피탄'은 포르투갈어 'Capitão'에서 유래한 말로, 당시 유럽 국가의 상관장을 일컫는 말이었다.[4]
1639년 (간에이 16년)부터 1641년 (간에이 18년)까지 상관장으로 재직한 프랑스계 네덜란드인 프랑수아 카론은 막부와 협력하여 상관을 유지했다.[1][5] 이 시기 막부는 포르투갈과 단교하고, 포르투갈 상관이 있던 데지마는 비어있게 되었다. 1641년 (간에이 18년), 카론은 막부의 요청으로 네덜란드 상관을 히라도에서 데지마로 이전했다.[7]
히라도에 상주한 마지막 네덜란드 상관장은 막시밀리안 르 메르로, 그는 처음으로 『네덜란드 풍설서』를 구술 필기하여 막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
데지마의 네덜란드 상관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유럽 정복으로 네덜란드가 본토를 상실한 시기에도 유지되었으며, 안세이 연간까지 200년 이상 존속했다. 마지막 상관장 얀 동켈 쿠르티우스는 일란 화친 조약과 일란 추가 조약 체결, 군함 2척 발주, 나가사키 해군 전습소 설립 등을 추진했다.[8]
2. 2. 메이지 시대 (1868년 - 1945년)
1868년(메이지 원년), 판 폴스브루크는 메이지 유신 이후에도 계속해서 대리 공사로 유임하는 것을 메이지 정부로부터 인정받았으며, 같은 해 안으로 변리공사로 승진했다.[11]마지막 주일 네덜란드 공사는 J・C・파브스트(J. C. Pabst)이다. 파브스트 공사는, 일본-네덜란드 관계가 역사상 최악으로 험악했던 1942년(쇼와 17년) 란인 작전 발동까지 공사의 임무를 수행했지만, 외교적 노력으로 일본-네덜란드 개전을 막는 데는 실패했고 양국은 전쟁에 돌입했다.[12] 네덜란드뿐만 아니라, 네덜란드령 동인도(현재의 인도네시아)에 침공한 일본 측에게도 역사 인식 문제를 안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1942년 (쇼와 17년)부터 1945년 (쇼와 20년)에 걸친 일본-네덜란드 전쟁 시기를 가리켜, 주일 네덜란드 대사관의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판은 "역사의 어둠"이라고 칭하고 있다.[1]
2. 3.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이후 (1945년 - 현재)
1946년(쇼와 21년) 9월 4일, 제88회 제국 의회 개원식에서 쇼와 천황은 "평화 국가를 확립하여 인류의 문화에 기여하고자 한다"라는 칙어를 내려 평화 국가로서 재출발할 것을 선언했다.[13] 이는 같은 해 11월 3일 일본국 헌법 공포[14], 1947년(쇼와 22년) 5월 3일 헌법 시행으로 이어져 법적으로 명문화되었다.[15]1952년(쇼와 27년) 4월 28일,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이 발효되어 일본이 독립했다. 네덜란드는 이 조약의 체결국 중 하나였으며, 같은 해 8월 26일 네덜란드에서 비준을 거쳐 양국 간 외교 관계가 회복되었다.[16]
이후 '''주일본 네덜란드 대사관'''으로 재개관되었으며, 1953년(쇼와 28년)부터 1959년(쇼와 34년)까지 O・로이힐린(O. Reuchlin)이 초대 주일 대사를 역임했다.[17]
3. 소재지
〒105-0011 東京都港区芝公園3-6-3일본어3-6-3, Shiba Kōen, Minato-ku, Tokyo 105-0011영어[20]
3. 1. 주소
4. 대사
2023년 8월 10일, Theodorus Peters|테오도뤼스 페터르스nl가 임시대리대사로 임명되었다.[19] 2024년 7월 18일부터는 힐스 베스호 푸르흐가 특명전권대사를 맡고 있다.[19]
4. 1. 임시대리대사
테오도뤼스 페터르스가 2023년 8월 10일자로 임시대리대사로 임명되었다.4. 2. 특명전권대사
2024년 7월 18일부터 힐스 베스호 푸르흐가 특명전권대사를 맡고 있다.[19]5. 특이 사항
주한 네덜란드 대사관이 개설되기 직전부터 정식 주한 네덜란드 대사가 임명되기 전까지 이 대사관 소속 대사가 주한 대사를 겸임한 이력이 과거에 있었다.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日蘭交流の歴史 | 王国について | orandatowatashi.nl
https://www.orandato[...]
[2]
웹사이트
どうして出島は造られたの? |出島|出島|長崎市公式観光サイト「あっ!とながさき」
https://www.at-nagas[...]
[3]
웹사이트
出島の歴史 | 【公式】出島〜dejima〜
https://nagasakideji[...]
[4]
웹사이트
カピタン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5]
웹사이트
第2部 1. 来日外国人の日本研究 (1) | 江戸時代の日蘭交流
https://www.ndl.go.j[...]
[6]
웹사이트
『ポルトガル使節4名の輝かしき死』 | 京都外国語大学付属図書館
https://www.kufs.ac.[...]
[7]
웹사이트
日本関係海外史料 オランダ商館長日記 訳文編之六 syoho22-pub | 東京大学
https://www.hi.u-tok[...]
[8]
웹사이트
第1部 4. 日本の開国と日蘭関係 | 江戸時代の日蘭交流
https://www.ndl.go.j[...]
[9]
웹사이트
みなと幼稚園<東京都港区>
http://www.e-ojyuken[...]
[10]
간행물
港区歴史観光ガイドブック 時代の夜明けをたどる旅 幕末外交史跡をゆく
https://www.city.min[...]
[11]
논문
明治時代の東京にあった外国公館(1)
https://www.mofa.go.[...]
[12]
웹사이트
Japan's Need for Oil and the Embargo (1940-1941) | Dutch East Indies 1941-1942
https://dutcheastind[...]
[13]
웹사이트
8月15日という物語 ―天皇は敗戦占領にどのように向き合ったのであろうか―|学び!と歴史|まなびと|Webマガジン|日本文教出版
https://www.nichibun[...]
[14]
웹사이트
昭和21年(1946)11月 | 日本国憲法が公布される: 日本のあゆみ
https://www.archives[...]
[15]
웹사이트
概説[第5章 憲法の施行] | 日本国憲法の誕生
https://www.ndl.go.j[...]
[16]
웹사이트
VI 平和条約の批准・発効
https://www.mofa.go.[...]
[17]
웹사이트
Nederlandse Ambassade en Consulaat-Generaal in Japan (Tokio) (NL-HaNA - 2.05.196) - Archives Portal Europe
http://www.archivesp[...]
[18]
웹사이트
駐日外国公館リスト 欧州 | 外務省
https://www.mofa.go.[...]
[19]
웹사이트
駐日各国大使リスト|外務省
https://www.mofa.go.[...]
外務省
2024-07-25
[20]
웹사이트
駐日外国公館リスト 欧州 | 外務省
https://www.mofa.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