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일본 간의 외교를 담당하는 대한민국 외교부 소속 기관이다. 1949년 1월 주일본 한국대표부로 시작하여, 1965년 한일 기본 관계 조약 체결 및 발효에 따라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현재 도쿄도 미나토구 미나미아자부에 위치해 있으며, 한국 문화원은 신주쿠구에 설치되어 있다. 2024년 8월 기준 박철희 대사가 특명전권대사로 임명되어 있으며, 도쿄도, 지바현, 사이타마현, 군마현, 이바라키현, 도치기현을 관할 구역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자부 - 아토믹 몽키
    아토믹 몽키는 일본의 성우 및 연예인 기획사로, 국내외 인지도가 높은 성우들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연예인이 소속되어 있으며, 자체 레이블 음반 발매 및 성우 양성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 아자부 - 일본경위도원점
    일본경위도원점은 일본 측량의 기준점으로, 도쿄도 미나토구에 위치하며 과거 도쿄 천문대를 기준으로 설정되었으나 간토 대지진, 세계측지계 도입, 동일본 대지진 등의 영향으로 기준이 변경되어 현재는 세계측지계를 기반으로 재측정된 값을 사용한다.
  • 도쿄 주재 공관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조선인 단체로, 북한을 지지하며 교육, 금융, 언론 기관을 산하에 두고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일본 정부의 감시 대상이자 사회 갈등, 북한 관계 변화,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도쿄 주재 공관 - 주일본 중국 대사관
    1973년 중일 관계 정상화로 개설된 주일본 중국 대사관은 이전에는 중화민국의 무역대표부가 비공식 외교 창구 역할을 했었다.
  • 대한민국-일본 관계 - 김대중 납치 사건
    김대중 납치 사건은 1973년 대한민국 중앙정보부가 야당 정치인 김대중을 도쿄에서 납치하여 한국으로 강제 연행한 사건으로, 박정희 정권의 반대 세력 탄압 목적과 대한민국 주권 침해 논란, 국제적 문제 비화, 한일 관계 악영향, 그리고 반민주적 행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기록된다.
  • 대한민국-일본 관계 - 한일기본조약
    한일기본조약은 1965년 한국과 일본이 국교를 정상화하기 위해 체결한 조약으로, 청구권 문제, 독도 문제 등을 포함하며 한국이 대일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신 일본으로부터 경제협력을 받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과거사 청산 미흡과 경제적 양보 논란을 야기하며 현재까지도 양국 간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2023년 1월 2일)
개관1965년
위치일본 도쿄도 미나토구 미나미아자부 1-2-5
웹사이트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인물
대사박철희

2. 연혁


  • 1949년 1월 29일: 주일본 한국대표부 발족. (긴자 와코 백화점 4층에 사무실 설치)[8]
  • 1951년 10월: 도쿄도 미나토구 아자부주반으로 이전.
  • 1962년 11월: 재일동포 서갑호, 대사관 토지와 건물을 대한민국 정부에 기증.
  • 1965년 12월: 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기본 관계에 관한 조약 체결 및 발효에 따라 주일본 한국대표부, 대사관으로 승격.[2]
  • 1979년 9월: 대사관 청사 및 관저 신축.[5]
  • 2013년 6월: 대사관 청사 및 관저 개축(대사관 지상 7층, 지하 1층).[9]

3. 역대 공관장

2024년 8월 1일 기준 주일대사는 박철희이다. 1965년 대사관 설치 당시 초대 특명전권대사로 지명된 인물은 주일본 대한민국 대표부 수석대표를 역임했던 김동조였다.[3] 이후 2024년에 이르기까지 27명의 특명전권대사가 주재했다.

역대 주일본 대한민국 대표부 공사와 대사 명단은 다음과 같다.

구분대수성명임기
대표부 공사 | 제1대정한경(鄭翰景)1948년 12월~1949년 2월
제2대정환범(鄭桓範)1949년 2월~1950년 1월
제3대신흥우(申興雨)1950년 2월~1950년 5월
제4대김용주(金龍周)1950년 6월~1951년 6월
제5대신성모(申性模)1951년 6월~1951년 12월
제6대김용식(金容植)1951년 12월~1957년 5월
제7대김유택(金裕澤)1957년 5월~1958년 9월
제8대유태하(柳泰夏)1958년 10월~1959년 3월
제9대유태하(柳泰夏)1959년 3월~1960년 4월
제10대이재항(李載沆)1960년 7월~1960년 9월
제11대엄요섭(嚴堯燮)1960년 9월~1961년 3월
제12대이동환(李東煥)1961년 7월~1961년 12월
제13대배의환(裵義煥)1961년 12월~1964년 10월
제14대김동조(金東祚)1964년 10월~1965년 12월
대사 | 제1대김동조(金東祚)1965년 12월~1967년 10월
제2대엄민영(嚴敏永)1967년 9월[6] 1967년 10월~1969년 12월 10일[7]
제3대이후락(李厚洛)1970년 1월~1970년 12월
제4대이호(李澔)1971년 1월~1973년 12월
제5대김영선(金永善)1974년 1월~1978년 12월
제6대김정렴(金正濂)1979년 1월~1980년 8월
제7대최경록(崔慶祿)1980년 9월~1985년 10월
제8대이규호(李奎浩)1985년 11월~1988년 4월
제9대이원경(李源京)1988년 4월~1991년 3월
제10대오재희(吳在熙)1991년 3월~1993년 4월
제11대공노명(孔魯明)1993년 4월~1994년 12월
제12대김태지(金太智)1995년 1월~1998년 4월
제13대김석규(金奭圭)1998년 5월~2000년 3월
제14대최상용(崔相龍)2000년 3월~2002년 2월
제15대조세형(趙世衡)2002년 2월~2004년 3월
제16대라종일(羅鍾一)2004년 3월~2007년 3월
제17대유명환(柳明桓)2007년 3월~2008년 3월
제18대권철현(權哲賢)2008년 4월~2011년 6월
제19대신각수(申珏秀)2011년 6월~2013년 5월
제20대이병기(李丙琪)2013년 6월~2014년 8월
제21대유흥수(柳興洙)2014년 8월~2016년 6월
제22대이준규(李俊揆)2016년 7월~2017년 10월
제23대이수훈(李洙勲)2017년 10월~2019년 4월
제24대남관표(南官杓)2019년 5월~2021년 1월
제25대강창일(姜昌一)2021년 1월~2022년 7월
제26대윤덕민(尹德敏)2022년 7월~2024년 7월
제27대박철희(朴喆熙)2024년 8월~


3. 1. 역대 주일본 대한민국 대표부 공사

대수성명임기
제1대정한경(鄭翰景)1948년 12월~1949년 2월
제2대정환범(鄭桓範)1949년 2월~1950년 1월
제3대신흥우(申興雨)1950년 2월~1950년 5월
제4대김용주(金龍周)1950년 6월~1951년 6월
제5대신성모(申性模)1951년 6월~1951년 12월
제6대김용식(金容植)1951년 12월~1957년 5월
제7대김유택(金裕澤)1957년 5월~1958년 9월
제8대유태하(柳泰夏)1958년 10월~1959년 3월
제9대유태하(柳泰夏)1959년 3월~1960년 4월
제10대이재항(李載沆)1960년 7월~1960년 9월
제11대엄요섭(嚴堯燮)1960년 9월~1961년 3월
제12대이동환(李東煥)1961년 7월~1961년 12월
제13대배의환(裵義煥)1961년 12월~1964년 10월
제14대김동조(金東祚)1964년 10월~1965년 12월


3. 2. 역대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

대수성명임기
제1대 대표부 공사정한경1948년 12월~1949년 2월
제2대 대표부 공사정환범1949년 2월~1950년 1월
제3대 대표부 공사신흥우1950년 2월~1950년 5월
제4대 대표부 공사김용주1950년 6월~1951년 6월
제5대 대표부 공사신성모1951년 6월~1951년 12월
제6대 대표부 공사김용식1951년 12월~1957년 5월
제7대 대표부 공사김유택1957년 5월~1958년 9월
제8대 대표부 공사유태하1958년 10월~1959년 3월
제9대 대표부 공사유태하1959년 3월~1960년 4월
제10대 대표부 공사이재항1960년 7월~1960년 9월
제11대 대표부 공사엄요섭1960년 9월~1961년 3월
제12대 대표부 공사이동환1961년 7월~1961년 12월
제13대 대표부 공사배의환1961년 12월~1964년 10월
제14대 대표부 공사김동조1964년 10월~1965년 12월
제1대 대사김동조1965년 12월~1967년 10월
제2대 대사엄민영1967년 10월~1969년 12월 10일[7]
제3대 대사이후락1970년 1월~1970년 12월
제4대 대사이호1971년 1월~1973년 12월
제5대 대사김영선1974년 1월~1978년 12월
제6대 대사김정렴1979년 1월~1980년 8월
제7대 대사최경록1980년 9월~1985년 10월
제8대 대사이규호1985년 11월~1988년 4월
제9대 대사이원경1988년 4월~1991년 3월
제10대 대사오재희1991년 3월~1993년 4월
제11대 대사공노명1993년 4월~1994년 12월
제12대 대사김태지1995년 1월~1998년 4월
제13대 대사김석규1998년 5월~2000년 3월
제14대 대사최상용2000년 3월~2002년 2월
제15대 대사조세형2002년 2월~2004년 3월
제16대 대사라종일2004년 3월~2007년 3월
제17대 대사유명환2007년 3월~2008년 3월
제18대 대사권철현2008년 4월~2011년 6월
제19대 대사신각수2011년 6월~2013년 5월
제20대 대사이병기2013년 6월~2014년 8월
제21대 대사유흥수2014년 8월~2016년 6월
제22대 대사이준규2016년 7월~2017년 10월
제23대 대사이수훈2017년 10월~2019년 4월
제24대 대사남관표2019년 5월~2021년 1월
제25대 대사강창일2021년 1월~2022년 7월
제26대 대사윤덕민2022년 7월~2024년 7월
제27대 대사박철희2024년 8월~



1965년 대사관 설치 당시 초대 특명전권대사로 지명된 인물은 주일본 대한민국 대표부 수석대표를 역임했던 김동조였다.[3] 이후 2024년에 이르기까지 27명의 특명전권대사가 주재했다.

2024년 8월 9일부터 박철희가 특명전권대사를 맡고 있다.[4]

4. 관할 구역 및 시설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영사부는 도쿄도, 지바현, 사이타마현, 군마현, 이바라키현, 도치기현의 1도 5현을 관할한다.

대사관 시설은 1949년 1월 주일본 한국대표부로 처음 발족했을 당시 도쿄도 주오구 긴자핫토리 빌딩 4층을 사무실로 사용하였다.[8] 1965년 12월 주일본 한국대표부가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2]

4. 1. 관할 구역

주일 한국 대사관 영사부가 관할하고 있는 구역은 1도(都) 5현(県)으로 구성된다.


4. 2. 시설

5. 같이 보기

5. 1. 관련 기관

5. 2. 일본 내 대한민국 총영사관


5. 3. 주변국 주재 한국 대사관 및 총영사관

참조

[1] 논문 戦後日韓関係の形成とその経済的側面 : 担い手たちの行動を中心に https://doi.org/10.1[...] 九州大学経済学会 2004-11
[2] 웹사이트 略史 http://overseas.mofa[...]
[3] 간행물 雑誌『全貌』 昭和41年1月号 小汀利得・連載対談第106回
[4] 웹사이트 「後戻りしない韓日関係構築する」 韓国の新駐日大使が着任、国交正常化60年控え意気込み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4-11-06
[5] 웹인용 연혁 및 관할지역 http://jpn-tokyo.mof[...]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2009-06-21
[6] 뉴스 12國大使任命의결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7-09-16
[7] 문서 재임 중 사망
[8] 뉴스 주일대사관, 64년 전 개설 도운 동포 "누군지 몰라" https://www.yna.co.k[...] 2024-07-11
[9] 뉴스 [포토뉴스]주일 한국대사관 신청사 개관 https://www.khan.co.[...] 2024-07-11
[10] 웹인용 연락처 및 오시는길 https://overseas.mof[...] 2024-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