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중화민국과의 외교 관계를 수립하면서 난징에 개설된 특사관에서 시작되었다. 1949년 대사관으로 승격되었으며, 국공 내전으로 인해 타이베이로 이전했다. 1977년에는 새로운 대사관 건물이 준공되었으나, 1992년 대한민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대만과의 외교 관계가 단절되어 폐쇄되었다. 이후 대만과의 비공식 관계 유지를 위해 1993년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가 설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없어진 외교 공관 - 주월남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월남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1956년 공사관으로 시작하여 1958년 대사관으로 승격되었으나,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폐쇄되었으며, 최덕신, 박동진 등이 역임했다. - 없어진 중화민국 주재 외교 공관 - 마카오 경제문화판사처
마카오 경제문화판사처는 대만에 설치되었던 마카오 정부의 대표 기관으로, 양 지역 간의 경제 및 문화 교류를 증진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나, 2021년 6월 운영이 중단되었다. - 없어진 중화민국 주재 외교 공관 - 홍콩 경제무역문화판사처
홍콩 경제무역문화판사처는 홍콩 정부가 타이베이에 설립하여 홍콩과 대만 간 교류 및 협력을 증진하고 대만 거주 홍콩 시민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나 2021년 5월 무기한 잠정 폐쇄되었다. - 타이베이 주재 공관 - 일본대만교류협회
일본대만교류협회는 1972년 일본이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 후 대만과의 비공식 관계 유지를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무역, 경제,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교류 및 협력을 증진하며 사실상 대사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 타이베이 주재 공관 - 미국재대만협회
미국재대만협회는 1979년 미국과 중화민국 간 외교 관계 단절 이후 설립되어 미국의 대만 관련 업무를 담당하며, 사실상 미국 대사관 및 총영사관 역할을 수행한다.
주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외교 관계 | |
수립 | 1948년 11월 |
단절 | 1992년 8월 24일 |
위치 정보 | |
소재지 (1992년 당시) | 타이베이시 신이구 중샤오둥루(忠孝東路) 4단 345호 |
기관 정보 | |
상급 기관 | 대한민국 외무부 |
후신 |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 |
2. 역사
대한민국 정부는 1948년 11월 24일에 중화민국과 통상 협정을 체결하고, 중화민국 내 대한민국 국민의 재산권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정환범을 특사로 임명하고 난징에 특사관을 개설했다.[1] 1949년 1월 4일 양국 간 외교 관계가 수립되면서 특사관은 대사관으로 승격되었고,[2] 신석우가 초대 대사로 임명되었다.[3] 그러나 국공 내전의 여파로 국부천대가 이루어지면서 대사관도 타이베이로 이전하였다.
1992년 8월 24일 대한민국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라 중화민국(대만)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고, 타이베이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은 폐쇄되었다.[6]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대만과의 비공식 관계 유지를 위해 1993년 7월 27일 대표부 상호 설치에 합의했고, 1993년 11월 25일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를 개설했다.
2. 1. 대사관 시절 (1949년 ~ 1992년)
대한민국 정부는 1948년 11월 24일에 중화민국과의 통상 협정 체결 교섭, 중화민국 내 대한민국 국민의 재산권 문제를 논의하기 위하여 정환범을 중화민국 주재 특사로 임명했다.[1] 이와 동시에 대한민국 정부는 중화민국의 수도였던 난징에 대한민국 특사관을 개설했다. 1949년 1월 4일에 대한민국과 중화민국 사이의 외교 관계가 수립되면서 중화민국 주재 특사관 또한 1949년 8월 25일을 기해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2] 1949년 7월 29일에는 신석우가 초대 중화민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로 임명되었다.[3] 그러나 국공 내전의 여파에 따른 국부천대로 인하여 중화민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도 타이베이로 옮겨졌다.1951년 11월 11일에는 주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관이 타이베이 런아이루(仁愛路) 3단으로 이전했다.[4] 1977년에는 건축가 채백봉이 설계한 주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관 신청사가 준공되어 문을 열었다. 외관은 샌드위치와 같은 4층 건물이었고 주소는 타이베이시 중샤오둥루(忠孝東路) 4단 345호였다.[5] 삼각형으로 깎은 특이한 외형은 한국의 분단을 상징하고 반공주의에 기반한 통일의 의미를 담고 있어 행인들의 눈길을 끌었다. 양안이 개방되기 이전에 많은 반공의사들이 군용기를 몰고 민항기를 납치하여 대한민국에 착륙하였다. 대한민국 당국이 애매한 태도를 보이면 대사관에서는 항의와 계란 투척을 피할 수 없었다. 심지어 1985년 3월 21일에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중국 해군 어뢰정 망명 사건이 벌어진 다음에는 몇몇 사람들이 대사관 앞에서 분신하기도 했다.
2. 2. 단교와 대표부 설치 (1992년 ~ 현재)
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8월 24일에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함에 따라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라 중화민국(대만)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같은 날 타이베이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이 폐쇄되었다.[6] 대만 정부는 대한민국과의 외교 관계를 즉각 단절한다고 밝히고 대한민국산 상품에 대한 모든 무역 특혜 철폐, 대한민국과 대만 간의 항공 노선 운항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다.[7][8] 한편 타이베이에서는 대한민국 대사관 앞에 모인 시민들이 대한민국 정부의 결정을 규탄하고 대한민국산 상품 불매를 촉구하는 서명 운동을 벌였다.[9]대한민국 정부는 어주공매국에 203만신 대만 달러의 토지 임대료를 빚지고 있었기 때문에 어주공매국에서도 대한민국 정부 측에 토지를 반환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대사관 건물은 철거되지 않은 채로 방치되어 있다가 1998년에 중화민국 교통부 관광국이 리모델링하여 관광 서비스 센터로 활용되었다. 2005년 8월 11일에 타이베이 돔 건설과 함께 구 주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관 청사가 철거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대만과의 비공식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대표부 상호 설치 문제를 논의했고 1993년 7월 27일에 일본 오사카부에서 대표부 상호 설치에 합의했다. 1993년 11월 25일에는 타이베이에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가 개설되었다.
3. 역대 공관장
역대 공관장은 다음과 같다.[1]
1948년 11월부터 1992년 8월까지 중화민국에 주재한 대한민국 대사관의 역대 공관장은 다음 표와 같다.
대수 | 이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특사 | 정환범 | 1948년 11월 27일 | 1949년 1월 |
제1대 | 신석우 | 1949년 7월 29일 | 1950년 3월 |
제2대 | 이범석 | 1950년 12월 21일 | 1951년 9월 |
제3대 | 김홍일 | 1951년 10월 4일 | 1960년 6월 13일 |
제4대 | 백선엽 | 1960년 7월 15일 | 1961년 7월 8일 |
제5대 | 최용덕 | 1961년 7월 19일 | 1962년 8월 27일 |
제6대 | 김신 | 1962년 9월 3일 | 1971년 1월 10일 |
제7대 | 김계원 | 1971년 2월 3일 | 1978년 12월 |
제8대 | 옥만호 | 1978년 12월 26일 | 1981년 5월 |
제9대 | 김종곤 | 1981년 7월 25일 | 1985년 5월 |
제10대 | 김상태 | 1985년 5월 15일 | 1988년 7월 |
제11대 | 한철수 | 1988년 8월 19일 | 1991년 7월 |
제12대(마지막) | 박노영 | 1991년 8월 28일 | 1992년 8월 24일 |
3. 1. 주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 (1949년 ~ 1992년)
대수 | 이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특사 | 정환범 | 1948년 11월 27일 | 1949년 1월 |
제1대 | 신석우 | 1949년 7월 29일 | 1950년 3월 |
제2대 | 이범석 | 1950년 12월 21일 | 1951년 9월 |
제3대 | 김홍일 | 1951년 10월 4일 | 1960년 6월 13일 |
제4대 | 백선엽 | 1960년 7월 15일 | 1961년 7월 8일 |
제5대 | 최용덕 | 1961년 7월 19일 | 1962년 8월 27일 |
제6대 | 김신 | 1962년 9월 3일 | 1971년 1월 10일 |
제7대 | 김계원 | 1971년 2월 3일 | 1978년 12월 |
제8대 | 옥만호 | 1978년 12월 26일 | 1981년 5월 |
제9대 | 김종곤 | 1981년 7월 25일 | 1985년 5월 |
제10대 | 김상태 | 1985년 5월 15일 | 1988년 7월 |
제11대 | 한철수 | 1988년 8월 19일 | 1991년 7월 |
제12대(마지막) | 박노영 | 1991년 8월 28일 | 1992년 8월 24일 |
참조
[1]
뉴스
對中 通商(대중 통상)을 交涉(교섭) 鄭桓範 特使(정환범 특사) 27日(일) 赴任(부임)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48-11-24
[2]
웹인용
대만정부 초청 방문 보고서
https://council.daeg[...]
대구광역시의회
2018-04
[3]
뉴스
申錫雨大使(신석우대사)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49-07-31
[4]
서적
再見阿里郎:台.韓關係總清算
克寧
[5]
뉴스
觀光指南 辦理簽證的外國駐華機構
聯合報
1978-12-13
[6]
뉴스
臺北(대북) 주재 韓国(한국) 공관 폐쇄식 1분 만에 "끝"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92-08-25
[7]
뉴스
오늘 대만 정부 한.중 수교 보복 한국과 외교 관계 단절 발표[최명길]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92-08-22
[8]
뉴스
대만, 한국과 단교 선언
https://newslibrary.[...]
한겨레
1992-08-23
[9]
뉴스
臺灣(대만) 시민 한국 대사관 앞서 항의 시위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1992-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