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주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주지는 수도원이나 대사찰의 행정관 직책을 맡는 승려를 의미한다. 주지는 수도원의 일상 운영을 감독하고 수도자들에 대한 영적 책임을 지며, 다른 수도원의 주지들과 교류해야 한다. 불교가 널리 행해지는 아시아 국가들은 사찰 주지를 가리키는 고유한 단어를 사용하며, 한국어로는 '주지'로 통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교단 체계 - 출가
    출가란 깨달음을 얻기 위해 세속을 떠나 수행 생활을 시작하는 것으로, 불교에서 수행의 한 형태로 자리 잡았으며 불교 교단을 조직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불교 교단 체계 - 우바새와 우바이
    우바새와 우바이는 불교에서 재가 신자를 지칭하는 용어이며, 속세에서 생활하며 삼보에 귀의하고 오계를 지키는 남성을 우바새, 여성을 우바이로 칭한다.
주지
불교 직위
영어 명칭아벳 (Abbot)
다른 명칭주지, 방장, 원장
설명불교 사찰의 최고 책임자
어원
산스크리트어adhyakṣa (아디약샤)
팔리어saṅghanāyaka (상가나야카)
한자住職 (주지)
역할 및 책임
주요 역할사찰 운영 및 관리
승려 교육 및 지도
신도 지도 및 상담
법회 및 행사 주관
사찰 재정 관리
책임사찰의 모든 활동에 대한 총괄 책임
사찰의 명예와 위상 유지
사찰의 전통과 규율 준수
임명
임명 방법종단 또는 사찰의 규정에 따라 임명
승려들의 추천 또는 선거를 통해 임명
전임 주지의 지명 또는 유언에 따라 임명
자격 요건출가 수행 경력이 일정 기간 이상이어야 함
덕망과 지혜를 겸비해야 함
사찰 운영 능력과 리더십을 갖춰야 함
종단의 규정에 따른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함
기타
추가 정보주지는 사찰을 대표하는 중요한 직책임
주지의 역할과 책임은 사찰의 규모와 종파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일부 사찰에서는 주지를 '방장' 또는 '원장'이라고 부르기도 함

2. 역할

주지는 승려가 수도원이나 대사찰의 행정관 직책을 맡는 것을 말한다.[3] 주지의 행정적 임무에는 수도원의 일상적인 운영을 감독하는 것이 포함된다.[3][4] 또한 주지는 담당하는 수도자들에 대한 영적 책임을 지며, 다른 수도원의 주지들과 교류해야 한다.[5]

원래는 "사주"나 "유나"라고 불렀지만, 송나라 시대에 선종에서 "'''주지'''(住持)"라는 호칭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후 일반화되면서 직을 부여하여 "주지직"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종파마다 주지가 되기 위한 자격 규정이 마련되어 있다. 승려라고 해서 누구나 주지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자격이 필요하다. 종파에 따라 여성 주지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학교를 졸업하고 수행 도장에서 일정 기간 연찬한 후 종파의 사무 총괄소에 등록하면 주지 자격을 얻을 수 있다. 학력, 종교계 학교 여부, 주지가 될 사찰의 규모에 따라 도장의 연찬 기간은 달라진다.

사찰에 새로운 주지가 부임할 때에는 진산식(정토진종에서는 주지 계승)이라는 의식을 거행한다.

주지 자격이 없는 승려만 거주하거나, 아무도 거주하지 않고 원방의 주지가 출근하는 사찰도 있다. 승려가 없는 사찰은 "무주 사찰"이라고 불린다.[14]

3. 한국

주지는 한국어로 주지를 뜻한다.[1]

3. 1. 한국 불교의 주지

주지는 한국어로 주지를 뜻한다.

4. 다른 국가

불교가 널리 퍼져 있는 아시아 국가들은 각자의 언어로 사찰이나 대규모 사원의 주지를 가리키는 고유한 단어를 가지고 있다.


  • 중국: 중국 선불교 사찰에서는 주지를 '방장(方丈)'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유마힐의 돌방 크기인 '한 (10제곱 피트)의 정사각형'을 의미한다.[6] '주지(住持)'라는 단어도 사용되는데, '거주자'와 '유지자'를 뜻한다.[7] 승려와 비구니는 '법사(法師)'라고 불리며, '법을 가르치는 스승'을 의미한다.
  • 일본: 일본 불교에서는 주지를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단어는 ''주지''(住持), ''주지직''(住持職) 또는 ''주직''(住職)이다.[14] 탑파가 포함된 비하라 관리자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비하라스바민''(vihārasvāmin)에서 유래된 ''지주''(寺主)라는 단어도 사용된다.[14] 승려가 없는 사찰은 ''무주''(無住)''라고 한다.[14]
  • 태국: 태국에서 사찰(왓)의 주지는 '차오아왓'(เจ้าอาวาสth)이라고 불린다.[10]
  • 티베트: 티베트 불교 사원의 주지는 켄포(Khenpo)라고 불리며, '승려에게 서원을 주는 자'를 의미한다. '켄 린포체'(Khen Rinpoche)라고도 불린다.[11] 더 높은 주지는 '켄첸'(Khenchen)이라고 불리며, '수석 켄포'를 뜻한다.[11]
  • 베트남: 베트남어로 주지는 trụ trì|쭈 찌vi라고 불린다.[12]

4. 1. 중국

중국 선불교 사찰에서 주지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단어는 "방장(方丈)"으로, "한 (10제곱 피트에 해당)의 정사각형"을 의미하며, 이는 유마힐의 돌방의 크기를 나타낸다.[6]

주지를 가리키는 또 다른 단어는 "주지(住持)"로, "거주자"와 "유지자"를 의미한다.[7] 승려와 비구니는 대개 "법사(法師)"로 불리며, "법을 가르치는 스승"을 의미한다.

4. 2. 일본

일본 불교에서 대사찰 또는 수도원의 주지를 나타내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는 ''주지''(住持), ''주지직''(住持職) 또는 간단히 ''주직''(住職)이다.[14] 때때로 산스크리트어 ''비하라스바민''(vihārasvāmin)에서 파생된 단어 ''지주''(寺主)도 사용되는데, 이는 탑파가 포함된 비하라의 관리자를 지칭한다. 승려가 없는 사찰은 ''무주''(無住)라는 용어로 표시된다.[14]

원래는 "사주"나 "유나"라고 불렀지만, 송나라 시대에 선종에서 "'''주지'''(住持)"라는 호칭이 사용되었고, 그것이 후에 일반적이 되면서 직도 부여하여 "주지직"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일본 요코하마시 쓰루미구에 위치한 선불교 사찰인 소지사의 주지는 젠지(Zen master, 선사)이다.


종파마다 주지가 되기 위한 자격 규정이 마련되어 있다. 승려라고 해서 누구든지 주지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자격이 필요하다. 여성 주지를 인정하지 않는 등 종파에 따라 규정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학교를 졸업한 후, 수행 도장에서 일정 기간 수행하고 종파의 사무 총괄소에 등록하면 주지 자격을 얻을 수 있다. 학력이나 종교계 학교 여부, 주지가 될 사찰의 규모에 따라 수행 기간은 다르다.

사찰에 새로운 주지가 부임할 때에는 진산식(정토진종에서는 주지 계승)이라는 의식을 거행한다. 주지 자격이 없는 승려만 거주하거나, 아무도 거주하지 않고 원방의 주지가 출근하는 사찰도 있다. 승려가 없는 사찰은 "무주 사찰"이라고 불린다.[14]

니치렌정종에서는 법주의 임명에 따라 총본산에서 각 사찰로 파견되는 체제를 취하고 있다.

4. 2. 1. 종파별 차이

다음은 일본 불교 각 종파에서 사용하는 칭호에 대한 표이다.

종파일반 용어종파 또는 사찰의 수장
릿슈(Risshū)
덴다이종(Tendai)
신곤종(Shingon)
린자이 선(Rinzai Zen)
소토 선(Soto Zen)
조도슈(Jōdo-shū)
조도 신슈(Jōdo Shinshū)
니치렌종(Nichiren)
기타



위 표에서 보듯이 和尚 (''오쇼'', 등)라는 용어는 해당 종파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발음될 수 있다. 그 기원은 다른 사람에게 계율을 부여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upādhyāya''이다.

''Hōin''(법인)은 원래 황제가 승려에게 수여한 칭호였다. ''Shōnin''(상인)은 일정 수준의 깨달음에 도달한 사람에게 존경을 표하는 칭호이다. ''Goin''(어원) 및 ''Inke''(원가)는 사찰 자체를 지칭한다.

규율을 덜 강조하고 가정 생활을 선호하는 정토 불교의 경우, 원장의 단어는 담당자가 아닌 기관을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 간사이 지역에서는 ''Goingesan'', ''Goinsan'', ''Goensan''이 신 불교도 사이에서 흔히 사용된다. 또한 주지는 정토 종파 내에서 가문 계승되는 경향이 있다.

''Hōushu'' 또는 ''Hossu''(법주)는 가고시마의 사이후쿠지에서 이케구치 에칸이 사용하는 칭호이다. 또한 조도슈의 7개 본산 및 니치렌 쇼슈의 다이세키지에서도 사용된다.

덴다이 종파에서는 ''Zasu'' 좌주라는 용어가 일반적이다. 주지는 때때로 "산의 주지"를 의미하는 ''Yama no zasu''라고도 불린다.

''몬제키(門跡)''는 귀족 또는 황실 혈통의 사제에게 부여된 용어였으며, 현재도 신곤종의 다이카쿠지와 조도 신슈의 혼간지에서 사용된다.[8][3][9]

종파마다 주지가 되기 위한 자격 규정이 마련되어 있다. 승려라고 해서 누구든지 주지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자격이 필요하다. 여성 주지를 인정하지 않는 등 종파에 따라 규정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학교를 졸업한 후, 수행 도장에서 일정 기간 수행하고 종파의 사무 총괄소에 등록하면 주지 자격을 얻을 수 있다. 학력이나 종교계 학교 여부, 주지가 될 사찰의 규모에 따라 수행 기간은 다르다.

정토진종 계열 등의 사찰은 세습에 의해 주지를 계승하는 경우가 많다.[13]

4. 3. 태국

태국에서 사찰(왓)의 주지를 가리키는 용어는 '차오아왓'(เจ้าอาวาสth)이다.[10]

4. 4. 티베트

티베트 불교 사원의 주지는 켄포(Khenpo)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승려에게 서원을 주는 자"를 의미한다. 주지는 "켄 린포체"(Khen Rinpoche)라고 불리기도 한다.[11]

더 고위 주지를 지칭하는 또 다른 단어는 켄첸(Khenchen)인데, 이는 "수석 켄포"를 의미한다.[11]

4. 5. 베트남

베트남어로 주지를 뜻하는 단어는 trụ trì|쭈 찌vi이다.[12]

참조

[1] 웹사이트 A Frustrating Love Letter In 'Monk With A Camera' https://www.npr.org/[...] NPR 2014-11-20
[2] 웹사이트 Saṅgha Leadership https://sasanarakkha[...]
[3]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Zen Buddhism https://books.google[...] Rosen Publishing
[4] 서적 The Zen Monastic Experience: Buddhist Practice in Contemporary Korea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Buddhist Abbot Nicholas Vreeland https://www.pbs.org/[...] PBS 2012-06-15
[6]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Buddhism A to Z: A entries http://online.sfsu.e[...] Buddhist Text Translation Society 2015-04-05
[8] 웹사이트 abbot (jūjishoku 住持職, jūji 住持, jūshoku 住職) http://global.sotoze[...] Sōtō Zen International 2015-04-05
[9] 웹사이트 和尚 https://kotobank.jp/[...] The Asahi Shimbun Company / VOYAGE GROUP, Inc. 2019-06-10
[10] 서적 Thai{{ndash}}English Student's Dictionary https://pdfhost.io/v[...] Stanfo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Shamar Rinpoche's explanation of the proper use of the titles "Khenchen" and "Khenpo" http://www.bodhipath[...] Bodhi Path Buddhist Center 2015-04-05
[12] 웹사이트 What is Trụ trì and the mission of the Trụ trì? https://phatgiao.org[...] Vietnam Buddhist Sangha 2023-05-08
[13] 뉴스 2015年(平成27年)10月11日 朝日新聞 朝刊 1総合 朝日新聞 2015-10-11
[14] 웹사이트 後継者なき寺を救え!関門海峡を渡るお坊さん {{!}} NHK {{!}} WEB特集 https://www3.nhk.or.[...] 2022-10-06
[15] 웹사이트 住職の仕事内容 https://employment.e[...] 2020-10-09
[16] 문서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교단·조직 > 주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