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상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의 상실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중화민국 정부의 대만 이전으로, 미국이 중국을 공산주의 세력에게 잃었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용어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은 장제스 정부 하의 중국을 강대국으로 예상했지만, 국민당 정부의 부패와 비효율성, 그리고 미국의 잘못된 정책 결정으로 인해 중국 공산화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 사건은 미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트루먼 행정부에 대한 비판과 반공주의를 심화시켰으며, 조지프 매카시의 매카시즘 광풍을 불러일으키는 등 국내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중국의 상실'이라는 용어 자체에 대한 비판과 함께, 중국의 공산화를 미국의 시각으로만 바라본다는 지적도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장제스의 지도 하에 있는 중국이 미국, 영국, 그리고 소련과 함께 전쟁 후 강대국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2] 그러나 루스벨트의 기대와 달리, 장제스의 중국 국민당 정부는 중일 전쟁을 거치며 비효율성과 부패로 인해 민심을 잃었다.[19]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중화민국 정부의 타이완 이전은 미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윌리엄 맨체스터는 당시 미국인들이 느꼈던 배신감과 좌절감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중국의 상실'은 트루먼 행정부에 대한 비판 여론을 확산시키고, 미국 내 반공주의 정서를 강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는 "격렬하고 분열적인 논쟁"을 촉발했으며, 1952년 선거에서 공화당에 의해 이 문제가 이용되었다.[9]
2. 배경
존 페이튼 데이비스 주니어를 비롯한 미국의 '차이나 핸즈'들은 중국 국민당 정부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공산당의 승리를 예측했다.[2] 데이비스는 국무부의 중국 주재 외교관들이 워싱턴에 국민당 정부에 대한 물질적 지원이 그들을 변화시키지 못할 것이라고 보고했으며, 루스벨트의 중국 특사 선택이 부적절했던 것이 그의 정책 실패에 기여했다고 기록했다.[2]
역사학자 아서 왈드론은 루스벨트 대통령이 중국을 장제스가 확고하게 장악한 강대국으로 잘못 생각했지만, 장제스의 권력 장악력은 사실 불안정했다고 주장한다.[2] 데이비스는 전쟁 후 중국이 모스크바를 유혹하는 권력 공백이 될 것이며, 국민당은 이에 대처할 수 없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왈드론은 그런 의미에서 "중국의 공산주의 붕괴는 루스벨트 정책의 무능함에 의해 촉진되었다"고 말한다.[2]
3. '중국의 상실'과 미국의 반응
미국이 알던 중국, 즉 펄 벅의 소설 좋은 대지에서 기뻐하는 농민들은 믿음직하고 민주적이며 따뜻했고, 무엇보다 친미적이었다. 거대한 전쟁 기간 동안 연합국 빅4는 처칠, 루스벨트, 스탈린, 그리고 장제스였다. 스탈린의 뒤이은 배신은 비난받아 마땅했지만 놀랍지는 않았다. 하지만 장제스! 애치슨의 붉은 침략 억제 전략은 완전히 무너지는 듯했다. [...] 미국 외교관들이 유럽에서 이룬 모든 것, 즉 트루먼 독트린, 마셜 플랜, NATO는 아시아에서의 이 재앙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무효화되는 듯했다.[4]
딘 애치슨 국무장관은 중국 백서를 발표하여 미국의 대중국 정책을 옹호했지만, 오히려 더 큰 비판을 받았다. 당시 애치슨의 ''중국 백서''는 1946년 이후 중국에 제공된 20억달러 상당의 미국 원조를 목록화했는데, 이는 유라시아를 지배할 잠재력이 있는 중소(中蘇) 블록 형성을 허용한 지정학적 재앙으로 널리 인식되는 것을 용인한 변명으로 널리 조롱받았다.[3]
마오쩌둥은 '중국 백서'를 비판하며, 미국의 제국주의적 야망이 중국 내전을 장기화시켰다고 주장했다.[7]
4. '중국의 상실'이 초래한 결과
조지프 매카시 상원의원은 '중국의 상실'을 국무부 내 공산주의자들의 책임으로 돌리며 매카시즘 광풍을 일으켰다. 그는 오언 래티모어, 존 카터 빈센트 등 국무부 관리들과 학자들을 '중국의 상실'에 대한 희생양으로 삼았다.[11]
1951년 팻 매캐런 상원이 작성한 상원 내무 안보 소위원회 보고서는 국무부의 정책이 중국 공산화를 초래했다고 결론 내렸다.[31] 이 보고서는 "오언 래티모어와 존 카터 빈센트는 [...] 중국 공산당에 유리하도록 미국의 정책 변화를 가져오는 데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주장했다.[31] 매캐런은 래티모어를 소련 스파이라고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오언 래티모어는 1930년대부터 소련 음모의 의식적이고 명확한 도구였다"는 표현을 통해 그를 소련과 연관시켰다.[31]
하지만 워싱턴 포스트는 사설을 통해 이러한 주장을 비판했다. 사설은 "중국이 워싱턴에서 내려진 단일 행정 결정에 의해 모스크바에 유지되거나 넘겨질 일종의 미국의 정치적 의존국"이라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설은 중국이 "약 5억 명의 인구가 살고 있는 광대한 대륙 국가"이며, "미국은 중국의 운명에 미미한 영향력 이상을 행사할 수 있는 입장에 결코 있지 않았다"고 강조했다.[31]
4. 1. 매카시즘 광풍
1950년 2월, 조지프 매카시는 웨스트버지니아 주 휠링에서 한 연설에서 "국무부에 공산당원이자 스파이 조직원으로 지목된 205명의 명단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28] 그는 딘 애치슨 국무장관을 "줄무늬 바지를 입은 거만한 외교관"이라고 칭하며 '중국의 상실' 주범으로 지목했다.[28]
매카시는 1950년대 초, 트루먼 행정부가 중국의 "상실"에 대해 비판받는 와중에, 국무부 내에 공산주의자와 성 소수자들이 있으며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이 이를 용인했다고 주장하며, 그들이 중국의 "상실"에 책임이 있다고 비난했다.[30] 그는 "모스크바 노선의 춤추는 하수인들"이 국무부에서 중국 정책을 담당했고, 애치슨은 "소련 거대 세력 앞에서 움츠러드는 아마추어 외교관"이라고 비난했다.[30] 이러한 주장은 1950년대 미국 사회에 만연했던 반공 히스테리와 남성성이 "유약해지고" 있다는 공포 분위기를 반영한다.
5. '중국의 상실'에 대한 비판적 분석
미국 외교 정책의 주요 비판가인 노엄 촘스키는 '중국의 상실'이라는 용어 자체가 미국 중심적 세계관을 반영한다고 비판했다. 촘스키는 1949년 중국의 독립 선언을 서방 세계, 특히 미국에서 '중국의 상실'로 칭하며, 누가 이 상실에 책임이 있는지 격렬하게 비난하고 갈등하는 상황을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용어 사용이 "소유한 것만 잃을 수 있다"는 전제를 깔고 있으며, 이는 미국이 중국을 비롯한 세계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다는 암묵적인 가정을 드러낸다고 주장했다. 촘스키는 이러한 '중국의 상실'이 '미국의 쇠퇴'의 첫 번째 주요 단계였으며, 중요한 정책적 결과를 가져왔다고 평가했다.[1]
중국계 미국인 역사학자 마일스 유는 2010년 서평에서 '중국의 상실' 논쟁이 중국의 현실보다는 미국의 당파적 정치와 정책적 왜곡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고 비판했다. 그는 "중국 현실이 어떠하든 중국에 대해 누가 옳았는지에 대한 끝없는 싸움을 벌였다"고 지적했다.[13]
찰스 A. 윌러비 장군의 1952년 저서 ''상하이 음모''는 '중국의 상실'을 소련의 음모론으로 설명하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윌러비는 리하르트 조르게가 이끄는 소련 스파이 조직이 1949년 '중국의 상실'을 초래했으며, 미국 정부를 장악하는 과정에 있다고 주장했다.[14] 그러나 미국의 일본학자 마이클 샬러는 윌러비의 주장이 일부 사실에 기반하지만, 책의 상당 부분은 편집증적 사고를 반영한다고 평가했다.[14]
참조
[1]
웹사이트
'"Losing" the World: American Decline in Perspective, Part 1'
https://www.theguard[...]
Guardian Comment Network
2012-02-14
[2]
뉴스
How China Was 'Lost' –
https://web.archive.[...]
2015-08-02
[3]
서적
A Conspiracy So Immense: The World of Joe McCart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4]
서적
The Glory and the Dream: A Narrative History of American: 1932–1972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and Company
2019-10-20
[5]
간행물
The Self-Inflicted Wound: The China White Paper of 1949
1982-09-01
[6]
서적
The Fear of Chinese Power: an International History
Bloomsbury Academic
2024
[7]
서적
The Fear of Chinese Power: an International History
Bloomsbury Academic
2024
[8]
서적
Perpetuating Patriotic Perceptions: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Cold War
Greenwood Publishing Group
[9]
간행물
America and Vietnam: The Unending War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10]
서적
Into the Quagmire: Lyndon Johnson and the Escalation of the Vietnam War
Oxfo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The New McCarthyism in Academe
http://www.campus-wa[...]
Campus Watch
2012-07-02
[12]
서적
Retiring Men: Manhood, Labor, and Growing Old in America, 1900-1960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2
[13]
간행물
Review of ''The Honorable Survivor: Mao's China, McCarthy's America, and the Persecution of John S. Service'' by Lynne Joiner
2010-08-01
[14]
서적
MacArthur the Far Eastern General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15]
웹사이트
'"Losing" the World: American Decline in Perspective, Part 1'
https://www.theguard[...]
Guardian Comment Network
2012-03-10
[16]
뉴스
How China Was 'Lost' –
https://www.weeklyst[...]
2015-08-02
[17]
문서
加藤陽子『それでも、日本人は「戦争」を選んだ』(2009)、p.77
[18]
서적
それでも、日本人は「戦争」を選んだ
朝日出版社
2009-07-29
[19]
뉴스
How China Was 'Lost' –
https://www.weeklyst[...]
2015-08-02
[20]
문서
Robert P. Newman, "The Self-Inflicted Wound: The China White Paper of 1949," ''Prologue (Journal of the National Archives) ''14 (Fall 1982): 141-156.
[21]
서적
A Conspiracy So Immense: The World of Joe McCart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2]
서적
The Glory and the Dream: A Narrative History of American: 1932–1972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and Company
2019-10-20
[23]
서적
A Conspiracy So Immense: The World of Joe McCart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4]
서적
Perpetuating Patriotic Perceptions: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Cold War
Greenwood Publishing Group
[25]
간행물
America and Vietnam: The Unending War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6]
서적
Into the Quagmire: Lyndon Johnson and the Escalation of the Vietnam War
Oxford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The New McCarthyism in Academe
http://www.campus-wa[...]
Campus Watch
2012-07-02
[28]
문서
Oshinsky, David ''A Conspiracy So Immense The World of Joe McCarth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p.109.
[29]
문서
Oshinsky, David ''A Conspiracy So Immense The World of Joe McCarth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p.110-111.
[30]
문서
Wood, Gregory ''Retiring Men: Manhood, Labor, and Growing Old in America, 1900-1960'' Lanham: University Press of Americ 2012 page 145.
[31]
문서
Oshinksy, David ''A Conspiracy So Immens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page 209.
[32]
문서
Maochun Yu, Miles Review of ''The Honorable Survivor: Mao's China, McCarthy's America, and the Persecution of John S. Service'' by Lynne Joiner pages 880-881 from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Vol. 69, No. 3, August 2010 page 881.
[33]
문서
Schaller, Michael ''MacArthur the Far Eastern General'',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page 15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