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샹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샹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 징먼시에 위치한 현급시이다. 초나라 문화의 요람 중 하나로, 춘추전국시대에는 초나라의 수도 또는 별도로 사용되었으며, 명나라 가정제가 태어나고 성장한 곳으로, 그의 부모의 묘인 현릉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지리적으로는 한수이강 중류에 위치하며, 온난습윤 기후를 보인다. 주요 산업으로는 기계, 건축 자재, 화학 등이 있으며, 농업에서는 쌀, 밀, 면화 등을 생산한다. 관광 명소로는 현릉, 대홍산 국가 삼림 공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징먼시의 행정 구역 - 사양현
사양현은 13개의 진을 관할하는 행정 구역이며, 빈장신구, 신항구, 사양 경제 개발구, 사양 감옥 관리국 등이 있다. - 징먼시의 행정 구역 - 둥바오구
둥바오구는 1985년 설립되어 둥산 바오타를 랜드마크로 하는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 징먼시의 구로, 2001년 행정 구역 조정 후 여러 진과 가도로 구성되었다. - 후베이성의 현급시 - 톈먼시
톈먼시는 후베이성에 위치한 현급시로, 오랜 역사를 지닌 화교의 고향이며 다양한 문화 유적과 교육 기관을 보유하고 있고, 2020년 기준 약 115만 명의 상주 인구를 가지고 있다. - 후베이성의 현급시 - 첸장시
첸장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 중남부에 위치한 현급시로, 곡물, 면화, 석유, 천연 가스, 소금의 주요 생산지이며, 특히 가재 양식이 활발하여 중국 최대의 가재 생산 및 수출 기지이다. - 국가역사문화명성 - 베이징시
베이징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직할시로, 정치, 문화, 교육의 중심지이며, 3,000년의 역사를 지닌 북부의 교통 요충지이다. - 국가역사문화명성 - 우한시
우한은 후베이성 중부에 위치한 장강과 한수 합류 지점의 대도시이자 경제·문화 중심지로, 무창, 한커우, 한양이 통합되어 형성되었으며 오랜 역사와 신해혁명 발상지, 코로나19 팬데믹 진원지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중국 중부 부흥 계획의 중심 도시로서 경제 성장과 발달된 교통망, 산업 시설, 연구 기관을 갖추고 있다.
중샹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钟祥市 (중샹 시) |
기타 명칭 | 郊郢(교영), 郢(영), 石門(석문), 萇寿(장수), 長寿(장수) |
우편 번호 | 431900 |
행정 구역 유형 | 현급시 |
지리 | |
면적 | 4,488km² |
도시 면적 | 175.00km² |
해발 고도 | 66m |
좌표 | 31.168°N 112.588°E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20년) | 868,897명 |
도시 인구 | 439,394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총 인구 (2004년) | 1,033,000명 |
인구 밀도 (2004년) | 230.1명/km²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1개 가도, 15개 진, 1개 향 |
좌석 | 영중 가도(郢中街道) |
정치 및 행정 | |
지역 코드 | 0724 |
차량 번호판 | 鄂H (어 H) |
기타 정보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
UTC 오프셋 | +8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이미지 | |
![]() |
2. 역사
중샹은 초 문화의 요람 중 하나로, 춘추전국시대에 초나라의 수도나 별도(別都) 역할을 했다.[1] 명나라 가정제는 이곳에서 태어나 황위에 오르기 전까지 살았으며, 그의 부모인 주우원과 장생태후는 현릉에 묻혔다. 현릉은 2000년에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명·청 왕조의 황릉)으로 등재되었다.[5]
2. 1. 고대
중샹은 초 문화의 요람 중 하나이다. 춘추전국시대에 여러 차례 초나라의 수도 또는 별도(別都) 역할을 했다.[1] 한나라 초에는 교영(郊郢)에 영현(郢縣)이 설치되었다.[1] 삼국 시대에는 석문(石門)으로 불리기도 했지만, 470년 (태시 6년) 남조 송에 의해 장수현(長壽縣)이 설치되었고, 551년 (대통) 서위에 의해 장수현(章壽縣)으로 개칭되었다.[1]2. 2. 명나라
명나라 가정제는 이곳에서 태어나 황위에 오르기 전까지 이곳에서 살았다. 가정제는 즉위 후 사망한 아버지 주우원을 공예현 황제로 추존하고(대례의), 어머니를 장생 태후로 높였다.[3] 가정제의 아버지 주우원과 그의 어머니는 현릉에 묻혔으며,[3] 이 능묘는 2000년에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명·청 왕조의 황릉)으로 등재되었다.[5]2. 3. 근현대
1376년(홍무 9년), 장수현은 폐지되어 안륙주에 편입되었다.[3] 1531년(가정 10년) 안륙주가 승천부로 승격되면서 다시 현이 설치되어 종상현이 되었다.[3] 1992년 5월 종상현은 현급시인 중샹시로 승격되었다.[3]3. 지리
중샹시(鍾祥市)는 후베이성 중부, 한수이강(漢江) 중류, 장한평원(江漢平原) 북쪽에 위치한다. 동쪽은 다훙산맥(大洪山脈), 서쪽은 징산산맥(荆山山脈) 지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 사이로 한수이강이 흐른다. 도시 구역의 해발 고도는 66m이다. 싼샤댐 건설 이후 가오양 지역 주민들이 중샹 주변으로 이주했다.[6]
총 면적은 4488km2이며, 북위 30° 42'에서 31° 36', 동경 112° 07'에서 113° 00' 사이에 위치한다. 남북 최대 길이는 100.6km, 동서 최대 너비는 83.5km이다. 북동쪽으로는 쑤이저우시, 동쪽으로는 징산시(京山市), 남쪽으로는 톈먼시(天門市), 서쪽으로는 징먼시(荊門市), 북서쪽으로는 이청시(宜城市)와 접한다.
3. 1. 기후
중샹시는 쾨펜 기후 구분 상 온난습윤기후(Cfa)에 속하며, 사계절이 뚜렷하다. 춥고 습하지만 상대적으로 건조한 겨울과 덥고 습한 여름이 나타난다. 연평균 기온은 16.1°C~16.5°C이며, 7월이 가장 더워 평균 27.7°C~27.8°C를 기록하고, 1월이 가장 추워 평균 3°C~3.7°C를 기록한다.[16] 1977년 1월 30일에는 최저 기온 -15.3°C가 기록되기도 했다.[16]연평균 강수량은 972.3mm로, 여름철에 강수량이 집중된다.[16] 눈은 드물게 내린다. 연간 일조 시간은 1930.8~2114.3시간으로 풍부한 편이다.[16]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7.8 | 11.0 | 15.6 | 22.1 | 27.0 | 30.1 | 32.1 | 31.6 | 27.8 | 22.7 | 16.1 | 10.1 | 22.0 |
평균 기온 (℃) | 3.9 | 6.6 | 11.1 | 17.2 | 22.2 | 25.9 | 28.1 | 27.3 | 23.2 | 17.9 | 11.7 | 6.1 | 16.8 |
평균 최저 기온 (℃) | 0.9 | 3.3 | 7.6 | 13.4 | 18.4 | 22.6 | 25.2 | 24.1 | 19.8 | 14.5 | 8.3 | 2.9 | 12.6 |
역대 최고 기온 (℃) | 21.1 | 25.3 | 30.1 | 33.8 | 35.6 | 38.4 | 38.6 | 38.5 | 38.0 | 33.4 | 28.9 | 21.6 | 38.6 |
역대 최저 기온 (℃) | -15.3 | -7.4 | -2.1 | 0.0 | 8.4 | 12.7 | 17.9 | 15.4 | 11.0 | 2.9 | -2.6 | -8.4 | -15.3 |
평균 강수량 (mm) | 28.2 | 36.3 | 51.9 | 89.4 | 128.3 | 140.4 | 173.8 | 142.4 | 62.5 | 68.3 | 42.0 | 19.7 | 983.2 |
평균 상대 습도 (%) | 73 | 72 | 73 | 74 | 72 | 78 | 81 | 80 | 76 | 74 | 73 | 71 | 75 |
평균 강수 일수 (≥ 0.1 mm) | 7.0 | 8.4 | 9.8 | 10.7 | 12.0 | 10.9 | 11.0 | 9.7 | 8.5 | 9.4 | 7.9 | 6.3 | 111.6 |
평균 월간 일조 시간 | 96.1 | 99.8 | 130.0 | 155.7 | 164.7 | 153.0 | 190.6 | 199.5 | 152.7 | 144.2 | 125.9 | 109.5 | 1721.7 |
평균 일조율 (%) | 30 | 32 | 35 | 40 | 39 | 36 | 44 | 49 | 42 | 41 | 40 | 35 | 39 |
4. 행정 구역
중샹시는 행정적으로 현과 동등하며 17개의 향진급 구역으로 나뉜다. 1개의 가도, 15개의 진, 1개의 향으로 구성된다.[10][11][12][13] 시 정부 소재지는 잉중 가도이다.
이름 | 면적 (km2) | 인구 |
---|---|---|
잉중 가도 () | 49km2 | 170,991 |
양쯔진 () | 403km2 | 68,341 |
창서우진 () | 275km2 | 27,535 |
펑러진 () | 162km2 | 68,700 |
후지진 () | 393km2 | 129,891 |
솽허진 () | 235km2 | 46,220 |
린쾅진 () | 219km2 | 47,092 |
원지진 () | 128km2 | 44,405 |
렁수이진 () | 314km2 | 47,393 |
스파이진 () | 295km2 | 84,296 |
지우커우진 () | 201km2 | 103,514 |
차이후진 () | 225km2 | 95,663 |
창탄진 () | 153km2 | 20,338 |
둥차오진 () | 256km2 | 24,085 |
커뎬진 () | 293km2 | 14,581 |
장지진 () | 289km2 | 22,805 |
지우리회족향 () | 99km2 | 16,718 |
5. 경제
钟祥市중국어는 다양한 지형과 알맞은 아열대 몬순 기후를 가지고 있어 여러 종류의 농산물이 생산된다. 주요 농산물은 곡물, 면화, 식용유, 돼지, 가금류, 과일, 채소, 식용 버섯 등이다. 주요 작물로는 쌀, 밀, 옥수수, 콩, 누에콩, 완두, 면화, 유채, 땅콩, 참깨, 채소, 감귤류, 배, 포도, 대추, 복숭아, 차 등이 있다.[1]
2009년, 시의 농업 생산액은 82억위안에 달했다. 총 농업 생산량은 다음 표와 같다.[1]
품목 | 생산량 |
---|---|
곡물 | 816,500톤 |
면화 | 144,100톤 |
식용유 | 120,700톤 |
축산 | 92,000톤 |
수산물 | 110,000톤 |
과일 | 193,300톤 |
5. 1. 산업
수년간의 건설로 기계, 건축 자재, 화학, 경공업, 섬유 및 식품 산업이 발달하여 산업 구조가 초기에 형성되었다. 600개 이상의 산업 제품 중 20개가 국제 시장에 진출했으며, 45개 품목은 전국 선도 수준, 130개 품목은 후베이성 선도 수준이다.[1]2009년 기준으로 265개의 주요 산업 기업이 도시의 산업 생산액 195.63억위안, 판매액 189.747억위안, 수출 인도액 3.0716억위안을 기여했다.[1]
5. 2. 농업
중샹시는 다양한 지형과 알맞은 아열대 몬순 기후를 가지고 있어 여러 종류의 농산물이 생산된다. 주요 농산물로는 곡물, 면화, 식용유, 돼지, 가금류, 과일, 채소, 식용 버섯 등이 있다. 주요 작물로는 쌀, 밀, 옥수수, 콩, 누에콩, 완두, 면화, 유채, 땅콩, 참깨, 채소, 감귤류, 배, 포도, 대추, 복숭아, 차 등이 있다.[1]2009년, 시의 농업 생산액은 82억위안에 달했다. 총 농업 생산량은 다음 표와 같다.[1]
품목 | 생산량 |
---|---|
곡물 | 816,500톤 |
면화 | 144,100톤 |
식용유 | 120,700톤 |
축산 | 92,000톤 |
수산물 | 110,000톤 |
과일 | 193,300톤 |
6. 인구
2000년 제5차 인구조사에 따르면 중샹 시의 평균 수명은 75.88세로, 중국 평균 수명보다 4.48세 더 길어 장수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1]
7. 관광
중샹시는 초 문화의 요람 중 하나로, 춘추 시대와 전국 시대에 초나라의 임시 수도였다. 명나라 가정제 (재위 1521–1566)는 이 도시에서 태어나 왕위에 오르기 전까지 살았다. 청천 부 정부청사가 위치한 중샹시는 중앙 정부 직속의 3대 주요 부 중 하나였다.
주요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8.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China: Húbĕi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s://www.citypopu[...]
2024-11-22
[2]
서적
China Urban Construc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s Press
2019
[3]
뉴스
The Ming Ancestor Tomb
http://www.chinaheri[...]
Eric N. Danielson
[4]
서적
The Eunuchs in the Ming Dynast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6
[5]
간행물
Imperial Tombs of the Ming and Qing Dyansties
https://whc.unesco.o[...]
[6]
웹사이트
http://www.weather.c[...]
Weather China
2013-01-02
[7]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11
[8]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5-28
[9]
웹사이트
http://www.weather.c[...]
Weather China
2022-11-21
[10]
웹사이트
http://www.zhongxian[...]
Zhongxiang People's Government
2016-11-21
[11]
웹사이트
http://www.xzqh.org/[...]
XZQH
2014-08-06
[12]
웹사이트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01-02
[13]
웹사이트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7
[14]
웹사이트
钟祥工业
http://www.zhongxian[...]
2011-02-25
[15]
웹사이트
钟祥农业
http://www.zhongxian[...]
2011-02-25
[16]
웹인용
http://www.weather.c[...]
Weather China
2013-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