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향은 한국, 중국, 중화민국, 일본 등에서 사용된 행정 구역의 명칭이다.
한국 역사에서 향은 향·소·부곡의 일부였다. 신라 시대에는 작은 고을을 뜻했지만, 고려 시대에는 천민들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지역을 의미했으며, 조선 시대에 들어서 대부분 없어졌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향은 현급 행정구의 주요 행정 구역 형식 중 하나이며, 향과 같은 수준의 행정 구역을 '향급 행정구'라고 부른다. 향 아래에는 촌(村)이라는 자치 조직이 존재한다.[1]
한국에서 향은 신라 시대에는 작은 고을을, 고려 시대에는 천민 집단 거주 지역을 의미했으며, 조선 시대에 대부분 철폐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향이 현급 행정구의 주요 형식 중 하나로, 촌을 하위 자치 조직으로 둔다. 중화민국에서는 향이 지방 행정 제도 하부 조직으로, 현할시, 진에 준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에 지방 행정 최하위 단위로 리가 향으로 개칭되었고, 중세에는 촌을 하위 단위로 하는 향촌제가 형성되었다.
2. 대한민국
2. 1. 역사
역사상 한국의 향은 향·소·부곡의 일부로 신라 시대에는 작은 고을을 지칭했지만, 고려 시대에는 천민 집단 거주 지역을 의미했고, 조선 시대에 대부분 철폐되었다.
3.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성, 민족 자치구, 직할시, 특별행정구 부성급시, 부성급시할구 지급시, 지구, 자치주, 맹 시할구, 현급시, 현·자치현, 기·자치기, 특구, 임구 가도, 진, 향·민족향, 솜, 민족솜, 현할구 촌, 사회구역
3. 1. 현황
향은 진·한나라 시대부터 존재해 왔으며 현재도 행정 구역으로서 존속하고 있다.[1] 향은 성급·현급·향급으로 구성되는 '3급 행정 구획 제도'의 3번째 단위에 속하고 성급·지구급(행정독찰구)·현급·향급의 '4급 행정 구획 제도'에서는 4번째 단위에 속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향은 현급 행정구의 행정구역의 주요한 형식 중 하나이며, 향과 같은 수준의 행정구역을 '향급 행정 구역'이라고 부른다. 향 밑에는 촌(村)이라는 자치 조직이 존재한다.[1]
향급 행정 구역은 여러 번 개혁을 거쳤다. 다음은 연도별 향, 민족향의 개수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연도 | 합계 | 그 중 민족향 |
---|---|---|
1951년 | 218,006 | - |
1952년 | 275,200 | - |
1983년 | 85,200 | ? |
1986년 | 61,415 | 2,936 |
1988년 | 46,766 | 1,571 |
1990년 | 44,397 | 1,980 |
1992년 | 33,827 | ? |
1994년 | 31,463 | ? |
1995년 | 29,502 | ? |
2000년 | 24,555 | 1,356 |
2001년 | 20,012 | 1,165 |
2002년 | 18,356 | 1,160 |
2003년 | 17,783 | 1,147 |
2004년 | 17,256 | 1,126 |
4. 중화민국
대만의 향은 지방 행정 제도 안에서의 하부조직으로서, 현할시, 진에 준하는 것이라고 규정되어 있다. 1999년 1월 25일에 공포된 중화민국 지방제도법 제3조 규정을 근거로 설치되어 있다. 현재 대만의 지방 제도 중에서의 향의 명확한 설치 기준은 정해져있지 않다.
4. 1. 현황
중화민국에서의 향은 지방 행정 제도 하부 조직으로, 현할시, 진에 준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1]1999년 1월 25일에 공포된 중화민국 지방제도법 제3조 규정에 근거하여 설치되었다.[1] 현재 대만의 지방 제도에서 향의 명확한 설치 기준은 정해져 있지 않으며, 현 상황은 일본 통치 시대의 '지청'이나 청대의 '순검', 정씨 정권에서의 '둔전' 등, 역사적인 구분에 기반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합병 등으로 새로운 법적 설치 기준이 요구되고 있다.[1]
5. 일본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 율령제 하의 지방 행정 최하위 단위로 군 아래에 리(里)가 설치되었다. 리는 50호를 하나로 묶어 리마다 이장을 두었다. 715년, 리는 향(郷)으로 개칭되었고, 향 아래에 몇 개의 리를 두는 향리제(郷里制)가 시행되었다. 그러나 곧 리가 폐지되면서 향이 지방 행정의 최하위 단위로 남았다.
향은 가족 집단인 호(戸)의 모임으로, '사람'을 지배하기 위해 설치된 제도였다. 중세·근세에는 향 아래에 더 작은 단위인 촌(村)이 발생하여 향촌제가 형성되었다. 이와 함께 율령제의 향뿐만 아니라, 몇 개의 촌을 합쳐 '~향'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었다. 갓쇼즈쿠리(지붕 양식)으로 알려진 시라카와 향 등이 그 예이다.
5. 1. 율령제 하의 향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에 율령제 하의 지방 행정 최하위 단위로서 군 아래에 '''리'''(里, 사토)가 설치되었다. 리는 50호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리마다 이장을 두었다.715년에 리를 '''향'''(郷, 고우, 사토)으로 개칭하고, 향 아래에 2~3개의 리를 두는 '''향리제'''로 바뀌었다. 그러나 리가 곧 폐지되어 향이 지방 행정 최하위 단위로 남게 되었다.
향은 호라는 가족 집단의 모임이므로, "사람"의 지배를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다.
헤이안 시대 중기의 사전인 『와묘쇼』는 율령제의 국·군·향의 명칭을 망라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헤이안쿄가 있던 야마시로국가도노군에는 12개의 향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국 | 군 | 향 |
---|---|---|
야마시로국 | 가도노 군 | 교토 향 |
오카 향 | ||
야마다 향 | ||
가와베 향 | ||
가도노 향 | ||
가와시마 향 | ||
가미바야시 향 | ||
이치하라 향 | ||
다카다 향 | ||
시모바야시 향 | ||
와타시로 향 | ||
타무라 향 | ||
그 외 7 군 | ― |
5. 2. 중세·근세의 향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에 율령제 하의 지방 행정 최하위 단위로서 군 아래에 리(里)가 설치되었다. 리는 50호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리마다 이장을 두었다. 715년에 리는 향으로 개칭되었고, 향 아래에 몇 개의 리를 두는 향리제(郷里制)로 바뀌었다. 후에 리가 폐지되고 향만 남아 지방 행정 최하위 단위가 되었다.향은 호(戸)라는 가족 집단의 모임이기 때문에 '사람'의 지배를 위해서 설치된 제도이다.
율령 정치의 완화는 지방 정치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종래에는 군의 하부 조직이었던 향의 위치가 변화하여, 유력한 향(향창이 설치된 향 등)이 군에서 분리되거나 군 자체가 분할되면서 명칭은 "향"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군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경우가 나타났다. 그 결과, 중세에 들어서면서 향은 군과 거의 동격의 위치가 되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구래의 군사의 지휘 하에 향의 행정을 행하던 향장은 자취를 감추고, 그 대신 군사와 거의 동일한 역할을 담당하는 향의 책임자로서 향사가 등장한다. 시기는 11세기로 여겨진다.
중세·근세에 향 아래에는 더 작은 단위인 촌(총촌)이 발생하여 향촌제가 형성되어 갔다. 이에 따라 율령제의 향에 한정되지 않고, 일정한 묶음을 갖는 수 촌을 합쳐서 "○○향"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합장 양식으로 알려진 시라카와고 등이 그 예이다.
5. 3. 특수 사례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에 율령제 하의 지방 행정 최하위 단위로 군 아래에 리(里)가 설치되었다. 리는 50호를 하나로 묶어 리마다 이장을 두었다. 715년, 리는 향으로 개칭되었고, 향 아래에 몇 개의 리를 두는 향리제(郷里制)로 바뀌었다. 이후 리가 폐지되고 향만 남아 지방 행정 최하위 단위가 되었다.[1]향은 가족 집단인 호(戸)의 모임으로, '사람' 지배를 위해 설치된 제도였다. 중세·근세에는 향 아래에 더 작은 단위인 촌(村)이 생겨 향촌제(郷村制)가 형성되었다. 이와 함께 율령제의 향뿐만 아니라, 몇 개의 촌을 합쳐 '~향'이라 부르기도 했다. 갓쇼즈쿠리(지붕 양식)으로 알려진 시라카와 향 등이 그 예이다.
근세 사쓰마 번 영토(현재의 가고시마현 본토, 미야자키현 남서부)에서는 사쓰마 번의 지방 지배 제도인 외성제(토조세이)에 의한 외성의 관할 구역을 향(郷)이라 불렀다. 가고시마성 아래 46개 정(町) 및 가고시마군 중 요시다 향(吉田郷)을 제외한 구역에는 향이 설치되지 않았다.
메이지 시대 정촌제 시행으로 설치된 정촌은 향의 구역을 계승한 경우가 많지만, 일부 큰 향은 상(上)·중(中)·하(下)(이쥬인 향), 상·하(토고 향 등), 동서(이치키 향, 미나미카타 향 등)로 분할되었다.
오무라번 영(현재의 나가사키현 히키 지방)이나 후쿠에번 영(현재의 나가사키현 고토 열도)에서는[1] 시정촌 하위 행정 구역인 아자 단위로 '○○ 향(郷)'이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니시소노기군・히가시소노기군의 각 정(町), 미나미마쓰우라군신카미고토정, 기타마쓰우라군오지카정, 사세보시의 대부분[2]에서 '○○ 향'이라는 지명이 사용되고 있다. 나가사키시 구역, 사세보시미야 지역 및 우쿠 지구[3], 오무라시 구역, 이사하야시타라미정이기리키 지구, 고토시에서는 '향'을 도시적인 이미지의 '정'으로 바꾸거나, '향'의 문자를 삭제하는 등의 소재 명칭 변경을 실시하고 있다.[4]
참조
[1]
서적
同義的類似地名の分布
1978
[2]
문서
旧大瀬戸町、旧大島町、旧崎戸町の郷の設置について
[3]
문서
佐世保市の郷の設置について
[4]
문서
「第○地割」の区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