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진국 함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진국 함정은 경제학자 인더미트 길과 호미 카라스가 2007년에 처음 사용한 용어로, 임금 상승으로 제조업 경쟁력을 잃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도약하지 못해 1인당 국민 소득이 일정 수준에 갇히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낮은 투자, 산업 다변화 부족, 열악한 노동 시장 등으로 나타나며, 사회학자들은 정치적 요인이 작용한다고 분석한다. 중진국 함정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신규 시장 개척, 국내 수요 증진, 생산성 및 혁신을 위한 투자, 교육 시스템 개선 등이 필요하며, 1960년부터 2022년까지 23개 경제만이 이 함정에서 벗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중진국 함정의 존재 자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금융 - 유로본드
유로본드는 발행국 통화가 아닌 다른 통화로 표시되거나 역외 시장에서 발행되는 채권으로, 1963년 최초 발행 후 시장 확대와 발전을 거쳐 현재는 전자 형태로 거래된다. - 국제금융 - 외환위기
외환 위기는 한 국가의 통화 가치가 급격히 하락하는 현상으로, 과도한 재정 적자, 금융 시스템 취약성, 외부 경제 충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여러 형태의 금융 위기로 나타난다. - 개발경제학 - 보호무역
보호무역은 정부가 국내 산업을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관세, 수입 할당량, 기술 보호, 외국인 투자 제한 등 다양한 정책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에 대한 논쟁이 있고 최근 주요 국가에서 강화되는 추세이다. - 개발경제학 - 생산성
생산성은 생산 과정에서 투입된 자원 대비 산출된 결과물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노동 생산성, 자본 생산성, 총요소 생산성 등으로 측정되며, 기술 혁신, 인적 자본 개발 등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 2006년 도입 - Get a Mac
`Get a Mac`은 애플이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진행한 광고 캠페인으로, 맥과 PC를 의인화하여 유머러스하게 비교하며 맥의 우월성을 강조하여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애플 제품 인식 개선과 Mac 판매 증가에 기여했지만, 단순화된 비교와 PC 사용자 비하라는 비판도 받았다. - 2006년 도입 - DTMB
DTMB는 중국에서 개발되어 국가 표준으로 채택된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표준으로, 고정 및 이동 수신을 지원하며,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SD, HD,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여러 국가와 지역에서 사용되며, 단일 및 다중 주파수 네트워크를 모두 지원하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다.
중진국 함정 | |
---|---|
개요 | |
정의 | 중진국 단계에 머물러 선진국으로 진입하지 못하는 현상 |
원인 | 값싼 노동력에 의존한 성장 모델의 한계 혁신 부족 제도적 미비 부패 낮은 교육 수준 사회 기반 시설 부족 |
배경 | |
경제 발전 단계 | 저소득 단계: 농업 중심 경제 중진국 단계: 제조업 중심 경제, 수출 주도 성장 선진국 단계: 서비스업 중심 경제, 기술 혁신 주도 성장 |
중진국 함정 발생 시점 | 중진국 단계에서 선진국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는 시점 |
사례 | |
라틴 아메리카 국가 | 1960년대 이후 장기간 중진국에 머무름 |
아시아 국가 |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높은 실업률과 불평등으로 경제 성장 둔화 |
극복 방안 | |
경제 정책 | 기술 혁신 투자 확대 연구 개발 지원 강화 교육 시스템 개선 제도 개혁 사회 기반 시설 확충 부패 방지 노력 산업 다각화 |
국제 협력 | 선진국과의 기술 제휴 및 투자 유치 |
기타 |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 수립 |
관련 연구 | |
주요 연구자 | Spence (2011) Agénor (2011) Kharas and Kohli (2011) |
참고 자료 | |
관련 기사 | 이코노미스트: 아시아의 중진국 함정 |
2. 용어의 기원
2007년, 경제학자 인더미트 길과 호미 카라스는 세계 은행 보고서 "동아시아 르네상스: 경제 성장을 위한 아이디어"에서 동아시아 경제에 대한 현장 전략을 연구하면서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3][4]
중진국 함정에 빠진 국가는 임금 상승으로 인해 제조업 수출에서 경쟁 우위를 잃지만, 고부가가치 시장에서 선진국을 따라잡지 못한다.[22] 그 결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브라질 같은 신흥국들은 1인당 국민 총소득이 1,000달러에서 12,000달러 사이인 '중간소득지점'에 수십 년간 머물러 있으며, 낮은 투자, 제2차 산업의 저성장, 한정된 산업 다양화, 좋지 않은 노동 시장 조건으로 어려움을 겪는다.[22][23]
신흥국이 저임금 노동력 등을 바탕으로 빠른 경제 성장을 이루어 중소득 국가(1인당 GDP가 3,000달러에서 10,000달러)에 도달하지만,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공업 제품의 수출 경쟁력을 잃고 성장이 둔화되는 경향을 나타내는 말이다.[17]
세계적으로 볼 때 이러한 경향은 뚜렷하며,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말레이시아, 멕시코, 태국과 같은 국가들이 높은 경제 성장을 유지하지 못하고, 1인당 GDP가 10,000~12,000달러를 돌파하지 못하거나 시간이 걸렸다.[17][21]
이러한 경향은 개발 경제학에서 널리 알려진 개념이며, 저소득 국가에서 중소득 국가가 된 나라는 많지만, 중소득 국가에서 고소득 국가가 된 나라는 적다.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한 국가 및 지역으로는 일본, 미국, 한국, 홍콩, 싱가포르가 있다.[17]
3. 역학 관계
아시아 개발 은행은 중진국 함정을 피하려면 새로운 프로세스를 도입하고 수출 성장을 위한 새로운 시장을 찾아야 하며, 중산층의 구매력을 활용하여 고품질의 혁신적인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해 국내 수요를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8] 이를 위해 저렴한 노동력과 저렴한 자본에 기반한 자원 중심 성장에서 높은 생산성과 혁신으로 전환하고, 인프라와 교육에 대한 투자, 창의성을 장려하고 경제에 적용 가능한 과학 기술 발전을 지원하는 고품질 교육 시스템 구축, 수출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9][10]
이코노미스트는 세계 은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1960년부터 2022년까지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불리는 홍콩, 싱가포르, 대한민국,[11] 타이완과 아프리카의 세이셸, 중앙 유럽의 폴란드, 중동의 사우디 아라비아 등 23개 경제만이 중진국 함정에서 벗어났다고 밝혔다.[12][13]
개발 경제학에서는 저소득국에서 중소득국이 된 나라는 많지만, 중소득국에서 고소득국이 된 나라는 적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다. 일본, 미국, 한국, 홍콩, 싱가포르는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한 국가 및 지역으로 꼽힌다.[17]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말레이시아, 멕시코, 태국 등은 고도 경제 성장을 유지하지 못하고 1인당 GDP가 10,000~12,000달러를 돌파하지 못하거나 오랜 시간이 걸렸다.[17][21] 2011년 아시아 개발 은행은 『아시아 2050』에서 2050년에는 세계 전체 GDP의 52%를 아시아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진국 함정에 빠질 경우에는 31%에 머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18]
일반적으로 중진국 함정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산업 고도화뿐만 아니라 "규모의 경제"와 중산층 확대를 통한 내수 및 구매력 상승, 인프라와 교육에 대한 투자가 필수적이라고 여겨진다.[18][17][19][20] 1990년대 말 중진국 함정에 빠졌던 한국과 대만은 전기 및 IT 분야에서 산업 고도화를 이루어 고소득국 진입에 성공했다.[21]
3. 1. 정치적 함정
살바토레 바보네스와 하르트무트 엘젠한스는 중진국 함정을 극복할 수 있는 경제적 방법이 존재하지만,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이를 사용하는 국가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정치적 함정"이라고 부른다.[6][7] 이들은 함정의 원인을 초기 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구조적 문제와 불평등에서 찾는다. 부유한 엘리트들은 강력한 통화를 위해 거래함으로써 경제 구조를 사치품 소비와 저임금 노동법으로 전환시키고, 이는 대량 소비와 대량 소득의 증가를 막는다. 이들은 국가가 물리적 및 인적 인프라에 투자하고, 더 높은 최저 임금과 같은 사회 정책을 시행하며,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 국내 고용을 자극하는 약세를 띤 통화를 가짐으로써 중진국 함정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6][7]
4. 중진국 함정 탈출 전략
살바토레 바보네스와 하르트무트 엘젠한스는 중진국 함정을 극복할 수 있는 경제적 방법이 존재하지만,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이를 사용하는 국가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정치적 함정"이라고 부른다. 그들은 함정의 원인을 초기 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구조적 문제와 불평등에서 찾으며, 부유한 엘리트들이 경제 구조를 사치품 소비와 저임금 노동법으로 전환시켜 대량 소비와 소득 증가를 막는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국가가 물리적 및 인적 인프라에 투자하고, 더 높은 최저 임금과 같은 사회 정책을 시행하며,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 국내 고용을 자극하는 약세를 띤 통화를 가짐으로써 중진국 함정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본다.[6][7]
아시아 개발 은행은 중진국 함정을 피하기 위해 새로운 프로세스 도입, 수출 성장을 위한 새로운 시장 탐색, 중산층의 구매력을 활용한 국내 수요 증대, 높은 생산성과 혁신으로의 전환, 인프라 및 교육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8][9] 수출 다변화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10]
이코노미스트는 세계 은행 자료를 바탕으로 1960년부터 2022년까지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싱가포르, 대한민국,[11] 타이완)을 포함한 23개 경제만이 중진국 함정에서 벗어났다고 발표했다.[12][13]
일반적으로 중진국 함정 회피를 위해서는 경제 구조 전환, 산업 고도화, "규모의 경제"와 중산층 확대를 통한 내수 및 구매력 상승, 인프라와 교육 투자가 필요하다.[18][17][19][20] 1990년대 말 중진국 함정에 빠졌던 한국과 대만은 전기 및 IT 분야에서 산업 고도화를 통해 고소득국으로 진입했다.[21]
4. 1. 경제 구조 개혁
중진국 함정에 빠진 국가는 임금 상승으로 인해 제조 상품 수출 부문에서 경쟁 우위를 잃게 된다.[22] 그러나 이들 국가는 고부가가치 시장에서 선진국을 따라잡지 못한다. 그 결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브라질과 같은 신흥국들은 수십 년간 1인당 국민 총소득이 1000USD~12000USD 사이인 "중간소득지점"에 머물러 있다.[22] 이들은 낮은 투자, 제2차 산업의 저성장, 한정된 산업 다양화, 좋지 않은 노동 시장 조건으로 어려움을 겪는다.[23]아시아 개발 은행에 따르면, 중진국 함정을 피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8]
- 새로운 프로세스 도입
- 수출 성장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시장 탐색
- 국내 수요 증대: 중산층의 구매력을 활용하여 고품질의 혁신적인 제품 구매를 유도
- 생산성과 혁신 증진: 저렴한 노동력과 자본에 의존하는 자원 중심 성장에서 벗어나, 높은 생산성과 혁신 중심으로 전환
- 인프라 및 교육 투자: 창의성을 장려하고 경제에 적용 가능한 과학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을 지원하는 고품질 교육 시스템 구축[9]
수출 다변화 또한 중진국 함정 탈출에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10]
이코노미스트는 세계 은행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1960년부터 2022년까지 단 23개 경제만이 중진국 함정에서 벗어났다고 발표했다. 대표적인 국가는 홍콩, 싱가포르, 대한민국,[11] 타이완으로 구성된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아프리카의 세이셸, 중앙 유럽의 폴란드, 중동의 사우디 아라비아이다.[12][13]
일반적으로 중진국 함정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경제 구조의 전환이 필요하다. 산업 고도화뿐만 아니라 "규모의 경제"와 중산층 확대를 통한 내수 및 구매력 상승도 중요하며, 이를 위해 인프라와 교육에 대한 투자도 필요하다.[18][17][19][20] 1990년대 말 중진국 함정에 빠졌던 한국과 대만은 전기 및 IT 분야에서 산업 고도화를 통해 고소득 국가로 진입했다.[21]
4. 2. 투자 확대
아시아 개발 은행에 따르면, 중진국 함정을 피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프로세스를 도입하고 수출 성장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시장을 찾는 전략을 식별해야 한다. 또한 중산층이 증가하는 구매력을 사용하여 고품질의 혁신적인 제품을 구매하고 성장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국내 수요를 늘리는 것이 필수적이다.[8]가장 큰 과제는 저렴한 노동력과 저렴한 자본에 기반한 자원 중심 성장에서 높은 생산성과 혁신으로 전환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인프라와 교육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즉, 창의성을 장려하고 경제에 다시 적용할 수 있는 과학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을 지원하는 고품질 교육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9]
일반적으로 중진국 함정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경제 구조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산업의 고도화 외에도 "규모의 경제"와 중산층 확대를 통한 내수 및 구매력 상승도 중요시된다. 1990년대 말에 중진국 함정에 빠졌던 한국과 타이완은 전기 및 IT 분야에서 산업의 고도화를 이루어 고소득국 진입에 성공했다.[21] 이를 위해서는 인프라와 교육에 대한 투자도 필요하다.[18][17][19][20]
4. 3. 사회 정책 강화
살바토레 바보네스와 하르트무트 엘젠한스는 중진국 함정을 극복할 수 있는 경제적 방법이 존재하지만,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이를 사용하는 국가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정치적 함정"이라고 부른다. 이들은 중진국 함정의 원인을 초기 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구조적 문제와 불평등에서 찾는다. 부유한 엘리트들이 경제 구조를 사치품 소비와 저임금 노동법으로 전환시켜 대량 소비와 소득 증가를 막는다는 것이다.[6][7]이들은 국가가 중진국 함정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회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6][7]
- 물리적 및 인적 인프라에 투자
- 더 높은 최저 임금과 같은 사회 정책 시행
-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 국내 고용을 자극하는 약세를 띤 통화
아시아 개발 은행에 따르면, 중진국 함정을 피하려면 국내 수요를 늘리는 것이 필수적이다. 중산층이 증가하는 구매력을 사용하여 고품질의 혁신적인 제품을 구매하고 성장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8]
5. 중진국 함정 극복 사례
아시아 개발 은행에 따르면, 중진국 함정을 피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프로세스를 도입하고 수출 성장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시장을 찾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8] 또한 중산층의 구매력을 활용하여 고품질의 혁신적인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국내 수요를 늘려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8]
중진국 함정 극복의 가장 큰 과제는 저렴한 노동력과 저렴한 자본에 기반한 자원 중심 성장에서 벗어나 높은 생산성과 혁신 중심의 성장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인프라와 교육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며, 창의성을 장려하고 경제에 다시 적용할 수 있는 과학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을 지원하는 고품질 교육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9] 수출 다변화 또한 중진국 함정 탈출에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10]
사회학자 살바토레 바보네스와 정치학자 하르트무트 엘젠한스는 중진국 함정을 극복할 수 있는 경제적 방법이 존재하지만,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이를 사용하는 국가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정치적 함정"이라고 부른다. 이들은 국가가 물리적 및 인적 자원에 투자하고, 높은 최저 임금과 같은 사회 정책을 시행하며,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 국내 고용을 자극하는 약세 통화를 유지함으로써 중진국 함정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6][7]
5. 1. 성공 사례
세계 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1960년부터 2022년까지 중진국 함정에서 벗어난 경제 국가는 23개에 불과하다. 이 중 대표적인 국가로는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불리는 홍콩, 싱가포르, 대한민국,[11] 타이완이 있다.[12] 이 외에도 아프리카의 세이셸, 중앙 유럽의 폴란드, 중동의 사우디 아라비아도 중진국 함정을 탈출한 국가로 꼽힌다.[13]일본, 미국, 대한민국, 홍콩, 싱가포르는 안정적인 성장을 통해 중진국 함정을 벗어났다.[17] 특히 대한민국과 타이완은 1990년대 말 중진국 함정에 빠졌으나, 전기 및 IT 분야의 산업 고도화를 통해 고소득 국가로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21]
6. 비판
이 개념에 따르면 중진국 함정에 빠진 국가는 임금이 상승하여 제조 상품 수출 부문에서 경쟁 우위를 잃는다. 그러나 이 국가는 고부가가치 시장에서 선진국을 따라잡지 못한다. 그 결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브라질 등 신흥국들은 수십 년 간 1인당 국민 총소득이 1000USD~12000USD 사이로 남아있게 되었다.[22] 이 국가들은 낮은 투자, 제2차 산업의 저성장, 한정된 산업 다양화, 좋지 않은 노동 시장 조건으로 어려움을 겪는다.[23]
"중진국 함정"의 경험적 타당성에 대한 상당한 논쟁이 존재한다.[14] 다른 경제학자들은 중진국 함정이 없다고 보거나,[15] "중진국 함정"에 대한 논쟁이 시대착오적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중진국들은 1980년대 중반 이후 다른 모든 국가들보다 더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16]
신흥국이 저임금 노동력 등을 바탕으로 비약적인 경제 성장을 이루어 중소득국(1인당 GDP가 3000USD에서 10000USD)에 도달하지만,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공업 제품의 수출 경쟁력을 잃고 성장이 둔화되는 경향을 띈다.[17]
세계적으로 볼 때 이러한 경향은 뚜렷하며,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말레이시아, 멕시코, 태국과 같은 국가들이 고도 경제 성장을 유지하지 못하고, 1인당 GDP가 10000USD~12000USD를 돌파하지 못하거나 시간이 걸렸다.[17][21]
참조
[1]
웹사이트
Asias Middle Income Trap
https://www.economis[...]
Economist.com
2011-12-22
[2]
웹사이트
The middle-income trap turns ten
https://documents.wo[...]
2015-08-26
[3]
서적
What is the "Middle Income Trap"?
Palgrave Macmillan
2021
[4]
웹사이트
Transitioning From Low-Income Growth To High-Income Growth: Is There A Middle-Income Trap?
https://www.adb.org/[...]
2023-12-07
[5]
웹사이트
Indonesia risks falling into the Middle Income trap
http://www.adb.org/n[...]
Adb.org
2012-03-27
[6]
학술지
Escaping the middle income trap
https://ses.library.[...]
2023-05-05
[7]
서적
BRICS or Bust?: Escaping the Middle-Income Trap
https://www.sup.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7
[8]
웹사이트
Seminar on Asia 2050
http://www.adb.org/n[...]
Adb.org
2011-10-18
[9]
서적
Asia 2050: Realizing the Asian Century
http://www.adb.org/p[...]
Adb.org
2013-05-09
[10]
웹사이트
Aiming for the Top: Can China Escape the Middle Income Trap?
https://knowledge.ck[...]
2019-05-23
[11]
웹사이트
Google Podcasts
https://podcasts.goo[...]
[12]
뉴스
Which countries have escaped the middle-income trap?
https://www.economis[...]
2023-12-15
[13]
웹사이트
Which countries have escaped the middle-income trap?
https://finance.yaho[...]
2023-12-19
[14]
서적
Accidental Conflict: America, China, and the Clash of False Narratives
Yale University Press
2022
[15]
웹사이트
Transitioning from low-income growth to high-income growth: is there a middle-income trap?
https://www.adb.org/[...]
[16]
웹사이트
The New Era of Unconditional Convergence
https://www.cgdev.or[...]
[17]
웹사이트
内閣府「世界経済の潮流 2013年II」中所得国の罠の回避に向けて
https://www5.cao.go.[...]
内閣府
[18]
웹사이트
「中所得国の罠と所得格差の是正 」 大泉啓一郎 2014年07月01日
https://www.jri.co.j[...]
日本総研
[19]
웹사이트
Seminar on Asia 2050
http://www.adb.org/n[...]
Adb.org
2011-10-18
[20]
웹사이트
Asia 2050: Realizing the Asian Century
http://www.adb.org/p[...]
Adb.org
2013-05-09
[21]
웹사이트
金融経済用語集「中所得国の罠」
https://www.ifinance[...]
iFinance
[22]
웹인용
Asias Middle Income Trap
https://www.economis[...]
Economist.com
2011-12-22
[23]
웹인용
Indonesia risks falling into the Middle Income trap
http://www.adb.org/n[...]
Adb.org
2012-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