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는 1949년 10월 1일 설립되어 2013년 3월 14일 폐지될 때까지 중국의 철도 행정을 담당했다. 청나라와 중화민국의 교통부를 전신으로 하며, 군사 수송 역할도 수행했다. 2013년 철도부 해체 후에는 중국철도총공사가 출범하고, 업무는 교통운수부, 국가철로국, 중국철로총공사로 이관되었다. 철도부는 18개의 철도국과 철도 그룹으로 구성되었으며, 재정 활동을 위해 채권을 발행하기도 했다. 마지막 철도부장은 성광조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 중화인민공화국 수리부
중화인민공화국 수리부는 중국의 수자원 관리를 담당하는 중앙 정부 기관으로, 용수 허가, 관개 시설 관리, 수자원 보전, 홍수 및 가뭄 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며 주요 강 유역별 위원회를 지휘·감독한다. -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 중화인민공화국 교통운수부
중화인민공화국 교통운수부는 중국의 철도, 도로, 수로, 항공 등 교통 시스템 발전과 정책 집행을 총괄하는 국무원 산하 부처로, 여러 기관 통합과 기능 이관을 통해 영향력이 확대되었으나, 환경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 심화, 정보 공개 부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1940년 설립 - 김해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76년 개항 이후 2023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이용객을 기록하며 동남권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시설 부족, 안전 및 소음 문제로 인해 김해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되고 가덕도신공항 건설이 추진 중이다. - 1940년 설립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40년 소련에 강제 병합되어 소련의 지배를 받다가 1991년 독립을 재선언할 때까지 공산화, 농업 집단화, 문화적 탄압, 강제 이주, 무장 저항 등 고난을 겪었으며,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시민 저항 운동을 통해 독립을 이루었다. - 2013년 폐지 -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는 국무회의 서무, 법령 공포, 정부 조직 관리, 정부혁신, 전자정부 구축, 지방자치 지원, 재난안전관리 등을 수행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내무부와 총무처의 통합 및 국민안전처 흡수를 거쳐 현재 명칭으로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다. - 2013년 폐지 - 워싱턴 포스트
워싱턴 포스트는 1877년 창간되어 워싱턴 D.C.에서 발행되는 영향력 있는 미국의 일간지로, 워터게이트 사건 보도와 퓰리처상 수상, 제프 베이조스의 디지털 혁신 추진을 거쳐 "민주주의는 어둠 속에서 죽는다"라는 슬로건을 사용하는 신문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설립일 | 1949년 10월 1일 |
해산일 | 2013년 3월 |
관할 지역 | 중국 |
본사 위치 | 베이징 |
소속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
기관 유형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구성 부서 (내각 수준) |
명칭 | |
로마자 표기 | 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Tiědào Bù |
약칭 | 국철, MOR |
기타 | |
직원 수 | 2,000,000명 |
웹사이트 | 웹사이트 |
2. 역사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의 역사는 크게 설립 초기, 개혁 개방과 고속철도 시대, 그리고 해체 이후의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철도부는 1949년 10월 1일 중국 국무원 산하에 설립되었다.[1] 철도병 부대를 갖는 등 "준군사 부문"으로 취급받았으며, 고속철도 건설에 따른 이권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장쩌민 전 공산당 총서기와 가까운 당 관료들이 철도부를 장악하기도 했다.
2019년 6월 18일, 중국철로총공사는 중국국가철로집단유한공사로 전환되었다.
2. 1.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 설립과 초기 발전 (1949년 ~ 1990년대)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의 전신은 청나라와 중화민국의 교통부였다.날짜 | 사건 |
---|---|
1949년 10월 1일 | 중국 국무원 산하 철도부 설립[1] |
1952년 3월 | 제1차 철도여객운임조정 |
1955년 6월 1일 | 제2차 철도여객운임조정 |
1984년 5월 3일 | 칭짱철도 1차구간(서녕-거얼무)개통 |
1989년 8월 5일 | 제3차 철도여객운임조정 |
1993년 2월 8일 | 광주철도국 민영화, 이하 5개사로 분리됨. |
1995년 10월 1일 | 제4차 철도여객운임조정(외국인요금 폐지) |
1996년 6월 1일 | 경구선(북경 - 홍콩 구룡) 개통 |
1997년 4월 1일 | 중국철도 제1차 속도개선 |
2. 2. 개혁 개방과 고속철도 시대 개막 (1990년대 ~ 2013년)
1993년 2월 8일 광주철도국이 민영화되어 5개 회사로 분리되었다.[1] 1995년 10월 1일에는 제4차 철도여객운임조정을 실시하여 외국인 요금이 폐지되었다.[1] 1996년 6월 1일에는 베이징에서 홍콩 구룡을 잇는 경구선이 개통되었다.[1] 1997년 4월 1일에는 중국철도 제1차 속도 개선이 이루어졌다.[1]2006년 7월 1일, 칭짱철도 2차 구간(거얼무-라싸)이 개통되었다.[1] 2007년 4월 18일에는 중국고속철도 CRH가 상하이-항저우 구간 운행을 개시했다.[1] 2008년 8월 1일에는 베이징 - 톈진 간 경진도시간 고속철도가 개통되어 운행을 시작했다.[1] 2009년에는 4월 1일 허페이 - 우한 도시간 고속철도, 9월 28일 대리 - 려강 간 대려철도, 닝보 - 태주 - 온주 도시간철도, 온주 - 복주 도시간철도가 각각 개통되었다.[1]
2011년 2월, 류즈쥔 전 철도부장이 직권 남용 등의 이유로 해임되고 당적을 박탈당했다.[2] 같은 해 7월에는 저장성 원저우시에서 열차 탈선 사고(2011년 원저우시 열차 충돌 탈선 사고)가 발생하는 등 불상사가 잇따랐다.[2] 이러한 배경에는 고속철도 건설 붐에 따른 재정 지출로 거대한 이권 네트워크가 형성되었고, 장쩌민 전 공산당 총서기에 가까운 당 관료들이 철도부를 장악한 상황이 있었다.[2]
결국 2013년 3월 5일부터 개최된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철도부 해체가 결정되었다.[2] 3월 14일 중국 철도부는 폐지되고 중국철도총공사가 출범했으며, 교통운수부 철도국으로 명명되었다.[1] 철도부의 업무는 교통운수부 (안전 및 규제), 국가철로국 (감독) 및 중국철로총공사 (건설 및 관리)로 이관되었다.[1] 이는 철도 산업에 대한 독립적인 감독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대한 대응이었다.[1]
2. 3. 철도부 해체와 이후 (2013년 ~ 현재)
2013년 3월 14일, 중국 철도부는 폐지되고 중국철도총공사가 출범했으며, 교통운수부 산하에 철도국이 설치되었다.[1] 이는 철도 산업에 대한 독립적인 감독 요구에 대한 대응이었다. 마지막 철도부장은 성광조였다.[2]2011년 2월, 류즈쥔 전 철도부장이 직권 남용 혐의로 해임되고 당적을 박탈당했다. 같은 해 7월에는 저장성 원저우시에서 열차 탈선 사고 (2011년 원저우시 열차 충돌 탈선 사고)가 발생하는 등 문제가 잇따랐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13년 3월 5일부터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철도부 해체가 결정되었다. 철도부의 행정 부문은 교통운수부 산하 "국가철로국"으로 흡수되었고, 철도 운행을 담당하는 영리 부문은 국유 기업 '''중국철로총공사'''로 재편되어 국유 자산 감독 관리 위원회의 관리를 받게 되었다.
2019년 6월 18일, 중국철로총공사는 '''중국국가철로집단유한공사'''로 전환되었다.
3. 조직
중국철도국은 18개 철도국과 1개의 철도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철도국은 해당 지역의 철도 운영을 담당한다.[3][4]
3. 1. 철도국 및 철도 그룹 (2013년 이전)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는 18개 철도국과 1개의 철도그룹을 산하에 두고 있었다.[3][4] 2008년 기준으로 약 200만 명이 철도부에서 근무했다.
철도국 또는 기관 | 관할 지역 |
---|---|
베이징 철도국 | 베이징, 허베이, 톈진, 산시 (일부) |
청두 철도국 | 쓰촨, 충칭 |
광저우 철도 집단 유한공사 | 광둥, 후난 |
하얼빈 철도국 | 헤이룽장, 내몽골 (일부) |
후허하오터 철도국 | 내몽골 (일부) |
지난 철도국 | 산둥, 랴오닝 (일부) |
쿤밍 철도국 | 윈난, 쓰촨, 구이저우 |
란저우 철도국 | 간쑤, 닝샤 |
난창 철도국 | 장시, 푸젠 |
난닝 철도국 | 광시, 광둥 (일부) |
칭하이-티베트 철도 집단 유한공사 | 칭하이, 티베트 |
상하이 철도국 | 상하이, 장쑤, 안후이, 저장 |
선양 철도국 | 랴오닝, 지린, 헤이룽장 (일부), 내몽골 (일부) |
타이위안 철도국 | 산시 |
우루무치 철도국 | 신장 |
우한 철도국 | 후베이 |
시안 철도국 | 산시, 간쑤, 닝샤, 후베이 |
정저우 철도국 | 후베이 (일부), 산시, 산둥 |
각 철도국 및 철도 그룹의 약칭은 다음과 같다.
- 징쥐(京局) - 베이징 철도국
- 청쥐(成局) - 청두 철도국
- 광톄(広鉄) - 광저우 철도 집단
- 하쥐(哈局) - 하얼빈 철도국
- 후쥐(呼局) - 후허하오터 철도국
- 지난쥐(済局) - 지난 철도국
- 쿤쥐(昆局) - 쿤밍 철도국
- 란쥐(蘭局) - 란저우 철도국
- 난쥐(南局) - 난창 철도국
- 닝쥐(寧局) - 난닝 철도국
- 칭톄(青鉄) - 칭하이-티베트 철도 공사
- 상쥐(上局) - 상하이 철도국
- 선쥐(瀋局) - 선양 철도국
- 타이쥐(太局) - 타이위안 철도국
- 우쥐(烏局) - 우루무치 철도국
- 우쥐(武局) - 우한 철도국
- 시쥐(西局) - 시안 철도국
- 정쥐(鄭局) - 정저우 철도국
3. 2. 직능사 (2013년 이전)
일본의 청에 해당하는 12개의 직능사가 설치되어 있었다.직능사 |
---|
변공청 |
정책법규사 |
발전계획사 |
재무사 |
과학기술교육사 |
인사사 |
노동·의료·위생사 |
건설관리사 |
국제합작사 |
안전감찰사 |
운수국 |
공안국 |
4. 재정 및 채권 발행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는 채권 시장에서 기업으로서 활동하며, 2007년에 6000억위안 규모의 채권을 발행했다.
2009년,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는 국가의 대규모 철도망 확장을 위해 최소 1000억위안 (146억달러) 상당의 건설 채권을 판매할 계획이었다.
5. 역대 철도부장
번호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1 | 텅다이위안 | 1949년 10월 | 1965년 1월 |
2 | 뤼정차오 | 1965년 1월 | 1966년 |
직책 폐지 | |||
3 | 완리 | 1975년 1월 | 1976년 12월 |
4 | 돤쥔이 | 1976년 12월 | 1978년 3월 |
5 | 궈웨이청 | 1978년 3월 | 1981년 |
6 | 류젠장 | 1981년 | 1982년 4월 |
7 | 천푸루 | 1982년 4월 | 1985년 |
8 | 딩구안근 | 1985년 | 1988년 4월 |
9 | 리선마오 | 1988년 4월 | 1992년 |
10 | 한주빈 | 1992년 | 1998년 3월 |
11 | 푸즈환 | 1998년 3월 | 2003년 3월 |
12 | 류즈쥔 | 2003년 3월 | 2011년 2월 |
13 | 성광주 | 2011년 2월 | 2013년 3월 16일 |
참조
[1]
뉴스
China scraps railways ministry in streamlining drive
https://www.bbc.co.u[...]
2013-03-10
[2]
뉴스
China railways minister dismissed -Xinhua
http://www.latimes.c[...]
2011-02-26
[3]
웹사이트
Blowing the whistle on 'Big Brother'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2008-05-06
[4]
뉴스
Blowing the whistle on 'Big Brother'
http://atimes.com/at[...]
2008-06-05
[5]
뉴스
中国鉄路総公司が正式に発足、前鉄道部長が総経理に就任
http://www.excite.co[...]
2013-09-21
[6]
웹사이트
中国国家铁路集团有限公司
http://www.china-rai[...]
2019-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