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기 압축 냉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증기 압축 냉동은 냉매의 증발과 압축을 반복하여 열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냉동 방식이다. 1805년 올리버 에반스가 이론을 제시했고, 1834년 제이콥 퍼킨스가 최초의 작동 시스템을 개발했다. 초기에는 에테르, 알코올, 암모니아 등이 냉매로 사용되었으며, 제임스 해리슨이 실용적인 시스템을 개발하여 상업화에 성공했다. 현재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증발기로 구성되며, 다양한 냉매와 압축기 종류가 사용된다. 가정용 냉장고, 상업용 냉장, 산업용 냉장, 운송 냉장, 전자 냉각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에너지 효율과 환경 문제, 소음, 안전성 등이 고려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역학 사이클 - 브레이턴 사이클
브레이턴 사이클은 압축기, 연소기, 터빈으로 구성된 열기관 사이클로 가스터빈 및 제트 엔진의 기본 작동 원리이며, 등엔트로피 압축, 등압 가열, 등엔트로피 팽창, 등압 냉각의 네 가지 과정으로 이루어져 압축비 증가를 통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 열역학 사이클 - 디젤 사이클
디젤 사이클은 압축 착화 기관의 실제 사이클을 이상적인 가역적 폐쇄 사이클로 단순화한 것으로, 압축, 연소, 팽창, 배기의 네 단계를 거쳐 열을 일로 변환하며, 압축비와 단열비에 따라 이론적인 최대 열효율이 결정되는 열기관이다. - 공정 - 소결
소결은 분말 재료를 녹는점 이하의 고온에서 가열하여 입자들을 결합시켜 고체 덩어리로 만드는 공정으로, 세라믹스 제조 및 분말 야금에 활용되며 재료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 공정 - 조립 라인
조립 라인은 작업자와 설비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부품을 운반하고 동작을 최소화함으로써 대량 생산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이지만, 병목 현상, 노동 문제 등 개선 과제도 안고 있다. - 냉각 기술 - 흡수 냉동기
흡수 냉동기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냉각 효과를 내는 장치로, 냉매와 흡수제를 사용하며 전력 소비가 적고 폐열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환경 규제 강화와 에너지 효율에 대한 관심 증가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 냉각 기술 - 인터쿨러
인터쿨러는 터보차저 엔진에서 압축된 흡입 공기를 냉각시켜 엔진 출력을 향상시키고 이상 연소를 방지하는 장치로, 냉각 방식에 따라 공랭식과 수랭식으로 나뉜다.
증기 압축 냉동 | |
---|---|
개요 | |
명칭 | 증기 압축 냉동 |
영어 명칭 | Vapor-compression refrigeration |
일본어 명칭 | 蒸気圧縮冷凍機 (Jōki asshuku reitōki) |
작동 방식 | 냉매의 상변화를 이용하여 열을 이동시키는 냉동 방식 |
주요 구성 요소 |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또는 모세관 튜브) 증발기 |
작동 원리 | |
냉매 순환 |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4단계 순환 |
압축 과정 | 압축기가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만듦 |
응축 과정 |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응축기에서 열을 방출하며 액체 상태로 상변화 |
팽창 과정 | 액체 냉매가 팽창 밸브를 통과하며 압력이 낮아지고 온도가 급격히 하강 |
증발 과정 |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가 증발기에서 열을 흡수하며 기체 상태로 상변화. 이 과정에서 냉각 효과 발생 |
주요 구성 요소 상세 | |
압축기 |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로 만드는 장치. 왕복동식, 회전식, 스크롤식 등 다양한 종류가 있음 |
응축기 |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액체 냉매로 응축시키는 장치. 공랭식, 수랭식 등이 있음 |
팽창 밸브 | 고압의 액체 냉매의 압력을 낮추어 증발기에서 쉽게 증발하도록 돕는 장치. 자동 팽창 밸브, 수동 팽창 밸브, 모세관 등이 있음 |
증발기 | 액체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각 효과를 얻는 장치. 직접 팽창식, 액체 순환식 등이 있음 |
냉매 | |
종류 | 프레온 (CFC, HCFC)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프로페인 아이소뷰테인 등 |
친환경 냉매 |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낮은 냉매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임.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프로페인, 아이소뷰테인 등 |
장점 및 단점 | |
장점 | 냉각 효율이 높음 비교적 간단한 구조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 |
단점 | 냉매 누출 시 환경 오염 가능성 작동 소음 발생 가능성 초기 투자 비용이 비교적 높음 |
활용 분야 | |
가정용 | 냉장고 에어컨 |
산업용 | 냉동 창고 산업용 냉각 장치 화학 공정 냉각 |
상업용 | 쇼케이스 냉장고 제빙기 건물 냉방 시스템 |
기타 | |
관련 기술 | 열역학 유체역학 열전달 |
2. 역사
증기 압축 냉동 기술은 19세기 초부터 20세기 초까지 여러 발명가와 과학자들에 의해 점진적으로 발전해왔다.
연도 | 내용 |
---|---|
1805년 | 올리버 에반스가 폐쇄형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 고안 (제작 X) |
1823년 | 마이클 패러데이가 암모니아 냉매 증기 압축 냉동기 원리 발표 |
1834년 | 제이콥 퍼킨스가 최초 작동 증기 압축 냉동 시스템 제작 (상업적 실패) |
1842년 | 존 고리가 유사 시도 (상업적 실패) |
1850년 | 알렉산더 트와이닝이 에테르 사용 증기 압축 시스템 영국 특허 |
1856년 | 제임스 해리슨이 실용적 증기 압축 냉동 시스템 제작, 특허 |
1859년 | 페르디낭 카레가 최초 흡수 냉동 시스템 개발, 특허 |
1876년 | 카를 폰 린데가 가스 액화 개선 방법 특허 |
- 카를 폰 린데는 1876년에 가스를 액화하는 개선된 방법을 특허를 내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염화메틸등을 냉매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2. 1. 초기 역사
1805년, 미국의 발명가 올리버 에반스는 진공 상태에서 에테르를 사용하여 얼음을 생산하는 폐쇄형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을 설명했다. 가열된 냉매 증기를 재활용하여 환경에서 열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압축기와 응축기를 통과한 후 액체 상태로 되돌아가 냉동 과정을 반복했다. 그러나 에반스는 그러한 냉동 장치를 제작하지 않았다.[13]1823년 마이클 패러데이는 암모니아를 냉매로 사용한 증기 압축 냉동기의 원리를 발표했다.
1834년, 영국으로 이주한 미국인 제이콥 퍼킨스는 세계 최초의 작동하는 증기 압축 냉동 시스템을 제작했다.[14] 그는 특허에서 "나는 냉각 또는 유체의 냉동을 위해 휘발성 유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그러한 휘발성 유체를 지속적으로 응축하고 낭비 없이 다시 작동시킬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의 시제품 시스템은 작동했지만 상업적으로 성공하지는 못했다.[15]
1842년 미국의 의사 존 고리는 작동하는 시제품을 제작했지만 상업적으로 실패했다.[16] 1850년, 미국의 엔지니어 알렉산더 트와이닝은 에테르를 사용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에 대한 영국 특허를 획득했다.
최초의 실용적인 증기 압축 냉동 시스템은 영국 출신의 저널리스트이자 호주로 이민 간 제임스 해리슨이 제작했다.[17] 그의 1856년 특허는 에테르, 알코올 또는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에 대한 것이었다. 그는 1851년 빅토리아주 질롱의 로키 포인트의 바론 강둑에 기계식 제빙기를 제작했고, 1854년에는 최초의 상업용 제빙기가 뒤따랐다. 해리슨은 또한 양조장과 육류 포장 공장에 상업용 증기 압축 냉동을 도입했으며, 1861년까지 그의 시스템 12개가 호주와 영국에서 운영되었다.
1859년 프랑스의 페르디낭 카레는 물에 용해된 기체 암모니아(일명 "아쿠아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최초의 흡수 냉동 시스템을 개발하고 1860년에 특허를 받았다. 1876년, 독일 뮌헨 기술 대학교의 공학 교수인 카를 폰 린데는 가스를 액화하는 개선된 방법을 특허냈다. 그의 새로운 공정으로 인해 암모니아, 이산화황, 염화메틸과 같은 가스를 냉매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1920년대 후반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2. 2. 폰 린데의 업적
독일 뮌헨 기술 대학교의 공학 교수인 카를 폰 린데는 1876년에 가스를 액화하는 개선된 방법을 특허냈다.[17] 그의 새로운 공정으로 암모니아, 이산화황(SO2) 및 염화메틸(CH3Cl)과 같은 가스를 냉매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1920년대 후반까지 널리 사용되었다.3. 작동 원리
증기 압축 방식은 순환하는 액체 냉매를 사용하여 냉각할 공간에서 열을 흡수하고 제거한 다음 다른 곳으로 열을 배출하는 방식이다.
순환하는 냉매는 포화 증기 상태로 압축기에 들어가 더 높은 압력으로 압축되며, 이로 인해 온도도 높아진다. 뜨겁고 압축된 증기는 과열 증기 상태에 있으며, 코일이나 튜브를 가로질러 흐르는 냉각수나 냉각 공기로 응축될 수 있는 온도와 압력에 놓인다. 과열 증기는 응축기(열 전달)를 통과하며, 이곳에서 순환하는 냉매로부터 외부 매체로 열이 전달되어 기체 냉매가 냉각되고 액체로 응축된다. 배출된 열은 응축기의 유형에 따라 물 또는 공기가 제거한다.
포화 액체 상태의 응축된 액체 냉매는 열팽창 밸브를 통과하며 갑작스러운 압력 감소를 겪는다. 이 압력 감소로 인해 액체 냉매 일부가 단열적으로 플래시 증발한다. 단열 플래시 증발의 자동 냉각 효과로 액체 및 증기 냉매 혼합물의 온도는 냉각될 공간의 온도보다 낮아진다.
차가운 냉매 액체 및 증기 혼합물은 증발기의 코일이나 튜브를 통과한다. 갇힌 공간의 공기는 열 자연 대류 또는 팬에 의해 코일이나 튜브를 가로질러 순환한다. 공기가 차가운 액체 냉매보다 따뜻하기 때문에 열이 공기에서 냉매로 전달되어 공기를 냉각시키고 냉매를 데워 증발을 일으켜 기체 상태로 되돌린다. 액체가 냉매 흐름에 남아 있는 동안에는 증발기 내 압력에 따라 달라지는 냉매의 비점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시스템은 냉매가 압축기로 액체 상태로 반환되지 않도록 모든 냉매를 증발시키도록 설계되었다.
냉동 사이클을 완료하기 위해 증발기에서 나온 냉매 증기는 다시 포화 증기 상태가 되어 압축기로 되돌아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발기는 주변 습도에서 얼음이나 물을 모을 수 있으며, 자동 제상을 통해 얼음을 녹인다. 녹은 얼음이나 증발기에서 나온 물은 물받이로 떨어지고, 물은 중력이나 응축수 펌프로 제거된다.
3. 1. 구성 요소
압축기는 냉매를 등엔트로피 과정으로 압축하여 온도와 압력을 높인다.[2] 응축기(열 전달)는 고온 고압의 냉매 증기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데, 이 과정은 등압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냉매에서 외부(물 또는 공기)로 열이 방출된다. 열팽창 밸브(스로틀 밸브)는 액화된 냉매의 압력을 낮추어 증발하기 쉬운 상태로 만든다. 이 과정은 등엔탈피 과정이며, 냉매 일부가 단열적으로 플래시 증발하면서 온도가 낮아진다. 증발기는 저온 저압의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한다. 이 과정은 등온 과정으로 진행되며, 냉각이 필요한 공간의 공기가 증발기 코일이나 튜브를 지나면서 냉각된다.3. 2. 열역학적 분석

증기 압축 사이클의 열역학은 위 그림 2와 같이 온도-엔트로피 선도를 통해 분석할 수 있다.
- 1-2 지점: 순환 냉매는 저온, 저압의 포화 증기 상태(1 지점)로 압축기에 유입된다. 이후 등엔트로피적으로 압축되어(엔트로피가 일정한 상태) 고온, 고압의 증기(2 지점)로 압축기에서 배출된다.
- 2-3 지점: 증기는 응축기의 일부를 통과하며 냉각되어 열을 제거한다.
- 3-4 지점: 증기는 응축기의 나머지 부분을 통과하며 고온, 고압의 과냉각 액체로 응축된다. 과냉각은 액체의 최대 포화 온도 이하로 현열이 제거된 상태를 의미한다. 응축 과정은 등압 과정(일정한 압력)에서 일어난다.
- 4-5 지점: 과냉각 액체 냉매는 팽창 밸브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급격히 감소한다. 이 과정에서 액체의 일부가 단열 플래시 증발 및 자동 냉각을 일으킨다(일반적으로 액체의 절반 미만이 증발). 단열 플래시 증발 과정은 등엔탈피적(일정한 엔탈피)으로 진행된다.
- 5-1 지점: 차갑고 부분적으로 기화된 냉매는 증발기 내의 코일 또는 튜브를 통과한다. 이때 팬이 증발기 코일 또는 튜브를 통해 따뜻한 공기(냉장되는 공간에서)를 순환시키면서 냉매가 완전히 기화된다. 증발 과정은 등온 과정(일정한 온도)에서 발생한다. 증발이 완료된 후 증기의 온도가 상승하기 시작하는데, 증기의 포화점(끓는점) 이상으로 증기에 추가된 현열을 과열이라고 한다.
결과적으로 과열된 증기는 다시 1 지점, 즉 압축기 입구로 돌아가 열역학적 사이클을 완료한다.
위 설명은 이상적인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을 기준으로 하며, 실제로는 시스템의 마찰 압력 강하, 냉매 증기 압축 중 약간의 내부 비가역성, 비이상 기체 거동 등이 발생할 수 있다.
4. 냉매
작동 유체의 선택은 냉동 사이클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특정 작업에 가장 알맞은 기계를 설계하거나 선택할 때 매우 중요하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냉매 중 하나는 프레온이다. 프레온은 듀폰 등 여러 회사에서 제조한 할로알칸 냉매의 상품명이다. 이러한 냉매는 우수한 안정성과 안전성 때문에 널리 사용되었다. 상온 및 대기압에서 불에 타지 않았고, 이산화황과 같이 이전에 사용되던 유체만큼 독성이 없었다.
하지만 염소와 불소를 함유한 냉매는 누출되면 상층 대기까지 도달한다. 성층권에서 CFC 및 HCFC와 같은 물질은 자외선 복사로 인해 분해되어 염소 자유 라디칼을 방출한다. 이러한 염소 자유 라디칼은 연쇄 반응을 통해 오존 분해의 촉매 역할을 한다. 하나의 CFC 분자는 수천 개의 오존 분자를 분해할 수 있다. 이것은 태양의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지구 표면을 보호하는 오존층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키며, 피부암 발생률 증가로 이어진다.
최근에는 초임계 유체인 이산화 탄소(R-744)와 같이 더 친환경적인 냉매가 연구되고 있다.[3] 이러한 냉매는 기존의 CFC 및 HFC 기반 화합물과 유사한 효율을 가지면서도 지구 온난화 지수가 훨씬 낮다. 산업계와 정부는 지구 온난화 지수가 낮은 냉매를 사용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산업 환경에서는 필요한 온도와 압력에 따라 암모니아, 에틸렌, 프로판, 아이소부탄 및 기타 탄화수소와 같은 가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 중 다수는 가연성, 폭발성 또는 독성이 있어 사용에 제한이 있다.
4. 1. 프레온 계열 냉매
프레온은 듀폰을 비롯한 여러 회사에서 제조한 할로알칸 냉매의 상품명이다. 이러한 냉매는 안정성과 안전성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었다. 상온 및 대기압에서 불에 타지 않았고, 이산화황과 같이 이전에 사용되던 유체만큼 독성이 없었다.하지만 염소와 불소를 함유한 냉매는 누출될 경우 상부 대기까지 도달한다. 성층권에서 CFC 및 HCFC와 같은 물질은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어 염소 자유 라디칼을 방출한다. 이 염소 자유 라디칼은 촉매 역할을 하여 연쇄 반응을 통해 오존 분해를 일으킨다. 하나의 CFC 분자는 수천 개의 오존 분자를 분해할 수 있다. 이는 오존층을 파괴하여 피부암 발생률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사용량이 감소하고 있는 CFC 냉매에는 R-11 및 R-12가 있다.[3]
CFC에 비해 오존층 파괴 효과가 감소된 새로운 냉매가 CFC를 대체하고 있다. 여기에는 HCFC(R-22 등) 및 HFC(R-134a 등)가 있다. HCFC는 몬트리올 의정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폐지되고 있으며, 염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HFC로 대체되고 있다. 그러나 CFC, HCFC, HFC는 모두 매우 큰 지구 온난화 지수(GWP)를 가지고 있다.[3]
4. 2. 대체 냉매
할로알칸 냉매의 일종인 프레온은 듀폰 등에서 제조되어 안정성과 안전성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CFC 및 HCFC 계열 냉매는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었다.[3] CFC 분자 하나는 수천 개의 오존 분자를 분해하여 오존층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고 피부암 발생률을 높인다.이에 따라 CFC보다 오존층 파괴 영향이 적은 HCFC(R-22 등) 및 HFC(R-134a 등) 냉매가 대체재로 사용되었지만, 높은 지구 온난화 지수(GWP)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최근에는 초임계 유체인 이산화 탄소(R-744) 등 친환경 냉매가 연구 중이며, 기존 냉매와 비슷한 효율에 GWP는 현저히 낮다.[3] 암모니아, 에틸렌, 프로판, 아이소부탄 등 탄화수소계 냉매도 산업 현장에서 쓰이지만, 가연성, 폭발성, 독성 문제로 사용에 제약이 있다.
HFO은 낮은 GWP 덕분에 주목받는 냉매이며, 기존 냉매 혼합물을 통해 효율성과 낮은 GWP를 함께 달성하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친환경 정책 기조에 따라 냉매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이며, 친환경 냉매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5. 압축기 종류
냉동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압축기는 왕복동 압축기, 스크롤 압축기이다. 대형 냉각기 또는 산업용 사이클에는 로터리 스크류 압축기 또는 원심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각 응용 분야는 크기, 소음, 효율성 및 압력 문제로 인해 특정 압축기를 선호한다.
압축기는 압축되는 냉매와 관련하여 압축기 및/또는 모터의 위치에 따라 개방형, 밀폐형, 반밀폐형으로 구분된다. 모터/압축기 유형에 따른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밀폐형 모터, 밀폐형 압축기
- 밀폐형 모터, 반밀폐형 압축기
- 개방형 모터(벨트 구동 또는 밀착 결합), 밀폐형 압축기
- 개방형 모터(벨트 구동 또는 밀착 결합), 반밀폐형 압축기
밀폐형 및 대부분의 반밀폐형 압축기(접근 가능한 밀폐형 압축기)는 압축기와 모터가 통합되어 냉매 시스템 내에서 작동한다. 모터는 밀폐되어 냉매에 의해 작동, 냉각되도록 설계되었다. 밀폐형 모터 압축기는 모터 드라이브를 현장에서 유지보수할 수 없고, 모터 고장 시 전체 압축기를 제거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손된 권선은 냉동 시스템 전체를 오염시켜 시스템을 완전히 펌프다운하고 냉매를 교체해야 할 수 있다.[4]
개방형 압축기는 냉동 시스템 외부에 모터 드라이브가 있으며, 입력 샤프트와 글랜드 씰을 통해 압축기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개방형 압축기 모터는 공냉식이며, 냉동 시스템 탈기 없이 비교적 쉽게 교환, 수리할 수 있다. 하지만 샤프트 씰 고장으로 냉매가 손실될 수 있다.
개방형 모터 압축기는 (주변 공기를 사용하여) 냉각이 쉬워 설계가 간단하고, 특히 고압 응용 분야에서 압축 가스 온도가 매우 높을 수 있는 경우 신뢰성이 높다. 그러나 액체 분사를 통한 추가 냉각으로 대부분의 밀폐형 모터 압축기에서도 이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5. 1. 왕복동 압축기
왕복 압축기는 피스톤 방식의 용적형 압축기이다.
5. 2. 스크롤 압축기

스크롤 압축기는 용적형 압축기의 일종이다. 냉매는 한 개의 나선이 다른 고정된 나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압축된다. 이 과정에서 냉매는 점점 더 작은 공간으로 밀려들어가 압력이 높아진다. 냉매가 배출될 때쯤에는 완전히 가압된다.
5. 3. 로터리 스크류 압축기
스크류 압축기]]로터리 스크류 압축기는 용적형 압축기의 일종이다. 맞물린 두 개의 스크류 로터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냉매 증기를 가두어 로터 길이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부피를 줄여 토출 지점으로 압축한다.
소형 장치는 역 누설 때문에 효율이 떨어져 실용적이지 않지만, 대형 장치는 효율성과 유량 용량이 매우 뛰어나다.
5. 4. 원심 압축기
원심 압축기는 회전하는 임펠러를 사용하여 냉매에 속도를 부여하고, 이를 압력 에너지로 변환하여 냉매의 압력을 높이는 동적 압축기이다.[4][5][6]
원심 압축기를 사용하는 냉동기는 "서지선"과 "초크선"을 나타내는 '원심 압축기 맵'을 가지고 있다. 동일한 용량에서 더 넓은 범위의 작동 조건을 고려할 때, 직경이 크고 속도가 낮은 압축기를 가진 냉동기는 더 넓은 '원심 압축기 맵'을 가지며, 직경이 작고 속도가 높은 압축기를 사용하는 냉동기보다 서지 조건을 덜 경험한다. 직경이 작고 속도가 높은 압축기는 더 평평한 곡선을 갖는다.
냉매 유량이 감소함에 따라 일부 압축기는 서지 조건을 피하기 위해 적절한 속도를 유지하도록 임펠러와 볼류트 사이의 간격을 변경한다.[7]
5. 5. 기타 압축기
6. 압축기 윤활
압축기의 움직이는 부품을 윤활하기 위해 설치 또는 시운전 시 냉매에 오일을 첨가한다. 오일의 종류는 광물성 또는 합성 오일일 수 있으며, 압축기 유형에 적합하고 냉매 유형 및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와 반응하지 않도록 선택된다.[1] 소형 냉동 시스템에서는 오일이 전체 회로를 순환하도록 허용되지만, 오일이 중력에 의해 압축기로 다시 배수될 수 있도록 배관 및 부품을 설계해야 한다.[1] 특히 소매 냉동과 같은 대규모 분산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압축기 바로 뒤의 오일 분리 장치에서 오일을 포집하며, 오일 레벨 관리 시스템을 통해 압축기로 다시 전달된다.[1] 오일 분리 장치는 100% 효율적이지 않으므로, 시스템 배관은 오일이 중력에 의해 오일 분리 장치 또는 압축기로 다시 배수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1]
일부 최신 압축기 기술은 자기 베어링 또는 공기 베어링을 사용하며 윤활이 필요 없다.[1] 예를 들어 댄포스 터보코(Danfoss Turbocor) 원심 압축기 제품군이 있다.[1] 이러한 기술은 오일 윤활의 필요성을 없애고 관련 설계 요구 사항 및 부속 장치를 줄여 냉매 시스템 설계를 단순화한다. 또한 증발기 및 응축기의 열 전달 계수를 증가시키며, 냉매가 오일로 오염될 위험을 제거하고, 유지 보수 요구 사항을 줄일 수 있다.[1]
7. 제어
단순 상업용 냉동 시스템에서 압축기는 일반적으로 단순한 압력 스위치로 제어되며, 팽창은 모세관 튜브 또는 자동 팽창 밸브로 수행된다.[1] 더 복잡한 시스템(다중 압축기 설치를 포함한)에서는 전자 제어가 일반적이며, 압축기가 작동 및 중지되는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설정값과 전자 팽창 밸브를 사용하여 온도를 제어한다.[1]
작동 제어 외에도 압축기 및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가 안전 매개변수 밖에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고압 및 저압 스위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
더 발전된 전자 제어 시스템에서는 부동 헤드 압력 및 사전 예방적 흡입 압력 제어 루틴을 사용하여 압축기 작동을 다양한 냉각 요구에 정확하게 맞추고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1]
8. 종류
냉매 활용 방식에 따라 증기 압축 냉동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직접 팽창식: 냉매를 이용 장소에서 직접 팽창시켜 열을 빼앗는다.[1]
- 냉수기(칠러): 냉수를 제조하여 열 이용 장소로 운반해 사용한다.[1]
- 브라인 칠러: 부동액을 사용하여 0℃ 이하의 냉열을 이송하여 사용한다.[1]
8. 1. 직접 팽창식
냉매를 이용하는 장소에서 직접 팽창시켜 열을 빼앗는 방식이다.[1]8. 2. 냉수기 (칠러)
냉수를 제조하여 이를 열 이용 장소로 운반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1]8. 3. 브라인 칠러
부동액을 사용하여 0℃ 이하의 냉열을 이송하는 방식이다.9. 응용 분야
증기 압축 냉동 기술은 냉장고, 에어컨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된다.
9. 1. 주요 응용 분야
증기 압축 냉동은 다음과 같은 주요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10]냉동 응용 분야 | 간략한 설명 | 사용되는 일반적인 냉매 |
---|---|---|
가정용 냉장 | 주거 단위에서 음식을 보관하는 데 사용되는 기기 | R-600a, R-134a, R-22 |
상업용 냉장 | 소매점에서 냉동 및 신선 식품을 보관하고 전시하는 데 사용 | R-134a, R-404A, R-507 |
식품 가공 및 냉장 보관 | 식품의 생산지부터 도매 유통 지점까지 식품을 보존, 가공 및 보관하는 장비 | R-123, R-134a, R-407C, R-410A, R-507 |
산업용 냉장 | 화학 처리, 냉장 보관, 식품 가공, 건물, 지역 난방 및 냉방에 사용되는 대형 장비 (일반적으로 25kW~30MW) | R-123, R-134a, R-404A, R-407C, R-507, R-717 |
운송 냉장 | 도로, 철도, 항공 및 해상 운송 중 상품 (주로 식품)을 보존하고 보관하는 장비 | R-134a, R-407C, R-410A |
전자 냉각 | 대형 컴퓨터 및 서버에서 CMOS 회로 및 기타 구성 요소의 저온 냉각 | R-134a, R-404A, R-507 |
의료용 냉장 | R-134a, R-404A, R-507 | |
극저온 냉장 | 에틸렌, 프로판, 질소, 헬륨 |
10. 경제성 분석
증기 압축 냉동 방식은 기술적으로 성숙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다양한 에너지원으로 구동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환경 문제를 일으키는 냉매 사용과 관련된 단점도 존재한다.
'''장점'''
- 매우 성숙된 기술이다.
- 비교적 저렴하다.
- 기계적 에너지(물, 자동차 또는 트럭 모터) 또는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직접 구동할 수 있다.
- 카르노 이론적 한계의 최대 60%까지 효율적일 수 있다.
'''단점'''
- 많은 시스템에서 오존층 파괴를 유발하는 HCFC 냉매를 사용한다. 몬트리올 의정서에 따라 HCFC는 단계적으로 폐지되고 있으며, HFC로 대체되고 있지만, HFC는 지구 온난화 지수가 매우 높다.
- 탄화수소(부탄 등)나 CO2와 같은 대체 냉매가 사용되기도 한다. 코카콜라는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CO2 냉동 방식을 사용했다.[11]
- 암모니아(NH3)는 성능이 우수하고 오염 문제가 거의 없지만, 유독성이 있고 구리 튜브와 호환되지 않는다.[12]
10. 1. 장점
- 매우 성숙된 기술이다.
- 비교적 저렴하다.
- 기계적 에너지(물, 자동차 또는 트럭 모터) 또는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직접 구동할 수 있다.
- 카르노 이론적 한계의 최대 60%까지 효율적이다(ASHRAE 테스트 조건: 증발 온도 -23.3°C, 응축 온도 54.4°C, 주변 온도 32°C). 이는 Danfoss, 마쓰시타, https://climate.emerson.com/en-us/brands/copeland Copeland, Embraco, http://www.bristolcompressors.com/ Bristol, 테컴세 와 같은 제조사에서 생산된 최고의 상용 압축기를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많은 냉동 시스템은 40%에서 55% 사이의 낮은 효율을 가진 압축기를 사용하는데, 이는 60% 효율의 압축기가 낮은 효율의 압축기보다 거의 두 배의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10. 2. 단점
많은 시스템에서 여전히 HCFC 냉매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지구 오존층 파괴에 기여한다. 몬트리올 의정서를 준수하는 국가에서는 HCFC의 단계적 폐지가 예정되어 있으며, 오존 친화적인 HFC로 대대적으로 대체되고 있다. 그러나 HFC 냉매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HCFC를 사용하는 시스템보다 효율이 약간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HFC는 매우 높은 지구 온난화 지수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HFC가 대기 중에 수년 동안 남아 있으며 이산화탄소보다 열을 더 효과적으로 가두기 때문이다.HCFC의 궁극적인 단계적 폐지가 이미 확실해짐에 따라, 대체 할로알케인 냉매가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한때 사용이 중단되었던 탄화수소(예: 부탄) 및 CO2와 같은 냉매가 더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코카콜라는 2006년 FIFA 월드컵 독일 대회에서 CO2를 이용한 냉동 방식을 사용했다.[11] 암모니아 (NH3)는 가장 오래된 냉매 중 하나로, 성능이 우수하며 오염 문제가 거의 없다. 그러나 암모니아는 두 가지 단점이 있는데, 유독성이 있으며 구리 튜브와 호환되지 않는다는 점이다.[12]
11. 특징 (일본어 위키 내용)
흡수식 냉동기와 비교했을 때 증기 압축 냉동 방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1]
'''장점'''
증기 압축 냉동기는 흡수식 냉동기에 비해 소형화, 경량화, 고효율화가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단점'''
증기 압축 냉동기는 흡수식 냉동기에 비해 소음이 크고 전력 소비가 많으며, 고압 가스 사용에 따른 안전 문제와 냉매 누출 및 환경 규제에 따른 제약이 있을 수 있다.
11. 1. 장점
- 제조가 가능한 크기가 더 작다.
- 용량당 질량, 체적이 작고 가격이 저렴하다.
- 성적계수가 좋고, 응축기에서의 방열량이 적다.
- 냉동 사이클의 최고 온도가 낮기 때문에 점검 주기를 길게 해도 지장이 적다.[1]
11. 2. 단점
- 소음이 약간 크다.[1]
- 전동기를 이용할 경우, 최대 수요 전력 증가의 요인이 된다.[1]
- 냉동 사이클에서 고압 가스가 만들어지므로, 운전 및 유지 관리에 보안상 주의가 필요하다. 자격증 소지자(냉동기계책임자)를 선임해야 할 경우도 있다.[1]
- 기계 구조상, 배선 연결 등 완전 밀폐가 불가능하므로, 고압의 냉매가 미량씩 누설된다. 계통 내 압력이 규정치를 밑돌면 팽창 밸브·증발기보다 앞에서 흡열 반응을 일으켜 기능을 상실한다.[1]
- 냉매로 프레온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환경 규제로 인해 재충전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어 실질적으로 기기의 수명이 된다.[1]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rmodynamics
https://universities[...]
Universities Press
[2]
문서
Saturated vapors and saturated liquids are vapors and liquids at their saturation temperature and saturation pressure. A superheated vapor is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saturation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its pressure.
[3]
웹사이트
r744.com – Everything R744
http://www.r744.com/[...]
The Natural Refrigerant R744 (CO)2
2006-2012
[4]
문서
Fundamentals of Centrifugal Chillers
https://tc0802.ashra[...]
Johnson Controls
[5]
문서
Chilled Water Plant Design Guide
https://www.taylor-e[...]
Taylor Engineering
[6]
웹사이트
Chiller Surge
https://theengineeri[...]
[7]
웹사이트
Centrifugal Chiller - Fundamentals
https://energy-model[...]
McQuay
[8]
웹사이트
The Different Types of Cooling Compressors
https://download.sch[...]
2024-01-13
[9]
웹사이트
Vapor-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s
https://www.engr.siu[...]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Carbondale
1998-11-30
[10]
논문
High-end server low-temperature cooling
https://ieeexplore.i[...]
[11]
간행물
2006 Environmental Performance
http://www.thecoca-c[...]
the Coca-Cola Company
[12]
웹사이트
Ammonia Refrigeration – Properties of Ammonia
https://www.osha.gov[...]
osha.gov
2011
[13]
서적
Encyclopedia of 20th-Century Technology, Volume 2
https://books.google[...]
Taylor& Francis
2005
[14]
서적
Modern Engineering Thermodynamic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1
[15]
서적
A History of Mechanical Engineering
The MIT Press
[16]
웹사이트
Patent Images
https://pdfpiw.uspto[...]
[17]
웹사이트
What's on
https://museumsvicto[...]
2023-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