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붕 (기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붕은 밑면이 n각형과 2n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옆면이 직사각형과 삼각형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다면체이다. 삼각지붕, 사각지붕, 오각지붕 등이 있으며 육각지붕은 평면 도형이 된다. 별 지붕은 별 다각형을 밑면으로 하는 지붕이며, 역지붕은 정2n각형 밑면과 삼각형, 정n각형 윗면으로 구성된다. 초지붕은 지붕의 개념을 4차원으로 확장한 도형으로, 정사면체 지붕, 정육면체 지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둥형 다면체 - 직육면체
    직육면체는 6개의 직사각형 면으로 이루어진 볼록 다면체로, 모든 이면각이 직각이고 마주보는 면이 합동인 특징을 가지며, 정사각형 직육면체와 정육면체 같은 특수한 경우가 있고 부피, 표면적, 공간 대각선은 가로, 세로, 높이로 계산하며, 공간 감각과 기하학적 개념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기둥형 다면체 - 오각지붕
    오각지붕은 5개의 정삼각형, 5개의 정사각형, 1개의 정오각형, 1개의 정십각형으로 이루어진 존슨의 다면체이며, 회전 대칭을 갖고, 다양한 다면체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 존슨의 다면체 - 삼각쌍뿔
    삼각쌍뿔은 6개의 정삼각형 면, 5개의 꼭짓점, 9개의 모서리를 가진 존슨 다면체이자 델타다면체로, 두 정사면체를 밑면끼리 결합한 형태이며, 분자 기하학, 색채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존슨의 다면체 - 오각지붕
    오각지붕은 5개의 정삼각형, 5개의 정사각형, 1개의 정오각형, 1개의 정십각형으로 이루어진 존슨의 다면체이며, 회전 대칭을 갖고, 다양한 다면체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 다면체 - 마름모구십면체
    마름모구십면체는 깎은 정이십면체에 각뿔을 붙여 만든 다면체이며, 넓은 마름모 60개와 좁은 마름모 30개로 구성되고 좁은 마름모는 황금비의 제곱과 관련된 대각선 비율을 가지며 최적 충전율은 약 0.7947이다.
  • 다면체 - 삼각쌍뿔
    삼각쌍뿔은 6개의 정삼각형 면, 5개의 꼭짓점, 9개의 모서리를 가진 존슨 다면체이자 델타다면체로, 두 정사면체를 밑면끼리 결합한 형태이며, 분자 기하학, 색채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지붕 (기하학)
개요
종류다면체
개의 삼각형, 개의 정사각형, 1개의 -각형}}, 1개의 -각형}}
꼭짓점
면 배치해당사항 없음
슐레플리 기호t{n} }}
위소프 기호해당사항 없음
콘웨이 다면체 표기법해당사항 없음
콕서터 다이어그램해당사항 없음
대칭군]], [1,n], (*nn),}} 차수
회전군, [1,n]+, (nn),}} 차수
겉넓이해당사항 없음
부피해당사항 없음
쌍대다면체반으로 자른 사다리꼴면체
성질볼록 다포체, 각기둥
꼭짓점 도형해당사항 없음
전개도해당사항 없음

2. 지붕 (Cupola)

지붕은 밑면이 n각형과 2n각형으로 구성되고, 옆면이 직사각형과 삼각형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다면체이다.

== 지붕의 종류 ==

밑면의 형태에 따라 삼각지붕, 사각지붕, 오각지붕 등으로 분류된다. 육각지붕은 평면 도형이 되며, 이보다 높은 차수의 지붕은 정다각형 면만으로는 만들 수 없다.

볼록한 지붕
n3456
이름{3} t{3}{4} t{4}{5} t{5}{6} t{6}
지붕
100px

삼각지붕
85px

사각지붕

오각지붕
75px

육각지붕
(평면)
관련된 고른 다면체
85px

육팔면체
85px

마름모육팔면체
85px

마름모십이이십면체

마름모삼육각형 타일링



마름모삼육각형 타일링에서 평면 "육각지붕"이다.


삼각지붕과 관련된 고른 다면체는 육팔면체(밑면끼리 비틀어 붙임)이다.

사각지붕과 관련된 고른 다면체는 마름모육팔면체(서로 맞붙이고 그 사이에 정팔각기둥(4.4.8)을 끼워 넣음)이다.

오각지붕과 관련된 고른 다면체는 마름모십이이십면체이다.

육각지붕 (평면)과 관련된 고른 타일링은 마름모삼육각형 타일링이다.

== 꼭짓점 좌표 ==

지붕의 꼭짓점 좌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V''2''j''−1: (''rb'' cos[2π(''j'' − 1) / ''n'' + α], ''rb'' sin[2π(''j'' − 1) / ''n'' + α], 0)
  • ''V''2''j'': (''rb'' cos(2π''j'' / ''n'' − α), ''rb'' sin(2π''j'' / ''n'' − α), 0)
  • ''V''2''n''+''j'': (''rt'' cos(π''j'' / ''n''), ''rt'' sin(π''j'' / ''n''), ''h'')


(단, ''j'' = 1, 2, ..., ''n'')

여기서 ''rb''는 밑면의 반지름, ''rt''는 윗면의 반지름, ''h''는 높이, α는 회전 각도이다. 밑면은 ''xy'' 평면에 놓이고 윗면은 ''xy'' 평면에 평행하다. ''z''축은 ''n''-fold 축이고 거울면은 ''z''축을 지나면서 밑면의 변을 이등분하며, 윗면의 변이나 각 또는 둘 다를 이등분한다.

V1V2V2n+2V2n+1 등은 직사각형이므로, rb, rt, 그리고 α의 값에는 제약이 따른다. V1V2의 길이는 rb{2[1 − cos(2π / n − 2α)]}1/2이고, V2n+1V2n+2의 길이는 rt{2[1 − cos(π / ''n'')]}1/2이다. 이 두 길이는 같으므로, 공통 모서리를 s로 표시하면, rb = s / {2[1 − cos(2π / n − 2α)]}1/2, rt = s / {2[1 − cos(π / ''n'')]}1/2로 표현할 수 있다. 이 값들을 위의 꼭짓점 좌표 공식에 대입하여 정리할 수 있다.

2. 1. 지붕의 종류

밑면의 형태에 따라 삼각지붕, 사각지붕, 오각지붕 등으로 분류된다. 육각지붕은 평면 도형이 되며, 이보다 높은 차수의 지붕은 정다각형 면만으로는 만들 수 없다.

볼록한 지붕
n3456
이름{3} t{3}{4} t{4}{5} t{5}{6} t{6}
지붕|100px]]
삼각지붕
|85px]]
사각지붕
75px
오각지붕
|75px]]
육각지붕
(평면)
관련된 고른 다면체육팔면체
마름모육팔면체
마름모
십이이십면체
마름모삼육각형
타일링



삼각지붕과 관련된 고른 다면체는 육팔면체(밑면끼리 비틀어 붙임)이다.

사각지붕과 관련된 고른 다면체는 마름모육팔면체(서로 맞붙이고 그 사이에 정팔각기둥(4.4.8)을 끼워 넣음)이다.

오각지붕과 관련된 고른 다면체는 마름모십이이십면체이다.

육각지붕 (평면)과 관련된 고른 타일링은 마름모삼육각형 타일링이다.

2. 2. 꼭짓점 좌표

지붕의 꼭짓점 좌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V''2''j''−1: (''rb'' cos[2π(''j'' − 1) / ''n'' + α], ''rb'' sin[2π(''j'' − 1) / ''n'' + α], 0)
  • ''V''2''j'': (''rb'' cos(2π''j'' / ''n'' − α), ''rb'' sin(2π''j'' / ''n'' − α), 0)
  • ''V''2''n''+''j'': (''rt'' cos(π''j'' / ''n''), ''rt'' sin(π''j'' / ''n''), ''h'')


(단, ''j'' = 1, 2, ..., ''n'')

여기서 ''rb''는 밑면의 반지름, ''rt''는 윗면의 반지름, ''h''는 높이, α는 회전 각도이다. 밑면은 ''xy'' 평면에 놓이고 윗면은 ''xy'' 평면에 평행하다. ''z''축은 ''n''-fold 축이고 거울면은 ''z''축을 지나면서 밑면의 변을 이등분하며, 윗면의 변이나 각 또는 둘 다를 이등분한다.

V1V2V2n+2V2n+1 등은 직사각형이므로, rb, rt, 그리고 α의 값에는 제약이 따른다. V1V2의 길이는 rb{2[1 − cos(2π / n − 2α)]}1/2이고, V2n+1V2n+2의 길이는 rt{2[1 − cos(π / ''n'')]}1/2이다. 이 두 길이는 같으므로, 공통 모서리를 s로 표시하면, rb = s / {2[1 − cos(2π / n − 2α)]}1/2, rt = s / {2[1 − cos(π / ''n'')]}1/2로 표현할 수 있다. 이 값들을 위의 꼭짓점 좌표 공식에 대입하여 정리할 수 있다.

3. 별 지붕 (Star Cupola)

별 지붕은 밑면이 별 다각형{n/d}으로 이루어진 지붕이다. 별 지붕은 6/5 < n/d < 6 (d는 홀수) 범위에서 존재하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삼각형과 사각형 면이 찌그러진다. n/d가 정수이면 각기둥이 되고, d가 짝수이면 지붕형 다면체(Cuploid)가 된다. 사반육면체는 {3/2}-지붕형 다면체로 볼 수 있다.[4][5]

별-지붕족
n / d4578
3
80px

{4/3}
80px

{5/3}
80px

{7/3}
80px

{8/3}
5
80px

{7/5}
80px

{8/5}



별-지붕형 다면체족
n / d357
2
80px

교차 삼각지붕형 다면체
80px

별 오각지붕형 다면체
80px

별 칠각지붕형 다면체
4
80px

별 교차 오각지붕현 다면체
80px

별 교차 칠각지붕형 다면체



위의 표에서, 별 지붕은 그들의 면을 구분하는 것을 돕기 위해 일관된 색 구성으로 주어졌다. 밑면 ''n''/''d''각형은 빨간색, 밑면 2''n''/''d''각형은 노란색, 사각형은 파란색, 그리고 삼각형은 초록색이다. 지붕형 다면체는 밑면 다른 밑면이 사라진 것처럼 ''n''/''d''각형을 빨간색, 사각형은 노란색, 그리고 삼각형은 파란색으로 칠했다.

3. 1. 별 지붕의 높이

}}-컵 또는 컵로이드의 높이 는 다음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1][2]

:h = \sqrt{1 - \frac{1}{4 \sin^{2} \left( \frac{\pi d}{n} \right)}}.

특히, 및 의 한계에서 이고, 는 에서 최대화된다(이각 컵: 삼각형 기둥에서 삼각형이 똑바로 서 있음).

4. 역지붕 (Anticupola)

''n''각 역지붕은 정2''n''각형 밑면과, 두 종류의 삼각형 3''n''개와, 정''n''각형 윗면으로 이루어져있다. ''n''=2일 때, 이각형 윗면은 변 하나로 줄어든다. 윗면의 꼭짓점은 ''n''각형의 꼭짓점과 정렬되어있다. 대칭은 C''n''v, 2''n''차이다.

역지붕은 일부는 정다각형으로 만들 수는 있지만 전부 정다각형 면으로는 만들수 없다. ''n''각형 윗면과 삼각형이 정다각형이라고 하면, 2''n''각형 밑면은 평면다각형이나 정다각형이 될 수 없다. 이런 경우에서, ''n''=6일 때는 밑면이 큰 육각형처럼 생겨서 일직선에 놓인 모서리를 가지는 대칭적인 12각형인 부피가 없는 다면체로 다듬은 정육각형 타일링의 정육각형과 둘러싸는 정삼각형을 생성한다.

역지붕 둘을 밑면끼리 붙여서 맞붙인 역지붕을 만들 수 있다.

볼록 역지붕족
n23456...
이름s{2} t{2}s{3} t{3}s{4} t{4}s{5} t{5}s{6} t{6}
그림
이각
삼각
사각
80px
육각
투명
70px
80px
80px
80px
80px
전개도
80px
80px
80px
80px
80px


5. 초지붕 (Hypercupola)

초지붕은 지붕의 개념을 확장한 4차원 도형이다. 초지붕의 밑면은 플라톤의 다면체와 그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6] 초지붕은 고르지 않은 4차원 볼록 다포체족에 속한다.[6]

초지붕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이름정사면체 지붕정육면체 지붕정팔면체 지붕정십이면체 지붕정육각형 타일링 지붕
슐레플리 기호{3,3} rr{3,3}{4,3} rr{4,3}{3,4} rr{3,4}{5,3} rr{5,3}{6,3} rr{6,3}
Segmentochora
지표[6]
K4.23K4.71K4.107K4.152colspan="2"|
외접반지름1sqrt((3+sqrt(2))/2)
= 1.485634
sqrt(2+sqrt(2))
= 1.847759
3+sqrt(5)
= 5.236068
colspan="2"|
그림
|150px]]
|150px]]
|150px]]
|150px]]
colspan="2"|
덮개 세포
|60px]]
|60px]]
|60px]]
|60px]]
|60px]]60px
|60px]]
|60px]]
|60px]]
|60px]]
꼭짓점16323080
모서리428484210
4224 {3} + 18 {4}8032 {3} + 48 {4}8240 {3} + 42 {4}19480 {3} + 90 {4} + 24 {5}
세포16정사면체 1개
삼각기둥 4개
삼각기둥 6개
삼각뿔 4개
육팔면체 1개
28정육면체 1개
사각기둥 6개
삼각기둥 12개
삼각뿔 8개
마름모육팔면체 1개
28정팔면체 1개
삼각기둥 8개
삼각기둥 12개
사각뿔 6개
마름모육팔면체 1개
64정십이면체 1개
오각기둥 12개
삼각기둥 30개
삼각뿔 20개
마름모십이이십면체 1개
정육각형 타일링 1개
육각기둥 ∞개
삼각기둥 ∞개
삼각뿔 ∞개
마름모삼육각형 타일링 1개
관련
고른
4차원
다포체
runcinated 정오포체runcinated 정팔포체runcinated 정이십사포체runcinated 정백이십포체runcinated 정육각형 타일링 벌집


6. 한국의 관점

참조

[1] 웹사이트 cupolas http://www.orchidpal[...] 2018-04-21
[2] 웹사이트 semicupolas http://www.orchidpal[...] 2018-04-21
[3] 간행물 Convex Segmentochora http://www.bendwavy.[...]
[4] 웹사이트 http://www.orchidpal[...]
[5] 웹사이트 http://www.orchidpal[...]
[6] 간행물 Convex Segmentochora http://www.bendwav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