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각지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각지붕은 4개의 삼각형, 5개의 정사각형, 1개의 팔각형 면을 가진 다면체이다. 모든 면이 변의 길이가 a인 정다각형일 경우 부피, 겉넓이, 외접 반지름을 특정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사각지붕은 대칭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과 거울 대칭을 가지며, 피라미드형 대칭을 갖는다. 마름모육팔면체, 늘린 사각 돔, 꼬인 늘린 사각 돔 등과 관련이 있으며, 쌍대다면체는 8개의 삼각형과 4개의 연꼴 면을 갖는다. 또한, 교차된 사각지붕과 같은 비볼록 다면체와 고르지 않은 공간 채우기 격자의 원소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둥형 다면체 - 직육면체
    직육면체는 6개의 직사각형 면으로 이루어진 볼록 다면체로, 모든 이면각이 직각이고 마주보는 면이 합동인 특징을 가지며, 정사각형 직육면체와 정육면체 같은 특수한 경우가 있고 부피, 표면적, 공간 대각선은 가로, 세로, 높이로 계산하며, 공간 감각과 기하학적 개념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기둥형 다면체 - 오각지붕
    오각지붕은 5개의 정삼각형, 5개의 정사각형, 1개의 정오각형, 1개의 정십각형으로 이루어진 존슨의 다면체이며, 회전 대칭을 갖고, 다양한 다면체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 존슨의 다면체 - 삼각쌍뿔
    삼각쌍뿔은 6개의 정삼각형 면, 5개의 꼭짓점, 9개의 모서리를 가진 존슨 다면체이자 델타다면체로, 두 정사면체를 밑면끼리 결합한 형태이며, 분자 기하학, 색채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존슨의 다면체 - 오각지붕
    오각지붕은 5개의 정삼각형, 5개의 정사각형, 1개의 정오각형, 1개의 정십각형으로 이루어진 존슨의 다면체이며, 회전 대칭을 갖고, 다양한 다면체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사각지붕
개요
정사각지붕
정사각지붕
종류존슨
J – J – J
면의 수삼각형 4개
정사각형 5개
팔각형 1개
변의 수20
꼭짓점의 수12
대칭군 C_{4v}
꼭짓점 배열 8 imes (3 imes 4 imes 8) + 4 imes (3 imes 4^3)
성질볼록
정사각지붕 대칭 펼침도
정사각지붕 대칭 펼침도

2. 공식

부피, 겉넓이, 그리고 외접 반지름의 공식은 모든 이 변의 길이가 ''a''인 정다각형일 경우에 적용된다:[10]

모서리 길이가 ''a''인 정사각 돔의 부피(V), 겉넓이(A), 외접 반지름(C), 높이(h)는 다음과 같다.

V = \left(1+\frac{2\sqrt{2}}{3}\right)a^3 \approx 1.943a^3

A = \left(7+2\sqrt{2}+\sqrt{3}\right)a^2 \approx 11.560a^2

C = \left(\frac{1}{2}\sqrt{5+2\sqrt{2}}\right)a \approx 1.399a

h = \frac{\sqrt{2}}{2}a \approx 0.707a

정사각 돔의 3D 모델


정사각 돔은 4개의 삼각형, 5개의 정사각형, 1개의 팔각형 면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팔각형은 밑면이고 정사각형 중 하나는 윗면이다. 모서리 길이가 모두 ''a''로 같으면 삼각형과 팔각형은 정다각형이 되며, 팔각형의 모서리 길이는 삼각형과 정사각형의 모서리 길이와 같다.

두 정사각형과 삼각형 사이의 이면각은 약 144.7^\circ 이고, 삼각형과 팔각형 사이의 이면각은 54.7^\circ 이며, 정사각형과 팔각형 사이의 이면각은 정확히 45^\circ 이고, 인접한 두 정사각형 사이의 이면각은 135^\circ 이다.

모든 면이 정다각형인 볼록 다면체는 존슨의 다면체라고 하며, 정사각 돔은 네 번째 존슨의 다면체로 J_{4} 로 표기된다.

정사각 돔은 윗면과 밑면의 중심을 지나는 대칭축을 가지며, 이 축을 중심으로 90°, 180°, 270° 회전했을 때 대칭이다. 또한, 밑면의 이등분선을 통과하는 모든 수직 평면에 대해 거울 대칭이다. 따라서, 피라미드형 대칭을 가지며, 대칭군순환군 C_{4v} 이고 위수는 8이다.

3. 성질

정사각 돔은 4개의 삼각형, 5개의 정사각형, 1개의 팔각형 면을 가지고 있다. 이 중 팔각형은 밑면이고 정사각형 중 하나는 윗면이다. 모서리 길이가 모두 같으면, 삼각형과 팔각형은 정다각형이 되며, 팔각형의 모서리 길이는 삼각형과 정사각형의 모서리 길이와 같다.

두 정사각형과 삼각형 사이의 이각은 약 144.7^\circ 이고, 삼각형과 팔각형 사이의 이각은 약 54.7^\circ 이다. 정사각형과 팔각형 사이의 이각은 정확히 45^\circ 이며, 인접한 두 정사각형 사이의 이각은 135^\circ 이다. 모든 면이 정다각형인 볼록 다면체는 존슨의 다면체라고 하는데, 정사각 돔은 네 번째 존슨의 다면체로 J_{4} 로 표기된다.

모서리 길이가 a 일 때, 정사각 돔의 표면적 A 는 모든 면의 넓이를 합한 값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 = \left(7+2\sqrt{2}+\sqrt{3}\right)a^2 \approx 11.560a^2.

높이 h , 외접원의 반지름 C , 부피 V 는 각각 다음과 같다.

\begin{align}

h &= \frac{\sqrt{2}}{2}a \approx 0.707a, \\

C &= \left(\frac{1}{2}\sqrt{5+2\sqrt{2}}\right)a \approx 1.399a, \\

V &= \left(1+\frac{2\sqrt{2}}{3}\right)a^3 \approx 1.943a^3.

\end{align}

정사각 돔은 윗면과 밑면의 중심을 지나는 대칭축을 가지고 있다. 이 축을 중심으로 전체 회전 각도의 1/4, 2/4, 3/4만큼 회전했을 때 자기 자신과 똑같은 모양이 된다. 또한, 밑면 변의 수직이등분선을 포함하는 모든 평면에 대해 거울 대칭이다. 따라서 정사각 돔은 피라미드형 대칭을 가지며, 대칭군은 순환군 C_{4v} 이고 그 차수(order)는 8이다.

4. 관련 다면체와 벌집

사각지붕은 여러 다면체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마름모육팔면체는 8개의 사각지붕이 겹쳐진 구조로 볼 수 있다.

사각지붕의 밑면에 다른 다면체를 붙이는 것을 확장이라고 한다. 특히 밑면에 각기둥이나 엇각기둥을 붙이는 경우는 각각 연장 또는 자이로연장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존슨의 다면체에는 다음과 같은 예시들이 있다.


  • 늘린 사각 돔 (J19)
  • 꼬인 늘린 사각 돔 (J23)
  • 동상 쌍사각 돔 (J28)
  • 이상 쌍사각 돔 (J29)
  • 늘린 이상 쌍사각 돔 (J37)
  • 꼬인 늘린 쌍사각 돔 (J45)

4. 1. 쌍대다면체

사각지붕의 쌍대다면체는 삼각형 8개와 연꼴 면 4개를 가지고 있다:

사각지붕의 쌍대다면체쌍대다면체의 전개도
사각지붕의 쌍대다면체
사각지붕 쌍대다면체의 전개도


4. 2. 다른 볼록 지붕

사각지붕 외에 다른 다각형을 밑면으로 하는 볼록 지붕(, Cupola)도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정삼각 돔''': 밑면이 삼각형인 형태로, 사각지붕보다 각의 수가 적다.
  • '''정오각 돔''': 밑면이 오각형인 형태로, 사각지붕보다 각의 수가 많다.

4. 3. 교차된 사각지붕

'''교차된 사각지붕'''은 볼록 사각지붕과 위상적으로 동일한 비볼록 존슨의 다면체 동형체이다. 이는 볼록 사각지붕을 마름모육팔면체에서 잘라내는 것과 유사하게, 비볼록 큰 마름모육팔면체(준 마름모육팔면체)를 잘라서 얻을 수 있다. 다른 모든 지붕처럼 밑면 다각형은 윗면보다 꼭짓점 수가 두 배 많으며, 교차된 사각지붕의 경우 밑면은 팔각성이다.

교차된 사각지붕의 3D 모델


교차된 사각지붕은 밑면이 뒤집힌 사각형 형태를 가지고 있어, 사각형 면과 삼각형 면이 밑면을 통과하며 서로 교차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진다.

4. 4. 벌집

사각지붕은 다음과 같은 여러 비균일 공간 채움 격자(벌집)의 구성 요소이다:

4. 5. 관련 도형

늘린 사각 돔
(정팔각기둥을 밑면에 추가)
꼬인 늘린 사각 돔

꼬인 늘린 사각 돔
(정 엇팔각기둥을 밑면에 추가)
동상 쌍사각 돔

동상 쌍사각 돔
(밑면끼리 같은 위상으로 붙여넣기)
이상 쌍사각 돔

이상 쌍사각 돔
(밑면끼리 45° 어긋나게 붙여넣기)--
정삼각 돔
(돔의 각의 수를 줄임)--
정오각 돔
(돔의 각의 수를 늘림)
곁면 돔 잘린 육면체

곁면 돔 잘린 육면체
(잘린 육면체를 밑면에 추가)


참조

[1] 웹사이트 J4 honeycomb http://woodenpolyhed[...]
[2] 논문 Regular-faced convex polyhedra
[3] 논문 Logical and Geometrical Distance in Polyhedral Aristotelian Diagrams in Knowledge Representation 2017
[4] 논문 Convex polyhedra with regular faces
[5] 논문 Area and volume of the Johnson solid J_4 https://www.problema[...] 2020-07-16
[6] 서적 Convex Polyhedra with Regularity Conditions and Hilbert's Third Problem https://books.google[...] Hindustan Book Agency
[7] 논문 Composite Concave Cupolae as Geometric and Architectural Forms https://www.helderma[...]
[8] 서적 Introduction to Computational Origami: The World of New Computational Geometry https://books.google[...] Springer
[9] 인용 Convex polyhedra with regular faces
[10] 웹사이트 Square cupola http://www.wolframal[...] 2010-07-20
[11] URL http://woodenpolyh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