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록 다포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록 다포체는 공간에서 점들의 볼록 집합으로 정의되며, 반공간의 교집합 또는 점들의 집합의 볼록 껍질로 표현될 수 있다. 꼭짓점 표현(V-표현)은 유한한 개수의 극점을 가지는 콤팩트 볼록 집합으로, 반공간 표현(H-표현)은 유한한 개수의 반공간의 교집합으로 정의된다. 볼록 다포체는 면 격자를 형성하며, 면 격자가 동형인 경우 조합적으로 동형이라고 한다. 볼록 다포체는 닫힌 구와 위상동형이며, 알고리즘적으로 부피 계산, 꼭짓점 열거, 면 열거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볼록 다포체는 문제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륀바움은 공간에서 점들의 볼록 집합의 관점에서 정의했다. 다른 중요한 정의는 반공간들의 교집합(반공간 표기)과 점들의 집합의 볼록 껍질(꼭짓점 표기)로 정의하는 것이다.
2차원의 예시로는 반평면, 두 평행선 사이의 띠, 각 모양(두 평행하지 않은 반평면의 교차된 부분), 볼록 끝이 붙은 반직선 두 개로 이루어진 다각형 체인으로 정의되는 모양, 그리고 볼록 다각형이 있다.[1]
모든 볼록 다포체는 닫힌 구와 위상동형이다.[11] 따라서 볼록 다포체는 경계를 가진 ''m''차원 다양체이며, 오일러 지표는 1이고 기본군은 자명하다. 볼록 다포체의 경계는 (''m'' − 1)-구와 위상동형이다. 경계의 오일러 지표는 ''m''이 짝수일 때는 0이고 홀수일 때는 2이다. 경계는 (''m'' − 1)차원 구면 공간의 테셀레이션— 즉, 구면 타일링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볼록 다포체의 다양한 표현은 서로 다른 유용성을 가지므로, 하나의 표현이 주어졌을 때 다른 표현을 구성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V-표현의 구성 문제는 꼭짓점 열거 문제로 알려져 있으며, H-표현의 구성 문제는 '''면 열거 문제'''로 알려져 있다. 제한된 볼록 다포체의 꼭짓점 집합은 이를 고유하게 정의하지만,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는 다포체의 조합 구조, 즉 면 격자에 대해 더 많이 아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한 볼록 껍질 알고리즘은 면 열거와 면 격자 구성 모두를 다룬다.
[1]
서적
Lectures on Polytopes
Springer-Verlag
2. 정의
그륀바움은 그의 저서 ''볼록 다포체''에서 볼록 다포체를 '''유한한 수의 극점을 가지는 콤팩트 볼록 집합'''으로 정의했다.
: 가 의 집합일 때, 내의 서로 다른 두 점 , 에 대해, 와 를 양 끝점으로 하는 닫힌 선분이 내에 포함되면, 는 ''볼록''하다고 한다.
닫힌 반공간은 다음의 선형 부등식으로 쓸 수 있다.[3]
:
여기서 은 다포체를 포함하는 공간의 차원이다. 따라서, '''닫힌 볼록 다포체'''는 다음의 선형 부등식계의 해 집합으로 간주될 수 있다.
:
여기서 은 다포체를 정의하는 반공간의 수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행렬 부등식으로 간결하게 쓸 수 있다.
:
여기서 는 행렬이고, 는 좌표가 변수 에서 인 열 벡터이며, 는 좌표가 스칼라 부등식의 우변 에서 인 열 벡터이다.
'''열린 볼록 다포체'''는 비엄격 부등식 대신 엄격 부등식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정의된다.
와 의 각 행은 해당 반공간을 정의하는 선형 부등식의 계수에 대응된다. 따라서 행렬의 각 행은 다포체의 '''지지 초평면'''에 해당한다. 지지 초평면이 다포체와 교차하면 '''경계 초평면'''이라고 한다.
앞의 정의는 다포체가 전체 차원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정의 부등식의 ''유일한'' 최소 집합이 존재한다. 이 최소 집합에 속하는 부등식을 '''본질적'''이라고 한다. 본질적 부등식을 등식으로 만족하는 다포체의 점의 집합을 '''면'''이라고 한다.
다포체가 전체 차원이 아닌 경우, 의 해는 의 적절한 아핀 부분 공간에 놓이며, 다포체는 이 부분 공간에서 연구될 수 있다. 이 경우, 다포체의 모든 점이 만족하는 선형 방정식이 존재한다. 이러한 방정식 중 하나를 정의 부등식에 추가해도 다포체는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다포체를 정의하는 유일한 최소 부등식 집합은 없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반공간의 교집합은 제한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볼록 껍질과 동일한 정의를 원한다면, 경계를 명시적으로 요구해야 한다.
2. 1. 꼭짓점 표현 (볼록 껍질)
그륀바움은 그의 저서 ''볼록 다포체''에서 볼록 다포체를 '''유한한 개수의 극점을 가지는 콤팩트 볼록 집합'''으로 정의하였다.[17]
: '''R'''''n''의 집합 ''K''는 ''K''의 모든 구분되는 점 ''a'',''b''의 쌍에 대해서, 양 끝점 ''a''와 ''b''를 포함하는 닫힌 선분이 ''K''에 포함되어 있을 때, ''볼록''이다.
이는 유계 볼록 다포체를 유한한 점 집합의 볼록 껍질로 정의하는 것과 동일하며, 이 유한한 집합은 반드시 다포체의 극점 집합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정의를 '''꼭짓점 표현''' ('''V-표현''' 또는 '''V-기술''')이라고 부른다.[17] 콤팩트 볼록 다포체의 경우, 최소 V-기술은 유일하고 다포체의 꼭짓점 집합으로 주어진다.[17]
2. 2. 반공간의 교집합
볼록 다포체는 유한한 개수의 반공간들의 교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정의를 반공간 표현(H-표현 또는 H-기술)이라고 부른다.[17] 볼록 다포체의 H-표현은 무한히 많이 존재하지만, 전체 차원(full-dimensional) 볼록 다포체의 경우, 최소 H-표현은 유일하며, 이는 면을 정의하는 반공간의 집합으로 주어진다.[17]
닫힌 반공간은 다음과 같은 일차 부등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17]
:
여기서 ''n''은 다포체를 포함하는 공간의 차원이다. 따라서, 닫힌 볼록 다포체는 다음 연립 일차 부등식의 해의 집합으로 볼 수 있다.
:
여기서 ''m''은 다포체를 정의하는 반공간의 개수이다. 이는 행렬 부등식으로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다.
:
여기서 ''A''는 ''m''×''n'' 행렬, ''x''는 ''n''×1 변수 열벡터, ''b''는 ''m''×1 상수 열벡터이다.
열린 볼록 다포체는 위와 같은 방식에서 엄밀하지 않은 부등식 대신 엄밀한 부등식을 사용하여 정의한다.
''A''와 ''b''의 각 행의 계수는 각각의 반공간을 정의하는 일차 부등식의 계수에 대응된다. 따라서 행렬의 각 행은 다포체를 포함하는 반공간의 경계인 지지 초평면과 대응한다. 지지 초평면이 다포체와 교차하면, 이는 경계 초평면이다.
앞의 정의는 다포체가 full-dimensional이라고 가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Ax'' ≤ ''b''의 해는 '''R'''''n''의 적절한 아핀 공간에 존재하며, 다포체에 관한 논의는 이 공간으로 제한된다.
일반적으로 반공간의 교집합은 유계일 필요는 없다. 하지만 볼록 껍질과 동일한 정의를 가지려면 유계 조건은 명시적으로 필요하다.
유한 기저 정리[16]는 V-표현을 무한 다포체로 확장한 것이다. 이 정리에 따르면, 볼록 다면체는 꼭짓점의 볼록 결합과 무한한 모서리의 방향 벡터의 원뿔 결합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3. 예시
무계 볼록 다포체의 특별한 경우는 평행한 초평면 두 개 사이의 넓적한 판, 두 개의 평행하지 않은 반공간으로 정의되는 쐐기꼴, 원기둥 (무한 각기둥), 그리고 공통 점을 지나는 셋 이상의 반평면으로 정의된 볼록 원뿔 (무한 원뿔)이다.[1]
4. 성질
볼록 다포체의 면들은 오일러 격자를 형성하며, 이를 '''면 격자'''라고 한다. 부분 순서는 면의 집합 포함에 의해 정해진다. 다포체 자체와 공집합도 면으로 간주하여 모든 면 쌍이 면 격자에서 합집합과 교집합을 갖도록 한다. 전체 다포체는 격자의 고유한 최대 요소이고, 모든 다포체의 (−1)차원 면('''널 다포체''')으로 간주되는 공집합은 격자의 고유한 최소 요소이다. 두 다포체가 조합적으로 동형이라는 것은 면 격자가 동형인 경우를 말한다.
'''다포체 그래프'''('''다포체 그래프''', '''다포체의 그래프''', '''1-골격''')는 다포체의 꼭짓점과 모서리 집합만 포함하며, 더 높은 차원의 면은 무시한다. 휘트니의 결과에 의해[7] 3차원 다포체의 면 격자는 해당 그래프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임의의 차원의 단순 다포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Blind & Mani-Levitska 1987, 미샤 페를레스의 추측 증명).[8]
볼록 다포체는 특정 속성을 만족하는 단순 복합체, 즉 단순체의 합집합으로 분해될 수 있다. 볼록한 ''r''차원 다포체 ''P''가 주어졌을 때, (''r''+1)개의 아핀 독립 점을 포함하는 꼭짓점의 부분 집합은 ''r''-단순체를 정의한다. 대응하는 단순체의 합집합이 ''P''와 같고, 두 단순체의 교집합이 비어 있거나 더 낮은 차원의 단순체인 부분 집합의 모음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5. 알고리즘적 문제
평면의 경우, 즉 볼록 다각형의 경우 면과 꼭짓점 열거 문제는 볼록 껍질을 따라 꼭짓점(각각 모서리)을 정렬하는 것과 같다. 볼록 다각형이 다각형에 대한 전통적인 방식으로, 즉 정렬된 꼭짓점 시퀀스로 지정되면 이는 간단한 작업이다. 꼭짓점(또는 모서리)의 입력 목록이 정렬되지 않은 경우, 문제의 시간 복잡도는 O( ''m'' log ''m'')이 된다.[13] 대수적 결정 트리 계산 모델에서 일치하는 하한이 알려져 있다.[14]
볼록 다포체의 부피를 계산하는 문제는 계산 기하학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 부피는 멤버십 오라클에 접근할 수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볼록 부피 근사 기법을 사용하여 근사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정확한 계산의 경우, 하나의 장애는 볼록 다포체를 선형 부등식의 방정식 시스템으로 표현했을 때 다포체의 부피가 이 표현에서 비트 길이가 다항식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15]
참조
[2]
서적
Mathematical Programming
https://books.google[...]
[3]
서적
Convex Polytopes
[4]
서적
Lectures on convex geometry
Springer
2020
[5]
서적
Matching Theory
North-Holland
[6]
서적
Beitrage zur Theorie der linearen Ungleichungen (Ph.D. dissertation)
[7]
논문
Congruent graphs and the connectivity of graphs
[8]
간행물
Puzzles and polytope isomorphisms
[9]
간행물
A simple way to tell a simple polytope from its graph
[10]
논문
On the Complexity of Polytope Isomorphism Problems
http://eprintweb.org[...]
[11]
서적
Topology and Geometry
[12]
서적
Polytopes — Combinatorics and Computation
[13]
서적
Introduction to Algorithms
[14]
간행물
A lower bound to finding convex hulls
[15]
논문
Polytope volume computation
https://www.ams.org/[...]
1991
[16]
서적
Mathematical Programming
https://books.google[...]
[17]
서적
Convex Polytop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