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수 (경제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수(경제학)는 기준 값을 100으로 설정하고 비율을 100배로 표현하여 경제 지표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 도구로, 사업 활동, 생계비, 고용 등 다양한 경제 현황을 비교하는 데 사용된다. 지수는 라스파이레스 산식, 파셰 산식, 피셔 산식, 연쇄 지수, DI(Diffusion Index)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소비자물가 지수(CPI)와 같은 지표는 인플레이션 측정에 사용되지만, 상품 대체 효과,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 등장, 품질 변화 등을 완벽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수량 지수는 생산성, 무역 활동 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며, 주요 정부 통계 지수에는 기업물가 지수, 소비자물가 지수, 광공업 지수, 경기 동향 지수, 고용 지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량경제학 - 신경망
    신경망은 생물학적 뉴런과 인공 뉴런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생물학적 신경망은 전기화학적 신호 전달을 통해 근육 운동을 제어하고, 인공 신경망은 예측 모델링과 인공 지능 문제 해결에 활용된다.
  • 계량경제학 - 화폐유통속도
    화폐유통속도는 경제 내 화폐가 재화와 서비스 구매에 사용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통화 수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며 거래 유통 속도와 소득 유통 속도로 나뉜다.
  • 지표 - 세계 언론 자유 지수
    세계 언론 자유 지수는 국경 없는 기자회에서 발표하는 보고서로, 각국의 언론 자유 수준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며, 설문 조사와 데이터 결합을 통해 산출되고 정치, 법 등 5가지 범주를 기준으로 평가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언론 자유도가 높다.
  • 지표 - 경제고통지수
    경제고통지수는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의 합으로 계산되어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을 수치화한 지표이며, 직관적인 이해를 돕지만 경제의 복잡성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고, 다양한 변형된 지표들이 존재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경제 이론 - 합리적 선택 이론
    합리적 선택 이론은 경제 주체, 정치 행위자, 사회 구성원 등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고 가정하며,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국제관계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경제 이론 - 낙수 경제
    낙수 경제는 부유층의 경제적 번영이 사회 전체로 확산된다는 이론으로, 부유층 감세가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비판과 논란이 있는 경제 정책이다.
지수 (경제학)

2. 지수의 정의 및 특징

지수는 기준 값과 비교하여 가격 또는 수량을 나타내는 경제 데이터 숫자이다.[5][6] 기준 값은 일반적으로 100이며, 지수는 기준 값에 대한 비율의 100배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어떤 상품이 1970년에 1960년에 비해 두 배의 비용이 든다면, 1960년을 기준으로 지수는 200이 된다. 지수는 특히 사업 활동, 생계비, 고용을 비교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경제학자들은 다루기 힘든 사업 데이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로 축소할 수 있다.

최상급 지수는 계산 가능한 지수로, 광범위한 상황에서 기본 생계비 지수에 대한 근사치를 제공한다.[1]

공간 지수는 부동산 가격, 환경의 독소, 또는 지리적 위치 전반에 걸친 서비스 가용성을 요약한다. 또한, 통화의 구매력 평가 비교와 같이 범주 내 데이터 분포 간의 비교를 요약하는 데에도 지수가 사용된다.

3. 지수 산정 방법

경제학에서 지수는 기준 값과 비교하여 가격 또는 수량을 반영하는 경제 데이터 숫자이다.[5][6] 기준 값은 일반적으로 100이며, 지수는 기준 값에 대한 비율의 100배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상품 가격이 1970년에 1960년에 비해 두 배가 되었다면, 1960년을 기준으로 지수는 200이 된다. 지수는 사업 활동, 생계비, 고용 등을 비교하는 데 사용되며, 경제학자들이 복잡한 데이터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대표적인 지수 산정 방법으로는 '''물가 지수'''와 '''수량 지수'''에서 주로 사용되는 라스파이레스 산식, 파셰 산식, 피셔 산식이 있다. 또한, 경기동향지수에서 사용되는 DI(Diffusion Index, 디퓨전 인덱스, '디아이'라고도 함)도 있다.

라스파이레스 산식은 소비자 물가 지수, 광공업 지수 등에서 사용되며, 기준 시점의 가격과 수량을 기준으로 조사 시점의 가격 변화를 측정한다. 계산이 간편하고 속보성이 우수하지만, 수량 변화를 반영하지 못해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파셰 산식은 GDP 디플레이터, 무역 통계 등에서 사용되며, 매 시점마다 가격과 수량을 조사하여 정확성이 높지만, 계산이 번거롭다. 피셔 산식은 라스파이레스 산식과 파셰 산식의 기하 평균으로, 가격과 수량의 큰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지만, 계산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연쇄 지수는 라스파이레스 산식 또는 파셰 산식으로 계산된 지수를 바탕으로 가중치를 매년 갱신하여 작성하는 지수이다. 기업 물가 지수, GDP 디플레이터 등에서 사용되며, 시간 경과에 따른 바이어스 확대를 줄일 수 있다. DI는 경기 동향과 같이 여러 지표나 응답을 종합하여 확장, 동일, 축소 여부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 지표의 비율을 계산하여 지표화한다. 투자 태도나 경기 판단 등 분위기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은 라스파이레스 지수의 계산 예시이다.

세 가지 품목(조강, 승용차, 액정 TV)을 생산하는 지역을 가정하고, 각 품목 및 종합 지수를 계산한다. 웨이트는 만분비(10000 기준)로 나타낸다.

'''생산량'''
조강승용차액정 TV금액 합계
천 톤출하액천 대출하액천 대출하액
19981,28139,38151189,0171,559122,110350,508
19991,19531,98243147,4141,14297,918277,314
20001,18330,77052154,9382,348144,597330,305
20011,03627,67242138,0073,232170,536336,215
200244710,07843138,7012,731228,988377,767



'''계산식 (100을 곱하는 단계는 생략)'''
종합 지수조강승용차액정 TV
웨이트2000년의 출하액 합계=330,30530,770÷330,305154,938÷330,305144,597÷330,305
1998(108.3×931.6+98.1×4690.8+66.4×4377.7)÷100001,281÷1,18351÷521,559÷2,348
1999(101×931.6+82.7×4690.8+48.6×4377.7)÷100001,195÷1,18343÷521,142÷2,348
2000(100×931.6+100×4690.8+100×4377.7)÷100001,183÷1,18352÷522,348÷2,348
2001(87.6×931.6+80.8×4690.8+137.6×4377.7)÷100001,036÷1,18342÷523,232÷2,348
2002(37.8×931.6+82.7×4690.8+116.3×4377.7)÷10000447÷1,18343÷522,731÷2,348



'''지수 값 (2000=100)'''
종합 지수조강승용차액정 TV
웨이트10000931.64690.84377.7
199885.2108.398.166.4
199969.5101.082.748.6
2000100.0100.0100.0100.0
2001106.387.680.8137.6
200293.237.882.7116.3


3. 1. 라스파이레스 산식

소비자 물가 지수, 광공업 지수, 라스파이레스 지수(공무원임금 수준을 비교하는 지표) 등에서 사용되는 기법이다.[1]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 ('''조사 시점의''' 가격 × 기준 시점의 수량) / (기준 시점의 가격 × 기준 시점의 수량)

기준 시점의 가격과 수량을 조사한 후에는 가격만 조사하면 되므로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1]

  • 간편하다.
  • 속보성이 우수하다.
  • 저비용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다만, 수량의 변화가 반영되지 않아 정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많은 지수에서 채용되고 있는 산식이다.[1]

3. 2. 파셰 산식

파셰 산식은 GDP 디플레이터, 무역 통계 등에서 사용되는 기법이다.[1] 가격과 수량을 매 시점마다 조사해야 하므로 라스파이레스 산식에 비해 번거롭지만, 정확성은 우수하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조사 시점의 가격 × 조사 시점의 수량) / (기준 시점의 가격 × 조사 시점의 수량)

3. 3. 피셔 산식

라스파이레스 산식과 파셰 산식의 기하 평균으로, 계산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만 가격과 수량이 크게 변화한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1] 주로 지표의 체크나 검증을 수행할 때 사용된다.

3. 4. 연쇄 지수

연쇄 지수는 라스파이레스 산식 또는 파셰 산식으로 계산한 지수를 기반으로 추가 가공하여 작성하는 지수이다. 기업 물가 지수, GDP 디플레이터 등에서 사용된다.

; 목적, 작성법

라스파이레스 산식과 파셰 산식은 모두 기준 시점부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이어스가 확대되는 문제가 있다(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는 "라스파이레스 지수와 파셰 지수의 바이어스" 참조). 이 바이어스를 회피하기 위해 연쇄 지수에서는 가중치를 매년 갱신하여 라스파이레스 산식 또는 파셰 산식으로 지수를 작성한 후, 전년 대비 신장률을 곱하여 지수를 작성한다.

; 문제점

연쇄 지수는 바이어스를 가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정확성이 뛰어나지만,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

  • 드리프트: 연쇄 지수는 전년도 지수를 기준으로 당해 연도의 매 시점 지수의 신장률을 구하여 곱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지수가 크게 변동한 달이 있으면 그 특이한 신장을 그대로 이어받아 계산 결과가 왜곡되는 경우가 있다.
  • 가법적합성: 기준 시점을 고정하여 작성하는 라스파이레스 산식, 파셰 산식 지수에서는 개별 지수를 가중치를 고려하면서 더해간 결과(이 행위는 가중 평균이라고 불린다)와 종합 지수가 일치한다. 그러나 연쇄 지수는 종합 지수 작성 후에, 다시 신장률을 곱하여 작성하기 때문에 개별 지수를 더해가도 종합 지수와 값이 일치하지 않는다.


※ 라스파이레스 산식, 파셰 산식, 피셔 산식에 대해서는 [https://www.stat.go.jp/data/cpi/4-1s.html 총무성 통계국 - 소비자 물가 지수 Q&A -]도 참조.

3. 5. DI (Diffusion Index)

DI(Diffusion Index, 디퓨전 인덱스, '디아이'라고도 함)는 경기 동향과 같은 현상에 대해 여러 지표나 응답을 준비하고, 각 지표가 과거에 비해 확장·상승했는지, 동일 수준인지, 축소·감소했는지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지표화한다.[1] DI 작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어떤 현상(예: 경기 동향)에 대해 몇 가지 지표나 응답("좋음", "보통", "나쁨" 등)을 준비한다.[1]
  • 지표나 응답이 과거에 비해 확장·상승했다면 "+", 동일 수준이라면 "0", 축소·감소했다면 "-"를 부여한다.[1]
  • "+" 지표가 전체 지표 중에서 어느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는지 계산한다. 이 결과가 DI가 된다.[1]


DI는 투자 태도나 경기 판단 등 기분이나 분위기와 같은 것을 지표화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1]

4. 지수 (경제학) 문제

지수 (경제학) 문제란 경제학자들이 물가 상승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통계적 지수가 가진 한계를 설명하는 용어이다.[7]

예를 들어, 소비자 물가 지수에서 기준 연도의 "시장 바스켓"에는 지수 100이 할당된다. 2019년에 시장 바스켓 가격이 55이고 그 다음 해인 2020년에 가격이 두 배로 오른다면, 지수는 200으로 상승한다. 이는 새로운 연도의 시장 바스켓 가격을 기준 연도 가격으로 나누고, 그 몫에 100을 곱하는 간단한 계산을 통해 이루어진다.

소비자 물가 지수는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 일반적인 방법이지만, 가격 변화가 모든 소비자의 상품 및 서비스 구매에 직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나타내지 않는다. 소비자 물가 지수는 생활비 상승을 과소 또는 과대 평가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지수 (경제학) 문제라고 설명되는 소비자 물가 지수의 한계이다.

이 문제에 대한 이론적으로 이상적인 해결책은 없다. 실제 소매 물가 지수의 경우 "상품 바스켓"은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몇 년마다 점진적으로 업데이트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간에 걸쳐 측정된 많은 경제 지수가 실제로 일대일 비교가 아니라는 사실은 변함없으며, 이는 경제사 연구자들이 고려하는 문제이다.

5. 수량 지수

제품의 추이를 지수화한 것이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광공업 지수와 무역 통계에서 수출입 수량의 변동을 지수화한 '''수량 지수'''가 있다.[5][6]

6. 기타 사항

지수를 계산할 때 분모가 되는 값의 연도를 기준 시점이라고 한다. 기준 시점의 연간 총계를 12로 나눈 값이 매월 지수를 만들 때의 분모가 된다. 어떤 해의 품목 지수가 110이라면, 이는 그 품목이 기준 연도에 비해 10%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5][6] 기준 시점은 통계 심의회의 자문 제186호 "지수의 기준 시점 및 가중치 시점의 갱신에 관하여"(1981년 3월)의 답신에서 5년마다(서기 연도의 끝자리가 0과 5년) 갱신하도록 정해졌다. 자세한 내용은 기준 개정을 참조하라.

지수는 여러 품목을 가중 평균으로 통합하여 종합 지수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가중치이다. 가중치는 계산 시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 고정 기준 지수: 가중치가 특정 연도(보통 기준 시점)에 고정된 지수이다. 광공업 지수, 제3차 산업 활동 지수 등에서 사용되며, 가중치는 기준 시점에 맞춰 통상 5년마다 갱신된다.


지수는 비율로 계산하는 경우가 많지만, 계산 결과는 100을 곱하여 나타내는 것이 관례이다.

라스파이레스 지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가 실제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파셰 지수는 반대로 실제보다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지수의 편향(바이어스)을 확인하기 위해 서로 다른 산식으로 지수를 시험 제작하여 비교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라스파이레스 산식 지수의 바이어스를 확인하기 위해 파셰 산식 지수를 시험 제작하여 비교하는 것을 파셰 체크라고 한다.

7. 계산 예시

라스파이레스 지수의 계산 예시는 다음과 같다.

3가지 품목을 생산하는 지역이 있을 경우, 각 품목의 지수 및 이 지역의 종합 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웨이트는 만분비(10000으로 전체 합계)로 나타낸다.

'''생산량'''
조강승용차액정 TV금액 합계
천 톤출하액(100만)천 대출하액(100만)천 대출하액(100만)
19981281ton393.81억51,0001890.17억1,559,0001221.1억3505.08억
19991195ton319.82억43,0001474.14억1,142,000979.18억2773.14억
20001183ton307.7억52,0001549.38억2,348,0001445.97억3303.05억
20011036ton276.72억42,0001380.07억3,232,0001705.36억3362.15억
2002447ton100.78억43,0001387.01억2,731,0002289.88억3777.67억



'''계산식 (100을 곱하는 단계는 생략)'''
종합 지수조강승용차액정 TV
웨이트3303.05억307.7억÷3303.05억1549.38억÷3303.05억1445.97억÷3303.05억
1998(108.3×931.6+98.1×4690.8+66.4×4377.7)÷100001281ton÷1183ton51,000÷52,0001,559,000÷2,348,000
1999(101×931.6+82.7×4690.8+48.6×4377.7)÷100001195ton÷1183ton43,000÷52,0001,142,000÷2,348,000
2000(100×931.6+100×4690.8+100×4377.7)÷100001183ton÷1183ton52,000÷52,0002,348,000÷2,348,000
2001(87.6×931.6+80.8×4690.8+137.6×4377.7)÷100001036ton÷1183ton42,000÷52,0003,232,000÷2,348,000
2002(37.8×931.6+82.7×4690.8+116.3×4377.7)÷10000447ton÷1183ton43,000÷52,0002,731,000÷2,348,000



'''지수 값 (2000=100)'''
종합 지수조강승용차액정 TV
웨이트10000931.64690.84377.7
199885.2108.398.166.4
199969.5101.082.748.6
2000100.0100.0100.0100.0
2001106.387.680.8137.6
200293.237.882.7116.3


8. 주요 정부 통계 지수

지수 명칭발행 기관
기업물가 지수한국은행
소비자물가 지수통계청
가계 소비 지수통계청
광공업 지수통계청
제3차 산업 활동 지수통계청
경기 동향 지수통계청
고용 지수고용노동부


참조

[1] 서적 Consumer Price Index Manual: Theor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04
[2] 웹사이트 Index Investing: What Is An Index? http://www.investope[...] www.investopedia.com 2003-12-01
[3] 웹사이트 GDP deflator and measuring inflation http://www.politonom[...] www.politonomist.com
[4] 웹사이트 Currency Converter {{!}} Foreign Exchange Rates {{!}} OANDA http://www.oanda.com[...]
[5] 간행물 The New Palgrave: A Dictionary of Economics
[6] 간행물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Money and Finance
[7] 서적 Macroeconomics : principles & policy South Western, Cengage Learning 2011-06-14
[8] 문서 경제지수
[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oanda.com[...] 2013-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