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창무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무관은 윤병인이 설립한 무술 단체로, 1946년 YMCA 권법부로 시작하여 이남석에 의해 창무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창무관은 초기에는 가라테와 권법을 기반으로 한 무술을 가르쳤으나, 1955년 태권도 창시에 참여하면서 태권도를 수련하게 되었다. 1961년 대한태권도협회가 결성되었고 이남석이 초대 총재를 맡았으나 이듬해 사임했다. 현재는 국기원 시스템을 따르는 태권도 도장과 창무관의 옛 수련 방식을 보존하는 단체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권도 - 무덕관
    황기가 창시하여 화수도에서 당수도를 거쳐 수박도로 명칭이 변경된 무덕관은 택견에서 영감을 얻고 무예도보통지를 연구하며 발전했으나, 태권도 통합 시도 등의 어려움을 겪었고 현재는 미국 수박도 무덕관 연맹이 관련 상표를 보유하고 있다.
  • 태권도 - 강덕원
    강덕원은 (페이지 제목을 주어로 하는 정의 또는 핵심 설명)이다.
창무관
창무관
다른 이름권법 공수도 (c.1959-1961 이전)
창립일1946년
스타일태권도
지역서울, 한국
창립자윤병인
남석이
유파태권도 (1955-1961년경 이후, 국기원 시스템은 1973년에 채택)
기원 무술수도관 가라테
중국 무술
권법
공수도
관련 단체강덕원
웹사이트창무관 웹사이트

2. 역사

1948년 11월 3일 서울 YMCA에서 열린 제3회 정기 승급 심사 기념 사진.


초기 창무관은 다른 태권도 관과는 달리 주로 중국 쿵푸(권법)를 기반으로 했으며, 팔극권의 영향을 받은 팔기권을 가르쳤다.[2]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윤병인은 1950년 8월 형 윤병두(북한군 대위)를 따라 북한으로 갔으며, 1983년 사망할 때까지 북한에 남아 살았다.[3]

2. 1. YMCA 권법부 창설 (1946년)

이남석의 스승인 윤병인은 1946년에 '''YMCA 권법부'''를 창설했다. 윤병인은 만주에서 몽골인 지도자로부터 중국 쿵푸(권법)를 배웠다.

윤병인은 일본에서 도야마 칸켄과 함께 대학 가라테 클럽에서 가라테를 수련했다. 당시 일본 가라테 학생들이 한국인 학생을 쫓아가 구타하는 일이 있었는데, 이에 분노한 윤병인은 권법을 사용하여 가라테 학생들의 공격과 발차기를 막고 피하며 대응했다. 결국 가라테 학생들은 공격을 포기하고 도망가 선생님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이후 도야마 칸켄은 윤병인을 불러 그가 사용한 가라테가 아닌 무술에 대해 물었다. 윤병인은 만주에서 배운 권법에 대해 설명했고, 도야마는 대만에서 7년간 권법을 공부한 경험이 있어 윤병인의 배경을 높이 평가했다. 둘은 지식 교환을 위해 윤병인은 도야마 칸켄에게 권법을, 도야마 칸켄은 윤병인에게 자신의 수도 가라테를 가르치기로 했다. 윤병인은 나중에 자신의 무술을 창시하여 '''권법 공수도'''라고 불렀다.[2]

2. 2. 창무관으로 개칭 및 태권도 통합 (1950년대-1960년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한국 대중에게 무술을 가르치기 위해 여러 이 설립되었다. 1950년대 후반, 최홍희를 중심으로 이 관들은 통합하여 대한태권도협회가 되었고, 태권도라는 보편적인 한국 무술을 형성했다.

윤병인의 실종 이후, 이남석은 관장직을 이어받아 1953년경 학교 이름을 '''창무관'''으로 변경했다.

1955년, 여러 무술관들은 자신들이 보급하는 무술에 대한 공통된 명칭을 찾기 위해 연합했다. 결국, 최홍희의 지도 아래 연합된 관들은 이 통합된 한국의 무술을 창시하여 태권도라고 명명했다.[4] 창무관 또한 원래의 고유성을 잃으면서 태권도를 그들의 무술로 채택했다.

1961년 9월 대한태권도협회 (KTA)가 결성되었고, 이남석은 1961년에 이 협회의 총재로 임명되었다. 이남석은 몇 달 후인 1962년 1월에 사임했다.[5]

3. 수련 체계

초기 YMCA 권법부와 창무관의 수련 체계는 주로 가라테와 권법(Chuan-fa)으로 구성되었다.[2] 이는 당시 다른 태권도 관(학교)과는 다른 점이었다. 창무관은 권법(권법)의 영향을 받은 두 관 중 하나였으며, 수련이나 시연 시 부드러우면서도 강한 모습을 보이는 기술을 만들어냈다.

창무관의 권법 형(形)에는 단권(단권, short fist), 장권(장권, Long Fist), 태조권(태조권, Fist of the Founding King or Great Ancestor Fist), 팔기권(팔기권, Eighth Manchurian Cavalry), 토조산(토조산, Escaping Mist) 등이 있었다. 초기 수련생들은 윤병인이 직접 창작한 봉 형(棒形, staff form)과 지덕관 그랜드마스터가 된 슈도칸 수련자 윤쾌병이 창작한 봉 형을 수련했다.

3. 1. 초기 (YMCA 권법부 및 초기 창무관)

이남석의 스승인 윤병인은 1946년에 '''YMCA 권법부'''를 창설했다. 윤병인은 만주에서 몽골인 지도자로부터 중국 쿵푸(권법)를 배웠다.

윤병인은 일본에서 도야마 칸켄과 함께 대학 가라테 클럽에서 가라테를 수련했다. 일본에서 가라테를 수련할 때, 일본 가라테 학생들이 한국인 학생을 쫓아가 구타했다. 윤병인은 일본 가라테 학생들에게 분노하여 권법을 사용하여 행동에 나섰다. 그는 가라테 학생들의 공격과 발차기를 막고 피하여 학생들이 포기하고 무슨 일이 있었는지 선생님에게 말하기 위해 다시 도망가게 만들었다.

도야마 칸켄은 윤병인을 초대하여 그의 학생들을 상대로 사용한 가라테가 아닌 무술에 대해 이야기했다. 윤병인은 도야마에게 만주에서의 권법 교육에 대해 설명했다. 도야마는 그가 이전에 대만에서 7년 동안 권법을 공부했기 때문에 권법에 대한 윤병인의 배경을 높이 평가했다. 그들은 지식을 교환하기로 결정했다. 윤병인은 도야마 칸켄에게 권법을 가르치고 도야마 칸켄은 윤병인에게 그의 슈도칸 가라테를 가르치기로 했다. 윤병인은 나중에 자신의 무술을 창시하여 '''권법 공수도'''라고 불렀다.

다른 미래의 태권도 관과는 달리, 초기 창무관은 주로 중국 쿵푸(권법)를 기반으로 했다. 창무관 초기에는 팔극권의 영향을 받은 팔기권을 가르쳤다.[2]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윤병인은 1950년 8월 형 윤병두(북한군 대위)를 따라 북한으로 갔다. 윤병인은 1983년 사망할 때까지 북한에 남아 살았다.[3]

초기 YMCA 권법부와 창무관의 커리큘럼은 주로 가라테와 권법(Chuan-fa)으로 구성되었다(McLain, 2009). 이는 당시 다른 태권도 관(학교)과는 달랐다. 이는 권법(권법)의 영향을 받은 두 관 중 하나였으며, 이는 수련하거나 시연할 때 부드럽지만 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기술을 만들어냈다.

창무관의 권법 형(形)에는 단권(단권, short fist), 장권(장권, Long Fist), 태조권(태조권, Fist of the Founding King or Great Ancestor Fist), 팔기권(팔기권, Eighth Manchurian Cavalry), 토조산(토조산, Escaping Mist) 등이 있었다.

초기 수련생들은 윤병인이 직접 창작한 봉 형(棒形, staff form)과 지덕관의 그랜드마스터가 된 슈도칸 수련자 윤쾌병이 창작한 봉 형을 수련했다.

3. 2. 현재

윤병인의 실종 이후, 이남석은 관장직을 이어받아 1953년경 학교 이름을 '''창무관'''으로 변경했다.

1955년, 여러 무술관들은 자신들이 보급하는 무술에 대한 공통된 명칭을 찾기 위해 연합했다. 결국, 최홍희의 지도 아래 연합된 관들은 이 통합된 한국의 무술을 창시하여 태권도라고 명명했다.[4] 창무관 또한 원래의 고유성을 잃으면서 태권도를 그들의 무술로 채택했다.

1961년 9월 대한태권도협회(KTA)가 결성되었고, 이남석은 1961년에 이 협회의 총재로 임명되었다. 이남석은 몇 달 후인 1962년 1월에 사임했다.[5]

현재, 공식적인 창무관은 대한민국에 친목 클럽 형태로 존재하며, 서울의 한 청소년 체육관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현 창무관 관장은 김중영 Grandmaster이다. 김중영 Grandmaster는 또한 국기원 고단 승단 심사 위원이기도 하다. 창무관의 공식 무술 커리큘럼은 국기원 시스템이다. 창무관은 다른 주요 관들과 마찬가지로 국기원과 WTF를 지지한다.

공식 창무관 외에, '''전통 태권도 연무재'''는 1960년대에 창무관에서 태권도를 배우고 검은 띠를 받은 창립 사범들을 통해 창무관의 옛 태권도 수련 방식을 보존하고 있다. 그러나 연무재는 공식 창무관, 국기원 또는 세계 태권도와는 독립된 태권도 학교이다.[6]

4. 명칭

창무관은 영어로 번역될 때 여러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직역하면 창(Chang)은 창조하거나 개발한다는 뜻이며, 무(Moo)는 무술을 의미하고, 관(Kwan)은 집을 의미한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Jidokwan http://www.taekwondo[...] 2013-05-30
[2] 웹사이트 history view of taekwondo http://www.tkdbible.[...] 2014-01-16
[3] 웹사이트 Grandmaster Yoon Byung-In http://kimsookarate.[...] Kim Soo Karate 2020-08-24
[4] 간행물 Grandmaster Nam Suk Lee Patriarch of Chang Moo Kwan Part I 1993-10
[5] 간행물 Grandmaster Nam Suk Lee: Patriarch of the Chang Moo Kwan (Part II) 1993-12
[6] 웹사이트 태권도연무재 Traditional taekwondo Yonmujae Association https://www.yonmujae[...] 2021-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