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창조 (비디오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지창조 (비디오 게임)는 탑 다운 시점을 기반으로 한 액션 RPG 게임이다. 주인공 아크가 지하 세계의 판도라의 상자를 열어 마을이 멈추자, 5개의 시련의 탑을 통해 대지를 부활시키는 여정을 담고 있다. 실시간 전투 시스템과 다양한 액션을 제공하며, 세계 지도를 탐험하는 RPG와 던전 액션 형식을 결합했다.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한국에서는 에뮬레이터를 통해 접한 팬들 사이에서 숨겨진 명작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닉스의 게임 - 그란디아 II
그란디아 II는 게임아츠에서 개발하고 ESP에서 발매한 드림캐스트용 롤플레잉 게임으로, 류도가 엘레나를 호위하며 그라나스와 발마의 대립 속에서 세계를 구원하는 모험을 그리고 있으며 턴제 전투 시스템과 독특한 성장 시스템을 특징으로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었다. - 에닉스의 게임 - 드래곤 퀘스트 II: 악령의 신들
드래곤 퀘스트 II: 악령의 신들은 에닉스에서 1987년에 발매한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이자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으로, 로토의 후손인 세 명의 주인공이 마법사 하곤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시리즈 최초로 파티 시스템을 도입하여 전략성을 강화하고 넓어진 세계와 다양한 이동 수단, 던전 탐험 요소 등을 통해 게임 플레이의 깊이를 더했다. - 슈퍼 패미컴 전용 게임 - 떴다! 럭키맨
《떴다! 럭키맨》은 일본에서 가장 운 없는 중학생 왕재수가 우주 히어로 럭키맨과 합체하여 행운을 무기로 악당과 싸우며 지구를 지키는 내용을 담은 만화 및 애니메이션이다. - 슈퍼 패미컴 전용 게임 - 요술소녀
요술소녀는 아키모토 나미의 만화를 원작으로 1993년 아지아도 애니메이션 웍스에서 제작, 아사히 방송에서 방영된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초능력을 가진 쌍둥이 자매가 텔레파시, 텔레포트 등의 초능력을 사용하며 겪는 에피소드를 그리고 있다. - 1995년 비디오 게임 - 유작 (비디오 게임)
엘프에서 1996년 발매한 18금 어드벤처 게임 《유작》은 학교 구교사에 갇힌 주인공과 친구들이 던전 탐험 방식으로 탈출하는 호러·탈출 게임으로, 친구들의 탈출을 목표로 비디오테이프를 획득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며, 팬디스크 '도작'과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존재하고, 엘프 사옥 이전 전 마지막 작품이라는 의미를 담아 화제를 모았다. - 1995년 비디오 게임 - 로맨싱 사가 3
《로맨싱 사가 3》는 스퀘어에서 발매한 슈퍼 패미컴용 롤플레잉 게임으로, 300년마다 찾아오는 '사식' 현상과 '운명의 아이'를 둘러싼 이야기, 8명의 주인공 선택, 독특한 성장 시스템, 자유로운 시나리오 진행이 특징이며, 2019년에는 리마스터 버전이 출시되었다.
천지창조 (비디오 게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게임 정보 | |
![]() | |
원제 | 天地創造 (Tenchi Sōzō, 덴치 소조, '천지 창조'라는 의미) |
장르 | 액션 롤플레잉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
개발 | |
개발사 | 퀸텟 |
디렉터 | Tomoyoshi Miyazaki (미야자키 토모요시) |
프로듀서 | Masaya Hashimoto (하시모토 마사야) |
프로듀서 | Shinji Futami (후타미 신지) |
프로듀서 | Jun Toda (토다 준) |
디자이너 | Tomoyoshi Miyazaki (미야자키 토모요시) |
작가 | Tomoyoshi Miyazaki (미야자키 토모요시) |
작가 | Reiko Takebayashi (다케바야시 레이코) |
아티스트 | Kamui Fujiwara (후지와라 카무이) |
작곡가 | Miyoko Takaoka (타카오카 미요코) |
작곡가 | Masanori Hikichi (히키치 마사노리) |
프로그래머 | Kita no Hara Akira (기타노하라 아키라) |
프로그래머 | Kita Shigemi (기타 시게미) |
프로그래머 | Tsuruno Megumi (쓰루노 메구미) |
프로그래머 | achiwakyousuke (아치와쿄스케) |
플랫폼 및 출시 | |
플랫폼 | 슈퍼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
출시일 (일본) | 1995년 10월 20일 |
출시일 (PAL) | 1996년 12월 19일 |
배급사 (일본) | 에닉스 |
배급사 (PAL) | 닌텐도 |
미디어 | 32 메가비트 롬 카트리지 |
기타 정보 | |
판매량 (일본) | 20만 본 |
제품 코드 (일본) | SHVC-AQTJ-JPN |
제품 코드 (유럽) | SNSP-AQTP-EUR |
2. 게임 내용
`천지창조`는 액션 롤플레잉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주인공 아크를 조작하여 세계를 탐험하고 적과 싸우며 이야기를 진행한다. 게임은 크게 월드맵을 이동하는 RPG 파트와 던전 내부를 탐험하며 액션 전투를 벌이는 파트로 나뉜다. 탑 다운 시점으로 진행되며, 전투는 실시간 전투 시스템을 채택하여 달리기, 점프, 공격 등 다양한 액션과 기술을 조합하여 활용해야 한다.[2] 캐릭터는 전투를 통해 경험치를 얻어 성장하며, 마법 포인트 없이 '마지록'이라는 아이템을 통해 일회용 마법 아이템을 사용하는 독특한 마법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2] 게임 시스템, 액션, 마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2. 1. 시스템

기본적으로 게임 진행 방식은 월드맵을 탐험하는 롤플레잉 게임(RPG) 형식과 던전 안을 탐색하는 액션 형식으로 나뉜다. 탑 다운 시점의 세계관을 유지하며, 전투는 액션 기반의 실시간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2] 주인공 캐릭터 아크는 달리기, 점프, 공격 등 기본 동작과 이들을 조합한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2] 각 공격은 특정 종류의 적에게 더 효과적이도록 설계되었으나, 실제 게임 플레이에서 기술에 따른 피해량 차이는 크지 않다. 적이 발사하는 투사체는 '가드' 기술로 막을 수 있지만, 근접 공격은 방어할 수 없다.[2]
전투에서 승리하면 경험치를 얻어 캐릭터 레벨을 올릴 수 있으며, 레벨이 오르면 최대 체력(HP), 힘, 방어력, 행운 등의 능력치가 상승한다.[2] 쓰러뜨린 적들은 때때로 '보석'이라는 화폐를 남기는데, 이를 모아 무기, 갑옷, 회복 아이템, 주문 등을 구매하는 데 사용한다.[2]
이 게임에는 일반적인 RPG와 달리 마법 포인트(MP) 개념이 없다. 대신 '마지록'이라는 아이템을 수집하여 마법 상점에 가져가면, 일회용 마법 아이템인 '마법 반지'나 '소환 메달'로 교환할 수 있다.[2] 이 아이템들은 해당 마법을 사용할 때 소모되며, 사용 후에는 다시 마지록으로 변환되어 새로운 주문으로 교환할 기회를 제공한다. 보스를 물리치거나 특정 과제를 완료하면 새로운 종류의 마법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게임 내 각 지역의 이름은 실제 지명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비슷하게 변형하여 붙여진 경우가 많다. 또한, 발명가나 학자 등 일부 등장인물은 실존 인물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RPG 형식의 월드맵 탐험 중에는 적과 마주치지 않으며, 오직 던전 내에서만 적과 조우하게 된다. 던전 안에서는 점프, 대시, 공격, 방어뿐만 아니라 물건을 밀거나 던지는 등의 다양한 액션을 활용하여 적이나 장애물을 극복하고, 각종 수수께끼와 장치를 풀면서 진행해야 한다.
전투나 함정 등으로 인해 HP가 0이 되면 게임 오버 대신, 마지막으로 저장했던 장소에서 다시 시작하게 된다. 이때 스토리 진행 상황이 초기화되지는 않는다.
2. 2. 액션
이 게임은 탑 다운 시점의 세계관을 유지하며, 주인공의 달리기, 점프, 공격 등 다양한 동작 조합을 활용하는 액션 기반의 실시간 전투 시스템을 사용한다.[2] 각 공격은 특정 종류의 적에게 더 효과적일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기술에 따른 큰 차이는 없다. 아크를 향해 날아오는 투사체는 가드 기술(R 버튼)로 막을 수 있지만, 이 가드는 적의 직접적인 근접 공격에는 효과가 없다.[2]
던전 등에서 수행할 수 있는 주요 액션은 다음과 같다. (버튼은 초기 설정을 기준으로 한다)
; 물건 줍고 던지기
: 물건 앞에서 A 버튼을 누르면 물건을 집고, 다시 누르면 던진다. 던진 물건이 적에게 맞으면 피해를 줄 수 있지만, 적에게 부딪히면 들고 있던 물건을 떨어뜨린다.
; 물건 밀기
: 밀고 싶은 물건 앞에서 A 버튼을 누른 상태로 방향키를 조작하면 물건을 밀 수 있다. 단, 한 번에 두 개 이상의 물건을 동시에 밀 수는 없다.
; 노멀 어택
: 가장 기본적인 공격으로, A 버튼을 누르면 발동한다. 전방으로 창을 찌르는 공격이며, 버튼을 연타하면 아래의 러쉬 어택으로 이어진다.
; 러쉬 어택
: A 버튼을 연속으로 누르면 발동하는 연속 공격이다. 제자리에서 창을 빠르게 여러 번 찌르며, 노멀 어택보다 공격 범위가 약간 넓어 조금 더 먼 거리의 적도 공격할 수 있다.
; 미들 슬라이서
: 대시(달리기) 중에 A 버튼을 누르면 발동하는 돌진 공격이다. 창을 앞으로 내지르며 돌진하며, 기술이 발동하는 동안에는 일시적으로 무적 상태가 되어 일부 공격을 피할 수 있다.
; 스핀 어택
: 점프 중에 A 버튼을 누르면 발동하는 공중 공격이다. 공중에서 회전하며 주변을 공격한다. 공격 범위는 짧지만, 자신의 주변을 원형으로 공격할 수 있다.
; 레그 슬라이더
: 대시 → B 버튼(점프) → A 버튼을 순서대로 타이밍에 맞춰 누르면 발동하는 특수 공격이다. 땅에 낮게 엎드린 자세로 미끄러지며 전진하여 적을 발로 걷어찬다. 이 상태에서 A 버튼을 추가로 누르면 미들 슬라이서로 연계할 수 있지만, 버튼 조작이 다소 까다롭다.
; 크로스 가드
: R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발동하는 방어 기술이다. 전방에서 날아오는 투사체(탄환 등)를 막아낼 수 있다. 하지만 적의 몸통 박치기와 같은 직접적인 공격은 막을 수 없다.
2. 3. 마법
프라임 블루(Prime Blue)라고 불리는 푸른 수정을 사용하여 마법의 링을 만들 수 있다. 또한, 타인에게서 힘을 빌리는 마법의 메달을 만드는 데에도 프라임 블루가 필요하다.이 게임에는 마법 포인트가 없으며, 모든 주문은 일회용 아이템 형태로 사용된다.[2] 플레이어는 마지록(Magirock)이라는 아이템을 수집하여 마법 상점에 가져가야 한다. 마법 상점에서는 이 마지록을 마법 반지나 소환 메달로 변환해 준다.[2]
이렇게 만들어진 마법 반지와 소환 메달은 해당 주문을 시전할 때 소모되지만, 사용 후에는 프라임 블루 형태로 남게 된다.[2] 프라임 블루는 소모품이 아니므로, 다시 마법 상점에 가져가 새로운 마법 반지나 소환 메달로 몇 번이고 교환할 수 있다.[2]
보스를 물리치거나 기타 특정 작업을 완료하면 새로운 종류의 마법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2]
3. 줄거리
성경의 창세기에 나오는 천지창조를 모티브로 한 웅장한 스케일의 작품이다.[55] 과거에 멸망한 "지표" 대륙과 문명을 되살리기 위해 지구의 반대편 "지하"에 사는 주인공 아크가 다양한 시대와 장소를 모험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게임에는 신분이나 연령, 생활 환경에 관계없이 많은 커플이 등장하며, 기적적인 우연으로 태어난 소중한 생명에 대한 감사가 근본 주제로 자리 잡고 있다.[55]
3. 1. 배경 설정
《천지창조》의 세계관에서 행성은 외부와 내부 면을 모두 가진 속이 빈 구체로 묘사된다(게임 내 지도는 수학적으로 토러스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3] 지구의 시작부터 외부의 라이트사이드(지상 세계)는 성장을, 내부의 다크사이드(지하 세계)는 쇠퇴를 상징했다.[4] 수십억 년의 시간이 흐르면서 이 두 힘은 각각 신과 악마로 불리게 되었다.[4] 이러한 대립 속에서도 생명은 발전하여 식물, 동물, 인간으로 진화했고 기술과 산업을 통해 문명이 확장되었으나, 신과 악마의 싸움은 더욱 격렬해졌다. 이 갈등은 지상 세계의 남극에서 벌어진 최후의 전투에서 절정에 달했으나, 양측 모두 승리하지 못하고 지상 세계의 대륙은 바다 속으로 가라앉았으며 지하 세계는 봉인되었다.게임의 배경이 되는 세계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지우라 (지하 세계)
: 지구 내부에 존재하는 세계로, 중력은 지표면 방향으로 작용한다. 거대한 결정과 용암 지대가 펼쳐져 있으며, 하늘에는 푸르게 빛나는 가이아 스톤(지우라의 태양)이 떠 있다.
:* '''크리스탈 홀름''': 지우라에 존재하는 유일한 마을이다. 지표 생물의 기억이 담긴 크리스탈 블루(비눗방울 형태)가 하늘을 떠다닌다.
; 지표 (지상 세계)
: 신과 악마의 싸움 이후 모든 대륙이 가라앉고 생물이 멸망하여 황무지가 된 세계이다. 게임의 주인공 아크의 모험을 통해 점차 생명과 문명이 부활하게 된다.
이 게임은 성서의 창세기에 나오는 천지창조 이야기를 모티브로 삼아, 멸망한 지표 세계를 부활시키기 위해 지하 세계의 주인공 아크가 모험하는 웅장한 이야기를 다룬다. 게임 전반에 걸쳐 다양한 환경의 인물들이 등장하며, 생명의 소중함과 기적적인 탄생에 대한 감사를 주제로 삼고 있다.[55] 또한, 게임 내 등장하는 지명 중 일부는 실존하는 도시나 지역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예: 스톡홀름=스웨덴의 스톡홀름, 리오트=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 로우란=과거 중국의 도시 국가이자 鄯|선중국어선국의 수도였던 로란).
3. 2. 구성
; 제1장 여정의 시작: 지하 세계의 유일한 마을인 크리스탈 홀름에 사는 장난꾸러기 소년 아크가 장로의 집 지하에서 판도라의 상자를 열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5] 이 사건으로 마을 사람들은 모두 얼어붙게 되고, 아크는 이들을 구하기 위해 지하 세계에 있는 5개의 탑에 도전하여 시련을 극복하고 지상의 대륙을 부활시켜 나간다. 이 장은 게임의 초반부에 해당하며, 시간 경과에 따른 자동 회복이나 던전 공략 힌트 제공 등 게임의 기본적인 조작과 시스템을 익히는 튜토리얼 성격이 강하다.
; 제2장 세계의 부활
: 장로의 명령으로 지상 세계로 올라간 아크는 생명이 사라진 황폐한 대지에 다시 생명을 불어넣는 임무를 수행한다. 식물의 부활을 시작으로 동물,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류를 부활시키는 과정이 이 장에 포함된다. 게임 시스템적으로는 아이템을 사용해야만 체력 회복이 가능해지고, 제1장과 같은 직접적인 힌트가 거의 제공되지 않아 본격적인 게임 플레이가 시작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 시점까지는 부활시킨 동식물과 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 제3장 천재의 부활
: 부활한 인류 문명의 발전을 돕기 위해 세계 각지를 여행하며 다양한 분야의 천재들을 만나고 기술 교류를 촉진한다. 이 과정에서 아크는 인류의 어두운 면과 여러 음모에 맞서 싸우게 되며, 점차 자신의 여행이 가진 진정한 의미와 자신의 존재에 대한 비밀을 깨닫게 된다. 또한 이전 세계 파괴에서 살아남은 과학자 벨루가를 만나 그의 위험한 사상을 접하게 된다.[6] 게임 전체에서 가장 긴 장이며 이야기의 핵심적인 내용을 다룬다. 복잡한 퍼즐이나 비교적 난이도가 높은 보스 전투가 등장하여 수수께끼 풀이와 액션 요소가 강화된다. 또한, 인류 문명을 발전시키면서 세계 곳곳을 자유롭게 탐험할 수 있게 되고, 마을의 발전도를 확인하는 등 깊이 있는 플레이 요소도 늘어난다. 이 장부터는 동식물과의 대화는 불가능하지만, 제2장에서 이용했던 철새를 통한 이동은 여전히 가능하다.
; 제4장 영웅의 부활
: 운명의 굴레에서 벗어나 '빛과 어둠의 사자'로 다시 태어난 아크는, 비정상적인 세계를 창조하려는 과학자 벨루가와 그 배후의 '어둠의 별'에 맞서 최후의 싸움을 벌인다. 이 장에는 최종 보스와의 전투와 마지막 던전만이 존재하지만, 이야기와 게임 플레이 모두 클라이맥스에 해당한다. 장의 길이는 비교적 짧지만, 제3장과 마찬가지로 세계 각지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4. 등장인물
이 게임에는 지하 세계와 지상 세계를 배경으로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주요 인물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루고 있으며, 여기서는 하위 섹션에 포함되지 않은 일부 등장인물에 대해 설명한다.
- '''무기 (武器|무기jpn)'''
: 판도라의 상자 안에 들어 있던 존재로, '무기'라는 개념 그 자체를 상징한다. 인간이 무기를 손에 넣음으로써 동물을 사냥하고 영역을 넓혔다고 전해진다. 주인공 아크가 손에 들었을 때는 '크리스탈의 창' 형태로 나타났다.
- '''탑의 파수꾼 (塔の番人|탑의 파수꾼jpn)'''
: 지표에서 온 다섯 개의 빛. 검은 망토를 두르고 가면을 쓴 모습을 하고 있다.
4. 1. 지하 세계
"지우라(地裏)"라고 읽으며, 지구 내부에 존재하는 세계이다. 중력은 지표면 쪽을 향하고 있으며, 땅에는 거대한 결정이나 용암 등이 존재한다. 하늘에는 푸르게 빛나는 지하 세계의 태양인 가이아 스톤이 떠 있다.'''크리스탈 홀름'''
지하 세계에 존재하는 유일한 마을이다. 이곳 하늘에는 지표면 생물의 기억이 담긴 비눗방울 같은 '크리스탈 블루'가 떠다닌다.
'''시련의 탑 1-5'''
지하 세계에 총 5개가 존재하는 탑이다. 각 탑은 생물의 생명을 제어하는 힘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는 생물들의 영혼이 마물의 모습으로 헤매고 있다. 최상층에는 대지를 조종하는 공간이 있어, 이곳에 도달하면 지표면에 대륙이 나타나게 된다. 이 탑들 외에도 대륙을 부활시키는 장소가 2곳 더 존재한다.
'''주요 인물'''
- '''지저의 아크 (地裏のアーク|지저의 아크일본어)'''
- * 이야기의 주인공. 장난기 많고 응석받이 같은 성격이다. 판도라의 상자를 열어버린 것을 계기로 천지창조의 사명을 띠게 된다. 그는 다크 가이아가 과거 자신을 쓰러뜨린 영웅의 기억을 바탕으로 크리스탈 블루를 이용해 만든 복제 인간이었으나, 지표의 아크(빛의 사자)의 영혼에 의해 빛의 힘을 얻고, 운명의 굴레를 벗어난 '빛과 어둠의 사자'로 거듭난다. 마을에서는 물에 들어갈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헤엄을 치지 못한다.
- '''지저의 요미 (地裏のヨミ|지저의 요미일본어)'''
- * 분홍색의 기묘한 생물. 판도라의 상자 안에 갇혀 있었으나 아크에 의해 해방된 후, 그의 파트너로서 함께 여행한다. 사실 그는 장로의 부하로서, 아크가 계획대로 천지창조의 사명을 완수하도록 감시하는 역할을 맡고 있었다.
- '''지저의 엘 (地裏のエル|지저의 엘일본어)'''
- * 아크의 소꿉친구로, 마음씨 착한 소녀이다. 마을 최고의 재봉사이기도 하다. 그녀는 영웅과 함께 했던 전생 엘의 복제 인간이며, 아크가 더 이상 필요 없어졌을 때 그를 제거하기 위해 만들어진 존재였다.
- '''장로 (長老|장로일본어)'''
- * 아크의 양아버지이자 크리스탈 홀름의 장로이다. 아크에게 천지창조의 사명을 내린 인물이다. 그의 정체는 다크 가이아이다.
4. 2. 지상 세계
처음에는 육지조차 없었고, 대륙이 나타난 후에도 생물이 멸망한 황무지였지만, 주인공 아크의 손에 의해 차츰 생물이 부활해 간다.- '''유라시아 대륙''' (시련의 탑 1 공략 후에 지도에 나타난다)
- 인더스 강
- 에크루마타
- 라사
- 고비 사막
- 로란
- 타클라마칸 사막
- 루아르 계곡
- 노르페스터의 숲
- 스톡홀름
- 리츠
- 실바인 성
- 윤코우
- 드라군 성
- 그랜드 모스크
- 연구소
- 네오토키오 (신대도(일본 열도))
- 펭귄 랜드 (아이슬란드)
- '''아프리카 대륙''' (시련의 탑 2 공략 후에 지도에 나타난다)
- 사파리엄
- 즈우
- 선진의 계곡
- '''남아메리카 대륙''' (시련의 탑 3 공략 후에 지도에 나타난다)
- 그레이트 클리프
- 생츄어리
- 리오트
- 아스타리카의 제단
- '''북아메리카 대륙''' (시련의 탑 4 공략 후에 지도에 나타난다)
- 프리덤
- 콜로라도 강
- 5대호의 사당
- 인어의 탑
- 니어레이크
-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시련의 탑 5 공략 후에 지도에 나타난다)
- 선코스트
- 에어즈 록
- '''무 대륙''' (시련의 탑 2에서 최북단에 있다)
- '''폴리네시아 제도''' (시련의 탑 5로 가는 도중 던전에 있다)
- '''남극 대륙'''(?)
- 드라이 밸리
; 지표의 아크 地表のアーク일본어
: 빛의 사자. 생전에는 무술에 뛰어난 아스타리카의 소년이었다. 전생의 엘과 함께 아스타리카를 떠나, 빛과 어둠의 힘을 가진 영웅으로서 다크 가이아를 봉인했다. 이후 아스타리카로 돌아가지 않고 남극의 드라이바레에 묻혔다. 지하 세계의 아크는 그의 기억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존재이다.[7]
; 지표의 요미 地表のヨミ일본어
: 지표의 영웅이 사용했던 무기와 방어구가 담긴 상자 안에 들어있던 존재. 영웅을 이끄는 사명을 지녔으며, 지하 세계의 요미처럼 입이 거칠다. 태초에 모든 생물은 요미와 같은 모습이었다고 전해진다.
; 지표의 엘 地表のエル일본어
: 르와르의 공주. 과거의 충격으로 말을 할 수 없게 되었으며, 지하 세계의 엘과 매우 닮았다. 콜럼버스로부터 영웅의 무기를 맡게 된 마을의 유일한 생존자이다. 르와르 왕은 영웅의 무기를 찾기 위해 마을을 습격했고, 살아남은 엘에게서 무기의 행방을 알아내고자 그녀를 양녀로 삼았다.
: 전생에서는 아스타리카의 의식을 통해 불사의 힘을 얻었으나, 마음의 어두운 면이 드러나 부족을 원망하고 동료들을 해쳤다. 이후 지표의 아크와 함께 아스타리카를 떠났다.
; 라 ラー일본어
: 생명의 근원인 거대한 나무. 마물에게 기생당해 힘을 잃어가고 있다. 아크의 도움으로 기생충에게서 벗어나 세계의 식물을 부활시킨다.
; 킹 버드의 왕 キングバードの王일본어
: 새들의 왕.
; 라임 ライム일본어
: 아기 사자. 동물의 왕 네오의 아들이다.
; 쿠마리 クマリ일본어
: 라사를 다스리는 현인신. 전생의 기억을 잃지 않고 윤회를 거듭하며, 아크가 세계를 부활시키는 여정을 돕고 이끈다.
; 메이호우 メイホウ일본어
: 쿠마리의 제자. 과거 '별의 조각'을 찾아 전 세계를 여행했으며, 천리안의 힘으로 아크를 돕는다. 그의 전생은 아스타리카의 신관 메이라이다.
; 메이린 メイリン일본어
: 메이호우의 손녀. 환상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가졌다. 로우란의 전쟁으로 부모를 잃고 개 '터보'와 함께 지낸다. 그녀의 전생은 메이라를 섬기던 신관 메이리아이다.
; 피더 フィーダ일본어
: 엘 공주를 호위하는 여검사. 르와르 왕에게 거두어져 자랐다. 매우 고지식한 성격으로 엘을 지키는 것에 강한 집착을 보인다. 이는 과거 왕의 명령으로 엘의 부모를 자신의 손으로 살해한 것에 대한 속죄의 의미를 지닌다. 전생은 아스타리카의 신관 피라이며, 로이와 연인 사이였다.
; 로이드 ロイド일본어
: 용병. 친구가 벨루가의 부하에게 살해당해 복수를 다짐하고 있다. 겉으로는 냉소적이고 까칠해 보이지만 의리가 두텁다. 전생은 아스타리카의 신관 로이로, 피라와 연인이었으며 전생의 엘에게 인간적인 '사랑'을 보여주었다.
; 콜럼버스 コロンブス일본어
: 뛰어난 항해술로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탐험가. 하지만 귀국 후 스페인 여왕에게 붙잡혀 고문을 당했다. 표면적인 이유는 함께 항해했던 왕자의 죽음 때문이었지만, 실제로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발견한 '영웅의 무기'를 엘의 고향 마을 사람들에게 숨기도록 맡겼기 때문에, 이를 노린 여왕에게 유폐된 것이다.
; 페루루 ペルル일본어
: 프리덤에 사는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소년. 전생은 아스타리카에서 메이라를 섬기던 신관 페라이다.
; 벨루가 ベルーガ일본어
: 천재적인 과학자이지만, 자신에게 필요한 인간만이 살아남아야 한다는 위험한 선민사상을 가지고 있다. 아크가 세계를 부활시키기 이전, 다크 가이아를 따라 세균 병기 '아스모데우스'를 이용해 불필요하다고 판단한 인간들을 대량 학살했다. 이후 대지가 사라지자 콜드 슬립 상태에 들어갔다. 세계 부활 후에는 인공지능 등을 이용해 그랜드 모스크에서 신자를 늘리며 자신의 계획을 진행시키고, 자신을 깨울 존재를 기다렸다. 르와르의 왕, 실바인의 여왕 마리, 드라군 성의 웡 등이 '영웅의 무기'를 노린 것도 그의 계획의 일부였다.
; 다크 가이아 ダークガイア일본어
: 지구가 가진 두 개의 의지 중 하나로, 파괴를 관장하는 지구의 어두운 면이다. 지하 세계를 자신의 영역으로 삼고 있으며, '어둠의 별' 또는 '악마'라고도 불린다. 다크 가이아는 창조와 파괴가 반복되는 순환을 부정하며, 선택받은 자만이 불멸을 누리는 정체된 세계, 이른바 '13시'의 세계를 만들고자 한다. 과거에도 여러 차례 이를 시도했지만 영웅에게 봉인되거나 실패했다. 크리스탈 홀름의 장로의 정체이기도 하다.
; 라이트 가이아 ライトガイア일본어
: 지구가 가진 또 다른 의지. 창조와 발전을 관장하는 지구의 밝은 면이며, 지상 세계를 다스린다. 흔히 '창조신'이라고 불리는 존재이다. 어둠의 가이아에 의해 죽을 위기에 처한 아크를 구하고, 그가 진정한 영웅으로 각성하도록 돕는다.
5. 평가
《천지창조》는 평론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호평을 받았다.[28][30] ''GameFan''의 케이 쿠보키는 이 게임을 퀸텟의 "최고의 (...) 노력"이자 "[슈퍼 패미컴]의 가장 기억에 남는 타이틀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40] 리뷰 애그리게이터 게임랭킹스에서는 7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평균 74.14%의 점수를 기록했다.[28]
일본 게임 잡지 ''패미통''은 40점 만점에 30점을 부여하며 "실버 명예의 전당"에 선정했다.[30] ''패밀리 컴퓨터 매거진''의 독자 투표에서는 30점 만점에 23.3점을 받았다.[41] 퀸텟은 일본 내 판매량이 20만 부에 달했다고 밝혔다.[42] ''The Super Famicom''의 평론가 3명은 100점 만점에 78점을 주었다.[39]
유럽 매체들의 평가도 긍정적이었다. MAN!AC의 로버트 배너트는 매력적인 세계관, 캐릭터, 스테레오 사운드트랙, 맵 디자인, 정교한 컨트롤을 칭찬하며 일본식 액션 어드벤처의 훌륭한 사례라고 평가했다.[33] ''Total!''의 마이클 안톤은 다양한 장소, 사운드트랙, 쉬운 조작성, 흥미로운 줄거리를 장점으로 꼽았으나, 다소 낮은 난이도 등 일부 요소는 비판했다. 그럼에도 액션 어드벤처 팬들에게 추천하며, ''루피아 II: 신들의 부활'' 출시 전까지 즐길 만한 게임이라고 언급했다.[36] ''Computer and Video Games''의 폴 데이비스는 컨트롤, 아트워크, 음악, 연출, 스토리텔링을 높이 평가하며 "강력한 메시지"를 담은 SNES 액션 어드벤처 RPG 라이브러리의 훌륭한 추가 작품이라고 평했다.[29] ''Mega Fun''의 르네 슈나이더는 그래픽, 음악, 컨트롤, 기술적 완성도를 칭찬했지만, 동봉된 공략집이 퍼즐의 재미를 반감시킨다고 지적했다.[34]
''Video Games''의 얀 슈바이니츠는 이 게임을 ''젤다 3''의 "훌륭한 후속작"이라고 평가했다.[37] 스페인의 ''Superjuegos''의 마르코스 가르시아는 《천지창조》를 SNES 최고의 야심 찬 액션 RPG 중 하나로 꼽으며, ''일루전 오브 타임''과 ''시크릿 오브 에버모어''를 능가한다고 말했다. 그는 스페인어 번역, 시각적 품질, 그래픽 효과, 서사적인 사운드트랙을 칭찬했다.[43] ''Hobby Consolas''의 로베르토 로렌테는 액션과 롤플레잉 요소의 조화를 칭찬하며 ''젤다'' 시리즈의 정신을 계승하면서도 이를 뛰어넘었다고 평가했다. 또한 모드 7을 활용한 월드맵, 오디오, 컨트롤, 몰입감 있는 줄거리를 높이 평가했다.[31] ''Nintendo Acción''의 하비에르 아바드는 다양한 풍경, 세심하게 짜인 줄거리와 부가 스토리라인, 자유로운 움직임을 칭찬했지만, 던전 맵 디자인은 비판했다.[38] 1997년 11월, ''Nintendo Acción''은 창간 60호 기념 역대 최고의 게임 순위에서 《천지창조》를 11위로 선정했다.[44] 프랑스의 ''Joypad''의 그레고르 헬롯은 흥미롭고 재미있는 게임이라며 "'젤다' 팬들이 즐거워할 것"이라고 언급했다.[32] ''Player One''의 크리스토프 포티에 역시 훌륭하고 "기술적으로 완벽한" 게임이라고 평가했다.[35] 다만 헬롯과 포티에 모두 프랑스 발매가 늦어진 점을 아쉬워하며 "'파이널 판타지 VII'보다 먼저 나왔어야 했다"고 지적했다.[32][35]
후대의 평가 역시 긍정적이다. 《천지창조》는 동시대 최고의 액션 RPG 중 하나로 꾸준히 언급된다.[45][46] ''RPGFan''의 제레미 탄은 "에닉스가 제작한 최고의 액션 RPG 중 하나"라고 칭하며 빠른 전투, 시각적 연출, 다양한 사운드트랙, 단순한 조작성을 칭찬했지만, 북미 미발매에 아쉬움을 표했다.[47] 1Up.com의 제레미 패리시는 퀸텟의 가장 잘 알려진 슈퍼 패미컴 액션 RPG로 묘사하며 게임플레이, 음악, 심오한 스토리 테마를 높이 평가했다.[48] ''Nintendo Life''의 코비 딜라드는 배우기 쉬운 조작, 그래픽, 감성적인 음악, 웅장한 스케일,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줄거리를 극찬했다.[49] Jeuxvideo.com의 자시는 그래픽 효과가 슈퍼 패미컴 최고 수준이라며 게임성, 플레이 시간, 사운드트랙, 스토리라인을 칭찬했다. 그는 난이도가 일부 플레이어에게는 어려울 수 있지만, "《천지창조》는 의심할 여지 없이 슈퍼 패미컴 시대의 종말을 가장 시적으로 장식한 작품 중 하나"라고 결론지었다.[50]
''RPGamer''의 마이크 모엔케는 일관성 있게 흥미로운 서사, 다양한 장소, 빠른 전투, 뛰어난 시청각 연출을 칭찬했지만, 낮은 난이도와 불필요해 보이는 마법 시스템은 비판했다. 그는 북미 미발매에 의문을 표하면서도 《천지창조》를 "퀸텟의 슈퍼 패미컴에서의 마지막 축제"라고 평가했다.[51] USgamer의 나디아 옥스포드는 에닉스의 북미 지사 폐쇄와 버추얼 콘솔 재발매 부재로 인한 북미 공식 미발매에 실망감을 표하면서도, 게임 음악을 슈퍼 패미컴 최고의 사운드트랙 중 하나로 꼽았다.[52] ''Hardcore Gaming 101''의 데이비드 디리엔조 역시 북미 현지화 부재를 아쉬워했지만, 《천지창조》가 ''소울 블레이저''와 ''가이아 환상기''의 장점을 집대성한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덜 제약적인 디자인, ''젤다'' 스타일의 던전 지도, 개선된 게임플레이 메커니즘, 음악을 칭찬했지만, 일관성 없는 시각적 연출, 번거로운 마법 시스템, 줄거리의 일부 측면은 비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슈퍼 패미컴 최고의 액션 RPG 중 하나라고 결론지었다.[53]
성서의 창세기에 나오는 천지창조를 모티브로 한 웅장한 스케일과, 멸망한 지표 세계를 되살리기 위해 지하 세계의 주인공 아크가 모험하는 이야기는 많은 호평을 받았다. 특히 신분이나 환경에 관계없이 등장하는 다양한 커플과 생명의 소중함이라는 주제 의식이 깊이 있다는 평가가 있다.[55]
일본 발매 당시에는 같은 시기에 출시된 대작 RPG 드래곤 퀘스트 VI 환상의 대지나 크로노 트리거의 그늘에 가려지기도 했지만, 높은 수준의 그래픽, 시나리오, 음악 덕분에 코어 게이머들 사이에서 꾸준히 좋은 평가를 받았다.[56] 앞서 언급했듯, 게임 잡지 ''패미통''의 크로스 리뷰에서는 실버 전당을 획득했다.[66] ''패밀리 컴퓨터 매거진''의 독자 투표 '게임 통신부' 평가는 아래와 같이 총 30점 만점에 23.3점을 기록했다.[67]
항목 | 캐릭터 | 음악 | 구매 가치 | 조작성 | 열중도 | 독창성 | 종합 |
---|---|---|---|---|---|---|---|
득점 | 4.1 | 4.0 | 3.5 | 3.8 | 4.1 | 3.9 | 23.3 |
6. 한국에서의 평가 및 팬덤
에닉스가 현지화 완료 시점에 미국 자회사를 폐쇄하면서 북미 지역에는 정식으로 출시되지 못했다.[48] 이러한 이유로 북미 게이머들에게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 유럽 등 다른 지역에서는 출시되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비록 북미에는 출시되지 않았으나, 《천지창조》는 동시대 최고의 액션 롤플레잉 게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45][46] ''RPGFan''의 제레미 탄은 빠른 전투 시스템, 시각적 연출, 사운드트랙 등을 칭찬하며 "에닉스(Enix)가 제작한 최고의 액션 RPG 게임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47] ''1Up.com''의 제레미 패리시는 게임플레이, 음악, 심오한 스토리 테마를 언급하며 퀸텟의 가장 잘 알려진 슈퍼 패미컴 액션 RPG라고 설명했다.[48] ''닌텐도 라이프''(Nintendo Life)의 코비 딜라드는 쉬운 조작, 그래픽, 감성적인 음악, 웅장한 스케일, 진화하는 플롯을 극찬했다.[49] ''Jeuxvideo.com''의 자시는 그래픽 효과를 슈퍼 패미컴 최고 수준 중 하나로 꼽으며 게임성, 플레이 타임, 사운드트랙, 스토리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50] ''RPGamer''의 마이크 모엔케,[51] ''USgamer''의 나디아 옥스포드,[52] ''하드코어 게이밍 101''(Hardcore Gaming 101)의 데이비드 디리엔조 등 다른 비평가들도 게임의 서사, 전투, 음악 등을 칭찬하며 북미 미출시에 대한 아쉬움을 표하는 동시에, 게임 자체를 명작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53] 이러한 해외에서의 높은 평가는 한국 팬들이 에뮬레이터 등을 통해 게임을 접하고 독특한 세계관과 감동적인 스토리에 깊이 공감하며 명작으로 여기는 배경이 되었다.
2021년 7월에는 게임의 일본 팬들이 주도하여 《천지창조》의 재출시 또는 리마스터를 요구하는 청원을 시작했으며, 이는 아티스트 카무이 후지와라와 공동 작곡가 타카오카 미요코의 지지를 받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개발사인 퀸텟의 권리 상태가 불분명하여 재출시가 복잡할 수 있다는 추측이 제기되기도 했다.[26][27]
참조
[1]
웹사이트
Quintet Game Library
http://www.quintet.c[...]
Quintet
1997
[2]
매뉴얼
Terranigma Instruction Booklet
Nintendo of Europe
1996-12-19
[3]
비디오 게임
Terranigma
Nintendo of Europe
1996-12-19
[4]
비디오 게임
Tenchi Sōzō
Enix Corporation
1995-10-20
[5]
매뉴얼
Terranigma Instruction Booklet
Nintendo of Europe
1996-12-19
[6]
비디오 게임
Terranigma
Nintendo of Europe
1996-12-19
[7]
비디오 게임
Terranigma
Nintendo of Europe
1996-12-19
[8]
웹사이트
Zelda? Nein danke! - Abenteuerliche Alternativen – Seite 5 von 12
https://www.maniac.d[...]
2017-02-21
[9]
인터뷰
Interview to Robert Jerauld, former producer at Enix USA
http://gaming.moe/?p[...]
2014-11
[10]
비디오 게임
Terranigma
Nintendo of Europe
1996-12-19
[11]
비디오 게임
Terranigma
Nintendo of Europe
1996-12-19
[12]
웹사이트
スタッフインタビュー2/サウンド課・曳地(ひきち)正則さんの巻
http://www.quintet.c[...]
Quintet
1997-06-29
[13]
웹사이트
Discography - ▢CUBE在籍時
https://lapin-sound.[...]
2019
[14]
뉴스
Dragon Quest Translation & Localization: Interview With Nob Ogasawara
https://geektogeekme[...]
Geek to Geek Media
2020-10-24
[15]
AV media
ブルートプレス Vol.24
https://www.youtube.[...]
Brut Inc. (Total Amusement Network)
1995-07
[16]
잡지
Japan Now - The Creation of Heaven & Earth
https://archive.org/[...]
Metropolis Media
1995-07
[17]
잡지
News Previews International: Tenchi Sozo
http://download.aban[...]
SUMO Éditions
1995-09
[18]
웹사이트
23 Years On, And We Still Can't Believe This Classic SNES RPG Didn't Get A US Release - Time to celebrate with a new remix album
https://www.nintendo[...]
Nlife Media
2019-12-20
[19]
잡지
Preview - Super Nintendo: Terranigma - Vuelve la "Illusion" a Super Nintendo
https://archive.org/[...]
Hobby Press
1997-03
[20]
잡지
Escape 3 Games - Super Nintendo
https://archive.org/[...]
Média Système Édition
1997-Summer
[21]
잡지
Score Games - Super Nintendo / Megadrive
https://www.abandonw[...]
SUMO Éditions
1997-Summer
[22]
웹사이트
Quintet Goods 攻略本
http://www.quintet.c[...]
Quintet
1997
[23]
웹사이트
Quintet Goods 漫画・小説等
http://www.quintet.c[...]
Quintet
1997
[24]
만화
Terranigma-Comic
https://www.fogu.com[...]
Club Nintendo
1996-11
[25]
웹사이트
KTCR-1344 | Tenchi Souzou Creative Soundtracks
https://vgmdb.net/al[...]
VGMdb
[26]
웹사이트
Some Of The Original Terranigma Team Want To Revive The Classic SNES RPG - Digital re-release or remaster, we don't mind...
https://www.nintendo[...]
Nlife Media
2021-07-22
[27]
웹사이트
Feature: Artist Kamui Fujiwara Talks Terranigma Amid Drive To Resurrect Classic SNES RPG
https://www.nintendo[...]
Nlife Media
2021-08-08
[28]
웹사이트
Terranigma for Super Nintendo
http://www.gameranki[...]
CBS Interactive
2019
[29]
잡지
CVG Review - Terranigma
https://archive.org/[...]
EMAP
1997-02
[30]
잡지
NEW GAMES CROSS REVIEW: 天地創造
https://www.famitsu.[...]
ASCII Corporation
1995-10-27
[31]
잡지
Novedades: Terranigma – El mundo entero está a tus piés
https://retrocdn.net[...]
Hobby Press
1997-04
[32]
잡지
Test - Zapping (Europe): Terranigma
https://archive.org/[...]
Yellow Media
1998-02
[33]
잡지
Test: Terranigma
https://archive.org/[...]
Cybermedia
1996-11
[34]
잡지
Test Super Nintendo: Terranigma
https://archive.org/[...]
Computec
1997-02
[35]
잡지
Tests: Terranigma
https://archive.org/[...]
Média Système Édition
1998-01
[36]
간행물
Test: Terranigma
https://total.bee-wa[...]
X-Plain-Verlag
1997-01
[37]
간행물
Reviews: Neue Romantik - Terranigma
https://archive.org/[...]
Magna Media
1997-02
[38]
간행물
Super Stars: Simplemente, el mejor RPG disponible en castellano - Terranigma
https://archive.org/[...]
Hobby Press
1997-04
[39]
간행물
ザ・テストプレイ - 天地創造
https://archive.org/[...]
SoftBank Creative
1995-10-27
[40]
간행물
Japan Now - Interviews: Quintet (GDNET)
https://archive.org/[...]
Metropolis Media
1997-01
[41]
서적
超絶 大技林 '98年春版: スーパーファミコン - 天地創造
Tokuma Shoten Intermedia
1998-04-15
[42]
웹사이트
Quintet Game Library - 天地創造
http://www.quintet.c[...]
Quintet
2021-04-07
[43]
간행물
Novedades - Super Nuevo: Terranigma
https://archive.org/[...]
Grupo Zeta
1997-03
[44]
간행물
60 juegos que no olvidarás
https://archive.org/[...]
[45]
웹사이트
The Brilliant 16-Bit JRPG About The Death And Rebirth Of The World
https://kotaku.com/t[...]
G/O Media
2020-12-29
[46]
간행물
Judgement Play - Terranigma
Future plc
2011-08
[47]
웹사이트
RPGFan Reviews - Terranigma
https://www.rpgfan.c[...]
RPGFan Media, LLC
2021-04-07
[48]
Podcast
Retronauts Dances on Bubsy's Grave (Mascot characters are gone, but who needs 'em?) - Retronauts Episode 14: Death of the Mascot
http://www.1up.com/n[...]
Ziff Davis
2011-03-08
[49]
웹사이트
Terranigma Review (SNES) - Does the final release in Enix's Gaia Trilogy hold up?
https://www.nintendo[...]
Nlife Media
2021-04-07
[50]
웹사이트
Test de Terranigma sur SNES par jeuxvideo.com
http://www.jeuxvideo[...]
Webedia
2021-04-07
[51]
웹사이트
Terranigma - Staff Retroview: Eartheology
http://www.rpgamer.c[...]
CraveOnline
2021-04-07
[52]
웹사이트
Note Block Beat Box: Listening to Underworld from Terranigma - This elusive Quintet RPG uses its remarkable music to deliver its themes of mystery and unease
https://www.usgamer.[...]
Gamer Network
2021-04-08
[53]
웹사이트
Terranigma
http://www.hardcoreg[...]
2021-04-07
[54]
서적
G-MOOK176 スーパーファミコンパーフェクトカタログ
ジーウォーク
2019-09-28
[55]
서적
週刊ファミコン通信 no.358
株式会社アスキー
1995-10-27
[56]
문서
懐かしスーパーファミコン パーフェクトガイド
https://diapress.jp/[...]
マガジンボックス
2016
[57]
웹사이트
Test du jeu Terranigma sur SNES - jeuxvideo.com
http://www.jeuxvideo[...]
2015-09-04
[58]
웹사이트
Terranigma (SNES) Review - Nintendo Life
http://www.nintendol[...]
2015-09-04
[59]
웹사이트
Le site des anciennes revues informatiques - www.abandonware-magazines.org
http://download.aban[...]
2020-09-13
[60]
웹사이트
Le site des anciennes revues informatiques - www.abandonware-magazines.org
http://download.aban[...]
2020-09-13
[61]
웹사이트
Kultboy.com - DIE Kult-Seite über die alten Spiele-Magazine und Retro-Games!
https://www.kultboy.[...]
2019-04-30
[62]
웹사이트
Terranigma - im Klassik-Test (SNES)
https://www.maniac.d[...]
2019-04-30
[63]
웹사이트
TOTAL! SNES Tests
http://total.bee-war[...]
2015-09-04
[64]
간행물
Super Stars: Terranigma
Hobby Press
1997-04
[65]
웹사이트
Terranigma for SNES (1995)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20-09-13
[66]
웹사이트
天地創造 まとめ
https://www.famitsu.[...]
KADOKAWA CORPORATION
2020-09-13
[67]
간행물
超絶 大技林 '98年春版
徳間書店
1998-04-15
[68]
뉴스
NEW GAMES CROSS REVIEW: 天地創造
Weekly Famicom Tsūshin
1995-10-27
[69]
웹인용
Test du jeu Terranigma sur SNES - jeuxvideo.com
http://www.jeuxvideo[...]
2015-09-04
[70]
웹인용
Terranigma (SNES) Review - Nintendo Life
http://www.nintendol[...]
2015-09-04
[71]
웹인용
Le site des anciennes revues informatiques - www.abandonware-magazines.org
http://download.aban[...]
[72]
웹인용
Le site des anciennes revues informatiques - www.abandonware-magazines.org
http://download.aban[...]
[73]
웹인용
Kultboy.com - DIE Kult-Seite über die alten Spiele-Magazine und Retro-Games!
https://www.kultboy.[...]
2019-04-30
[74]
웹인용
Terranigma - im Klassik-Test (SNES)
https://www.maniac.d[...]
2019-04-30
[75]
웹인용
TOTAL! SNES Tests
http://total.bee-war[...]
2015-09-04
[76]
잡지
Super Stars: Terranigma
Hobby Press
1997-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