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서번티기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서번티기속(Tupaia)은 다람쥐와 유사한 외모와 습성을 가진 포유류로, 길쭉한 주둥이, 발달된 사지, 날카로운 발톱을 가진 발, 털이 많은 꼬리를 특징으로 한다. 이 속에는 북부청서번티기, 줄무늬청서번티기 등 다양한 종이 포함되며, 주로 인도 북동부, 동남아시아 열대 우림에 서식한다. 청서번티기속은 곤충을 주로 먹으며, 일부일처 짝짓기 형태를 보인다. 또한, 영장류와 유사한 점이 많아 인간 의학 연구, 특히 보르나병 바이러스 연구 및 B형 간염과 같은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 연구에 중요한 모델 생물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청서번티기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Tupaia |
명명자 | 래플스, 1821 |
모식종 | Tupaia ferruginea |
모식종 명명자 | 래플스, 1821 |
이명 | Chladobates Schinz, 1824 Cladobates F. Cuvier, 1825 Gladobates Schinz, 1824 Glipora Jentink, 1888 Glirisorex Scudder, 1882 Glisorex Desmarest, 1822 Glisosorex Giebel, 1855 Hylogale Temminck, 1827 Hylogalea Schlegel and Mueller, 1843 Lyonogale Conisbee, 1953 Palaeotupaia Chopra and Vasishat, 1979 Sorex-glis É. Geoffroy and F. Cuvier, 1822 Tana Lyon, 1913 Tapaia Gray, 1860 Tupaja Haeckel, 1866 Tupaya É. Geoffroy and F. Cuvier, 1822 |
분류 및 분류학적 역사 | |
하위 분류 계급 | 종 |
하위 분류 | 텍스트 참조 |
말레이시아어 | |
이름 | tupai |
2. 특징
청서번티기속은 길쭉한 주둥이, 8~10개의 앞니, 잘 발달된 사지를 가지고 있다. 발은 다섯 개의 발가락이 있으며 맨발이고, 돌출된 패드와 날카로운 발톱이 있는 발바닥을 가진다. 다람쥐와 비슷한 습성과 꼬리를 가지고 있다.[2]
디아르와 뒤보셀은 1820년 커먼나무두더지(''Tupaia glis'') 표본을 처음 기술했을 때, 이를 땃쥐속(''Sorex'')의 한 종으로 간주하였다.[5] 과거에는 여러 학자들이 청서번티기를 목 곤충류에 포함시키거나 영장류와 가까운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기도 했다. 그러나 1972년부터 청서번티기과와 털꼬리청서번티기과는 독립된 청서번티기목으로 분류되고 있다.[24][25][26]
1913년 마커스 워드 라이언은 이 속에 대한 개정 연구에서 청서번티기 종이 긴 검은 수염이 없고 귀가 작다는 점을 제외하면 다람쥐와 유사한 외모를 가졌다고 언급했다. 얼굴에는 뚜렷한 무늬가 없으며, 코의 맨살 부분은 미세하게 그물 모양이다. 어깨에는 다소 뚜렷한 사선 줄무늬가 있고, 꼬리는 털이 많지만 뭉쳐 있지는 않다. 뇌두의 크기는 상악골 치열의 길이와 거의 같고, 측두와는 안와보다 작다. 치아 공식은 위쪽 2.1.3.3, 아래쪽 3.1.3.3이다. 위쪽 앞니 첫 번째 쌍은 두 번째 쌍보다 길며, 아래쪽 앞니의 두 번째 쌍은 첫 번째와 세 번째 쌍보다 약간 더 크다. 아래쪽 송곳니는 위쪽 송곳니보다 더 잘 발달되어 있으며 인접한 소구치보다 높이 솟아 있다. 머리, 몸통, 꼬리의 크기는 종에 따라 다양하다.[15]
청서번티기 종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색각 능력이다. 이들은 인간 및 다른 영장류와 유사한 간상체와 원추 세포 시각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4]
3. 분류 및 계통
2011년에는 분자 계통 발생 연구 결과에 따라, 기존에 Urogale 속에 속했던 민다나오청서번티기(''Tupaia everetti'')가 청서번티기속으로 재분류되었고, 이에 따라 Urogale 속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6] 현재 청서번티기속에 속하는 종의 목록은 청서번티기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하위 종
4. 분포 및 서식지
청서번티기 속의 종들은 인도 북동부, 미얀마, 니코바르 제도에서 동쪽으로 일부 필리핀 섬까지, 그리고 중국 중부에서 남쪽으로 자바 섬, 보르네오, 수마트라 및 남서 해안의 섬들에 걸쳐 분포한다. 술라웨시와 자바 섬 동쪽의 섬들에는 서식하지 않지만, 발리에는 서식할 가능성이 있다.[15]
이들은 열대 우림의 빽빽한 덤불에서 서식한다. ''T. minor'' 종을 제외하면 대부분 땅 위에서 생활하는 육상성이며, 주로 숲 바닥의 1.5m 이하 높이에서 먹이를 찾는다. 넓은 도로를 건너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벌목으로 인한 숲의 단편화는 개체군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27]
5. 생태 및 행동
초기 박물학자들은 야생에서 잡힌 사육된 ''Tupaia'' 표본을 관찰한 결과, 이들이 매우 활동적이고 신경질적이며 소리와 움직임에 빠르게 반응한다고 기록했다.[15] 청서번티기속의 청력 민감도는 매우 뛰어나며, 넓은 주파수 범위를 들을 수 있어 초음파 영역까지 감지할 수 있다.[28] 또한 후각도 잘 발달하여 숲 바닥의 낙엽 속에 숨겨진 먹이를 쉽게 찾아낸다. 냄새는 영역을 표시하거나 다른 동종 개체와 소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0][31]
''Tupaia'' 종의 이빨 형태는 이들이 주로 곤충 식성 동물임을 보여준다. 사육 상태에서는 개미, 파리, 귀뚜라미, 메뚜기, 바퀴벌레, 작은 딱정벌레 등을 사냥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먹이를 먹을 때는 뒷다리로 앉아 앞다리로 음식을 잡고 먹으며, 식사 후에는 앞발로 머리와 얼굴을 닦고 입술과 손바닥을 핥는 행동을 보인다. 물을 좋아하여 마시기도 하고 목욕을 즐기기도 한다.[15] 주로 새들이 퍼뜨리는 부드러운 과일도 먹는데, 과육은 삼키지만 섬유질 성분은 소화하지 못하고 배출한다. 이는 창자가 길고 작으며 맹장이 덜 발달했기 때문이다.[29]
자연 상태에서 관찰된 ''Tupaia'' 종은 대개 일부일처 짝짓기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 행동은 종이나 서식지 내 먹이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먹이가 충분할 때는 다른 개체들을 용인하며 영역 다툼을 하지 않지만,[27] 부킷 티마 자연 보호 구역에서 관찰된 일반적인 청서번티기의 경우처럼 먹이가 부족해지면 자신의 영역을 지키기 위해 침입자를 쫓아내기도 한다.[31]
맹금류, 뱀, 작은 육식 동물들이 청서번티기를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사람은 맛이 좋지 않아 청서번티기를 식용으로 삼지 않으며, 해충으로 여기는 경우도 거의 없다.[32]
5. 1. 번식 및 발달
청서번티기속은 생식과 발달 측면에서 영장류보다는 설치류나 다람쥐와 더 유사하다. 비교적 긴 임신 기간을 거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 영장류와 달리, 청서번티기는 일반적으로 두세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임신 기간은 약 45일 정도이다. 암컷 청서번티기는 마른 잎으로 만든 둥지에서 새끼를 낳고, 새끼에게 젖을 주기 위해 가끔 돌아오는 동안 새끼를 혼자 내버려두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upaia''의 부모 보살핌은 비교적 제한적이다.[33]새끼는 평균 33일 동안 둥지에 머물면서 서서히 발달한 후 둥지를 떠난다. ''Tupaia'' 종에서는 10개의 배아 발달 단계가 확인되었다.[34] 새끼 청서번티기는 태어난 지 약 90일이 지나야 성적으로 성숙해진다.[25]
6. 의학 연구에서의 활용
청서번티기속은 영장류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인간 의학 연구에서 중요한 모델 생물로 사용된다. 보르나병 바이러스가 청서번티기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신경계 질환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했다.[35]
청서번티기속 종은 영장류와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면서도 개체 수가 더 많고 더 많은 후손을 낳기 때문에, 인간 의학 연구에 대한 대안 모델로 사용하는 데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성공적인 심리 사회적 연구가 수행되었고, ''Tupaia''의 하위 수컷에서 우울증 환자와 유사한 극적인 행동, 신경 내분비학적, 생리적 변화가 발생했다. 또한, 이들은 바이러스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 B형 간염과 같은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을 연구하는 데 활용하는 것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36] 청서번티기속 종은 인간 생물학 및 질병 기전 연구, 새로운 약물 및 진단 도구 개발에 있어 설치류 모델 사용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최근 연구에서는 감염성, 대사성, 신경학적, 정신과적 질환, 암 등을 연구하는 데 청서번티기를 사용했다.[37]
2013년, 바이러스학 저널은 북부 청서번티기(''T. belangeri'')를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의학적 모델로 사용한 것을 문서화한 논문을 게재했다. 이는 기니피그, 쥐, 생쥐 및 기타 설치류와 같은 다른 가능한 후보들이 특히 임상 증상 및 전염과 관련하여 정보의 공백을 남기는 것과 대조적으로 유리했다. 그러나 ''Tupaia''는 중등도의 전신 및 호흡기 증상뿐만 아니라 호흡기의 병리학적 변화를 나타내어 H1N1 연구에서 유익한 모델로 사용될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38]
참조
[1]
간행물
[2]
논문
Descriptive Catalogue of a Zoological Collection made on account of the Honourable East India Company, in the Island of Sumatra and its Vicinity, under the Direction of Sir Thomas Stamford Raffles, Lieutenant-Governor of Fort Marlborough; with additional Notices illustrative of the Natural History of those Countries.
https://archive.org/[...]
Linnean Society of London
[3]
서적
"A Malay-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Kelly & Walsh Limited, Hongkong, Shanghai and Yokohama
[4]
논문
"Color Vision in the Tree Shrew (Tupaia glis)"
[5]
간행물
"Sur une nouvelle espèce de Sorex — Sorex Glis"
https://books.google[...]
[6]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reeshrews (Mammalia: Scandentia) and the timescale of diversification in Southeast Asia
[7]
서적
"Das peguanische Spitzhörnchen"
https://archiv*e.org[...]
Die Säugethiere in Abbildungen nach der Natur mit Beschreibungen. Supplementband 2. Erlangen: Expedition des Schreber'schen Säugethier- und des Esper'schen Schmetterlingswerkes. Pp. 42–43.
[8]
간행물
"Seventy New Malayan Mammals"
https://archive.org/[...]
[9]
논문
Mammals of Banka, Mendanau, and Billiton Islands, between Sumatra and Borneo
[10]
서적
Tana dorsalis
Handleiding Tot de Beoefening der Dierkunde, Ie Deel. Boekdrukkerij van Nys, Breda. Page 59.
[11]
논문
On some new mammalia from the East-Indian Archipelago
https://archive.org/[...]
[12]
논문
XVII. Descriptive Catalogue of a Zoological Collection, Made on Account of the Honourable East India Company, in the Island of Sumatra and Its Vicinity, under the Direction of Sir Thomas Stamford Raffles, Lieutenant-Governor of Fort Marlborough; with Additional Notices Illustrative of the Natural History of Those Countries
[13]
간행물
"Description of a new Bornean Tupaia"
https://archive.org/[...]
[14]
논문
On some mammals collected by Dr. E. Modigliani in Sipora, Mentawei Islands
[15]
간행물
"Tree shrews: An account of the mammalian family Tupaiidae"
https://archive.org/[...]
[16]
서적
Zoological researches in Java, and the neighbouring islands
https://books.google[...]
Kingsbury, Parbury, & Allen
[17]
간행물
"On some new Bornean Mammalia."
https://archive.org/[...]
[18]
간행물
"Remarks on some Indian and, more especially, Bornean Mammals"
https://archive.org/[...]
[19]
간행물
"Cladobates Nicobaricus"
http://digital.slub-[...]
Reise der österreichischen Fregatte Novara um die Erde. Zoologischer Theil, Band 1 Säugethiere. Wien: Kaiserli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p. 17–19.
[20]
간행물
"On the Palawan Representative of Tupaia ferruginea"
https://archive.org/[...]
[21]
서적
Treeshrews: an account of the mammalian family Tupaiida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2]
간행물
"Notice of a Species of Tupaia from Borneo,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https://archive.org/[...]
[23]
간행물
"Les mammifères du gisement miocène inférieur de Li Mae Long, Thaïlande : systématique, biostratigraphie et paléoenvironnement"
https://sciencepress[...]
2024-03-04
[24]
서적
"The problem of insectivore classification"
Oliver and Boyd, Edinburgh. Pp. 253−265.
[25]
논문
"Reproduction and Ontogeny in tree-shrews (''Tupaia belangeri''), with reference to their general behaviour and taxonomic relationships"
[26]
서적
"Classification of mammals above the species level"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27]
서적
"Tupai: A field study of Bornean treeshrew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os Angeles:
[28]
논문
"Auditory responses in tree shrews and primates"
[29]
논문
"Frugivory in Treeshrews (Tupaia)"
[30]
논문
"The behavior of the moonrat, Echinosorex gymnurus (Erinaceidae) and the pentail shrew,'' Ptilocercus lowi ''(Tupaiidae) with comments on the behavior of other insectivora"
[31]
논문
"Spatial Organization and Territory of Tree Shrews" (Tupaia glis)
[32]
웹사이트
"Tupaia glis"
null
[33]
논문
"Growth and reproductive development in the male treeshrew" (Tupaia belangeri) "from birth to sexual maturity"
[34]
논문
"Implantation, early placentation, and the chronology of embryogenesis in" Tupaia belangeri
[35]
논문
"Behavior Alterations in Tree Shrews Induced by Borna Disease Virus"
[36]
논문
The Tree Shrew: Adjuncts and Alternatives to Primates as Models for Biomedical Research
[37]
논문
Tree shrews under the spot light: emerging model of human diseases
[38]
논문
The tree shrew provides a useful alternative model for the study of influenza H1N1 virus
[39]
간행물
MSW3 Helgen
[40]
저널
Descriptive Catalogue of a Zoological Collection made on account of the Honourable East India Company, in the Island of Sumatra and its Vicinity, under the Direction of Sir Thomas Stamford Raffles, Lieutenant-Governor of Fort Marlborough; with additional Notices illustrative of the Natural History of those Countries.
http://www.archive.o[...]
Linnean Society of London
[41]
서적
A Malay-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Kelly & Walsh Limited, Hongkong, Shanghai and Yokoham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