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방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주방송(CJB)은 1997년 10월 18일 개국한 충청북도의 민영 방송국이다. TV 방송을 시작으로, 2001년 9월 26일 FM 라디오 방송(CJB JOY FM), 2008년 8월 29일 지상파 DMB 방송을 개국했다. SBS와 네트워크 협정을 맺고 있으며, 자체 제작 프로그램도 편성한다. TV 방송은 HLDR-DTV, 라디오 방송은 HLDR-FM의 호출 부호를 사용하며, 지상파 DMB는 TJB와 공동 투자하여 충청권 전역을 방송 권역으로 한다. 본사는 청주시에 위치해 있고, 충주에 본부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주방송 - CJB JOY FM
CJB JOY FM은 CJB청주방송에서 운영하며 충청북도 지역에 FM 주파수로 방송을 송출하는 라디오 채널로, HLDR-FM 호출부호를 사용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충청북도 지상파 방송국 - 대전문화방송
대전문화방송은 대전광역시를 가시청권으로 하는 MBC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4년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여 1971년 대전텔레비전방송을 통합했으며, 현재 TV, 라디오, 지상파 DMB 방송을 송출한다. - 대한민국의 충청북도 지상파 방송국 - MBC충북
MBC충북은 충청북도 지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MBC의 지역 방송국으로, 청주시와 충주시에 방송국을 두고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하며, 대전문화방송과 함께 충청권 지상파 DMB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청주시 - 성무비행장
- 청주시 - 청주서원도서관
청주서원도서관은 2012년 3월 12일에 개관하여 5층 건물에 다목적실, 아동자료실, 종합자료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매주 금요일과 법정 공휴일을 제외하고 운영된다.
청주방송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회사명 | 주식회사 청주방송 |
영문 회사명 | Cheongju Broadcasting Co., Ltd. |
약칭 | CJB |
![]() | |
![]() | |
국가 | 대한민국 |
설립일 | 1997년 2월 27일 |
개국일 (TV) | 1997년 10월 18일 |
개국일 (라디오) | 2001년 9월 26일 |
방송 영역 | 충청북도 |
사업 내용 | 지상파 방송업, 텔레비전 방송업, 라디오 방송업 |
슬로건 | 더 나은 내일 충북의 꿈을 봅니다 |
웹사이트 | 청주방송 |
주소 | |
우편번호 | 361-102(28654) |
본사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운로 59-1 (사직2동 122-1) |
경영진 | |
대표이사 사장 | 이두영 (회장), 신규식 (대표이사 사장) |
재무 정보 | |
자본금 | 280억 원 (2008년 기준) |
자본금 (2014년 기준) | 28,000,000,000원 |
매출액 (2014년 기준) | 15,007,046,225원 |
영업 이익 (2014년 기준) | -147,741,600원 |
순이익 (2014년 기준) | -320,813,042원 |
자산 총액 (2014년 기준) | 45,719,333,545원 |
소유 구조 | |
주요 주주 | 두진건설(주) 30.0% 금성개발 27.8% 테양창업투자 6.0% 대양창업투자 6.0% 대양창업투자 6.0% 대항펄프 4.9% 삼보종합건설 4.2% 서울고속 2.0% 새서울고속 2.0% (주)두진 외 2인 36.22% 깨끗한나라 4.9% 조광피혁 3.0% |
모기업 | 두진건설 |
기타 정보 | |
계열사 | SBS M&C (3대 공동주주) |
직원 수 | 94명 |
라디오 채널 | CJB JOY FM |
2. 연혁
1996년 11월 6일 지역 민영 방송 사업자로 선정된 후, 1997년 2월 17일 주식회사 청주방송이 설립되었다.[1] 1997년 10월 18일 TV 방송을 개국하고, 2001년 9월 26일 FM 라디오 방송(JOY FM)을 개국하였다.[1]
2000년대에는 디지털 TV 방송 및 지상파 DMB 방송을 개국하였고, 2010년대에는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HD 디지털 전환 완료, CJB 미디어 센터 개관 등의 변화가 있었다.
다음은 청주방송의 주요 연혁이다.
연도 | 내용 |
---|---|
2000년 | 7월 6일 제천 용두산 TV 방송 보조국 개국 |
2001년 | 9월 26일 JOY FM 라디오 방송 개국 |
2003년 | 6월 25일 디지털 TV 방송국 허가 |
2005년 | 4월 25일 중국 광서TV와 우호교류약정서 체결[1] |
2005년 | 7월 4일 DTV 방송 개국 |
2006년 | 8월 23일 음성 가엽산 DTV 방송보조국 개국 |
2007년 | 12월 31일 제천 용두산 DTV 방송보조국 개국 |
2008년 | 10월 20일 지상파 DMB 개국 |
2010년 | 11월 3일 단양 두산 DTV 방송 보조국 개국, 단양군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
2011년 | 11월 1일 Joy FM 가엽산 중계소 시험방송 개시 |
2011년 | 11월 28일 음성 가엽산 Joy FM 방송 보조국 개국 |
2011년 | 12월 15일 지상파 DMB 음성 가엽산 중계소 시험 방송 개시 |
2012년 | 1월 3일 음성 가엽산 DMB 방송 보조국 개국 |
2012년 | 2월 15일 제천 용두산 DMB 방송 보조국 개국 |
2012년 | 9월 10일 단양 금수산 DTV 방송 보조국 개국 |
2012년 | 9월 24일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
2012년 | 10월 18일 HD 디지털 전환 완료 |
2013년 | 8월 23일 Joy FM 용두산 중계소 개국 |
2013년 | 10월 14일 옥천 DTV 방송 보조국 개국 |
2013년 | 10월 14일 보은 금적산 DTV 방송 보조국 개국 |
2013년 | 10월 16일, 10월 23일 - 수도권, 강원도, 충청권 디지털 방송 재배치 |
2014년 | 9월 30일 - 청주시 산남동 CJB 미디어 센터 개관 |
2019년 | 11월 1일 - 이성덕 방송 사장 취임 |
2. 1. 1990년대
1996년, 2차 지역 민방 설립을 위해 5개 지역 20개 컨소시엄이 민방 사업자를 신청하였고, 그중 청주지역에서는 두진건설(이두영 회장)이 신청한 SBS(모기업: 태영건설)계 네트워크 민영방송사인 (주)청주방송이 사업자로 선정되어 1997년 2월 17일 회사를 설립하였다.[1]1997년 10월 13일 시험 방송을 시작하여 10월 18일 TV 방송을 개국하면서 청주방송의 방송사가 시작되었다.[1] 1999년에는 충주에 TV 중계소를 세우는 등 방송 가시청 지역을 충북 전역으로 넓혀갔다.[1]
'''1990년대 주요 연혁'''
날짜 | 내용 |
---|---|
1996년 7월 5일 | 지역 민영 TV 방송국 참여 신청 공고 |
1996년 9월 4일 | 사업 계획서 제출 |
1996년 11월 6일 | 지역 민영 방송 사업자로 선정 |
1996년 12월 24일 | 창립 주주총회 개최 |
1996년 12월 26일 | 주식회사 청주방송 설립 등기 |
1997년 2월 17일 | 주식회사 청주방송 설립 |
1997년 5월 20일 | 방송국 가 허가 |
1997년 10월 13일 | TV 시험방송 실시 (Ch 28) |
1997년 10월 18일 | TV 방송 개국(HLDR-TV, Ch 28) |
1997년 10월 24일 | 지배주주 변경 신청 |
1997년 11월 14일 | 공보처, 지배주주 변경 승인 |
1998년 8월 28일 | FM 방송국 허가 추천서 접수 (문화관광부) |
1999년 1월 8일 | FM 방송국 허가 추천 (문화관광부) |
1999년 4월 1일 | 충주 가엽산 TV 방송 보조국 개국 (CH 57) |
2. 2. 2000년대
1997년 TV 방송을 개국한 이후, 1999년 충주, 2000년 제천에 TV 중계소를 설치하여 방송 가시청 지역을 충북 전역으로 넓혀가고 있다.[1]연도 | 내용 |
---|---|
2000년 7월 6일 | 제천 용두산 TV 방송 보조국 개국 |
2001년 9월 26일 | JOY FM 라디오 방송 개국 (HLDR-FM) |
2003년 6월 25일 | 디지털 TV 방송국 허가 |
2005년 4월 25일 | 중국 광서TV와 우호교류약정서 체결[1] |
2005년 7월 4일 | DTV 방송 개국 (HLDR-DTV, 물리채널 48) |
2006년 8월 23일 | 음성 가엽산 DTV 방송보조국 개국 (물리채널 64) |
2007년 12월 31일 | 제천 용두산 DTV 방송보조국 개국 (물리채널 15) |
2008년 10월 20일 | 지상파 DMB 개국 |
2. 3. 2010년대
- 2010년 11월 3일 단양 두산 DTV 방송 보조국 개국, 단양군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 2011년 11월 1일 Joy FM 가엽산 중계소 시험방송 개시
- 2011년 11월 28일 음성 가엽산 Joy FM 방송 보조국 개국
- 2011년 12월 15일 지상파 DMB 음성 가엽산 중계소 시험 방송 개시
- 2012년 1월 3일 음성 가엽산 DMB 방송 보조국 개국
- 2012년 2월 15일 제천 용두산 DMB 방송 보조국 개국
- 2012년 9월 10일 단양 금수산 DTV 방송 보조국 개국
- 2012년 9월 24일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 2012년 10월 18일 HD 디지털 전환 완료
- 2013년 8월 23일 Joy FM 용두산 중계소 개국
- 2013년 10월 14일 옥천 DTV 방송 보조국 개국
- 2013년 10월 14일 보은 금적산 DTV 방송 보조국 개국
- 2013년 10월 16일, 10월 23일 - 수도권, 강원도, 충청권 디지털 방송 재배치.
- 2014년 9월 30일 - 청주시 산남동 CJB 미디어 센터 개관.
- 2019년 11월 1일 - 이성덕 방송 사장 취임.
3. 본사·지사 소재지
청주방송한국어 본사와 충주본부의 소재지는 다음과 같다.
4. TV 방송
1997년 10월 18일 TV 방송을 개국하면서 청주방송의 방송 역사가 시작되었다.[1] 1999년에는 충주, 2000년에는 제천에도 TV 중계소를 설치하여 방송 가시청 지역을 충청북도 전역으로 넓혀갔다.[1]
2005년 6월 1일에는 충북 지역 방송사 최초로 디지털 TV 방송을 개국하였고, 2010년에는 단양군의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사업에 참여하여 단양 지역에 CJB-DTV 방송망을 확장하고 디지털 TV 방송 전환을 이루어냈다.[1]
개국 15주년인 2012년 10월 18일부터 모든 방송을 HD로 전면 전환하여 고화질 TV 방송을 시작하였다.[1] 아날로그 TV 방송은 2012년 9월 24일 오후 2시에 종료되었다.
4. 1. 채널 정보
- 텔레비전
- * 채널 - 49번 (LCN 6-1)
- * 개국 - 1997년 10월 18일
- * 계열 - SBS
- * 호출 부호 - HLDR-DTV
- FM 라디오 (CJB JOY FM)
- * 계열 - SBS 파워FM
- * 호출 부호 - HLDR-FM
4. 2. 프로그램
CJB-TV는 약 28% 가량을 의무적으로 자체 편성하고 있다.[1]4. 2. 1. 방영 프로그램
- CJB 7 뉴스
- CJB 뉴스 (1020)
- CJB 뉴스 (1730)
- CJB 8 뉴스
- CJB 모닝와이드
- CJB 시사공방
- TV를 말하다
- CJB 스페셜
- 안녕하세요. 문화예술 씨!
- 쇼! 뮤직파워
- 전국 톱 10 가요 쇼
- PEOPLE with CJB
4. 2. 2. 종영 프로그램
- TV 닥터 건강 클리닉
- 피플 & 이슈
- 테마 스페셜
- TV여행 아름다운 충북
- 감성이야기 하늘을 거닐다
- 시장에 가자
4. 3. 방송 송출 시설망
CJB-TV는 우암산 송신소를 중심으로 충청북도 전역과 세종특별자치시 일부 지역에 디지털 TV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1]송신소 | UHD | HD | 송신소 위치 | ||
---|---|---|---|---|---|
물리채널 | 출력 | 물리채널 | 출력 | ||
우암산 송신소 | 준비중 | CH 24 | 2kW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4 | |
백곡 소출력 | CH 24 | 0.05W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석현리 | ||
금적산 중계소 | CH 42 | 90W | 충청북도 보은군 삼승면 서원리 산52-2 | ||
옥천 중계소 | CH 50 | 20W | 충청북도 옥천군 동이면 세산리 산23 | ||
가엽산 중계소 | CH 43 | 2kW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산11-4 | ||
중앙탑 소출력 | CH 43 | 0.05W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 ||
용두산 중계소 | CH 15 | 90W | 충청북도 제천시 신월동 산39-30 | ||
단양 중계소 | CH 33 | 90W |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상리 산86-2 금수산 | ||
수산 소출력 | CH 33 | 0.05W |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내리 829 | ||
덕산 소출력 | CH 33 | 0.05W |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도전리 | ||
두산 중계소 | CH 23 | 50W | 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사평리 263-1 | ||
어상천 소출력 | CH 23 | 0.05W | 충청북도 단양군 어상천면 임현리 |
5. 라디오 방송 (CJB JOY FM)
2001년 9월 26일 개국한 CJB JOY FM은 SBS 파워FM과 네트워크 협정을 맺고 있다. 청주 FM 101.5MHz, 충주 FM 97.9MHz, 제천 FM 102.7MHz로 송출된다.[1]
송신소 | 주파수 | 공중선 전력 | 호출 부호 |
---|---|---|---|
우암산 | FM 101.5MHz | 3kW | HLDR-FM |
가엽산 | FM 97.9MHz | 500W | |
용두산 | FM 102.7MHz | 100W |
5. 1. 프로그램
1998년 8월 FM 라디오 방송 허가를 신청하여 1999년 1월 방송을 허가받고 2001년 9월 26일 FM 라디오 방송(CJB JOY FM)을 개국하였다. 개국 후 10년 동안은 청주권에서만 청취할 수 있었으나, 2011년 12월 14일 가엽산에 FM 중계 시설이 준공되어 충주와 음성 등 북부권 지역에서도 청취가 가능해졌다. 2013년 8월 23일에는 제천 용두산에 FM 중계시설이 준공되면서 제천과 단양 지역에서도 방송을 청취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FM 라디오 방송인 JOY FM 1개 채널을 운영중이며, 청주권과 충북 북부 지역, 경기 남동부 일부를 가청권역으로 하고 있다.[1]현재 방영중인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5. 1. 1. 방영 프로그램
5. 1. 2. 종영 프로그램
는 제거되어야 하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한다.CJB JOY FM은 2001년 9월 26일 개국하였으며, 종영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CJB JOY FM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2. 방송 송출 시설망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
우암산 송신소 | FM 101.5㎒ | 3㎾ | HLDR-FM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4 |
가엽산 중계소 | FM 97.9㎒ | 500W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산11-4 | |
용두산 중계소 | FM 102.7㎒ | 100W | 충청북도 제천시 신월동 산39-30 |
CJB JOY FM은 이 방송 송출 시설망을 통해 충청북도 지역과 경기도 남동부 일부 지역에 방송을 송출한다.
6. 지상파 DMB 방송 (TJB u)
대전방송과 공동 투자하여 충청권 전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DMB 서비스를 제공한다.[1]
; TJB u
- 호출 부호: HLDF-TDMB
- 대전방송과 공동 운영.
송신소 | 물리 채널(주파수) | 공중선 전력 |
---|---|---|
식장산 | K-11Cch (202.736MHz) | 2kW |
우암산 | 2kW | |
향적산 | 90W | |
옥마산 | 90W | |
흑성산 | 1kW | |
원효봉 | 1kW | |
가야산 | 2kW | |
용두산 | 90W |
7. 직원 현황
청주방송의 직원 현황은 다음과 같다. 아나운서에는 최지현, 황수동, 연규옥, 정승조(프리랜서), 문다인이 있다.
직책 | 이름 |
---|---|
보도국장 | 김종기 |
취재팀 | |
취재팀장 | 홍우표 |
선임기자 | 채현석 |
취재기자 | 조상우, 조용광, 장원석, 이태현, 박언, 김세희, 이민아, 오윤정 |
보도제작팀 | |
보도제작팀장 | 구준회 |
편집기자 | 박수범, 최병천, 김성은, 조용은 |
영상취재팀 | |
영상취재팀장 | 이천기 |
영상취재기자 | 송신의, 박희성, 김유찬, 김근혁 |
충주취재본부 | |
충주본부장 | 이윤영 |
충주본부 영상취재팀장 | 김준수 |
충주본부 영상취재기자 | 주홍정 |
충주본부 취재기자 | 안정은 |
7. 1. 아나운서
7. 2. 보도국
직책 | 이름 |
---|---|
보도국장 | 김종기 |
취재팀 | |
취재팀장 | 홍우표 |
선임기자 | 채현석 |
취재기자 | 조상우, 조용광, 장원석, 이태현, 박언, 김세희, 이민아, 오윤정 |
보도제작팀 | |
보도제작팀장 | 구준회 |
편집기자 | 박수범, 최병천, 김성은, 조용은 |
영상취재팀 | |
영상취재팀장 | 이천기 |
영상취재기자 | 송신의, 박희성, 김유찬, 김근혁 |
충주취재본부 | |
충주본부장 | 이윤영 |
충주본부 영상취재팀장 | 김준수 |
충주본부 영상취재기자 | 주홍정 |
충주본부 취재기자 | 안정은 |
8. 해외 제휴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