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제천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제천시는 충청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유서 깊은 지역이다. 1106년 감무 설치, 1460년 제천현 설치를 거쳐 1895년 제천군으로 승격되었으며, 1980년 제천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제천군은 제원군으로 개칭되었다가 1995년 제천시와 제천군이 통합되어 현재의 도농복합시 형태를 갖추었다. 한말 의병 운동의 중심지였으며, 특히 제천의병은 유중교와 유인석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활동했다. 지리적으로는 냉대 동계 소우 기후에 속하며, 동쪽은 단양군, 서쪽은 충주시, 남쪽은 문경시, 북쪽은 영월군과 원주시에 접한다. 산업 구조는 3차 산업이 발달하였으며, 농업과 임업, 제조업도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주요 교육기관으로는 세명대학교, 대원대학교, 다솜학교 등이 있으며, 다양한 체육 시설과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자매 도시로는 국내 광명시, 안산시, 서울 동대문구, 서초구, 성북구, 용산구, 함평군, 논산시, 국외 하바롭스크, 스포캔, 두바이, 장수시, 화롄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천시의 행정 구역 - 봉양읍
    봉양읍은 충청북도 제천시에 위치한 읍으로, 조선시대 고제천이라 불리던 곳으로 1917년 봉양면으로 합쳐진 후 1995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농업과 관광 산업이 발전하고 철도와 도로망이 잘 연결되어 있고 문화유산과 관광명소가 있는 지역이다.
  • 제천시 - 백운산 (강원/충북)
    백운산 (강원/충북)은 강원도와 충청북도에 디지털 TV, FM 라디오, 지상파 DMB 방송을 송출하는 주요 송신소로서, 다양한 채널을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정보와 음악,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한다.
  • 제천시 - 지적박물관
    지적박물관은 4개의 전시실을 갖춘 박물관으로, 상명산법, 향토지, 백년사 관련 자료와 한국 최초의 성경인 예수성교 누가복음 젼서 등 다양한 유물을 전시하며, 매주 월요일과 공휴일에는 휴관한다.
  • 충청북도의 도시 - 충주시
    충주시는 충청북도 북부에 위치하며 삼국시대부터 한반도 중부의 거점이었고, 남한강과 충주호, 사과 주산지, 다양한 관광 명소와 축제, 교육기관 및 기업도시를 통해 경제와 산업 발전을 이루는 도시이다.
  • 충청북도의 도시 - 청주시
    청주시는 삼한 시대부터 백제, 신라, 고려를 거치며 역사를 이어왔으며, 1377년 직지심체요절이 간행된 곳이며, 1949년 청주시로 개칭된 후 2014년 청원군과 합병하여 도농복합시를 이루고, 현재 4개의 구로 구성되어 농업, 경공업, 생명과학, 반도체 산업을 영위하며 청주국제공항과 KTX 오송역을 갖춘 도시이다.
제천시
지도
제천 전경
제천 전경
대한민국 내 제천시 위치
대한민국 내 제천시 위치
청풍문화재단지에 있는 한벽루
청풍문화재단지에 있는 한벽루
제천시 지도
제천시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제천시
한글 표기제천시
한자 표기堤川市
로마자 표기Jecheon-si
맥큔-라이샤워 표기Chech'ŏn-si
지역호서
방언충청 방언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1읍 7면 9동
행정 구역 분류 코드33030
인구
총인구129,066명
인구 조사 기준일2024년 9월
남자 인구65,456명
여자 인구64,738명
총인구 (2023년 9월 30일)130,751명
세대수 (2023년 9월 30일)66,347세대
면적
총 면적882.47 km²
면적 (km²)881.27
면적 (km²)883.05
정치
시장김창규(국민의힘)
국회의원엄태영(국민의힘, 제천시·단양군)
시장 (한글)김창규
상징
시목느티나무
시화개나리
시조비둘기
제천시 엠블럼
제천시 엠블럼
제천시 깃발
제천시 깃발
기타
지역 번호(+82) 43-6xx
공식 홈페이지제천시청

2. 역사

제천 지역은 구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한 유서 깊은 곳이다. 송학면 포전리 점말동굴 유적은 남한 최초의 구석기 유적으로 그 가치가 높으며, 도화리, 봉양읍 학산리, 청풍면 황석리 등지에서 발견된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의 흔적을 보여준다.

고구려 시대에는 나토군으로 불렸으며, 신라 경덕왕 때인 757년에는 나제군·청풍현이 되었다. 고려 태조 때인 940년에는 제주(堤州)로 이름이 바뀌었다.

조선 시대인 1460년에는 제천현이 설치되고 현감이 파견되었으며, 이웃한 청풍 지역은 청풍군이 되었다. 1660년에는 청풍군이 현종비 명성왕후 김씨의 관향이라는 이유로 청풍도호부로 승격되기도 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지방 제도가 개편되면서 제천현은 제천군으로, 청풍도호부는 청풍군으로 바뀌어 충주부에 속하게 되었다. 1896년 8월 4일에는 13도제 실시에 따라 충청북도 제천군과 청풍군이 되었다.

일제 강점기인 1914년 4월 1일에는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청풍군이 제천군에 강제 병합되었다. 1940년 11월 1일에는 제천면이 제천읍으로 승격되었다.

1980년 4월 1일 제천읍이 제천시로 승격되면서 제천군은 제원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후 1983년 2월 15일, 1987년 1월 1일, 1989년 1월 1일에 걸쳐 주변 지역들이 제천시에 편입되었다. 1991년 1월 1일 제원군은 다시 제천군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95년 1월 1일 제천시와 제천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형태의 제천시가 되었다. 같은 날 봉양면봉양읍으로 승격되었다.

제천은 한말 의병 항쟁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유중교, 유인석 등 유학자들을 중심으로 제천의병이 조직되어 일제에 맞서 싸웠다. 제천시는 이러한 의병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천의병전시관, 숭의사, 의병기념탑, 자양영당 등을 건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제천 지역에는 구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송학면 포전리 점말동굴과 도화리 고인돌, 봉양읍 학산리 고인돌, 청풍면 황석리 고인돌 등이 이를 뒷받침한다. 특히 송학면 포전리 점말동굴은 남한에서 최초로 확인된 구석기 유적으로, 역사적 가치가 크다.

2. 2. 제천현과 청풍군의 설치

1106년 이 지역에 감무(監務)가 설치되었다.[21] 1460년 제천현(堤川縣)이 설치되고 현감(縣監)이 파견되었다. 이웃한 청풍 지역은 청풍군이 되었다.[21] 1660년 청풍군은 현종비 명성왕후 김씨의 관향이라는 이유로 청풍도호부(淸風都護府)로 승격되었다.[21]

2. 3. 제천군과 청풍군의 변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조선 정부는 지방 제도를 개편하면서 제천현을 제천군으로 승격시키고, 청풍도호부를 청풍군으로 환원하였다. 이로써 충주부 산하에 제천군과 청풍군이 설치되었다.[21] 이는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전국적인 행정 구역 개편 과정에서 이루어진 조치였다.

1896년 8월 4일에는 8도제 시행에 따라 충청북도 제천군과 청풍군으로 개편되었다.[22]

이러한 변화는 조선 후기 중앙 집권화 강화와 지방 통제 체제 정비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이루어졌다. 제천 지역은 전통적으로 교통의 요지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군사적 중요성도 높았다. 제천군으로의 승격은 이러한 지역의 위상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2. 4. 일제강점기와 제천읍 승격

1914년 4월 1일 일제는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청풍군을 제천군에 강제 편입시켰다.[23] 이는 일제가 행정 효율성을 높인다는 명분으로 실시한 조치였지만,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청풍 지역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1940년 11월 1일에는 제천면이 제천읍으로 승격되었다.[24] 이는 제천 지역의 인구 증가와 도시화 진행에 따른 변화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하에서 이루어진 이러한 변화는 한국인의 자발적인 발전이라기보다는 일제의 식민 통치 정책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

2. 5. 제천시 승격과 통합

1980년 4월 1일 제천군 제천읍이 제천시로 승격되고, 제천군은 제원군(堤原郡)으로 개칭되었다.[25] 1983년 2월 15일에는 제원군 금성면 명지리, 강제리, 산곡리와 봉양면 천남리, 왕암리, 신리가 제천시에 편입되었다.[26] 1987년 1월 1일 단양군 어상천면 자작리가,[27] 1989년 1월 1일에는 제원군 금성면 대랑리가 제천시에 편입되었다.

1991년 1월 1일 제원군은 제천군으로 명칭이 환원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제천시와 제천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형태의 제천시가 설치되었고,[28] 봉양면이 봉양읍으로 승격되었다.[29]

2. 6. 제천의병

한말 제천을 중심으로 제천, 청풍, 단양, 영춘 등의 사군(四郡) 지역에서 지리적, 학문적, 혈연적 기반을 둔 의병을 제천의병이라고 부른다. 제천의병은 활동 시기에 따라 영남, 강원, 경기 지역, 더 나아가 서북 지역과 해외까지 그 범위를 넓히기도 했지만, 항상 제천을 근거지로 인식했다.[21] 박정수는 제천을 '의병의 처음이자 마지막인 고장으로,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장병이 제일 많았다'고 평가하며, 호좌의진(湖左義陳)과 이강년에 대한 핵심 자료를 남겼다.

한말 제천의병은 상징적인 존재로서, 유중교와 유인석이 거주하며 제자를 양성한 제천 장담(長潭) 마을(현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이 의병 봉기의 터전이 되었다. 지평의병이 패하고 영월로 후퇴하자, 유인석은 요동행을 포기하고 의병대장으로 추대되어 의진을 수습하고 의병 활동을 전개한 곳이 바로 제천이었다.

제천시는 제천 지역의 숭고한 의병 정신을 계승하고, 한말 및 일제강점기에 치열하게 전개된 항일 투쟁 관련 자료를 한자리에 모아 후손들이 의로운 지역 문화와 전통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1995년 제천의병 창의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제천의병전시관, 숭의사, 의병기념탑, 자양영당, 성재·의암 선생 거택' 등을 건립하여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3. 지리

제천시는 충청북도 북동부에 위치하며, 차령산맥소백산맥 사이에 자리한다. 동쪽으로는 단양군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서쪽으로는 충주시,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문경시, 북쪽으로는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원주시와 접한다.[34] 시의 중앙부에는 청풍호(충주호)가 있고, 남부에는 소백산맥에 속하는 월악산국립공원이 있다.

3. 1. 위치

제천시는 충청북도의 북동부, 차령산맥소백산맥의 중간에 위치한다. 동쪽은 단양군, 서쪽은 충주시, 남쪽은 문경시, 북쪽은 원주시·영월군과 접해 있다.[34] 남쪽과 서쪽은 화강암 지대이나 북동쪽은 석회암 지대로 주요 시멘트 생산 지역 중 하나이다.

동쪽은 충청북도 단양군,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이고, 서쪽은 충청북도 충주시이며, 남쪽은 경상북도 문경시이고, 북쪽은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원주시와 접한다. 시 중앙부는 청풍호(충주호)이고, 남부는 소백산맥에 속하는 월악산국립공원이 있다.

3. 2. 기후

제천시는 냉대 동계 소우 기후(Dwa)이다.[35][36]

제천시 기후 (제천기상관측소, 신월동)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습도 (%)68.164.461.357.062.468.177.676.775.673.070.770.368.8
평균 일조시간 (시간)175.1174.4201.0213.3236.0208.4151.4166.1168.0192.3157.6164.42208.0
평균 일조율 (%)53.653.552.154.852.748.135.943.247.455.850.251.649.5



출처는 기상청이다.[3][4][5]

3. 2. 1. 기온

제천은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를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 가장 내륙에 위치한 도시이기 때문에 일교차가 크고, 겨울 추위가 매섭다. 특히 제천 기상대가 시가지에서 떨어진 교외의 농촌 지역에 위치해 있어 아침, 저녁으로 기온이 낮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혹한기에는 -20°C를 밑도는 일도 드물지 않다.[3][4][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13.620.523.232.233.734.837.539.433.128.324.016.039.4
평균 최고 기온 (°C)1.64.810.818.123.427.128.629.325.119.511.43.717.0
평균 기온 (°C)-4.8-1.93.810.516.220.823.523.818.511.54.4-2.610.3
평균 최저 기온 (°C)-10.8-8.3-2.92.99.215.219.719.813.35.1-1.6-8.34.4
최저 기온 기록 (°C)-27.4-25.9-17.7-8.0-0.54.89.79.90.6-7.2-14.9-24.8-27.4


  • 최고기온 극값: 36.7°C (1994년 7월 22일)[19][20]
  • 최저기온 극값: -27.4°C (1981년 1월 4일)[19][20]

3. 2. 2. 강수량

제천은 7월에 356mm로 강수량이 가장 많고, 1월에 20.3mm로 가장 적다. 강수일수는 7월에 16.7일로 가장 많고, 10월에 5.8일로 가장 적다. 연간 총 강수량은 1359.3mm이다.[3][4][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강수량 (mm)20.3mm32.2mm49.7mm85.1mm96.9mm147.5mm356mm300.9mm145.3mm57.4mm43.4mm24.6mm1359.3mm
강수일수 (≥0.1 mm)6.66.38.28.58.89.716.714.59.65.88.07.2-


3. 2. 3. 습도 및 일조시간

제천은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를 가지고 있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습도 (%)68.164.461.357.062.468.177.676.775.673.070.770.368.8
평균 일조시간 (시간)175.1174.4201.0213.3236.0208.4151.4166.1168.0192.3157.6164.42208.0
평균 일조율 (%)53.653.552.154.852.748.135.943.247.455.850.251.649.5



출처는 한국 기상청이다. (강설 및 일조율 1981~2010)[3][4][5]

3. 3. 지질

제천시는 영남 지괴와 옥천 습곡대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여, 북서부에는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가, 남동부 충주호 주변에는 고생대 조선 누층군옥천 누층군을 포함하는 시대 미상의 퇴적암 지층들이 분포한다.[37]

3. 3. 1. 선캄브리아기 변성암류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류는 제천시 북서부 지역인 백운면박달재 주변에만 분포한다. 박달재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편마암류는, 고개 이름을 따 '''박달재 변성암류'''(PCEggn; Precambrian granitic gneiss)라 불린다. 1967년 제천도폭에서 정의된 이 암석은 제천시 서부 변성암류의 기저를 이루며 박달재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표식적인 발달을 보이므로 박달령 변성암류라고 명명되었다. 본 암석은 조선계 지층보다 하부이기 때문에 선캄브리아기 지층임을 짐작할 수 있으며 중생대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해 있다. 본 변성암류는 호상 화강암질 편마암, 흑운모 반화강암질 편마암, 안구(眼球) 편마암으로 구성된다.[38]

3. 3. 2.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초기 오르도비스기에 형성된 조선 누층군은 제천시 동부 영월군단양군과의 경계 지역과 청풍호 주변에 넓게 분포한다. 제천시에 분포하는 조선 누층군은 대석회암층군 또는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의 일부로서 돌로마이트를 주로 하는 흥월리층과 석회암을 주로 하는 삼태산층으로 구성된다.[1]

금성면 중전리 중앙고속도로 남제천 나들목 남쪽에 드러난 조선 누층군 삼태산층의 노두

3. 3. 3. 옥천 누층군

제천시에는 옥천 누층군창리층, 문주리층, 황강리층조선 누층군석회암이 분포한다.[1]

3. 3. 4. 중생대 화강암

금성면 월림리, 중앙고속도로 제천휴게소 남동측에 드러난 경상계 불국사층군 반상 화강암(os)의 노두


제천시 시내 지역과 금수산, 월악산 주변에는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이 분포한다.

3. 3. 5. 광산과 지하자원

제천시 남부 조선 누층군옥천 누층군에 포함된 비철금속광상을 비롯한 각종 광상(鑛床)은 후기 화성 작용의 영향을 받아 산성 심성암류와의 접촉부에 형성되었다. 대표적인 광상으로는 우석광산, 당두 연-아연 광상, 월악 중석-몰리브데넘광상 등이 있다.[1]

4. 행정 구역

제천시는 1읍 7면 9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천시의 면적, 인구 정보는 하위 섹션("읍면동 현황")에서 상세히 다룬다.[39]

제천시 행정구역도


제천시 중심 시가지 행정구역도

4. 1. 읍면동 현황

제천시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 9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천시의 면적은 883.09km2이며, 2020년 7월 31일을 기준으로 인구는 63,623세대, 133,277명이고 외국인 인구는 1,793명이다.[39]

읍면동한자면적세대인구
봉양읍鳳陽邑144.873,6556,800
금성면錦城面68.481,0481,952
청풍면淸風面91.757651,294
수산면水山面88.891,2332,053
덕산면德山面111.511,7892,227
한수면寒水面75.37400707
백운면白雲面135.141,7783,252
송학면松鶴面72.692,5214,624
교동 (장락동)校洞3.757,70418,889
의림지동義林池洞12.244,1999,965
중앙동中央洞0.973,1175,963
남현동南峴洞0.852,4944,950
영서동榮西洞10.894,95210,313
용두동龍頭洞15.398,64317,968
신백동新百洞34.535,01211,160
청전동靑田洞2.757,84015,742
화산동花山洞13.027,07315,418
제천시堤川市883.0963,623133,277


5. 시청

현재 제천시청은 충청북도 제천시 천남동에 있다.

6. 산업

제천시는 1차·2차 산업에 비해 3차 산업이 크게 발달한 도시이다.[40] 시내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산악 지대로, 농업과 임업에 주로 종사하고 있다. 특히 일교차가 큰 기후를 이용하여 제천시 북부 지역에서는 사과를 널리 재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복숭아인삼 재배 농가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2차 산업은 최근 20년 사이에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데, 여섯 곳의 농공 단지와 두 곳의 산업 단지(제1바이오밸리, 제2바이오밸리)가 조성되어 있으며 3번째 산업단지를 조성 중이다. 제천시에서는 충청북도의 특성화 산업인 바이오 산업과 제천의 한방산업에 맞추어, 왕암동 일대에 조성한 산업 단지를 바이오 산업에 특화하여 2010년과 2018년 국제한방바이오산업엑스포를 개최하였다.

1970년대 철도 교통 관련 산업의 확장과 시멘트 수요 증가, 1990년대 초반 세명대학교 개교 및 규모 확대는 3차 산업 확대를 이끌었다. 청풍벚꽃축제, 제천국제음악영화제, 한방바이오박람회, 겨울왕국제천페스티벌 등 사계절 축제와 의림지, 청풍호, 박달재 등을 연계한 관광 산업 육성은 이러한 추세를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인근 충주시원주시의 기업도시 유치와 맞물려 제천 지역 내 사업체 수는 감소하고 있으며(2002년 10,627개 → 2005년 10,318개), 종사자 수도 동반 축소되어 지역 경제 불황과 인구 감소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2002년부터 2007년 3월까지 인구는 약 7,700명 감소하였다(143,655명 → 135,972명). 인구 정점은 1999년 148,453명, 제천시 승격 이전에는 1976년 170,292명이었다. 이마트, 롯데마트 등 대형 할인 마트와 역전한마음시장, 제천약초시장, 중앙시장, 내토전통시장, 덕산면 전통시장, 동문 전통시장, 박달재 전통시장 등이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6. 1. 산업 구조

제천 지역은 1차·2차 산업에 비해 3차 산업이 크게 발달한 도시이다.[40] 시내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산악 지대로, 농업과 임업에 주로 종사하고 있다. 특히 일교차가 큰 기후를 이용하여 제천시 북부 지역에서는 사과를 널리 재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복숭아인삼 재배 농가도 늘어나는 추세다.

2차 산업은 최근 20년 사이에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데, 여섯 곳의 농공 단지와 두 곳의 산업 단지(제1바이오밸리, 제2바이오밸리)가 조성되어 있으며 3번째 산업단지를 조성 중이다. 제천시에서는 충청북도의 특성화 산업인 바이오 산업과 제천의 한방산업에 맞추어, 왕암동 일대에 조성한 산업 단지를 바이오 산업에 특화하여 2010년과 2018년 국제한방바이오산업엑스포를 개최하였다.

1970년대 철도 교통 관련 산업의 확장과 시멘트 수요 증가에 따른 인구 증가는 3차 산업의 확대를 불러왔고, 이러한 추세는 1990년대 초반에 세명대학교가 개교하고 그 규모가 커짐에 힘입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청풍벚꽃축제, 제천국제음악영화제, 한방바이오박람회, 겨울왕국제천페스티벌 개최 등 사계절 축제와 의림지, 청풍호, 박달재 등을 연계한 관광 산업의 육성은 이러한 추세를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제천 지역은 3차 산업이 상대적으로 발달한 곳으로 특히 인근 충주시원주시의 기업도시 유치와 맞물려 제천 지역 내의 사업체 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사업체 종사자 수도 동반 축소되어 지역경제 불황과 인구 감소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제천시에는 대형 할인 마트로는 이마트롯데마트가 있으며 역전한마음시장, 제천약초시장, 중앙시장, 내토전통시장, 덕산면 전통시장, 동문 전통시장, 박달재 전통시장이 토속 상권을 유지하고 있다.

사업체 수와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사업체 수인구 (명)
1976년-170,292 (제천시 승격 이전 인구 정점)
1999년-148,453 (인구 정점)
2002년10,627개143,655
2003년10,561개-
2004년10,333개-
2005년10,318개-
2007년 3월-135,972


6. 2. 농업 및 임업

제천시는 시내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산악 지대로, 농업과 임업에 주로 종사하고 있다.[40] 특히 일교차가 큰 기후를 이용하여 제천시 북부 지역에서는 사과를 널리 재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복숭아인삼 재배 농가도 늘어나는 추세다.[40]

6. 3. 제조업

제천시는 1차·2차 산업에 비해 3차 산업이 크게 발달한 도시이다.[40] 시내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산악 지대로, 농업과 임업에 주로 종사하고 있다. 특히 일교차가 큰 기후를 이용하여 제천시 북부 지역에서는 사과를 널리 재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복숭아인삼 재배 농가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2차 산업은 최근 20년 사이에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데, 여섯 곳의 농공 단지와 두 곳의 산업 단지(제1바이오밸리, 제2바이오밸리)가 조성되어 있으며, 3번째 산업단지를 조성 중이다. 제천시에서는 충청북도의 특성화 산업인 바이오 산업과 제천의 한방산업에 맞추어, 왕암동 일대에 조성한 산업 단지를 바이오 산업에 특화하여 2010년과 2018년에 국제한방바이오산업엑스포를 개최하였다.

6. 4. 서비스업

제천지역은 1차·2차 산업에 비해 3차 산업이 크게 발달한 도시이다.[40] 1970년대 철도 교통 관련 산업의 확장과 시멘트 수요 증가에 따른 인구 증가는 3차 산업의 확대를 불러왔고, 이러한 추세는 1990년대 초반에 세명대학교가 개교하고 그 규모가 커짐에 힘입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청풍벚꽃축제, 제천국제음악영화제, 한방바이오박람회, 겨울왕국제천페스티벌 개최 등 사계절 축제와 의림지, 청풍호, 박달재 등을 연계한 관광 산업의 육성은 이러한 추세를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제천지역은 3차 산업이 상대적으로 발달한 곳으로, 특히 인근 충주시원주시의 기업도시 유치와 맞물려 제천 지역 내의 사업체 수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2002년 10,627개에서 2003년 10,561개, 2004년 10,333개, 2005년 10,318개로 감소하였다. 사업체 종사자 수도 동반 축소되어 2002년에 비해 1,000여 일자리가 줄어 지역경제 불황과 인구 감소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제천시에는 이마트롯데마트와 같은 대형 할인 마트가 있으며, 역전한마음시장, 제천약초시장, 중앙시장, 내토전통시장, 덕산면 전통시장, 동문 전통시장, 박달재 전통시장 등이 토속 상권을 유지하고 있다.

6. 5. 지역내 총생산

제천시의 2011년 지역 내 총생산은 407.68억으로 충청북도 지역 내 총생산의 4.7%를 차지하고 있다.[41] 산업별 비중은 농림어업(1차 산업) 20.03억(4.2%),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 172.33억(36.14%),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 284.43억(59.65%)이다.[41] 3차 산업 부문에서는 특히 건설업(12.73%), 공공행정(7.44%), 도소매업(6.16%), 운수업(6.15%)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41]

제천지역은 3차 산업이 상대적으로 발달한 곳이나, 인근 충주시원주시의 기업도시 유치와 맞물려 제천 지역 내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사업체 수는 2002년 10,627개에서 2005년 10,318개로, 종사자 수는 2002년 대비 1,000여 명 감소하여 지역 경제 불황과 인구 감소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6. 6. 산업별 종사자 현황

제천시는 3차 산업이 발달한 도시이다. 2014년 기준으로 전체 산업 종사자 수는 51,145명이며, 이 중 85.8%인 43,896명이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42] 이는 충청북도 전체 3차 산업 비중(70.8%)보다 높은 수치이다.[42]

구분종사자 수비중
1차 산업 (농림어업)139명0.3%
2차 산업 (광업 및 제조업)7,110명13.9%
3차 산업 (상업 및 서비스업)43,896명85.8%



3차 산업 중에서는 도소매업(16.0%), 숙박 및 음식점업(13.8%), 건설업(9.4%), 교육서비스업(9.0%)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42]

2000년대 초반, 인근 충주시원주시의 기업도시 유치로 인해 제천시의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02년에 비해 2007년에는 약 1,000여 개의 일자리가 줄어들어 지역 경제 불황과 인구 감소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40]

7. 문화·예술

제천시는 다양한 문화 예술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제천 시민회관에서는 각종 문화행사가 열리고 있으며, 시내에는 문화의 거리도 조성되어 있다.

7. 1. 역사 유적

제천 지역은 선사시대부터 고려·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물과 유적이 많이 남아있다. 학술적으로 중요한 선사시대 유적으로는 송학 포전리 점말동굴, 청풍 황석리 고인돌 등이 있다. 점말동굴은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시대 동굴 유적이다. 청풍 황석리 고인돌에서는 많은 신석기 유물이 출토되었다.[1]

밀양 수산제, 김제 벽골제와 함께 삼한시대의 대표적인 농업 유적으로 꼽히는 의림지는 이 지역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문화재이다. 의림지는 골짜기를 막아 만든 인공 저수지로, 현재도 농업용수 공급과 지역 주민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삼국시대 유적으로는 한수면의 덕주산성이 있다. 덕주산성은 5개의 성벽이 겹겹이 둘러싸인 구조로, 각 성벽의 축조 시기가 달라 시대별 성곽 축조 방식을 잘 보여준다.[1]

제천 지역에는 불교 유적도 많다. 신라 의상이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정방사에는 조성 연대가 정확히 알려진 조선 중기 관음보살상이 있다. 신라 마지막 왕 경순왕의 둘째 아들 덕지 왕자 (또는 덕주공주)가 마의태자 일행과 함께 이곳에 들렀을 때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덕주사한수면에 있다. 덕주사법주사의 말사로, 절벽에는 큰 마애불(보물 제406호)이 조각되어 있다. 이 외에도 사자빈신사지석탑, 청풍 석조여래입상,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 제천 장락리 칠층모전석탑 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1]

가톨릭 유적지로는 한국 천주교회 최초의 신학교 터인 배론성지봉양읍 구학리에 있다.[1]

천연기념물로는 제원 송계리의 망개나무가 있다. 무형 문화유산으로는 제천시 수산면에 수산 오티 별신제가 전해지고 있다.[1]

7. 2. 불교 유적

제천 지역에는 불교 유적이 많다. 특히 신라 의상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정방사에는 조선 중기에 조성된 것으로 연대가 정확히 알려진 관음보살상이 봉안되어 있다. 또한 신라 마지막 왕 경순왕의 둘째 아들 덕지 왕자(또는 덕주공주)가 마의태자 일행과 이곳에 들렀을 때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덕주사가 한수면에 있다. 덕주사법주사의 말사로, 절벽에는 보물 제406호로 지정된 큰 마애불이 조각되어 있다. 이 외에도 사자빈신사지석탑, 청풍 석조여래입상,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 제천 장락리 칠층모전석탑 등은 보물로 지정되었다.

7. 3. 가톨릭 유적

봉양읍 구학리에 한국 천주교회 최초의 신학교 터인 배론성지가 있다.[1]

7. 4. 천연기념물 및 무형문화유산

제천 지역의 천연기념물로는 제원 송계리의 망개나무가 있다.[1]

무형 문화유산으로는 제천시 수산면의 수산 오티 별신제가 전해지고 있다.[2]

8. 체육시설

제천시는 시민들의 체육 활동 증진을 위해 다양한 체육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화산동에는 각종 축제와 시민 경기가 열리는 제천종합운동장이 있다. 제천체육관에서는 수영, 스쿼시, 복싱, 에어로빅, 요가, 골프 등 다양한 스포츠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시민들의 여가 활동을 지원한다.

용두동(하소동), 신백동, 장락동에는 시민체육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신백동에는 장애인을 위한 어울림체육센터가 개관하였다. 이 외에도 배드민턴, 족구, 게이트볼, 궁도, 정구, 산악자전거, 테니스 전용 경기장이 운영 중이다. 공식 축구 경기를 위한 축구센터로는 자원관리센터와 봉양건강축구센터가 있다.

2017년 5월 25일에는 청전동 산 12-9일대에 충북 도내 최초로 방재 기능이 도입된 재해 저감형 다목적 도시공원인 '시민공원'이 개장되었다.[43]

제천시청은 육상, 여자기계체조, 사격, 남자탁구 실업 선수단을 운영하고 있다. 2020년 2월 2일 가가와 마루가메 국제하프마라톤 대회에서 육상 선수단의 최경선 선수가 3위로 골인하며 1시간 8분 35초의 한국 여자 하프마라톤 신기록을 수립했다.[43]

9. 교육

제천시는 조선시대 제천향교, 청풍향교 등의 교육기관이 있었으며, 일제강점기1942년 지역 최초의 현대식 교육기관인 2년제 제천실과여학교 설립 이후 현재까지 다양한 교육기관이 설립되었다.[40]

1942년1943년에 설립된 제천실과여학교와 제천공립농업학교, 1948년 설립된 사립학교인 대제중학교를 비롯한 네 개의 사립학교는 지역 교육, 문화, 경제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40]

2006년에는 교육인적자원부에 의해 평생교육도시로 지정되었고[44], 2010년에 폐교된 한국폴리텍대학은 2012년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기술대안학교인 다솜학교로 개교하여 운영되고 있다.[45]

9. 1. 교육기관

제천시에는 조선시대부터 제천향교, 청풍향교 등의 교육기관이 있었다. 일제강점기1942년에 지역 최초의 현대식 교육기관인 2년제 제천실과여학교가 설립된 이래로 현재까지 1개의 종합대학을 포함하여 전문대학·고등학교·중학교 등 거의 모든 과정의 교육기관이 설립되었다.[40]

1942년1943년에 설립된 제천실과여학교와 제천공립농업학교는 현재까지도 지역 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1948년에 지역 최초로 설립된 사립학교인 대제중학교를 비롯한 네 개의 사립학교도 급속히 성장하여 교육·문화는 물론이고 지역 경제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40]

2007년 현재 이 지역에는 1개의 종합대학교, 1개의 전문대학, 1개의 폴리텍대학, 7개의 고등학교, 13개의 중학교, 24개의 초등학교, 36개의 유치원, 1개의 특수학교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40]

2006년에는 교육인적자원부에 의해 평생교육도시로 지정되었다.[44] 이에 따라 제천시립도서관, 제천학생회관, 세명대학교 평생교육원 등에서는 평생교육 강좌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2010년에 폐교된 한국폴리텍대학 자리에는 2012년에 산업인력공단에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을 위한 기술대안학교인 다솜학교로 개교하여 현재 운영하고 있다.[45]


9. 2. 평생교육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에 의해 평생교육도시로 지정되었다.[44] 이에 따라 제천시립도서관, 제천학생회관, 세명대학교 평생교육원 등에서는 평생교육 강좌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10. 교통

1941년 중앙선 개통 이후 제천시는 충북 북동부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중앙선은 제천시의 서북부와 동부를 가로지르며, 충북선봉양역에서, 태백선제천역에서 시작하여 화물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46]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제천시 동부 지역의 확장에 따라 태백선 제천-입석리 구간을 현재보다 동쪽으로 이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또한 중앙선 수송량 증대를 위해 중앙선 제천 - 도담역 구간의 복선 전철화 공사가 진행 중이며, 중앙선 여객 열차 소요시간 단축을 위해 원주역 - 제천 간 선로 이설 및 복선 전철화, 선형 개량 공사가 실시 설계 중이다. 영주역안동역 방면으로도 복선 개량 전철화가 추진 중이며, 코레일의 한국형 틸팅열차를 도입하여 제천을 거쳐 태백선 지역으로 운행하려는 노력도 진행되고 있다.

제천시의 북부와 남동부를 관통하여 중앙고속도로국도 제5호선원주시단양군을 잇고 있으며, 주요 나들목에는 제천 나들목(옛 서제천 나들목)과 금성면의 남제천 나들목이 있다. 또한 서북부와 동부를 가로지르는 국도 제38호선영월군충주시를 잇는데, 충주 - 제천 - 영월간 4차선 확장 및 선형개량 공사가 완료되어 지역간 교류 증대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평택제천고속도로는 동서고속도로의 한 축으로 2015년 6월 개통되었다.

사방으로 연결된 도로망을 이용해 버스 교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천시외버스터미널제천고속버스터미널 두 개의 터미널이 있으며, 이 외에도 서부동, 하소동, 세명대, 봉양, 학산, 탁사정, 백운 등에 정류장이 있다. 제천과 서울, 대전, 대구 등 대도시를 잇는 시외직행, 시외고속버스가 매일 운행하고 있다.

시내의 버스 교통은 공영 업체인 제천교통제천운수가 맡고 있다. 제천시내와 단양, 주천, 백운, 청풍, 학산, 쌍용 등을 잇는 시내버스가 매일 운행하고 있으며, 단양군의 농어촌버스단양버스가 매포를 거쳐 제천역까지, 충주시의 시내버스삼화버스공사, 충주교통은 송계까지, 원주시의 시내버스동신운수태창운수가 학산면까지 운행하고 있다. 2010년 7월 무임 환승 및 환승 할인제가 시행되었다. 현금을 내거나 회수권을 구입하여 버스에 승차할 수 있으며[48], 충청북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마이비카드, 티머니, 캐시비, 하나로카드 등을 이용해 운임을 지불할 수 있고,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40분 내에 1회에 한정하여 다른 노선으로 갈아탈 수 있다.

10. 1. 철도

1941년 중앙선 개통 이후 제천시는 충북 북동부 철도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중앙선은 제천시의 서북부와 동부를 가로지르며, 충북선봉양역에서, 태백선제천역에서 시작하여 화물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46]

제천시에서 가장 큰 역인 제천역은 영천동에 있으며, 동양 최대의 조차장제천조차장역은 천남동에, 태백선 화물 열차의 주요 출발역이자 도착역인 입석리역은 송학면 시곡리에 있다. 2006년 제천역의 연간 이용객은 1,220,331명으로, 하루 평균 약 3,389명이 이용하였다.[46] 같은 해 제천역의 화물 수송 톤키로는 하행 6,061,229.0톤km, 상행 27,318,032.4톤km였으며, 제천조차장의 화물 수송 톤키로는 하행 1,736,201.0톤km, 상행 36,606,512.5톤km였다.[46]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제천시 동부 지역의 확장에 따라 태백선 제천-입석리 구간을 현재보다 동쪽으로 이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또한 중앙선 수송량 증대를 위해 중앙선 제천 - 도담역 구간의 복선 전철화 공사가 진행 중이며, 중앙선 여객 열차 소요시간 단축을 위해 원주역 - 제천 간 선로 이설 및 복선 전철화, 선형 개량 공사가 실시 설계 중이다. 영주역안동역 방면으로도 복선 개량 전철화가 추진 중이며, 코레일의 한국형 틸팅열차를 도입하여 제천을 거쳐 태백선 지역으로 운행하려는 노력도 진행되고 있다.

서울특별시 청량리역에서 중앙선을 경유하는 열차는 제천역에서 두 갈래로 나뉜다. 제천역은 모든 경유 열차가 정차하며, 청량리역에서 ITX-새마을로는 약 1시간 40분, 무궁화호로는 약 2시간 전후가 소요된다. 여기서 중앙선 안동역 방면 또는 태백선에서 영동선 방면으로 직통한다. 충북선 열차는 모두 제천역까지 운행하며, 경부선 대전역에서 무궁화호가 하루 8회, 서울역에서 무궁화호가 하루 1회 왕복 운행된다. 대전역에서는 약 2시간이 소요된다.

10. 2. 도로

2010년 8월부터 운행되기 시작한 소형 시내버스


제천시의 북부와 남동부를 관통하여 중앙고속도로국도 제5호선원주시단양군을 잇고 있으며, 주요 나들목에는 제천 나들목(옛 서제천 나들목)과 금성면의 남제천 나들목이 있다. 또한 서북부와 동부를 가로지르는 국도 제38호선영월군충주시를 잇는데, 충주 - 제천 - 영월간 4차선 확장 및 선형개량 공사가 완료되어 지역간 교류 증대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평택제천고속도로는 동서고속도로의 한 축으로 2015년 6월 개통되었다.






10. 3. 버스

사방으로 연결된 도로망을 이용해 버스 교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천시외버스터미널제천고속버스터미널 두 개의 터미널이 있으며, 이 외에도 서부동, 하소동, 세명대, 봉양, 학산, 탁사정, 백운 등에 정류장이 있다. 제천시외버스터미널에는 시외버스가 정차하며, 제천고속버스터미널에는 고속버스가 정차한다. 제천과 서울, 대전, 대구 등 대도시를 잇는 시외직행, 시외고속버스가 매일 운행하고 있다. 제천과 서울을 잇는 고속버스의 연간 승차자 수는 269,509명이다.[47]

시내의 버스 교통은 공영 업체인 제천교통제천운수가 맡고 있다. 제천시내와 단양, 주천, 백운, 청풍, 학산, 쌍용 등을 잇는 시내버스가 매일 운행하고 있으며, 단양군의 농어촌버스단양버스가 매포를 거쳐 제천역까지, 충주시의 시내버스삼화버스공사, 충주교통은 송계까지, 원주시의 시내버스동신운수태창운수가 학산면까지 운행하고 있다. 2003년부터 시외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에는 두 자리, 시내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에는 기점과 종점에 따라 세 자리의 노선 번호가 부여되었으나, 2010년 7월 무임 환승 및 환승 할인제가 시행되면서 두 자리 번호의 노선과 세 자리 번호의 노선을 상호 맞교환했다. 현금을 내거나 회수권을 구입하여 버스에 승차할 수 있으며[48], 충청북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마이비카드, 티머니, 캐시비, 하나로카드 등을 이용해 운임을 지불할 수 있고,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40분 내에 1회에 한정하여 다른 노선으로 갈아탈 수 있다. 2010년 8월부터 소형 시내버스현대 카운티 1대를 도입해 운행하고 있다.

11. 주요 기관

12. 자매 도시

제천시는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6]


12. 1. 국내 자매 도시



2006년 이후 국내외 모두 크게 증가하고 있다.

12. 2. 국외 자매 도시



제천시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6]

13. 제천 출신 인물


  • 김소희(김소희|한국어): 태권도 선수이다.
  • 박상하(박상하|한국어): 배구 선수이다.
  • 임성진(임성진|한국어): 배구 선수이다.

13. 1. 운동가 및 정치인


  • 이상규 이상규|李相奎한국어, 운동가, 노동자, 정치인

13. 2. 문화 예술인


  • 엄정화(엄정화|한국어): 가수, 배우, 무용가이다.
  • 정웅인(정웅인|한국어): 배우이다.
  • 이병률(이병률|한국어): 시인, 텔레비전 작가, 수필가이다.
  • 최금진(최금진|한국어): 시인이다.
  • SF9의 휘영(본명: 김영균, 김영균|한국어): 가수, 무용가, 배우, K팝 아이돌이다.
  • 마이크로닷(Microdot|영어): 래퍼로, 산체스와 형제이며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성장했다.
  • 산체스(Sanchez|영어): 래퍼로, 마이크로닷과 형제이며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성장했다.
  • 엄태웅(엄태웅|한국어): 배우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Jecheon (no url provided)
[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4]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1-01
[6] 웹사이트 Sister/Friend city http://www.jecheon.g[...] Jecheon 2020-04-14
[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8] 법률 동해시등시설치와시·군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79-12-29
[9] 법률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10] 법률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1986-12-23
[11]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12] 조례 시조례 제136호 봉양읍 설치에 관한 조례 1995-03-02
[13] 칙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14] 칙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5] 조례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6] 조례 도령 제13호 1929-10-14
[17] 조례 조선총독부령 제221호 1940-10-23
[18] 조례 도령 제36호 1947-01-31
[19]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제천(221)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20]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제천(221)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21]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22]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23]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4]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21호 1940-10-23
[25] 법률 동해시등시설치와시·군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 1979-12-28
[26]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27] 법률 대통령령 제1200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1986-12-23
[28]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29] 법률 시조례 제136호 봉양읍 설치에 관한 조례 1995-03-02
[30] 법률 시조례 제333호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정수조례 1998-09-25
[31] 조례 시조례 제591호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정수조례 2003-07-07
[32] 행정구역변경
[33] 행정구역변경
[34] 웹사이트 http://www.okjc.net/[...] 2007-09-28
[35]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제천(221)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36]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제천(221)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37] 웹인용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8] 웹인용 堤川 地質圖幅說明書 (제천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7
[39] 웹사이트 최근인구현황 - 제천시통계 http://stat.jecheon.[...]
[40] 간행물 제천시통계연보 제천시청 2006
[41] 웹사이트 충청북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42] 웹사이트 충청북도 기본통계 http://kosis.kr/stat[...]
[43] 뉴스 제천 시민공원, 오는 25일 개장 http://www.jbnews.co[...] 2017-12-15
[44] 간행물 06년 25개 평생학습도시 추가 선정 http://www.moe.go.kr[...] 교육인적자원부 2006-04-14
[45] 뉴스 교육전문기업 박문각, 제천에 대학 설립 추진 https://news.naver.c[...] 2017-12-15
[46] 간행물 철도통계연보 http://test.korail.g[...] 한국철도공사 2006
[47] 웹사이트 연도별 노선별 고속버스 수송인원 http://www.bus.or.kr[...]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2006
[48] 기타 2010-05-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