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양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양군은 충청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군으로, 1318년 단산현에서 단양군으로 승격되었다. 1895년 충주부에, 1896년 충청북도에 속하게 되었으며, 1914년 영춘군을 통합하였다. 현재 2읍 6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면적은 780.62km2이다. 백두대간과 남한강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이루며, 단양팔경을 비롯한 다양한 관광 명소와 축제가 열린다. 주요 산업은 상업 및 서비스업이며, 중앙선과 중앙고속도로가 지나 교통이 편리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양군 - 대강면 (단양군)
    충청북도 단양군 중앙부에 위치한 대강면은 1917년 금강면과 대흥면이 합쳐져 설치되었으며 장림리에 면사무소가 있고 18개의 법정리 및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 단양군 - 단양읍
    단양읍은 충청북도 단양군에 위치한 읍으로,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충주댐 건설과 함께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으며, 현재 16개의 법정리와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고 읍 행정복지센터는 별곡리에 있다.
  • 충청북도의 군 - 영동군
    영동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만나는 지점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포도, 감 등의 특산물과 영동난계국악축제로 유명하다.
  • 충청북도의 군 - 괴산군
    괴산군은 충청북도 중앙 만곡부에 위치한 산지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현재의 모습이 갖춰졌으며,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농업, 광업, 제조업 등의 산업과 유기농 농업이 발달했고, 괴산 올갱이 축제와 산막이옛길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단양군의 지리 - 월악산
    월악산은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경계에 위치한 신성한 산으로, 아름다운 경관과 역사적 유적, 충주호 등으로 유명하다.
  • 단양군의 지리 - 충주호
    충주호는 충주댐 건설로 만들어진 인공 호수로, 충주시와 제천시가 호수 명칭을 두고 논쟁 중이며 민간에서는 권역별 명칭이 혼용되고 있다.
단양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단양군
한글 표기단양군
한자 표기丹陽郡
로마자 표기Danyang-gun
위치대한민국 호서 지방
면적780.16 km²
인구 (2024년)27,448명
인구 밀도35명/km²
방언충청 방언
도담삼봉
단양군 휘장
단양군 기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2 읍, 6 면
정치
군수김문근
군수 소속 정당국민의힘
상징
군목주목
군화철쭉
군조까치
기타
공식 웹사이트단양군청 웹사이트

2. 역사

1946년 영춘면 향산리가 가곡면에 편입되었다. 1976년 10월 1일 영춘면에 별방출장소가 설치되었다.[20] 1979년 5월 1일 단양면이 단양읍으로 승격되었고,[21] 1980년 12월 1일 매포면이 매포읍으로 승격되었다.[22]

1985년 6월 1일 단양읍에 구단양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23] 같은 해 7월 15일 충주댐 건설로 구 단양읍이 수몰됨에 따라 군청을 현재의 신 단양읍으로 이전하였다. 이때 매포읍 상진리, 도곡리, 도담리, 별곡리가 단양읍에 편입되었다.[10] 1985년 11월 1일 적성면에 각기출장소가 설치되었다.[24]

1987년 1월 1일 어상천면 자작리가 제천시로, 김산리가 매포읍으로 이관되었다.[25] 1989년 1월 1일 대강면 노동리, 장현리, 마조리, 수촌리, 천동리, 금곡리, 기촌리, 후곡리, 고수리가 단양읍에 편입되었다.[26] 1992년 1월 1일 단양읍 구단양출장소[27]단성면으로 승격되었다.[28][29]

2. 1. 고대 ~ 조선 시대

1318년(고려 충숙왕 5년) 단산현(丹山縣)이 단양군으로 승격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충주부 단양군, 1896년 8월 4일 충청북도 단양군으로 개편되었다.

2. 2.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단양군과 영춘군이 합병되어 '''단양군'''이 되었다.[18] 이때 봉화면, 매포면, 대흥면, 금강면, 어상천면, 적성면, 가곡면, 영춘면, 차의곡면의 9개 면이 설치되었다.

1917년 봉화면이 단양면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대흥면과 금강면이 대강면으로, 차의곡면이 영춘면에 합쳐졌다.[19]

2. 3. 대한민국

3. 지리

단양군의 남한강과 사진 왼쪽 아래의 단양역


충청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단양군은 동쪽으로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서쪽으로 제천시, 남쪽으로 경상북도 예천군문경시, 북쪽으로는 강원도 영월군과 도 경계를 이룬다. 백두대간소백산소백산맥을 따라 군 지역을 북에서 남으로 관류하는 남한강이 어우러져 빚어낸 수려한 자연경관으로 예로부터 명승지로 널리 알려졌다.

중앙고속도로중앙선이 단양군의 중앙부를 남북으로 관통하며, 국도 제5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59호선이 각각 영주시, 제천시, 영월군, 충주시로 연결된다. 단양군의 남동쪽 경계를 이루는 죽령은 예로부터 교통의 요충지로, 중앙선중앙고속도로는 터널로, 국도는 고개로 연결된다.

3. 1. 지형 및 수계

단양군은 면적의 83.7%가 산악 지대이고, 경지 면적은 11.2%이다. 집단 취락 및 도시 지역은 분지와 구릉으로 형성되었으며, 대부분 산악으로 이루어져 험준한 산세를 형성한다. 주 수계는 남한강 상류로서 본 지역을 관통하여(연장 23.7km) 충주호를 형성한다. 오대산에서 발원하는 평창강 등 지류는 소백산에서 발원한 죽령천, 단양천, 금곡천 등과 합류하여 남한강(충주호)으로 유입된다.[3] 학성산(경상북도)에서 발원하는 단양천은 중령에서 발원하여 도솔산을 지나 단양읍 현천리로 흐르는 중령천, 금수산에서 도담으로 흐르는 매포천, 비로봉에서 단양읍 고수리로 흐르는 금곡천과 함께 단성면 하방리에서 남한강과 합류한다.[3]

3. 2. 기후

단양은 냉량하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를 가지고 있다. 내륙 산악 지대에 위치한 이 지역은 기온 변화가 심한 내륙 기후의 전형적인 예이다. 연평균 기온은 11.7°C이며, 최고 기온은 17.9°C, 최저 기온은 6.6°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049.9mm이다.

3. 3. 단양국가지질공원

단양 사인암


단양 지역은 고생대 조선 누층군평안 누층군, 중생대 대동 누층군 반송층군과 화강암, 원생대의 변성암류 등 다양한 암석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도담삼봉, 단양 석문, 단양 고수동굴을 포함한 카르스트 지형, 단양팔경 등 여러 지질유산이 분포하고 있어 지질학적으로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1]

3. 3. 1. 암석

단양군 지역은 다양한 시대의 암석들이 분포하고 있다.

시대암석
중생대대동 누층군 반송층군 (사평리 역암층, 현천리층, 덕천리층), 화강암 (흑운모 화강암, 석영반암)
고생대조선 누층군 태백층군 (장산 규암층, 묘봉층, 풍촌 석회암층, 천동리층, 두무동층, 막동 석회암층, 고성 석회암층),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 (삼방산층, 흥월리층, 삼태산층, 석회암), 평안 누층군 (만항층, 금천층, 장성층, 함백산층, 도사곡층, 고한층, 동고층, 무연탄)
원생대소백산변성암복합체, 흑운모 화강암질 편마암, 페그마타이트질미그마타이트
시대 미상금수산 규암층, 조립각섬암


3. 3. 2. 주요 지질 유산

단양군은 다양한 지질학적 특징을 보여주는 지역으로, 여러 종류의 암석과 지질 유산이 분포하고 있다.

암석 종류내용
중생대
고생대
원생대
시대 미상



주요 지질 유산내용
고생대
중생대


4. 행정 구역

단양군의 행정 구역은 2읍 6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780.62km2이며[30], 2016년 6월 30일 기준 인구는 14,711세대, 30,631명이다. 이 중 35.6%가 단양읍에, 21.1%가 매포읍에 거주하여 읍 지역에 전체 인구의 56.7%가 분포한다. 1970년 단양군의 인구는 92,924명이었다.[31]

단양군 행정구역도


읍면한자면적세대인구
단양읍丹陽邑75.59km24,78810,914
매포읍梅浦邑65.89km22,8356,291
대강면大崗面134.36km21,3792,544
가곡면佳谷面104.49km21,0882,148
영춘면永春面181.68km21,7653,439
어상천면魚上川面73.32km29491,848
적성면赤城面72.27km28461,569
단성면丹城面73.05km21,0611,878
단양군丹陽郡780.62km214,71130,631



읍·면법정리
단양읍구수리, 금곡리, 기촌리, 노동리, 덕상리, 도담리, 도田리, 마조리, 별곡리, 상진리, 수촌리, 심곡리, 장현리, 증도리, 전동리, 현천리, 후곡리
매포읍가평리, 고양리, 금산리, 도곡리, 매포리, 삼곡리, 상괴리, 상시리, 안동리, 영천리, 우덕리, 운실리, 평동리, 하괴리, 하시리
단성면가산리, 고평리, 대섬리, 도항리, 벌천리, 북상리, 북하리, 상방리, 양당리, 외중방리, 장회리, 중방리, 하방리, 회산리
대강면괴평리, 남조리, 남천리, 당동리, 덕촌리, 도음리, 무수천리, 미올리, 방곡리, 사동리, 사인암리, 성금리, 신구리, 울산리, 용부원리, 장림리, 장등리, 직지리, 황정리
가곡면가대리, 대대리, 덕천리, 보발리, 사평리, 어의곡리, 여천리, 향산리
영춘면남천리, 동대리, 만종리, 백사리, 별방리, 사일곡리, 사지원리, 상리, 오사리, 용진리, 유암리, 의풍리, 장발리, 하리
어상천면대田리, 덕문곡리, 방북리, 심곡리, 석교리, 연곡리, 율곡리, 임현리
적성면각기리, 기동리, 대가리, 상리, 상원곡리, 성곡리, 소야리, 애곡리, 파랑리, 하리, 하원곡리, 하진리, 현곡리


5. 산업

2014년 단양군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13,837명으로 충청북도 총 종사자 수의 2.2%를 차지한다. 농림어업(1차 산업)은 40명,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2,370명(17.1%),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1,427명(82.6%)이다. 2차 산업은 충청북도 전체 비중(27.1%)보다 낮고, 3차 산업은 충청북도 전체 비중(72.9%)보다 높다. 3차 산업에서는 건설업(10.3%), 운수업(6.7%), 공공행정(6.1%)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32]

5. 1. 산업 구조

2014년 단양군의 총 종사자 수는 13,837명으로 충청북도 전체 종사자 수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40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2,370명(17.1%),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1,427명(82.6%)이다. 2차 산업은 충청북도 전체 비중(27.1%)보다 낮고, 3차 산업은 충청북도 전체 비중(72.9%)보다 높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건설업(10.3%), 운수업(6.7%), 공공행정(6.1%)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2]

5. 2. 지역 내 총생산

丹陽郡중국어의 2011년 지역 내 총생산은 23.583조으로 충청북도 지역 내 총생산의 2.3%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1.103조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3.181조으로 55.89%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9.298조으로 39.43%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특히 숙박 및 음식업(14.7%), 건설업(10.3%)과 문화 서비스업(10.5%)과 도소매업(10.1%)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3]

5. 3. 지하자원

단양군 적성면 애곡리의 광산 발파작업 안내 표지판 "이 지역은 광산 발파작업 지역으로써 위험 구역이오니 사전허락없이 출입을 금함"

6. 관광

만천하 스카이워크에서 바라본 단양읍 전경.


단양군 시루섬의 기적


단양군은 다양한 문화재와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국보로는 단양 신라 적성비(국보 제198호),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국보 제257호),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4(국보 제279호)가 있다. 보물로는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보물 제405호)이 있으며, 사적으로는 단양 온달산성(사적 제264호), 단양 적성(사적 제265호), 단양 수양개 유적(사적 제398호)이 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07호인 단양향교도 있다.

온달관광지는 역사테마파크이며, 단양팔경과 고수굴, 단양 제2팔경은 명승지로 유명하다.

6. 1. 단양팔경

단양팔경은 단양군에 있는 여덟 곳의 명승지를 말한다. 단양팔경은 도담삼봉, 석문, 구담봉, 옥순봉, 사인암, 하선암, 중선암, 상선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6. 2. 기타 관광지

6. 3. 축제


  • 단양소백산철쭉제: 우리나라 12대 명산 가운데 하나이며 충북 단양의 상징인 소백산과 철쭉을 테마로 하는 축제이다. 소백산 산신제, 가족과 함께하는 소백산 산행 등 산 중심 프로그램과 강변음악회, 철쭉가요제, 전국실버가요제 등 공연 프로그램 외에도 철쭉꽃 분재, 야생화 전시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있다.
  • 단양온달문화축제
  • 금수산감골단풍축제: 테마 단풍길 걷기, 금수산 등산대회, 산신제 재현, 노래자랑 등의 다양한 행사가 있다.

7. 교통

단양군은 중앙선 철도와 중앙고속도로가 지나는 교통의 요지이다. 중앙선에는 삼곡역, 섬탄역, 단양역이 있으며, 중앙고속도로에는 단양 나들목, 단양휴게소, 북단양 나들목이 있다.

7. 1. 철도

중앙선 삼곡역, 섬탄역, 단양역이 있다.

7. 2. 도로

중앙고속도로가 단양군을 지나며, 단양 나들목, 단양휴게소, 북단양 나들목이 있다.

8. 상징

9. 자매 도시

단양군은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1]

국가도시
대한민국한국어서울특별시 송파구, 은평구
대한민국한국어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대한민국한국어인천광역시 계양구
대한민국한국어충청남도 보령시
대한민국한국어경기도 이천시, 구리시
미국영어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뉴욕주 로체스터


9. 1. 국내

9. 2. 국외

참조

[1] 웹사이트 Danyang County mayor https://www.danyang.[...] 2024-01-01 #date 필드에 년도만 있으면 01-01로 설정
[2]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date 필드에 년도만 있으면 01-01로 설정
[3] 웹사이트 Official page of Danyang county http://english.dy21.[...]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5] 간행물 府令第111号 1913-12-29
[6]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第1551号 1917-10-05
[7] 간행물 郡条例第384号 1976-09-13
[8] 간행물 大統領令第9409号,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9] 간행물 大統領令第10050号,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10] 간행물 郡条例第882号 1985-05-24
[11] 간행물 郡条例第904号 1985-10-14
[12] 간행물 大統領令第12007号 1986-12-23
[13] 간행물 郡条例第1108号 1989-12-29
[14] 기타 佳山里、高坪里、大岑里、斗項里、伐川里、北上里、北下里、上坊里、陽堂里、外中坊里、長淮里、中坊里、下坊里、桧山里
[15] 간행물 内務省発表第91-42号 1991-12-14
[16] 간행물 郡条例第1301号 1991-12-31
[17]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8] 간행물 부령 제111호 1913-12-29
[19]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제1551호 1917-10-05
[20] 간행물 군조례 제384호 1976-09-13
[21] 간행물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22] 간행물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23] 간행물 군조례 제882호 1985-05-24
[24] 간행물 군조례 제904호 1985-10-14
[25] 간행물 대통령령 제12007호 1986-12-23
[26] 간행물 군 조례 제1108호 1989-12-29
[27] 기타 북상, 북하, 상방, 중방, 하방, 외중방, 장회, 두항, 고평, 양당, 벌천, 가산, 회산, 대잠리
[28] 간행물 내무부공고 제91-42호 1991-12-14
[29] 간행물 군조례 제1301호 1991-12-31
[30] 서적 2010년 통계연보 토지 및 기후 # 출판사로 간주
[31] 웹사이트 단양군 인구 현황 https://www.danyang.[...] 2017-10-01 #날짜가 월까지만 있으면 01로 설정
[32] 웹사이트 충청북도 기본통계 http://kosis.kr/stat[...]
[33] 웹사이트 충청북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