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성군은 충청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삼국시대부터 음성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1895년 충주부 음성군으로 개편되었고, 이후 충청북도 음성군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2개의 읍(음성읍, 금왕읍)과 7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6년 기준 9만 6천여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주요 산업은 광업 및 제조업이며, 다양한 산업단지와 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교통은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철도(충북선, 중부내륙선)를 통해 연결되며, 교육기관으로는 극동대학교, 강동대학교, 여러 초·중·고등학교가 있다. 주요 출신 인물로는 영화감독 이창동과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이 있으며, 서울 강동구, 동대문구, 송파구, 방글라데시 랑푸르, 미국 샬럿, 중국 태저우시 등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성군 - 한국고용정보원
한국고용정보원은 고용노동부 산하 기관으로, 대한민국의 고용 정책 수립 지원, 고용 정보 제공 및 연구, 워크넷을 통한 취업 지원 서비스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고용 서비스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 음성군 - 음성군의 농어촌버스
음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음성교통이 24대의 버스로 운행하며 단일 운임제를 시행하고, 음성공용버스터미널을 기점으로 음성군과 인접 시·군을 연결하는 노선 체계이다. - 충청북도의 군 - 영동군
영동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만나는 지점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포도, 감 등의 특산물과 영동난계국악축제로 유명하다. - 충청북도의 군 - 괴산군
괴산군은 충청북도 중앙 만곡부에 위치한 산지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현재의 모습이 갖춰졌으며,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농업, 광업, 제조업 등의 산업과 유기농 농업이 발달했고, 괴산 올갱이 축제와 산막이옛길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1895년 설치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895년 설치 - 의령군
의령군은 경상남도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남강을 접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에는 임례국이 있었고, 곽재우 의병의 기원이자,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의 출신지이다.
음성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음성군 |
한자 표기 | 陰城郡 |
로마자 표기 | Eumseong-gun |
유형 | 군 |
지역 | 호서 |
방언 | 충청 |
행정 | |
하위 행정 구역 | 2 읍 7 면 |
군수 | 조병옥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임호선 (더불어민주당, 증평군·진천군·음성군) |
군청 소재지 | 음성읍 중앙로 173 (읍내리 621-1) |
면적 및 인구 | |
면적 | 520.12 km² |
총 인구 (2024년) | 90,377명 |
인구 밀도 | 69명/km² |
세대 (2021년) | 47,431 |
상징 | |
군목 | 은행나무 |
군화 | 개나리 |
군조 | 까치 |
기타 | |
공식 웹사이트 | 음성군청 |
행정 구역 분류 코드 | 33370 |
2. 역사
음성군은 조선시대에는 충주부에 속해 있었다. 1895년(음력 윤5월 1일) 6월 23일에 충주부 음성군으로 개편[15]되었고, 1896년 8월 4일에 충청북도 음성군이 되었다.
1906년 9월 24일에는 충주군 금목면, 법왕면, 천기면, 지내면, 두의면, 대조면, 사다면, 소탄면, 감미면, 거곡면, 맹동면, 생동면, 무극면을 편입하였다.[16] 1914년 4월 1일에는 일제에 의해 시행된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충주군 소파면, 사이면을 병합하여 9개 면(군내면, 금왕면,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대소면, 삼성면, 생극면, 감곡면)으로 구성되었다.[17] 1917년 10월 1일 군내면이 음성면으로 개칭되었다.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음성군 동도면, 근서면 | 군내면 |
음성군 원서면, 남면 | 원남면 |
음성군 금목면, 법왕면 | 금왕면 |
음성군 천기면, 지내면, 두의면 | 삼성면 |
음성군 대조면, 사다면, 소탄면 | 대소면 |
음성군 감미면, 거곡면 | 감곡면 |
음성군 맹동면 | 맹동면 |
음성군 생동면, 무극면 | 생극면 |
충주군 소파면, 사이면 | 소이면 |
1956년 7월 8일 음성면이 음성읍으로 승격[18]되었고, 1973년 7월 1일 금왕면이 금왕읍으로 승격[19]되면서 음성군은 2읍 7면 체제가 되었다.
2014년 8월 16일, 맹동면 두성리·신둔리 일부가 진천군 덕산면에, 진천군 덕산면 두촌리·석장리·옥동리 각 일부가 맹동면에 편입되는 행정구역 조정이 있었다.
2. 1. 삼국시대 ~ 조선시대
삼국사기한국어에 따르면, 음성군은 경덕왕 때부터 사용되었다.[8] 역사적으로 '음성' 지역은 현재의 음성읍과 원남면 지역으로 한정되었으며, 다른 모든 읍면리는 충주시 지역이었다.- 1895년 5월 26일: 충주부 음성군으로 개편.[8]
- 1906년: 충주군 금목면·법왕면·천기면·두의곡면·생동면·감미곡면·거곡면[9]을 편입.[10]
- 1914년 4월 1일: 군면병합으로 충주군의 일부(소파면·사이면)를 편입하여 음성군에 군내면, 금왕면,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대소면, 삼성면, 생극면, 감곡면 (9면)이 설치되었다.[11]
- 1917년 10월 1일: 군내면이 음성면으로 개칭.
2. 2. 근대
- 1895년(음력 윤5월 1일) 6월 23일 충주부 음성군으로 개편되었다.[15]
- 1896년 8월 4일 충청북도 음성군으로 개편되었다.
- 1906년 9월 24일 충주군 금목면, 법왕면, 천기면, 지내면, 두의면, 대조면, 사다면, 소탄면, 감미면, 거곡면, 맹동면, 생동면, 무극면을 편입하였다.[16]
- 1914년 4월 1일 충주군 소파면, 사이면을 병합하여 9면으로 개편하였다.[17]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음성군 동도면, 근서면 | 군내면 |
음성군 원서면, 남면 | 원남면 |
음성군 금목면, 법왕면 | 금왕면 |
음성군 천기면, 지내면, 두의면 | 삼성면 |
음성군 대조면, 사다면, 소탄면 | 대소면 |
음성군 감미면, 거곡면 | 감곡면 |
음성군 맹동면 | 맹동면 |
음성군 생동면, 무극면 | 생극면 |
충주군 소파면, 사이면 | 소이면 |
- 1917년 10월 1일 군내면을 음성면으로 개칭하였다.
2. 3. 현대
1956년 7월 8일 음성면이 음성읍으로 승격되었다.[18] 1973년 7월 1일에는 금왕면이 금왕읍으로 승격되었고, 생극면 도신리 일부가 금왕읍으로 편입되었다.[19] 같은 날, 충주시 신니면 광월리 일부는 음성읍으로, 괴산군 불정면 문등리는 소이면으로 각각 편입되었다.[19]음성군은 2개의 읍과 7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3년 3월 31일 기준 외국인을 포함한 총 인구는 98,619명이다.[3] 중심 읍은 금왕읍(무극이라고도 불림)이다.
행정구역 | 한글 | 한자 | 면적 (km2) | 세대수 | 인구 |
---|---|---|---|---|---|
음성읍 | 음성읍 | 陰城邑 | 86km2 | 7,814 | 19,002 |
금왕읍 | 금왕읍 | 金旺邑 | 71km2 | 8,839 | 22,602 |
소이면 | 소이면 | 蘇伊面 | 49km2 | 1,545 | 3,302 |
원남면 | 원남면 | 遠南面 | 65km2 | 1,548 | 3,286 |
맹동면 | 맹동면 | 孟洞面 | 35km2 | 1,676 | 5,604 |
대소면 | 대소면 | 大所面 | 38km2 | 7,192 | 18,731 |
삼성면 | 삼성면 | 三成面 | 51km2 | 3,902 | 9,410 |
생극면 | 생극면 | 笙極面 | 56km2 | 2,228 | 5,252 |
감곡면 | 감곡면 | 甘谷面 | 69km2 | 5,002 | 11,430 |
합계 | 520km2 | 39,746 | 98,619 | ||
1956년 음성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1973년에는 금왕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6] 역사적으로 '음성' 지역은 현재의 음성읍과 원남면 지역으로 한정되었으며, 다른 모든 읍면은 충주시 지역이었다.
음성군에는 많은 농민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봄에는 품바축제, 가을에는 고추축제 등 두 개의 문화 축제가 열린다. 음성은 고품질의 붉은 고추 생산으로 한국에서 유명하며, 딸기, 인삼, 수박, 쇠고기로도 알려져 있다.
음성군에는 음성고등학교(음성읍), 충북반도체고등학교(금왕읍), 매괴고등학교(감곡면) 등 세 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매괴고등학교는 가파른 언덕 아래 예수상 아래 위치한 여자 중학교이자 남녀 공학 고등학교이다. 또한, 영어 사용 기독교 기숙학교인 GVCS가 음성읍에 있다.
음성군에는 극동대학교(감곡면)와 강동대학교라는 두 개의 대학교가 있다.[4] 극동대학교는 4년제, 강동대학교는 2년제 대학교이다.
진천군과 충북혁신도시는 서로에게 이끌리는 측면이 있지만, 도시로 먼저 개발되는 지역에 인프라가 집중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어 충북혁신도시의 주도권을 놓고 경쟁하고 있다.
3. 행정 구역
3. 1. 읍/면 정보
음성군은 2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520.40km2이다. 2016년 2월 29일을 기준으로 주민등록 인구는 43,686세대, 96,777명이다. 1968년 122,288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감소하여 1990년 74,717명으로 최저를 기록했지만, 이후 9만 명을 회복하였다.[20] 군청 소재지인 음성읍보다 금왕읍에 더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금왕읍은 산맥을 기준으로 음성분지와 생활권이 단절되어 있다. 감곡면은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과 한생활권을 이룬다. 공장이 많기 때문에 남녀 성비는 1.1로 충청북도에서 제일 높은 수준이다.
읍·면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행정지도 |
---|---|---|---|---|---|
음성읍 | 陰城邑 | 86.42 | 8,148 | 18,411 | ![]() |
금왕읍 | 金旺邑 | 71.34 | 9,707 | 21,549 | |
소이면 | 蘇伊面 | 48.9 | 1,557 | 3,113 | |
원남면 | 遠南面 | 64.77 | 1,609 | 3,080 | |
맹동면 | 孟洞面 | 34.69 | 3,155 | 9,123 | |
대소면 | 大所面 | 38.17 | 7,187 | 16,648 | |
삼성면 | 三成面 | 50.59 | 3,989 | 8,093 | |
생극면 | 笙極面 | 56.04 | 2,306 | 4,780 | |
감곡면 | 甘谷面 | 69.48 | 5,092 | 10,946 | |
음성군 | 陰城郡 | 520.40 | 43,686 | 96,777 |
읍·면 | 법정리 |
---|---|
음성읍 | 감우리, 동음리, 사정리, 삼생리, 석인리, 소여리, 신천리, 용산리, 읍내리, 초천리, 평곡리, 한벌리 |
금왕읍 | 무극리, 금석리, 정생리, 육령리, 백야리, 용계리, 봉곡리, 유촌리, 신평리, 본대리, 내곡리, 사창리, 구계리, 호산리, 쌍봉리, 유포리, 오선리, 도청리, 내송리, 각회리, 삼봉리, 행제리 |
소이면 | 갑산리, 금고리, 대장리, 문등리, 봉전리, 비산리, 중동리, 충도리, 후미리 |
원남면 | 하당리, 하로리, 조촌리, 상로리, 상당리, 구안리, 덕정리, 마송리, 문암리, 부룡리, 부천리, 삼룡리, 주봉리 |
맹동면 | 쌍정리, 인곡리, 마산리, 봉현리, 용촌리, 신둔리, 본성리, 두성리, 동성리, 통동리, 군자리 |
대소면 | 내산리, 대풍리, 미곡리, 부윤리, 삼일리, 삼호리, 성본리, 소석리, 수대리, 오류리, 오산리, 태생리 |
삼성면 | 능산리, 대사리, 대야리, 대정리, 덕정리, 상곡리, 선정리, 양덕리, 용대리, 용성리, 천평리, 청룡리 |
생극면 | 관성리, 도신리, 방축리, 병암리, 생리, 송곡리, 신양리, 오생리, 임곡리, 차곡리, 차평리, 팔성리 |
감곡면 | 문촌리, 사곡리, 상우리, 상평리, 단평리, 령산리, 오궁리, 오행리, 왕장리, 원당리, 월정리, 주천리 |
4. 군청
현재 음성군청은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 있다.
5. 교통
음성군은 철도와 도로 교통망이 잘 발달되어 있다.
충북선과 중부내륙선이 지나며, 충북선에는 음성역, 보천역, 소이역이 있고, 중부내륙선에는 감곡장호원역이 있다.
중부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가 지난다.
음성군을 지나는 국도는 다음과 같다.
노선 번호 | 이름 | 기점 | 종점 |
---|---|---|---|
국도 제3호선 | 남해 ~ 초산선 | 경상남도 남해군 | 평안북도 초산군 |
국도 제17호선 | 양지 ~ 담양선 | 경기도 용인시 양지동 | 전라남도 담양군 |
국도 제21호선 | 장항 ~ 장성선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 전라남도 장성군 |
국도 제36호선 | 보령 ~ 울진선 | 충청남도 보령시 | 경상북도 울진군 |
국도 제37호선 | 거창 ~ 파주선 | 경상남도 거창군 | 경기도 파주시 |
국도 제38호선 | 서산 ~ 동해선 | 충청남도 서산시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
5. 1. 철도
음성군에는 충북선과 중부내륙선이 지난다. 충북선에는 음성역(보통역), 보천역, 소이역(무인역)이 있다. 중부내륙선에는 감곡장호원역이 있다.5. 2. 고속도로
5. 3. 국도 및 지방도
음성군을 지나는 국도는 다음과 같다.노선 번호 | 이름 | 기점 | 종점 |
---|---|---|---|
국도 제3호선 | 남해 ~ 초산선 | 경상남도 남해군 | 평안북도 초산군 |
국도 제17호선 | 양지 ~ 담양선 | 경기도 용인시 양지동 | 전라남도 담양군 |
국도 제21호선 | 장항 ~ 장성선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 전라남도 장성군 |
국도 제36호선 | 보령 ~ 울진선 | 충청남도 보령시 | 경상북도 울진군 |
국도 제37호선 | 거창 ~ 파주선 | 경상남도 거창군 | 경기도 파주시 |
국도 제38호선 | 서산 ~ 동해선 | 충청남도 서산시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
6. 산업
2010년 기준으로 음성군에는 1,780여 개의 기업체가 등록되어 있어, 충청북도에서 가장 많은 기업체가 입주해 있다.[21]
6. 1. 산업단지 및 농공단지
명칭 |
---|
대풍지방산업단지 |
대소지방산업단지 |
소이지방산업단지 |
금왕지방산업단지 |
니트지방산업단지 |
음성하이텍산업단지 |
맹동산업단지 |
감곡지방산업단지 |
음성농공단지 |
금왕농공단지 |
삼성농공단지 |
6. 2. 지역내 총생산 및 산업별 종사자 현황
음성군의 2011년 지역내 총생산은 13조원8,058억원으로 충청북도 지역내 총생산의 13.5%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3499억원으로 2.5%의 비중을 차지하며,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11조원976억원으로 80.4%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2조원3,582억원으로 17.1%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대규모 신산업단지의 건설과 관련하여 건설업(5.0%)과 공공행정(1.9%),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1.5%)과 부동산업 및 임대업(1.3%)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22]2014년 음성군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58,560명으로 충청북도 총종사자 수의 9.4%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279명으로 0.5%의 비중을 차지하며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32,474명으로 55.5%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25,807명으로 44.1%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산업은 충청북도 전체의 비중 (28.9%)보다 높고 3차 산업은 충청북도 전체 비중(70.8%)보다 낮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7.0%), 숙박 및 음식점업(6.5%)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4.7%), 사업서비스업(4.6%)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23]
6. 3. 무극 금광산
'''무극광산''' 또는 '''무극 금광상'''은 음성군 금왕읍 용계리에 위치하며 고려 시대부터 금의 생산지로 알려진 곳이다. 광산 주변의 지질은 중생대의 화성암인 화강섬록암, 우백질 화강암, 석영반암과 음성 분지의 퇴적암 지층 백야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극금광산은 화강섬록암 내에 발달한 열극을 충진한 함금은석영맥 광상이다. 이 광산에는 10여 개의 광맥들이 평행하게 발달하며 그 주향은 북서 5~20°또는 35~40°, 경사는 북동 60~80°이다. 금을 포함하는 석영맥들은 동쪽에서부터 박산맥, 금룡맥, 삼형제맥, 1호맥, 2호맥, 8호맥, 9호맥, 10호맥, 11호맥으로 명명되어 있으며 과거에는 주로 2호맥을 대상으로 약 750 m 하부까지 채광하였으나 최후에는 삼형제맥을 개발했다. 이 광산에서는 호박금(일렉트럼), 자연 은, 휘은석, 함은사면동석, 피어사이트(pearceite; 은, 비소의 황화광물), 휘안동은광(輝安銅銀鑛, polybasite), 티탄철석, 적철석, 유비철석, 황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방연석, 자류철석, 사면동석 등이 산출되며 맥석광물로 석영, 방해석, 형석, 녹니석 등이 산출된다.[24]7. 교육
음성군에는 4년제 극동대학교와 2년제 강동대학교가 감곡면에 위치하고 있다.[4] GVCS는 영어 사용 기독교 기숙학교로 음성읍에 있으며, 음성고등학교는 음성읍에, 충북반도체고등학교는 금왕읍에, 매괴고등학교는 감곡면에 위치해 있다.
학교 종류 | 학교 이름 |
---|---|
초등학교 | 감곡초등학교 |
대소초등학교 | |
대장초등학교 | |
맹동초등학교 | |
무극초등학교 | |
생극초등학교 | |
수봉초등학교 | |
쌍봉초등학교 | |
원당초등학교 | |
중학교 | 대소중학교 |
무극중학교 | |
삼성중학교 | |
생극중학교 | |
음성중학교 | |
글로벌선진학교 | |
고등학교 | 매괴고등학교 |
대금고등학교 | |
음성고등학교 | |
글로벌선진학교 | |
충북반도체고등학교 |
8. 출신 인물
9.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Eumseong County mayor
https://www.eumseong[...]
2024
[2]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3]
웹사이트
Official Eumseong County population statistics
http://www.es21.go.k[...]
[4]
웹사이트
Gangdong College website, in English
http://www.gangdong.[...]
[5]
웹사이트
'陰城郡': 네이버 한자사전
http://hanja.naver.c[...]
[6]
간행물
Rules concerning institution of eups (towns)
1973-03-12
[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8]
법률
勅令第98号
[9]
웹사이트
읍장인사말 음성군청
https://www.eumseong[...]
2019-04-25
[10]
법률
勅令第49号
[11]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2]
법률
法律第393号
1956-07-08
[13]
법률
大統領令第6543号 邑設置に関する規定
1973-03-12
[14]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5]
법률
칙령 제98호
[16]
법률
칙령 제49호
[1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8]
법률
법률 제393호
1956-07-08
[19]
법률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20]
웹인용
음성군 인구현황
http://www.es21.go.k[...]
2011-08-29
[21]
뉴스
[新택리지] 농업과 공업이 조화를 이룬 중부권 핵심도시, 충청북도 음성군
http://news.khan.co.[...]
경향신문사
2010-09-13
[22]
웹사이트
충청북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23]
웹사이트
충청북도 기본통계
http://kosis.kr/stat[...]
[24]
저널
무극광산(無極鑛山) 삼형제맥(三兄弟脈)의 금은광화작용(金銀鑛化作用) (Gold and Silver Mineralization of Samhyungje Vein, the Mugeug Mine)
https://scienceon.ki[...]
1988-00-00 # 연도만 제공됨. 월과 일은 알 수 없음.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9/3, MK추천매물] 강남구 대로변 사옥·투자용 빌딩 200억원 등
충북 음성군, 설성공원 내 문화유산 ‘경호정’ 안내판 수정 나선 이유는?
충북 음성 대소면 주민들, 읍 승격 추진위원회 발대
외국인 최다 충북 음성 ‘인플루언서 양성 청년마을’ 활짝
음성에 외국인 인플루언서 양성하는 청년마을 문 열었다
충북 음성군, 봉학골에 산림레포츠단지 조성
음성 청결고추 직거래장터 12일 개장…"두 달간 소비자 만난다"
재활용품 가져오면 지역화폐 드립니다…음성군, ‘재활용가능자원 수거장려제’
인구 1만9000명 돌파에 ‘면’에서 ‘읍’으로 승격 꿈꾸는 음성 대소면
[8/4, MK추천매물] 중구 종로 중심상권 수익형 호텔 800억원 등
이 대통령 ‘산재 근절’ 외쳤지만…노동자 연달아 작업 중 사망
충북 음성에서 50대 노동자 10m높이서 추락해 숨져
음성 야적장서 50대 근로자 10m 아래로 추락해 사망
중부고속도로서 대형 트레일러가 차량 덮쳐…1명 사망 · 3명 부상
음성군, 충북유형문화유산 읍내리 삼층석탑·오층모전석탑 보존·관리
충북 음성군, 맹동저수지에 ‘국가생태 탐방로’ 조성
충북 음성 하천서 밤낚시하던 70대 남성 숨진채 발견
‘민생회복 소비쿠폰’ 얼어붙은 지역경제 도움될까?…지자체들 기대
충북 음성·증평 민생지원금 ‘효과 있네’…“민생회복 마중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