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금강앵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록금강앵무는 70~85cm 크기의 앵무새로, 녹색 깃털과 밝은 파란색, 노란색의 날개 및 꼬리 깃털을 특징으로 한다. 멕시코, 콜롬비아, 볼리비아 등지에 서식하며, 세 개의 아종으로 구분된다. 이들은 열대 낙엽수림과 반 낙엽수림에서 생활하며, 과일, 씨앗 등을 먹고 절벽이나 나무 구멍에서 둥지를 튼다.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취약종으로 분류되었으며,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강앵무속 - 쿠바홍금강앵무
쿠바홍금강앵무는 쿠바에 서식했던 멸종된 마코앵무의 일종으로, 사냥, 애완동물 거래, 서식지 파괴 등으로 19세기 후반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전 세계 박물관에 19개의 표본이 남아있다. - 금강앵무속 - 금강앵무 (종)
금강앵무는 붉은색 깃털이 특징인 대형 앵무새 *Ara macao* 종으로, 두 개의 아종으로 나뉘며 남아메리카와 멕시코 남부에서 니카라과에 이르는 지역에 서식하고, 서식지 파괴와 밀렵 등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삼림 벌채로 인한 절멸위기종 - 여행비둘기
여행비둘기는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멸종된 비둘기 종으로, 성적 이형성을 보이며 철새였고,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급감하여 1914년에 멸종되었다. - 삼림 벌채로 인한 절멸위기종 - 흰손긴팔원숭이
흰손긴팔원숭이는 동남아시아 열대 우림에 서식하며 팔굽혀매달리기를 하고 과일을 주로 먹으며, 멸종 위기에 처한 긴팔원숭이의 일종이다. - 1766년 기재된 새 - 파랑새
파랑새는 한국 문화에서 동방울새를 지칭하며, 수컷은 검은 갈색 머리와 푸른색을 띤 갈색 윗등을 가지고, 곤충류를 먹으며 숲 속에서 독특한 울음소리를 내는 종이다. - 1766년 기재된 새 - 붉은부리갈매기
붉은부리갈매기는 갈매기과의 새로서, 여름에는 초콜릿 갈색 머리를, 겨울에는 흰색 머리에 검은 반점을 가지며, 해안, 호수 등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잡식성을 띠고, IUCN 적색 목록에 관심대상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초록금강앵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ra militaris (Linnaeus, 1766) |
이명 | Psittacus militaris Linnaeus, 1766 |
상태 | 취약 (VU) |
상태 기준 | IUCN3.1 |
인용 | BirdLife International (2020). "Ara militaris". IUCN 적색 목록 |
사이테스 | 부록 I |
사이테스 출처 | CITES 부록 |
![]() |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류 |
목 | 앵무목 |
과 | 앵무과 |
족 | 큰앵무족 |
속 | 금강앵무속 |
일반 정보 | |
수명 | 야생 및 사육 상태에서 최대 60년 |
가격 | 600 ~ 1,000달러 (나이에 따라 다름) |
이름 | |
영어 이름 | Military Macaw (밀리터리 마코) |
다른 영어 이름 | Blue-green macaw (청록색 마코) Green macaw (녹색 마코) |
일본어 이름 | ミドリコンゴウインコ (미도리콘고우인코, Midori Kongōinko) |
한국어 이름 | 초록금강앵무 |
2. 분류
초록금강앵무는 1766년 스웨덴의 박물학자 칼 린네가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 12판에서 ''Psittacus militaris''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술하였다.[5] 프랑스의 박물학자 베르나르 제르맹 드 라세페드가 1799년에 지정한 ''Ara'' 속에 속하며, 현재 이 속에는 10종의 금강앵무가 포함되어 있다.[8][9] 속명 ''Ara''는 브라질 원주민인 투피족의 투피어 단어 ''ará''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금강앵무의 울음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이기도 하다. 종명 ''militaris''는 "군사적인"을 의미하는 라틴어이다.[10]
2. 1. 아종
군 초록금강앵무는 1766년 스웨덴의 박물학자 칼 린네가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 12판에서 처음 기술하였다. 그는 이 종을 ''Psittacus'' 속으로 분류하고 ''Psittacus militaris''라는 학명을 부여했다.[5] 린네는 기준 산지를 명시하지 않았으나, 1912년 콜롬비아로 지정되었다.[6][7] 현재 초록금강앵무는 1799년 프랑스 박물학자 베르나르 제르맹 드 라세페드가 지정한 ''Ara'' 속에 속하는 10종 중 하나이다.[8][9] 속명 ''Ara''는 브라질 원주민인 투피족의 투피어 단어 ''ará''(금강앵무)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금강앵무 특유의 시끄러운 소리를 흉내 낸 의성어이기도 하다. 종명 ''militaris''는 라틴어로 "군사적인"이라는 뜻이다.[10]현재 인정되는 아종은 다음과 같다.[9]
아종명 (학명) | 명명자 및 연도 | 분포 지역 |
---|---|---|
멕시코초록금강앵무 (A. m. mexicanus) | 리지웨이, 1915 | 멕시코 서부 |
초록금강앵무 (A. m. militaris) | (린네, 1766) |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북서부, 에콰도르, 페루 북부 및 동남부, 볼리비아 북서부 |
볼리비아초록금강앵무 (A. m. bolivianus) | 라이헤노, 1908 | 볼리비아 중부, 아르헨티나 북서부 |
초록금강앵무는 평균적으로 몸길이가 70cm에서 85cm에 달하며, 날개를 펼친 길이는 99cm에서 110cm이다. 몸 전체적으로는 녹색 깃털이 우세하며, 날개와 꼬리 깃털은 밝은 파란색과 노란색을 띤다. 이마에는 밝은 붉은색 반점이 있다. 얼굴 부분은 대부분의 금강앵무처럼 깃털이 없고 흰색 피부가 드러나 있으며, 이 위에 검은색 줄무늬가 나 있다. 크고 단단한 부리는 잿빛이 도는 검은색이고, 홍채는 옅은 노란색이다.
3. 형태
세부적으로 보면, 머리와 목은 푸른 기운이 감도는 녹색 깃털로 덮여 있다. 꼬리 깃털의 윗부분(위꼬리덮깃)은 붉은색이며, 아랫부분(아래꼬리덮깃)은 옅은 푸른색이다. 꼬리 깃털과 날개깃의 윗면은 파란색이지만, 아랫면은 녹색을 띤 황갈색을 나타낸다. 눈 주위에는 깃털 없이 분홍색 피부가 보이며 검은 줄무늬가 있다. 부리와 다리는 짙은 회색이다.
큰금강앵무와 외형이 매우 유사하지만, 초록금강앵무가 크기가 더 작고 부리가 완전히 검은색이며, 깃털 색이 전체적으로 더 어둡고 짙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11] 또한 두 종은 울음소리와 의사소통 방식이 다르며, 서식지 선호도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큰금강앵무는 습한 숲을 선호하는 반면, 초록금강앵무는 주로 낙엽성 숲에서 발견된다.[11] 계통발생 연구 결과, 두 종은 가장 가까운 관계인 자매 분류군으로 밝혀졌다.[11]
초록금강앵무의 아종 간에도 크기와 색상에 차이가 있다.[11] 아종들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70cm에서 80cm 범위 내에 있으며, ''A. m. militaris'' 아종이 가장 작고 ''A. m. mexicana'' 아종이 가장 크다.
4. 생태
초록금강앵무는 주로 큰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지만, 짝을 이루거나 최대 10마리 정도의 소규모 무리로 활동하기도 한다. 야생에서의 수명은 약 50년에서 60년 정도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매우 시끄러운 새로, 종종 모습이 보이기 전에 특유의 크고 날카로운 "kraa-aak" 소리를 포함한 다양한 울음소리로 먼저 존재를 알린다.[13]
주행성 조류로, 특히 아침과 저녁 시간에 활동이 가장 활발하다. 밤에는 절벽이나 나무 구멍 등에서 휴식을 취한다.
4. 1. 서식지


초록금강앵무는 주로 열대 낙엽활엽수림 및 반 낙엽수림에 서식한다.[12] 이들은 먹이를 찾고, 번식하며, 둥지를 짓는 활동을 위해 낙엽수림과 반 낙엽수림의 큰 수관목이 필수적이므로 수관에 의존하는 조류이다.[17] 또한 수관목은 포식자로부터 몸을 숨기고 뜨거운 열기를 피하는 데 도움을 준다.[17] 일반적으로 해발 500m에서 2000m 사이의 고도에서 발견되며, 대부분 600m에서 1500m 범위에 분포한다.[18] 이는 대부분의 다른 금강앵무 종들보다 높은 산악 지대에 해당한다. 계절에 따라서는 습도가 높은 숲이나 더 낮은 고도의 가시 덤불 지역으로 이동하기도 하며, 건조한 상록수림에서도 발견된다. 둥지는 주로 나무 꼭대기나 지상 약 182.88m 이상 높이의 절벽 면에 만들며, 때로는 나무 구멍이나 제왕딱따구리가 사용했던 오래된 둥지를 이용하기도 한다.
초록금강앵무의 세 아종은 지리적으로 구분되어 분포한다.[9]
아종 | 주요 분포 지역 |
---|---|
A. m. militaris (미드리콘고우앵무) | 볼리비아, 페루, 에콰도르,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
A. m. mexicana (멕시코미드리콘고우앵무) | 멕시코 |
A. m. boliviana (볼리비아미드리콘고우앵무) |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북부 |
한편, 미국 플로리다에서는 사육되던 개체가 탈출하거나 의도적으로 방생된 사례가 있지만, 이들이 야생에서 성공적으로 번식하여 개체군을 이루고 있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 플로리다에서 관찰되는 개체들은 지속적인 방생이나 탈출에 의해 유지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4. 2. 먹이
초록금강앵무는 먹이를 찾기 위해 새벽 무렵 떼를 지어 보금자리를 떠난다.[13] 식단은 주로 씨앗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과일(무화과, 야자 등)과 잎도 먹는다.[13] 식성은 다소 좁은 편으로, 주변에 있는 식물 중 일부 종류만 먹이로 삼는다.[13]물을 얻기 위해 ''Pseudalcantarea grandis''라는 식물을 이용하고, ''Plumeria rubra''에서 나오는 라텍스를 섭취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13]
때때로 강둑이나 아마존 열대 우림 내부의 점토 더미에 모여 흙을 먹는데, 이를 "금강앵무 핥기"라고 부른다. 이는 먹이로 섭취한 씨앗이나 식물에 포함된 독소를 중화하고, 식단에서 부족한 염분을 보충하기 위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4. 3. 번식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짝짓기 행동으로는 서로 털을 골라주거나 먹이를 토해내 주는 행동(역류)이 있으며, 이는 번식기뿐만 아니라 비번식기에도 관찰된다.[14] 구애는 이르면 3월에 시작되고[15], 교미는 주로 5월에서 7월 사이에 이루어진다.[15] 번식기는 일반적으로 3월에서 10월 사이이며[15], 알을 품고 부화하는 시기는 8월과 9월이다.[15] 다른 관찰에 따르면 번식기는 약 10월경 둥지 선택으로 시작하여, 새끼가 다음 해 1월과 3월 사이에 둥지를 떠날 때 끝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14] 번식기 동안 수컷은 암컷에게 하루 3~4번 먹이를 가져다준다.[14]둥지는 주로 절벽의 구멍이나 나무 구멍과 같은 자연적인 구멍에 만든다.[16][14][15] 때로는 제왕딱따구리가 사용했던 옛 둥지를 이용하기도 한다. 나무에 둥지를 틀 경우, 최소 15m 높이에 있는 너비 90cm 정도의 구멍을 선호한다.[17] 한 번에 2~3개의 알을 낳는다.
5. 인간과의 관계
인간의 활동은 초록금강앵무의 생존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특히 서식지 파괴와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밀렵은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19][20] 이러한 영향으로 과테말라에서는 지역적으로 멸종하기도 했으며, 현재 사육 개체를 통한 복원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5. 1. 보존
초록금강앵무의 번식 가능한 개체 수는 2,000마리에서 7,000마리 사이로 추정되며, 이 수는 계속 줄어들고 있다.[19]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은 초록금강앵무를 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9]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농경지 확장, 삼림 벌채, 광산 개발, 도로 건설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서식지 단편화가 꼽힌다.[19] 실제로 2013년 연구에 따르면, 열대 건조림에 서식하는 개체군의 서식지가 약 3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17] 또한,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밀렵 역시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초록금강앵무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있어, 야생에서 포획된 개체의 상업적 국제 거래는 엄격히 금지된다.[20] 하지만 이러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남미에서 북미 지역으로 앵무새를 밀매하는 행위는 여전히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20]
먹이원의 종류가 제한적이라는 점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환경 변화로 인해 특정 먹이 식물을 구하기 어려워지면 개체군 유지에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13] 다만, 일 년 중 특정 시기에는 비교적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는 모습도 관찰되어, 환경 변화에 어느 정도 적응할 잠재력이 있음을 시사한다.[13]
유전적 다양성 역시 보존의 주요 쟁점이다. 현재 개체 수는 적지만, 초록금강앵무는 중간 수준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과거에는 개체군 규모가 상당히 컸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21] 그러나 지속적인 서식지 단편화와 이로 인한 근친 교배 가능성 때문에 개체군 병목 현상이 발생할 위험은 여전히 존재한다.[21]
과테말라에서는 이미 지역적으로 멸종했지만, 사육 시설에서 번식시킨 개체들을 야생으로 돌려보내려는 재도입 노력이 진행 중이다.
5. 2. 한국에서의 현황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원본 소스에 없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참조
[1]
간행물
"''Ara militaris''"
2020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웹사이트
Military macaw
https://www.idahofal[...]
2024-01-24
[4]
웹사이트
Military macaws for sale
https://www.reddit.c[...]
2022-07-06
[5]
서적
Systema naturae : per regna tria natura,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6]
서적
The Birds of South America
https://www.biodiver[...]
R.H. Porter
1912
[7]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Harvard University Press
[8]
서적
Discours d'ouverture et de clôture du cours d'histoire naturelle
Plassan
[9]
웹사이트
Parrots, cockatoo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2-01
[10]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Christopher Helm
[11]
논문
Phylogeography of the Military Macaw (''Ara militaris'') and the Great Green Macaw (''A. ambiguus'') based on mtDNA sequence data
https://digitalcommo[...]
2015-12
[12]
논문
Observations of the Military Macaw (''Ara militaris'') in Northern Oaxaca, México
2007-12
[13]
논문
Feeding ecology of Military Macaws (''Ara militaris'') in a semi-arid region of central México
2009-06
[14]
논문
The use of tree cavities and cliffs by the Military Macaw (''Ara militaris'') in Salazares Nayarit, Mexico
2016-06-01
[15]
논문
Seasonal abundance and breeding chronology of the military macaw (''Ara militaris'') in a semi-arid region of central Mexico
https://www.research[...]
2008-02-10
[16]
논문
Tree-cavity availability and selection by a large-bodied secondary cavity-nester: the Military Macaw
2015-04-01
[17]
논문
Habitat characterization and modeling of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the Military Macaw (''Ara militaris'') in Mexico
2013-12-01
[18]
서적
Birds of Peru: Revised and Updated Edition (Vol. 63)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www.iucnredl[...]
2019-11-21
[20]
논문
Quantifying the illegal parrot trade in Santa Cruz de la Sierra, Bolivia, with emphasis on threatened species
2007-12
[21]
논문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the Military Macaw (''Ara militaris'') in Mexico: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2017-01-01
[22]
문서
Appendices I, II and III (valid from 26 November 2019)
https://www.cites.or[...]
[23]
문서
"''Ara militaris''"
https://doi.org/10.2[...]
2016
[24]
웹사이트
녹금강앵무란
https://kotobank.jp/[...]
2020-12-29
[25]
간행물
"''Ara militaris''"
2020
[26]
웹인용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27]
문서
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