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금강앵무 (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강앵무(Ara macao)는 앵무새목 앵무새과에 속하는 대형 앵무새 종이다. 1758년 칼 린네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2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몸길이는 약 84cm이며, 깃털은 대부분 진홍색이고, 날개 덮깃은 노란색, 날개와 꼬리 깃털은 파란색이다. 중앙 및 남아메리카의 열대 우림, 사바나 등지에 서식하며, 과일, 견과류, 씨앗 등을 먹는다. 금강앵무는 온두라스의 나라새이며, 애완동물로 인기가 높지만,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국제적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강앵무속 - 쿠바홍금강앵무
    쿠바홍금강앵무는 쿠바에 서식했던 멸종된 마코앵무의 일종으로, 사냥, 애완동물 거래, 서식지 파괴 등으로 19세기 후반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전 세계 박물관에 19개의 표본이 남아있다.
  • 금강앵무속 - 초록금강앵무
    초록금강앵무는 남아메리카 열대 지역에 서식하는 몸길이 90~100cm의 대형 앵무새로, 녹색 깃털과 붉은색 머리 반점, 검은색 부리를 가지며 서식지 파괴와 불법 포획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IUCN 적색 목록에 위급종으로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 온두라스의 상징 - 온두라스의 국기
    온두라스의 국기는 파랑, 하양, 파랑의 가로 삼색기이며 중앙에는 다섯 개의 파란색 별이 있고, 역사와 중앙 아메리카 통합에 대한 염원을 담고 있으며, 1866년에 별이 추가되어 현재 형태가 되었고, 파란색은 2023년부터 청록색으로 변경되었다.
  • 온두라스의 상징 - 온두라스의 국장
    온두라스의 국장은 온두라스의 역사, 지리, 가치관을 나타내는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색 타원 안에 중앙 아메리카 연방 5개국을 상징하는 별, 자유를 상징하는 모자, 화산, 무지개, 태양, 산맥, 참나무, 소나무, 뿔, 화살통, 광산 도구들이 묘사되어 온두라스의 독립과 정체성을 기념한다.
  • 말하는 새 - 구관조
    구관조는 찌르레기과에 속하며 사람의 말을 흉내 내는 능력으로 애완동물로 인기가 높고 인도 동부에서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 필리핀 등지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일부 지역에서 개체수가 감소하여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말하는 새 - 큰까마귀
    18세기에 린네에 의해 처음 기재된 큰까마귀는 참새목 중 가장 크고 무거운 종으로, 높은 지능과 문제 해결 능력을 지니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금강앵무 (종)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A. m. cyanopterus, 코판, 온두라스
A. m. cyanopterus, 코판, 온두라스
학명Ara macao
명명자Linnaeus, 1758년
이전 학명Psittacus macao Linnaeus, 1758
영어 이름Scarlet Macaw
한국어 이름금강앵무 (金剛鸚哥)
분포
금강앵무의 현존하는 분포
금강앵무의 현존하는 분포
보전 상태
IUCNLC (최소 관심)
CITES부속서 I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류
앵무목
앵무과
아과인코아과
Arini
Ara
금강앵무 (A. macao)

2. 분류

금강앵무는 크기와 날개 깃털의 색상 세부 사항으로 구분할 수 있는 두 개의 아종으로 나뉜다.[4]

2. 1. 학명 및 분류

금강앵무는 1758년 스웨덴의 박물학자 칼 린네가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이명법에 따라 ''Psittacus macao''라는 이명으로 공식적으로 기술했다.[3] 금강앵무는 현재 중앙 및 남아메리카 금강앵무속 6개 속 중 하나인 ''Ara''(라세페드, 1799) 속에 속한다.[4]

두 개의 아종은 크기와 날개 깃털의 색상 세부 사항으로 구분할 수 있다.[4]

아종설명
Ara macao macao (린네, 1758)남아메리카 금강앵무, 기준 아종. 날개에서 중간 및 이차 덮깃은 녹색 팁을 가지고 있다.
A. m. cyanopterus 위덴펠트, 1995북중앙 아메리카 금강앵무. 중앙 아메리카 금강앵무는 더 크고 날개에 녹색 대신 파란색이 있다.


2. 2. 아종

금강앵무는 크기와 날개 깃털의 색상 세부 사항으로 구분할 수 있는 두 개의 아종이 있다.[4]

아종학명특징
남아메리카 금강앵무 (기준 아종)Ara macao macao (린네, 1758)날개의 중간 및 이차 덮깃은 녹색 팁을 가지고 있다.
북중앙 아메리카 금강앵무A. m. cyanopterus (위덴펠트, 1995)중앙 아메리카 금강앵무는 더 크고 날개에 녹색 대신 파란색이 있다.


2. 3. 유전학

2013년 5월, 텍사스 A&M 대학교의 크리스토퍼 M. 시버리 박사와 이안 티자드 박사가 이끄는 과학자 팀이 금강앵무의 전체 게놈 서열 분석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5][6] 이 게놈을 기반으로 종 특이적인 마이크로새틀라이트 유전자 마커가 개발되어 종의 서식지 전반에 걸친 유전학 연구를 지원했다.[7] 이 유전자 마커는 깃털에서 얻은 미량의 DNA로 이후 검증되었으며,[8] DNA가 매우 빠르게 분해될 수 있는 열대 환경에서 홍금강앵무를 연구하는 데 적용되었다.[9] 이 마커는 집단 유전학 연구와 페루 아마존 지역의 개체 식별에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8][10]

3. 형태

금강앵무는 몸길이가 약 84cm이며, 이 중 절반 이상이 뾰족하고 점진적인 꼬리로, 모든 마카우의 특징이다. 홍금강앵무는 다른 대형 마카우보다 꼬리의 비율이 더 크다. 평균 체중은 약 1kg이다. 깃털은 대부분 진홍색이지만, 엉덩이와 꼬리 덮개 깃털은 하늘색이고, 큰 위쪽 날개 날개 덮깃은 노란색이며, 날개 위쪽의 비행 깃털은 짙은 파란색이고 꼬리 깃털의 끝 부분도 짙은 파란색이며, 날개와 꼬리 비행 깃털의 아래쪽은 금속성 금색 광택이 나는 짙은 빨간색이다. 일부 개체는 날개에 녹색을 띨 수 있다. 중앙아메리카 아종은 더 크며 평균 89cm의 길이를 가진다.

눈 주위와 부리에서부터는 흰색 피부가 드러나고, 얼굴 반점에는 작은 흰색 깃털이 있다. 위턱은 대부분 옅은 뿔색이고, 아래턱은 검은색이다. 어린 개체는 눈이 어둡고, 성체는 밝은 노란색 눈을 가지고 있다.

약간 더 큰 청금강앵무와 자주 혼동되는데, 청금강앵무는 얼굴에 더 뚜렷한 붉은 선이 있고 날개에 노란색이 없다.

홍금강앵무는 매우 크고, 높고, 때로는 낮은 음조의, 목구멍에서 나오는 소리, 찍찍거리는 소리, 비명을 내어 그룹을 부르기 위해 여러 킬로미터까지 전달하도록 설계되었다.

홍금강앵무는 사육 상태에서 최대 75년[2] 또는 90년[11]까지 살 수 있지만, 일반적인 수명은 40~50년이다.[11][12] 몸길이는 81cm에서 96cm이며, 그 절반 이상은 금강앵무에 전형적인 가늘고 뾰족한 꼬리가 차지한다. 평균적인 체중은 대략 1kg이다. 깃털은 대부분 주홍색이지만, 날개의 날개 윗면, 엉덩이와 꼬리 깃털, 꼬리 깃털은 밝은 파란색, 큰 덮깃은 노란색, 그리고 날개 아랫면과 꼬리는 금속성 금빛 무지갯빛 광채로 다홍색이다. 눈 주위에는 흰 피부가 노출된 영역이 있으며, 부리까지 이어진다. 흰색의 가는 깃털 점선 모양의 줄무늬가 있지만, 나출피부와 같은 색으로 눈에 띄지 않는다. 위쪽 부리는 거의 전체가 옅은 각질색이고, 아래쪽 부리는 검은색이다. 암수 모두 같은 외형을 하고 있다. 나이에 따른 유일한 차이점은 어린 새는 어두운 눈을 가지고 있지만, 성체는 밝은 노란색 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매우 닮았고 진홍색 깃털에 덮깃이 녹색이며, 눈 주위의 나출피부에 진홍색 점선 모양의 줄무늬가 있는 종류는 다른 종인 홍금강앵무이다.

금강앵무는 낮은 음조의 쉬운 소리, 끽끽거리는 소리, 비명을 지른다. 그리고 외침은 몇 마일 밖에서도 들릴 정도이다.

4. 생태

금강앵무는 보통 숲의 수관 위를 나는 한 마리 또는 한 쌍으로 관찰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무리를 지어 다니기도 한다. 이들은 종종 점토질 핥는 곳에 모인다.[13][14]

금강앵무는 주로 시끄러운 경적 소리로 의사소통을 하지만, 음성 의사소통은 매우 다양하다. 사육된 금강앵무는 사람의 말을 능숙하게 흉내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ra macao'' 가 ''Attalea'' 열매를 먹는 모습


MHNT의 ''Ara macao''

4. 1. 서식지

금강앵무는 열대 중남미의 습한 상록수 숲에서 살며, 멕시코 남동부에서 페루 아마존, 에콰도르, 콜롬비아, 볼리비아, 베네수엘라, 브라질의 500m에서 최대 1000m의 저지대 지역에 서식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앵무새 교역을 위한 서식지 파괴와 지나친 포획으로 인해 지역 멸종 위기에 처해 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상당히 흔하게 남아 있다. 이전에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타마울리파스주에 이르기까지 서식지가 넓었다. 코이바 섬에서는 여전히 찾아볼 수 있다.[18]

금강앵무는 주로 습하고 낮은 고도의 아열대 우림, 탁 트인 삼림, 강가, 사바나에 서식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자연적인 미네랄 퇴적물('릭')을 주기적으로 방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일반적으로 점토퇴적물이 풍부한 지역으로, 금강앵무는 소화를 돕고 나트륨칼슘을 포함한 필수 영양소를 얻기 위해 이를 섭취한다. 남아메리카 분포 지역은 광범위하여, 대륙 북반부의 대부분의 아마존 분지아마존 우림에 걸쳐 있으며, 페루(안데스 산맥 동쪽)와 볼리비아까지 남쪽으로 뻗어 있다. 볼리비아에서는 베니 주 북동부의 아키쿠아나 보호구역에서 매우 흔하게 발견된다.[1]

남아메리카뿐만 아니라 (남부) 북아메리카와 중앙 아메리카에서도 금강앵무를 볼 수 있는데, 이 종의 분포 지역은 유카탄 반도 (멕시코 남동부와 벨리즈)에서 시작하여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를 거쳐 남쪽으로 뻗어 있으며, 코이바 섬에서도 발견된다. 파나마 본토에서는 드물게 보이지만, 코스타리카에서는 태평양 연안의 고립된 지역, 주로 니코야 반도, 카라라 국립공원 및 오사 반도 근처에서 알려져 있다.[30]

미국 플로리다에서는 금강앵무가 여러 번 탈출했는데, 허리케인이나 다른 악천후로 인해 의도치 않게, 또는 인간에 의해 고의적으로 풀려난 경우였다. 그러나 이 개체군이 정착하여 번식한다는 증거는 없으며, 계속되는 방생이나 탈출로 인해 유지될 뿐일 수 있다. 도입종 개체군 또한 푸에르토리코에 존재한다.[19][20]

금강앵무 개체 수 감소가 시작되기 전에는, 그 분포 지역에 코스타리카의 대부분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1960년대까지, 사냥, 밀렵, 산림 벌채로 인한 서식지 파괴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그 개체 수가 감소했다. 게다가 수출을 위한 바나나 재배 및 판매 회사에 의한 농약 살포가 금강앵무 개체 수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다른 요인으로는 서식지가 겹치는 홍금강앵무와 금강앵무 사이의 둥지 다툼이 있었는데, 체격이 큰 홍금강앵무에게 밀려 번식이 불가능해져 감소하게 되었다. 두 종 사이의 잡종도 태어났다.[31]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이 코스타리카 내 금강앵무의 서식 환경을 압박했다. 원래 금강앵무는 이 나라 국토 총면적 51100km2 중 약 42500km2에 서식했으나, 1990년대 초에는 생존 가능한 개체군은 코스타리카 태평양 연안의 단 두 지역(카라라 국립공원 및 오사 반도)에만 남게 되었다. 1993년의 조사에 따르면, 금강앵무는 역사적인 서식지 중 불과 20%(9100km2) 지역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1]

금강앵무의 서식지는 다른 Ara속 조류 중에서도 가장 광범위한 위도에 걸쳐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최대 6700000km2의 지역을 커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강앵무의 서식지는 분단되어, 이 새들은 중앙 및 남아메리카에 산재한 개체 수가 희박한 서식지에 갇혀 있다. 하지만, 이들 지역 중 일부에서는 그들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흔하다"라고 표현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 (IUCN)은 금강앵무를 2004년에 "관심 필요 (Least Concern)"로 평가했다.[27]

4. 2. 먹이

야생 금강앵무는 과일, 견과류, 씨앗, 꽃, 꿀을 먹고 산다.[15] 곤충과 유충도 즐겨 먹으며, 벌레, 달팽이, 잎 등을 닥치는 대로 먹는 모습이 관찰된다. 달팽이와 벌레는 단백질의 훌륭한 공급원이며, 번식기에는 추가적인 단백질이 필요하다.

코스타리카 중부 태평양 지역에서는 도입된 티크 나무(''Tectona grandis'')와 아몬드 비치 나무를 먹는 법을 배웠다. 지역 비영리 단체들은 타르콜레스 강 유역에서 에스테릴로스 해변에 이르기까지 해안선을 따라 수백 그루의 나무를 심어 개체 수 증가에 크게 기여했다. 이러한 노력과 올바른 생태 관광은 금강앵무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타르콜레스 강과 맹그로브 지역의 투어 회사들은 조류 관찰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개체 수 증가를 돕고 있다.

금강앵무는 주로 과실과 종자를 먹으며, 크고 단단한 껍질의 종자도 포함된다.[28] 일반적으로 한 마리 또는 쌍으로 숲의 수관 위를 나는 모습이 관찰되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무리를 볼 수도 있다. 점토를 먹기 위해 모이기도 하며,[28] 사과, 바나나와 같은 과일이나 견과류를 좋아한다. 꽃의 꿀과 꽃가루도 먹는다.

4. 3. 번식

금강앵무는 번식기에는 공격적일 수 있다. 일부일처의 조류이며, 평생 한 배우자와 함께한다. 암컷은 큰 나무 구멍에 2~3개의 흰 을 낳고[16] 약 5주 동안 포란한다. 새끼는 부화 후 약 90일 후에 둥지를 떠나고,[17] 약 1년 후에 부모 곁을 떠난다. 어린 개체는 5세에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새끼는 24~25일 만에 부화하며, 약 105일 만에 둥지를 떠난다.

4. 4. 소리

홍금강앵무는 매우 크고, 높고, 때로는 낮은 음조의, 목구멍에서 나오는 소리, 찍찍거리는 소리, 비명을 내어 그룹을 부르기 위해 여러 킬로미터까지 전달하도록 설계되었다.[2]

5. 보전 상태

금강앵무는 열대 중남미의 습한 상록수 숲에서 살며, 멕시코 남동부에서 페루 아마존, 에콰도르, 콜롬비아, 볼리비아, 베네수엘라브라질에 걸쳐 해발 500m에서 최대 1000m의 저지대 지역에 서식한다. 이전에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타마울리파스주까지 서식지가 넓었으며, 코이바 섬에서 여전히 찾아볼 수 있다.

5. 1. 위협 요인

금강앵무는 일부 지역에서 앵무새 교역을 위한 서식지 파괴와 지나친 포획으로 인해 지역 멸종 위기에 처해 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상당히 흔하게 남아 있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금강앵무를 "관심 필요"(Least Concern) 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현재 야생 개체수는 50,000마리에서 499,999마리 사이로 추정된다.[1]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밀렵으로 인해 이 종(부품 및 파생 상품 포함)에 대한 상업적 국제 거래는 CITES 부록 1에 따라 조류로 등재되어 금지된다.[22]

북부 아종인 ''A. m. cyanopterus''는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USFWS)에 의해 멸종 위기 종으로 등재되어 있다.[23] USFWS는 북부 아종이 야생에 2,000~3,000마리만 남아 있다고 추정한다.[24]

1960년대까지 사냥, 밀렵, 산림 벌채로 인한 서식지 파괴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금강앵무의 개체 수가 감소했다. 특히 코스타리카에서는 수출을 위한 바나나 재배 및 판매 회사에 의한 농약 살포가 금강앵무 개체 수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다른 요인으로는 서식지가 겹치는 홍금강앵무와 금강앵무 사이의 둥지 다툼이 있었는데, 체격이 큰 홍금강앵무에게 밀려 번식이 불가능해져 감소하게 되었다. 두 종 사이의 잡종도 태어났다.

5. 2. 보전 노력

금강앵무의 서식지는 아라속의 어떤 조류보다 가장 넓은 위도 범위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추정되는 최대 서식 범위는 6700000km2에 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강앵무의 서식지는 단편화되어 있으며, 이 새는 주로 중앙아메리카의 원래 서식지 전역에 흩어져 있는 작은 개체군에 국한되어 있다.[21] 그러나 남아메리카의 원래 서식지 대부분에서 여전히 많은 수가 발견되므로, 이 종은 IUCN에 의해 최소 관심 종으로 분류된다. 현재 야생 개체수는 50,000마리에서 499,999마리 사이로 추정된다.[1]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밀렵으로 인해 이 종(부품 및 파생 상품 포함)에 대한 상업적 국제 거래는 CITES 부록 1에 따라 조류로 등재되어 금지된다.[22]

북부 아종인 ''A. m. cyanopterus''는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USFWS)에 의해 멸종 위기 종으로 등재되어 있다.[23] USFWS는 북부 아종이 야생에 2,000~3,000마리만 남아 있다고 추정한다.[24]

6. 문화

금강앵무는 온두라스의 나라새이다. 붉은색, 노란색, 파란색의 눈에 띄는 깃털을 가지고 있어 조류 사육에서 인기가 있다.

6. 1. 상징

금강앵무는 온두라스의 나라새이다. 눈에 띄는 깃털을 가지고 있어 조류 재배에서 인기가 있는 새이다.

6. 2. 사육

금강앵무는 초기에 사육 환경에서 번식한 앵무새 중 하나이다. 포획 번식은 11세기에 북부 멕시코의 파키메(카사스 그란데스)와 뉴멕시코 남서부 밈브레스 계곡에서 발생했다. 번식장, 횃대, 뼈, 알 껍질 조각 등이 발굴되었다. 금강앵무의 번식이 어렵지 않고 깃털의 거래 가치가 높았기 때문에, 콜로라도 고원 지역 북부의 종교 의식에 사용되는 동물들의 거래 시장이 형성되었다.[25]

오늘날 금강앵무는 전 세계에서 사육되고 있지만,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많이 사육되고 있다. 애완동물 거래에서 개발된 사육 기술은 야생 개체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금강앵무 개체수가 적은 지역에서는 둥지에서 죽는 "여분"의 새끼들을 사람이 직접 키워 야생으로 돌려보내 개체수를 늘리고 있는데, 이는 탐보파타 금강앵무 프로젝트에서 진행된 방식이다. 사육 환경에서의 먹이, 알 부화, 부화 보조, 이유, 공동 양육, 부모 양육, 둥지 이탈, 성숙, 번식에 대한 이해는 조류 사육 커뮤니티 내에서 잘 이루어지고 있다.

금강앵무는 인기가 많지만, 관리가 까다로운 애완동물이다. 구입하거나 입양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고 요구 사항도 많으며, 사육조로서는 유난히 시끄러운 새이기 때문에, 경험이 풍부한 사육자에 의해 이상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금강앵무는 아름다운 깃털 때문에 귀하게 여겨지며, 사육자에게 매우 잘 따른다. 사람의 언어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지적인 종으로 여겨진다.

금강앵무는 CITES 1류에 등재된 종이며, 이는 소정의 특별 허가 없이는 야생 개체를 포획하는 것이 불법임을 의미한다. 2008년 시점에서는 위험한 상태는 아니지만,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밀렵에 매우 취약하다. 금강앵무는 사육 하에 번식된 개체조차 수천 달러의 가격으로 판매될 수 있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밀렵하기에 매력적인 종이다.

금강앵무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 마리의 새가 차지하는 새장 공간은 가능한 한 크게 (폭 90cm x 깊이 90cm x 높이 230cm 또는 전체적으로 이보다 크게) 해야 한다. 금강앵무는 놀고 운동하며, 날개를 펼치는 데 필요한 많은 공간뿐만 아니라, 날개 근육의 위축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 새장의 격자 간 간격은 25mm 이하여야 하며, 튼튼한 금속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격자에는 납 또는 아연을 포함하는 부품이나 페인트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새장은 일주일에 한 번은 순한 살균성 세제로 완전히 청소해야 한다. 새를 그 배설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바닥 격자 (분뇨 받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장은 잘 조명된 따뜻한 장소 (금강앵무는 추위에 대한 내성이 낮다)에, 바닥에서 떨어진 곳에 설치해야 한다.

횃대 스탠드는 미지근한 물을 분무하여 새를 목욕시키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휴식 장소로도 선호되며, 설치가 권장된다.

금강앵무는 야생에서 먹던 것과 유사한 식품 (과일, 채소, 견과류, 씨앗)을 먹지만, 견과류를 줄 때는, 이상적으로는 높은 지방을 함유하는 견과류 (헤이즐넛, 브라질너트, 호두 등)를 주는 것이 좋다.

금강앵무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것 외에도, 많은 자극과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사랑도 필요하다. 빈번하고 정기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잘 지낼 수 있으며, 또한 그것이 필요하다. 금강앵무는 낯선 사람과 친해지는 데 시간이 걸린다.

금강앵무는 본래 매우 시끄럽고, 이러한 행동을 멈추게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전체적인 제한을 정해야 한다. 이 새를 아이들의 애완동물로 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특히 금강앵무와 상호 작용을 할 때에는 어른의 감독하에 있어야 하며, 단단한 견과류를 부술 수 있는 강력한 부리를 가진, 대형의 매우 섬세한 새를 존중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금강앵무는 노는 것을 매우 좋아하며, 자극을 위해 양질의 장난감을 많이 제공해야 한다. 금강앵무는 부리가 닿는 범위에 있는 것을 항상 갉아먹고, 따라서 나무로 된 장난감은, 생활의 향상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부리 과다 성장 방지를 위해서도 권장된다. 닳은 장난감은, 금강앵무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교체하여 보충해야 한다. 충분한 주의를 받지 못한 새는 종종, 과도한 그루밍이나 자해 행위, 의기소침, 극단적인 격정/공격성과 같은 행동을 보일 수 있다.

금강앵무는 매우 긴 생애 전체에 걸쳐 수의사의 진찰이 필요한 새이다. 다른 어떤 애완동물과 마찬가지로, 새를 이해하고 다룰 수 있는 수의사에 의한 정기 검진이 필요하다.

6. 3. 조류 사육

금강앵무는 붉은색, 노란색, 파란색의 눈에 띄는 깃털 덕분에 조류 사육에서 인기가 많다.[25] 11세기 북부 멕시코의 파키메(카사스 그란데스)와 뉴멕시코 남서부 밈브레스 계곡에서 사육 번식이 시작되었으며, 번식장, 횃대, 뼈, 알 껍질 조각 등이 발굴되었다.[25] 당시 금강앵무의 번식이 어렵지 않고 깃털의 거래 가치가 높아 콜로라도 고원 지역 북부의 종교 의식에 사용되는 거래 시장이 형성되었다.[25]

오늘날 금강앵무는 전 세계에서 사육되지만,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많이 사육된다. 애완동물 거래에서 개발된 사육 기술은 야생 개체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를 들어 탐보파타 금강앵무 프로젝트에서는 금강앵무 개체수가 적은 지역에서 둥지에서 죽는 "여분"의 새끼들을 사람이 직접 키워 야생으로 돌려보내 개체수를 늘리고 있다. 조류 사육 커뮤니티(AFA Watchbird 잡지) 내에서는 먹이, 알 부화, 부화 보조, 이유, 공동 양육, 부모 양육, 둥지 이탈, 성숙, 번식에 대한 이해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

금강앵무는 인기가 많지만 관리가 까다로운 애완동물이다. 구입 및 입양 비용이 비싸고 요구 사항도 많으며, 울음소리가 크기 때문에 경험이 풍부한 사육자가 다루는 것이 이상적이다. 하지만 아름다운 깃털과 사람을 잘 따르는 성격, 사람의 언어를 흉내 내는 능력 덕분에 지적인 새로 여겨진다.

금강앵무는 CITES 1류에 등재된 종으로, 특별 허가 없이는 야생 개체를 포획하는 것이 불법이다. 2008년에는 위험 상태는 아니었지만,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밀렵에 취약하다. 밀수 과정에서 마이애미, 산후안, 토론토, 뉴욕시 등에서 당국에 압수되는 경우가 많지만, 불법 판매되는 경우도 있다. 금강앵무는 사육 번식된 개체조차 수천 달러에 판매될 수 있어 밀렵꾼에게 매력적인 종이다. 따라서 금강앵무를 구입할 때는 판매자가 사육 번식된 개체임을 증명하는 충분한 증거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금강앵무는 넓은 공간(폭 90cm x 깊이 90cm x 높이 230cm 또는 그 이상)과 튼튼한 금속 격자(간격 25mm 이하, 납 또는 아연 미포함)로 된 새장이 필요하다. 새장은 일주일에 한 번 순한 살균성 세제로 청소하고, 배설물로부터 새를 분리하기 위해 바닥 격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잘 조명되고 따뜻한 곳에 설치해야 하며(금강앵무는 추위에 약하다), 횃대 스탠드를 설치하여 미지근한 물로 목욕을 시켜주는 것이 좋다.

금강앵무는 야생에서 먹던 것과 유사한 과일, 채소, 견과류, 씨앗을 먹여야 하며, 견과류는 지방 함량이 높은 헤이즐넛, 브라질너트, 호두 등을 주는 것이 좋다.

금강앵무는 넓은 공간 외에도 많은 자극과 관심, 사랑이 필요하며, 정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잘 지낼 수 있다. 낯선 사람과 친해지는 데 시간이 걸리므로, 사람과 친해지기 위해 새장에서 오랫동안 데리고 나와 다른 사람들과 천천히 알아가야 한다.

금강앵무는 본래 매우 시끄럽고, 아이들의 애완동물로는 권장하지 않는다. 특히 금강앵무와 상호 작용할 때는 어른의 감독이 필요하며, 단단한 견과류를 부술 수 있는 강력한 부리를 가진 섬세한 새를 존중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금강앵무는 노는 것을 좋아하며, 자극을 위해 나무로 된 장난감을 많이 제공해야 한다. 부리가 닿는 범위에 있는 것을 갉아먹기 때문에 부리 과다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나무 장난감이 권장된다. 닳은 장난감은 교체하여 보충해야 한다. 충분한 주의를 받지 못한 새는 과도한 그루밍, 자해 행위, 의기소침, 극단적인 격정/공격성 등의 행동을 보일 수 있다.

금강앵무는 긴 생애 동안 수의사의 진찰이 필요한 새이므로, 새를 이해하고 다룰 수 있는 수의사의 정기 검진이 필요하다.

6. 4. 밈브레스 문화

금강앵무는 초기에 사육 환경에서 번식한 앵무새의 한 예시이다. 포획 번식은 11세기에 북부 멕시코의 파키메(카사스 그란데스)와 뉴멕시코 남서부 밈브레스 계곡에서 발생했다. 번식장, 횃대, 뼈, 알 껍질 조각 등이 발굴되었다. 금강앵무의 번식이 어렵지 않고 깃털의 거래 가치가 높았기 때문에, 콜로라도 고원 지역 북부의 종교 의식에 사용되는 동물 거래 시장이 형성되었다.[25]

참조

[1] 간행물 "''Ara macao''" 2021-11-12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서적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biodiversity[...] Holmiae:Laurentii Salvii
[4] 웹사이트 Parrots & cockatoos http://www.worldbird[...]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17-11-22
[5] 논문 "A Multi-Platform Draft de novo Genome Assembly and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Scarlet Macaw (''Ara macao'')" 2013-05-08
[6] 웹사이트 Save the Parrots: Texas A&M Team Sequences Macaw Genome http://www.newswise.[...] Newswise.com 2013-10-01
[7] 논문 An evaluation of primers for microsatellite markers in Scarlet Macaw (''Ara macao'') and their performance in a Peruvian wild population http://link.springer[...] 2015
[8] 논문 Validation of non-invasive genetic tagging in two large macaw species (''Ara macao'' and ''A. chloropterus'') of the Peruvian Amazon http://link.springer[...] 2016
[9] 논문 The application of non-invasive genetic tagging reveals new insights into the clay lick use by macaws in the Peruvian Amazon http://link.springer[...] 2017
[10] 논문 Exploring dispersal barriers using landscape genetic resistance modelling in scarlet macaws of the Peruvian Amazon http://link.springer[...] 2017
[11] 서적 Biology of Aging: Observations and Principl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2] 웹사이트 Scarlet Macaw https://www.lamar.ed[...] 2019-02-24
[13] 문서 Photo of Scarlet Macaws and several other parrots at clay-lick in [[Tambopata-Candamo]] – The Wonders of Peru with Boyd Norton. https://web.archive.[...]
[14] 논문 Parrot behavior at a Rio Manu (Peru) clay lick: temporal patterns, associations, and antipredator responses https://doi.org/10.1[...] 2003
[15] 웹사이트 SCARLET MACAW (Ara macao) https://www.parrots.[...] World Parrot Trust 2021-08-10
[16] 논문 Nest site selection and efficacy of artificial nests for breeding success of Scarlet Macaws ''Ara macao macao'' in lowland Peru https://www.scienced[...] 2014
[17] 서적 The Ultimate Encyclopedia of Caged and Aviary Birds Hermes House
[18] Youtube Scarlet Macaws Feed on Clay Licks (Narrated by David Tennant) - Earthflight - BBC One https://youtube.com/[...] 2012-01-19
[19] Youtube Parrots in Peril: Miami's Wild Macaws https://youtube.com/[...] Day's Edge Productions 2018-05-28
[20] 웹사이트 Nonnatives - Scarlet Macaw http://myfwc.com/wil[...] 2018-02-22
[21] 서적 "''Parrots: A Guide to Parrots of the World.''" Yale University Press 1998
[22] 웹사이트 Ara macao https://www.speciesp[...] UNEP-WCMC 2023-08-15
[23] 웹사이트 Species Profile: Scarlet macaw (Ara macao ssp. cyanopterus) https://ecos.fws.gov[...] 2023-02-08
[24] 논문 Endangered and Threatened Wildlife and Plants; Listing the Scarlet Macaw https://www.govinfo.[...] 2023-02-08
[25] Master's thesis Scarlet Macaw Production and Trade at Paquimé, Chihuahua https://drive.google[...]
[26]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valid from 26 November 2019) https://www.cites.or[...]
[27] 간행물 Ara macao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28] 문서 普段餌とする木の実が無い季節に,インコにとって有毒成分を含むナッツを餌とする必要が有るが、そのナッツに含まれる有毒成分を解毒するために粘土を食する.これを見たペット業者が塩土を考え、インコ用に販売して居ますが、それを食べさせたペットのインコは体調を崩すと云う.ペットは有毒ナッツは食べていないので必要無いのであるが食べさせた結果であると結論付けて居ます.テレビ出演も多くされた鳥専門の獣医である中野由美子獣医師(中野バードクリニック院長;東京都中野区鷺ノ宮.最寄駅は都立家政)が発表されて居る.
[29] 웹사이트 Photo of Scarlet Macaws and several other parrots at clay-lick in Tambopata-Candamo http://www.nscspro.c[...]
[30] 서적 "''Parrots: A Guide to Parrots of the World''" Yale University Press 1998
[31] 서적 Scarlet Macaws of Carara Raintree Publications 1995
[32] 문서 "''Ara macao'' (Linnaeus, 1758) 금강앵무"
[33] 웹인용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