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촉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촉새는 인도 북부,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조류이다. 여름에는 주로 한반도 북부, 중국, 러시아 남동부 등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중국 남부, 대만, 인도차이나 반도 등에서 월동한다. 수컷은 머리 부분이 짙은 회색 또는 검은색이며, 암컷은 녹갈색 깃털을 가진다. 개방된 숲이나 숲 가장자리에서 서식하며, 씨앗이나 곤충을 먹고 산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 대상(LC)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멧새속 - 검은머리쑥새
    검은머리쑥새는 유라시아 대륙, 아프리카 북부,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강가나 습지에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멧새과 새로, 수컷은 검은 머리와 흰색 목깃을, 암컷은 연한 몸 색깔과 갈색 줄무늬 머리를 가진다.
  • 멧새속 - 검은머리촉새
    검은머리촉새는 유라시아 북부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나는 작은 참새목 철새였으나, 현재는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여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 1776년 기재된 새 - 두루미
    두루미는 러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며 멸종위기종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홋카이도 개체군은 텃새이고 잡식성이며 동아시아 문화에서 장수를 상징한다.
  • 1776년 기재된 새 - 뇌조
    뇌조는 꿩과에 속하며 깃털 색깔이 계절에 따라 변하고, 북극 및 아북극 지역에 서식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방글라데시의 새 - 검은등뻐꾸기
    검은등뻐꾸기는 인도 아대륙에서 동남아시아에 걸쳐 분포하며 회색 등과 검은색 가로줄무늬 배를 가진 중형 뻐꾸기로, 낙엽수림과 상록수림에 서식하며 독특한 울음소리와 탁란 습성을 지니고 한국에서는 드물게 관찰되는 나그네새이다.
  • 방글라데시의 새 - 뜸부기
    뜸부기는 뜸부기과에 속하는 새로, 옆으로 납작한 몸, 긴 발가락, 짧은 꼬리를 가졌으며, 수컷은 붉은색 이마판과 뿔을 가진 것이 특징이고, 아시아 지역 습지에서 서식하며 곤충, 연체동물, 씨앗 등을 먹는 잡식성 새로 6~9월에 번식한다.
촉새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타이완]]에서의 모습
타이완에서
학명Emberiza spodocephala
명명자Pallas, 1776
한국어 이름아오지 (青鵐, 蒿鵐, 蒿雀), 촉새
영어 이름Black-faced bunting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참새목
아목スズメ亜目(Songbird, Oscines)
ホオジロ科(Emberizidae)
ホオジロ属(Emberiza)
아오지 (E. spodocephala)
아종* 본문 참조
분포
서식지러시아
대한민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보전 상태
IUCNLC (관심 필요)
IUCN 참고https://www.iucnredlist.org/apps/redlist/details/106008963/0

2. 분포

인도 북부, 중화인민공화국, 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네팔, 부탄, 러시아 남동부에 분포한다.

하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남동부, 한반도 북부에서 번식하고, 동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남부, 대만, 인도차이나 반도 등으로 남하하여 월동한다. 일본에서는 아종 아오지가 홋카이도혼슈 중부 이북에서 번식하고, 중부 이서에서 월동한다. 또한 소수이지만 기본 아종이 월동(겨울새)하거나 이동 중(나그네새)이기 때문에, 주로 혼슈의 동해안이나 규슈에 날아온다.

3. 형태

전장 14cm-16.5cm이다. 체중은 16g-25g이다. 윗면은 갈색 깃털로 덮여 있으며, 검은 세로 줄무늬가 있다. 중앙부 2장의 꼬리깃은 적갈색이다. 바깥쪽 좌우 5장씩은 흑갈색이며, 가장 바깥쪽 좌우 2장씩은 흰색이다.

위 부리는 짙은 갈색, 아래 부리의 색상은 옅은 갈색이다. 뒷다리의 색상은 옅은 갈색이다.

수컷은 눈앞과 목이 검다.


  • 쇠유리새 ''E. s. personata''

아랫면이 노란색 깃털로 덮여 있으며, 목이 노랗다. 수컷 성조는 머리 부분이 녹색을 띤 짙은 회색으로 덮여 있으며, 눈과 부리 주변이 검다[5]。アオ일본어는 녹색을 포함한 오래된 의미의 파랑을 뜻하며 수컷의 색상에서 유래한다[6]。파란색 조류의 일본어 명칭에는 유리새, 파랑새 등과 같이 유리색이 사용되고 있다[7]。한자 표기인 '蒿'는 을 뜻한다. 암컷 성조는 녹갈색 깃털로 덮여 있으며, 윗면이 녹갈색 깃털로 덮여 있다. 색상 등은 노랑턱멧새를 닮아, 초보자는 구별하기 어렵다.

  • 시베리아쇠유리새 ''E. s. spodocephala''

아랫면이 옅은 노란색 깃털로 덮여 있다. 수컷 성조는 머리와 가슴 부분이 짙은 회색 깃털로 덮여 있다. 암컷 성조는 회갈색 깃털로 덮여 있으며, 윗면이 회색을 띤 녹갈색 깃털로 덮여 있다.

4. 생태

개방된 숲이나 숲 가장자리에 서식한다. 번식기 외에는 덤불 지대 등에도 서식한다. 번식기 외에는 무리를 이루기도 하지만, 단독으로 있는 경우가 많다. 조심성이 많은 성질로, 풀숲 속에 몸을 숨긴다.[1]

식물의 종자나 곤충류를 먹는다. 땅 위에서 먹이를 구한다.[1]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지표면이나 키가 작은 나무 위에 식물의 줄기나 잎을 조합한 사발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5~7월에 한 번에 3~5개의 알을 낳는다. 포란 기간은 14~15일이며, 암컷이 품고, 새끼는 부화 후 12~13일 만에 둥지를 떠난다. 수컷은 번식기에 영역을 가지며, 키 큰 나무 위 등 높은 곳에서 지저귄다.[1]

5. 아종

과거에는 3아종이었지만 아종 ''personata''는 섬촉새(Masked Bunting영어) 별개의 종으로 분류되었다. 현재는 2아종으로 나누고 있다.


  • 촉새 - ''E. s. spodocephala'': 대한민국을 흔하게 통과하는 아종
  • 노랑배촉새 - ''E. s. extremiorientis'': 중국 동북부와 우수리 일대에서 번식


아종 ''E. s. sordida''의 아종 명칭을 '카라아오지'라고 하는 문헌이 있으며[9], 이 아종 명칭을 사용한 예는 인터넷상과 인쇄물 모두에서 종종 보인다. 그러나 '카라아오지'라는 아종 명칭은 원래 ''E. s. extremi-orientis''에 붙여진 명칭이므로[10][11], ''E. s. sordida''의 명칭을 '카라아오지'로 하는 것은 혼란의 원인이 되며 바람직하지 않다. 아종 ''E. s. extremi-orientis''에 관해서는, 현재는 이를 기본 아종 ''E. s. spodocephala''의 후행 동의어로 간주하여 아종으로 인정하지 않는 설이 일반적이다.[8]

  • 검은머리오목눈이(''E. s. personata'')
  • (아종 명칭 없음) ''E. s. sordida''
  • 시베리아검은머리오목눈이(''E. s. spodocephala'')

6. 보전 상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 대상 (LC)으로 지정되어 있다.[4]

일본에서 촉새 ''E. s. personata''는 다음과 같이 레드 리스트로 지정되어 있다.[12]

위협 등급도도부현
위기종(멸종 위기 II류・VU)가나가와현, 나라현
준위협 (NT)야마가타현, 사이타마현, 효고현
정보 부족 (DD)고치현


6. 1. 대한민국의 촉새 보호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 대상 (LC)으로 지정되어 있다.[4]

7. 근연종


노랑턱멧새

참조

[1] 간행물 Emberiza spodocephala 2016
[2]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Christopher Helm
[3] 웹사이트 Schoeniclus spodocephala (Black-faced Bunting) – Avibase http://avibase.bsc-e[...] 2017-07-11
[4] 웹사이트 IUCN 2011.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1.2. (''Emberiza spodocephala'') http://www.iucnredli[...] IUCN 2012-01-16
[5] 서적 野山の鳥 2000
[6] 서적 ひと目でわかる野鳥 2010
[7] 서적 庭で楽しむ野鳥の本 2007
[8] 웹사이트 Emberiza spodocephala Pallas, 1776 http://www.itis.gov/[...] ITIS 2012-01-16
[9] 서적 形態と識別30 アオジ 1995
[10] 서적 改訂日本鳥類目録 1932
[11] 서적 日本の鳥類と其生態 I 1934
[12]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アオジ)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2-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