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총괄판무관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총괄판무관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점령한 지역에 설치했던 행정 구역이다. 동방 국가판무관부는 발트 3국과 벨라루스를 관할했으며,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는 우크라이나 대부분의 지역을 통치했다. 이 외에도 카프카스 국가판무관부가 계획되었으나, 실제로 설치되지는 않았다.

2. 동방 국가판무관부

쿠르트 폰 고트베르크 (1943년부터)민스크



그러나 동부 전선에서 소련군의 반격이 거세지면서 1944년 동안 대부분의 점령지를 상실했다. 1945년 1월 이후에는 라트비아 서부의 쿠를란트 반도에 남겨진 독일군이 소련군에게 포위된 채 전쟁이 끝날 때까지 저항했다(쿠를란트 포켓).

2. 1. 벨라루스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 아래 벨라루스 지역을 담당하는 행정 구역이 설치되었으며, 중심지는 민스크였다. 이 지역의 책임자는 백러시아 행정위원(Generalkommissar für Weißrutheniende)으로 불렸다.

2. 2. 에스토니아

나치 독일 점령 하의 에스토니아 지역은 동방 국가판무관부에 소속되었다. 탈린(당시 독일명 레팔)에 본부를 둔 에스토니아 총괄판무관(Generalkommissar für Estlandde) 관할 구역으로 편성되었으며, 총괄판무관은 카를 지기스문트 리츠만이었다.

2. 3. 라트비아

나치 독일 점령 하의 라트비아 지역은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라트비아 지역의 행정위원(Generalkommissar|게네랄코미사르deu)은 리가를 중심으로 활동한 오토하인리히 드렉슬러였다. 드렉슬러는 점령 기간 동안 유대인 학살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인물로 알려져 비판받는다.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소련군의 반격으로 1944년 대부분 지역을 상실했다. 전쟁 막바지에는 라트비아 서부의 쿠를란트 반도에 남겨진 독일군이 소련군에게 포위된 채 종전을 맞이하기도 했다(쿠를란트 포켓).

2. 4.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 지역은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에 의해 점령되어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리투아니아 지역을 담당하는 행정위원부(총괄판무관부)는 카우나스에 설치되었으며, 행정위원(총괄판무관)은 테오도르 아드리안 폰 렌텔른이었다. 그는 점령 기간 동안 유대인 게토 설치와 학살을 주도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3.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행정 구역 지도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Reichskommissariat Ukraine|라이히스코미사리아트 우크라이네deu)는 나치 독일제2차 세계 대전 중 점령한 우크라이나 영토 대부분을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행정 기관이다. 1941년 9월에 설치되었으나, 1943년 이후 소련군의 반격으로 점령 지역을 점차 상실하다가 1944년 3월에 최종적으로 해체되었다.

국가판무관(Reichskommissar|라이히스코미사르deu)은 에리히 코흐가 임명되었다.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는 아래의 총괄판무관부(Generalbezirk|게네랄베치르크deu)로 구성되었다. 각 총괄판무관부의 상세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3. 1. 국가판무관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의 국가판무관(Reichskommissar|라이히스코미사르de)은 에리히 코흐였다. 그는 우크라이나인을 열등 민족으로 여기며 매우 강압적인 통치를 시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 학살과 약탈 행위를 저질렀다. 이러한 그의 반인륜 범죄 행위로 인해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소련에 의해 처형되었다.

3. 2. 크림반도

크림반도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 점령 하의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에 소속된 총괄판무관부 중 하나였다. 당시 독일 행정 구역 명칭으로는 타우리엔 하위지구(Teilbezirk Tauriende) 또는 크림 행정지구(Generalbezirk Krimde)로 불렸다. 이 지역의 총괄판무관(Generalkommissarde)은 알프레트 에두아르트 프라우엔펠트가 담당했다.

3. 3. 지토미르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소속으로, 총괄판무관은 쿠르트 클렘( Kurt Klemmde )이었다.

3. 4. 키예프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소속 키예프 총괄판무관(Generalkommissar für den Generalbezirk Kiewdeu)은 다음과 같다.

3. 5. 니콜라예프

나치 독일의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소속 총괄판무관부 중 하나였다. 니콜라예프 지역을 관할했으며, 총괄판무관(Generalkommissar|총괄판무관deu)은 에발트 오페르만( Ewald Oppermann|에발트 오페르만deu )이었다.

3. 6. 볼히니아-포돌리아

볼히니아-포돌리아 총괄판무관부(Generalbezirk Wolhynien-Podoliende)는 나치 독일 점령 하의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에 소속된 하위 행정 구역이었다. 이 지역의 총괄판무관(Generalkommissarde)은 하인리히 쇠네( Heinrich Schoenede )였다.

3. 7.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행정 지구 위원(Generalkommissar für den Generalbezirk Dnjepropetrowskde)은 니콜라우스 젤츠너(Nikolaus Selznerde)였다.

4. 카프카스 국가판무관부 (계획)

나치 독일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점령지에 설치하려 했던 카프카스 국가판무관부는 실제로는 설치되지 못하고 계획 단계에 머물렀다. 아래는 카프카스 국가판무관부 산하에 계획되었던 총괄판무관부 목록이다.

총괄판무관부 명칭예정 소재지
그루지야 총괄판무관부트빌리시
아제르바이잔 총괄판무관부바쿠
쿠반 총괄판무관부크라스노다르
테레크 총괄판무관부보로실로브그라드
산악민족거주지 총괄판무관부오르트조니키트체
아르메니아 총괄판무관부예레반
칼미키야 총괄판무관부아스트라한


4. 1. 조지아

나치 독일이 계획했던 카프카스 국가판무관부 산하에 설치될 예정이었던 총괄판무관부이다. 소재지는 조지아의 수도인 트빌리시로 계획되었으나, 카프카스 국가판무관부 자체가 실제로 설치되지 못하면서 계획에만 머물렀다.

4. 2.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총괄판무관부는 나치 독일이 계획했던 카프카스 국가판무관부 소속의 행정 구역이었다. 소재지는 바쿠로 예정되었으나, 실제로 설치되지는 않았다.

4. 3. 쿠반

쿠반 총괄판무관부는 나치 독일이 계획했던 카프카스 국가판무관부 소속의 행정 구역이었다. 중심 도시는 크라스노다르로 예정되었으나, 실제로는 설치되지 않았다.

4. 4. 테레크

카프카스 국가판무관부 소속으로 계획되었던 총괄판무관부 중 하나이다. 테레크 지역을 관할하며, 소재지는 보로실로브그라드로 예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나치 독일의 독소전쟁 패배로 인해 실제로 설치되지는 못했다.

4. 5. 산악민족거주지

나치 독일이 계획했던 카프카스 국가판무관부 소속의 행정 구역 중 하나였으나, 실제로 설치되지는 않았다. 예정된 소재지는 오르트조니키트체였다.

4. 6. 아르메니아

나치 독일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점령지에 설치하려 했던 카프카스 국가판무관부 산하에 아르메니아 총괄판무관부를 둘 계획이었다. 총괄판무관부의 소재지는 예레반으로 예정되었으나, 실제 설치되지는 못했다.

4. 7. 칼미키야

카프카스 국가판무관부 소속으로 계획되었던 총괄판무관부이다. 소재지는 아스트라한으로 예정되었으나, 카프카스 국가판무관부 자체가 계획 단계에 머물러 실제로 설치되지 못했기 때문에 칼미키야 총괄판무관부 역시 설치되지 않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