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총수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총수요는 경제 내에서 구매하려는 재화와 서비스의 총량을 의미하며, 경제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진다.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대공황 시기에 정부 지출을 통해 총수요를 증대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며, 유효수요 이론을 제시했다. 총수요는 소비, 투자, 정부 지출, 순수출의 합으로 구성되며, 총수요 곡선과 총공급 곡선을 통해 경제의 균형을 분석하는 AD-AS 모형이 사용된다. 포스트 케인즈학파는 부채의 역할을 강조하며, 부채 변화가 총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신용 충격으로 설명한다. 총수요 개념은 오스트리아 학파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요 - 세의 법칙
    세의 법칙은 경제학에서 공급이 스스로 수요를 창출한다는 이론으로, 시장은 항상 균형 상태를 유지한다고 주장하지만, 유효수요 부족을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 수요 - 수요와 공급
    수요와 공급은 시장에서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과 거래량을 결정하는 경제학의 기본 원리이며, 가격 변화에 따라 수요량과 공급량이 변동하고,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시장 균형이 이루어진다.
  • 거시경제학 - 최저임금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법으로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의미하며, 고용 감소나 물가 상승 등의 논쟁이 있지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 거시경제학 - 통화주의
    통화주의는 어빙 피셔의 화폐수량설에 기반하여 화폐 공급과 중앙은행의 역할을 강조하며, 화폐 공급 과잉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고 보는 거시경제학 이론이다.
  • 경제학에 관한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경제학에 관한 - 민간 부문
    민간 부문은 이윤 추구를 목표로 하는 경제 주체들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국가 경제 체제에 따라 비중과 역할이 다르며, 고용 창출의 원천이 되지만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여 국가의 규제를 받는다.
총수요
지도 정보
개요
정의일정 기간 동안 경제에서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총 수요
구성 요소소비
투자
정부 지출
순수출
거시경제 모델
AD-AS 모델거시경제 분석의 핵심 도구
총수요 곡선물가 수준과 총수요량 사이의 관계
총수요 곡선 이동 요인소비 변화
투자 변화
정부 지출 변화
순수출 변화
통화 정책 변화
재정 정책 변화
기대 변화
총수요의 중요성
거시경제 균형총수요와 총공급이 만나는 지점에서 결정
경제 성장총수요 증가는 경제 성장을 촉진
인플레이션총수요 증가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음
실업총수요 감소는 실업을 증가시킬 수 있음
기타
관련 개념유효수요
수요측면 경제학
소비함수
케인스 경제학

2. 역사적 배경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대공황 시기에 그의 저서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에서 총수요 개념을 처음 제시했다. 케인스는 대공황과 같은 경제 시스템 충격으로 인한 민간 부문의 생산량 감소는 정부 지출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민간 부문이 장기적으로 낮은 수준의 활동과 비자발적 실업 상태에 놓일 수 있으며, 이는 외부 개입으로만 해결 가능하다고 보았다.

2. 1. 케인즈 혁명과 유효수요 이론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그의 저서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에서 대공황 당시 블랙 먼데이와 같은 사상적 충격으로 인한 민간 부문의 생산 감소는 정부 지출로 메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효 총수요', 즉 경제 내 총지출이 감소하면 민간 부문은 적극적인 개입 없이는 영구적으로 감소된 활동 수준과 비자발적 실업 상태에 머물 수 있다고 보았다. 기업들은 자본 접근이 어려워져 근로자들을 해고했고, 이는 소비 지출 감소로 이어졌다. 소비자들의 구매 감소는 다시 수요 감소를 불러와 기업들이 추가적으로 근로자를 해고하게 만드는 악순환을 초래했다. 케인스는 이러한 악순환은 외부 개입을 통해서만 중단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둘째, 케인스는 고소득자는 소비 성향이 낮다고 보았다. 저소득자는 주택, 식량, 교통 등 필수재를 구매하기 위해 소득을 즉시 지출하는 반면, 고소득자는 모든 것을 소비할 수 없어 저축을 하게 된다. 이는 경제 내에서 소득이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는 화폐 유통 속도를 감소시키고, 결국 성장률을 낮춘다. 따라서 케인스는 이전 수준의 성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큰 규모의 공공 사업 프로그램을 통한 정부 지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1]

2. 2. 유효수요 원리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그의 저서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에서 세계 대공황기의 시스템 쇼크 결과로 나타난 민간 부문의 생산량 감소는 정부에 의해 구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케인스에 따르면, 억제된 유효 수요(총수요)로 인해 민간 부문은 장기적으로 낮은 수준의 활동 및 비자발적 실업을 강요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악순환은 외부의 개입, 즉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에 의해서만 중단 및 수정이 가능하다.

케인스는 고소득자의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한계소비성향영어이 낮은 점을 지적했다. 저소득자는 소득을 주택, 식량, 교통 수단 등의 구매에 사용하는 반면, 고소득자는 소비 대신 저축을 하여 화폐 유통 속도를 저해하고, 이는 경제 성장률을 낮춘다고 보았다. 따라서 경제 성장률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히 큰 규모의 공공 사업을 통한 정부 지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케인스가 제시한 유효수요 원리에 따르면, 가격 메커니즘이 작동하지 않는 단기에는 경제의 총공급과 국민소득을 결정하는 것은 그 경제의 총수요(유효수요)의 규모이다.

이와는 반대로, 총공급이 총수요와 국민소득을 결정한다는 신고전파 경제학의 이론을 세이의 법칙이라고 한다.

3. 총수요의 구성 요소

총수요(AD)는 특정 기간 동안 한 경제 내에서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총체적인 수요를 의미하며, 다음 네 가지 주요 구성 요소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6]

:AD = C + I + G + (X - M)

각 항목은 다음과 같다.


  • C: 소비 (Consumption)
  • I: 투자 (Investment)
  • G: 정부 지출 (Government spending)
  • NX: 순수출 (Net exports) = 총수출 (X) - 총수입 (M)


이 구성 요소들은 명목 가치 또는 실질 가치로 표현될 수 있다.[6]

3. 1. 소비 (C)

개인 소비 지출(C) 또는 "소비"는 가계와 독신 개인의 수요를 의미하며, 소비 함수에 의해 설명된다. 소비 함수는 C = C_0 + c \times (Y - T)로 표현된다.[6] 여기서,

  • C_0는 자발적 소비
  • c는 소비성향
  • (Y - T)는 가처분소득을 의미한다.

3. 2. 투자 (I)

케인즈 경제학에서는 총 민간 국내 투자를 모두 총수요의 일부로 계산하지는 않는다. 재고 투자의 상당 부분 또는 대부분은 수요 부족(계획되지 않은 재고 증가 또는 "일반적인 과잉 생산") 때문일 수 있다. 케인즈 모델은 계획되지 않은 투자가 있을 때 국민 생산량과 소득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한다.[6] (재고 증가는 제품의 초과 공급에 해당하며, 국민소득 및 생산물 계정에서는 생산자의 구매로 처리된다.) 따라서 계획되거나, 의도되거나, 원하는 투자(I_p)만 총수요의 일부로 계산된다. (I에는 재고 수준 증가 또는 감소에 대한 '투자'는 포함되지 않는다.)[6]

투자는 산출량과 금리(i)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를 총소득과 금리를 매개변수로 하는 함수 I(Y, i)로 쓸 수 있다. 투자는 산출량과는 양의 관계를, 금리와는 음의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금리 상승은 총수요 감소를 초래한다. 이자 비용은 차입 비용의 일부이며, 이자 비용이 상승함에 따라 기업과 가계 모두 지출을 줄일 것이다. 이는 총수요 곡선을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잠재 GDP보다 낮은 균형 GDP를 낮춘다.[6]

3. 3. 정부 지출 (G)

정부 지출(G)은 총수요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정부의 재화 및 서비스 구매, 공공 투자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정부 지출과 세금의 차이는 G-T로 표현된다.[6] 정부 지출 증가는 총수요를 증가시켜 GDP를 증가시킨다.[6]

케인스 경제학에서는 정부 지출 증가 또는 세금 감소가 총수요를 늘리는 중요한 정책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3. 4. 순수출 (NX)

순수출(NX)은 총수출(X)에서 총수입(M)을 뺀 값이다.[6] 순수출은 한 국가의 생산량에 대한 다른 나라의 순수요를 나타내며, 경상수지에 기여한다. 총수입(M)은 M_0 + m(Y - T)로 표현되기도 하며, 여기서 Y는 소비자 소득, T는 소비자가 납부하는 세금을 의미한다.

4. 총수요 곡선

총수요곡선은 각 물가 수준에서 경제 주체들이 구매하고자 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총량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총수요 곡선은 우하향하는데, 이는 물가 수준이 하락하면 실질 화폐 잔고가 증가하고, 이자율이 하락하여 소비와 투자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총수요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4개의 부문별 수요의 합계로 표현된다.[1]

:AD = C + I + G + (X - M)

여기서,


  • C는 소비지출이다. 소비지출은 가계의 수요를 의미하며, 소비함수로 표현된다.
  • I는 투자지출이다. 투자지출은 생산량과 이자율의 영향을 받는다. 이자율 상승은 총수요 감소의 원인이 된다.
  • G는 정부지출이다.
  • NX = X - M은 순수출이다. 여기서 X는 총수출, M은 총수입이다.


이를 종합하면, 특정 시점의 특정 국가의 총수요(AD)는 C + I_p + G + (X - M)로 주어진다.

4. 1. 케인즈의 십자가 (Keynesian Cross)

45도선 분석에서는 단기의 재화시장만을 고려한다. 그림 1의 파란 선은 총수요곡선 AD이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16]

:AD=C+G+I+X-M

여기서,

  • C:소비
  • G:정부지출
  • I:투자
  • X:수출
  • M:수입


45도선 분석에서는 총수요곡선과 45도선이 교차하는 점에서 균형국민소득 또는 균형생산량 Y가 결정된다.

4. 2. 총수요-총공급 모형 (AD-AS Model)

총공급/총수요 그래프


총수요-총공급 모형(AD-AS 모형)은 총수요 곡선과 총공급 곡선을 이용하여 경제 전체의 균형 물가 수준과 균형 생산량(국민소득)을 분석하는 모형이다.[17] 총수요 곡선은 IS-LM 모형에서 도출되며, 재화시장과 화폐시장이 동시에 균형을 이룰 때의 물가 수준과 국민소득의 조합을 보여준다.[17]

총수요-총공급 모형에서 세로축은 물가 수준(P), 가로축은 국민소득 또는 생산량(GDP)을 나타낸다. 총수요(AD)와 물가 수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 총수요 곡선이며, 어떤 경제의 물가 수준이 P_1일 때, Y_1이 그 경제의 총수요가 된다.

총수요-총공급 모형은 단기와 장기에서 다르게 작동하며, 단기 균형과 장기 균형은 구분된다.[17] 단기 총공급 곡선은 우상향하지만, 장기 총공급 곡선은 수직선이다. 장기에서는 가격, 물가 수준, 명목 임금 등이 신축적이라는 가정이 일반적이다.[17] 장기 균형에서의 GDP는 잠재 GDP(Potential GDP)라고 불린다.

총수요 곡선은 일반적으로 우하향하는데, 이는 물가 수준(P)이 하락하면 실질 화폐 공급(\frac{M^s}{P})이 증가하여 이자율이 낮아지고 투자가 증가하여 총수요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를 케인즈 효과라고 부르기도 한다.

총공급 곡선은 경제 활동 수준에 따라 다른 기울기를 가진다. 경제가 실업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총수요 증가가 주로 생산량 증가로 이어지지만, 경제가 잠재 산출량에 가까워질수록 총수요 증가는 생산량 증가보다는 물가 상승을 유발한다. 잠재 생산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총공급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여 생산량 증가 효과가 사라진다.

5. 부채와 총수요 (포스트 케인지언 관점)

포스트 케인즈학파는 총수요의 중요한 요소로 부채의 역할을 강조한다.[7] 부채 변화가 총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신용 충격(credit impulse)'이라고도 불린다.[8]

지출은 소득에 차입액을 더한 것이다. 예를 들어 110달러를 지출하고 100달러를 벌었다면 순차입액은 10달러이다. 반대로 90달러를 지출하고 100달러를 벌었다면 순저축은 10달러이거나 부채가 10달러 감소한 것이다.

부채가 GDP 대비 느리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 총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그러나 부채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한 경우, 부채 증가 추세의 변화는 총수요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부채 변화는 부채의 ''수준''과 관련이 있다.[7] 예를 들어 부채 수준이 GDP의 300%이고 대출의 1%가 상환되지 않으면 GDP에 3%의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상당한 수준이다. 이러한 규모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경기침체를 야기한다.

마찬가지로 상환율(채무자가 부채를 상환하는 비율)의 변화는 부채 수준에 비례하여 총수요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경제의 부채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경제는 부채 변화에 더욱 민감해지고 신용 버블은 거시경제적 우려 사항이 된다.

이러한 관점은 피셔의 부채 디플레이션 이론과 신용 버블 개념에서 비롯되며 포스트 케인즈 학파에서 자세히 설명되었다.[7] 부채 수준이 매년 증가하는 경우 총수요는 그만큼 소득을 초과한다. 그러나 부채 수준이 증가를 멈추고 감소하기 시작하면("버블이 붕괴되면") 총수요는 순저축액만큼 소득에 미치지 못한다. 이는 총수요의 갑작스럽고 지속적인 감소를 야기하며, 이러한 충격은 경제 위기, 특히 금융 위기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주장된다. 실제로 부채 수준의 감소는 필요하지 않다. 부채 증가율의 ''둔화''만으로도 총수요 감소를 초래한다.[9]

부채의 관점에서 볼 때, 경제 위기에 직면하여 정부의 케인즈식 처방인 재정 적자 지출은 정부의 부채 증가로 민간 부채 부족분을 보상하는 것이다. 즉, 민간 부채를 공공 부채로 대체하는 것이다. 다른 대안으로는 민간 부채의 성장을 재개하거나, 감소 속도를 늦추거나 중단하는 것, 그리고 부채 감면이 있다. 부채 감면은 부채를 줄이거나 없앰으로써 신용의 축소를 막고 부채가 안정화되거나 증가하도록 한다.

6. 비판

오스트리아 학파 이론가 헨리 해즐릿은 총수요가 경제 분석에서 "무의미한 개념"이라고 주장했다.[10]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케인즈의 경제 전체의 총량적 관계에 대한 연구가 "잘못되었다"고 쓰면서, 경기 침체는 미시경제학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11]

7. 한국 경제와 총수요 관리 정책

(참조할 원본 소스와 결과값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내용을 생성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Exploring Economics https://archive.org/[...]
[2] 서적 Economics: Principles in action https://www.savvas.c[...] Prentice Hall 2020-11-05
[3] 백과사전 Market demand and excess demand functions
[4] 학술지 Aggregation and Market Demand: An Exterior Differential Calculus Viewpoint
[5] 서적 Macroeconomics Worth Publishers
[6] 웹사이트 aggregate demand (AD) http://www.tutor2u.n[...] 2007-11-04
[7] 블로그 Debtwatch No 41, December 2009: 4 Years of Calling the GFC http://www.debtdefla[...] 2009-12-01
[8] 웹사이트 Credit and Economic Recovery: Demystifying Phoenix Miracles http://ssrn.com/pape[...] 2010-03-15
[9] 뉴스 Noughty boys on trading floor led us into debt-laden fantasy http://www.smh.com.a[...]
[10] 서적 The Failure of the 'New Economics': An Analysis of the Keynesian Fallacies https://www.mises.or[...] D. Van Nostrand
[11] 서적 The Collected Works of F.A. Hayek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 서적 Exploring Economics
[13] 서적 Economics for the IB Diploma Revision Guid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https://books.google[...] Hachette UK
[14] 서적 Macroeconomics Worth Publishers
[15] 웹사이트 aggregate demand (AD) http://www.tutor2u.n[...] 2007-11-04
[16] 서적 Advanced Economics Through Diagram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AS-AD model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 서적 Exploring Economics
[19] 서적 Economics: Principles in action https://www.savvas.c[...] Prentice Hall 2021-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