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친위대 제29무장척탄병사단 러시아 국민해방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친위대 제29무장척탄병사단 러시아 국민해방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지원을 받아 결성된 군사 조직이다. 1941년 독일의 소련 침공 이후, 반공주의 성향의 러시아인과 벨라루스인들이 자경단을 조직한 것이 시초가 되었다. 이들은 러시아 국민해방군(RONA)으로 발전하여 독일군에 협력, 점령지 경비 및 게릴라 소탕 임무를 수행했다. 1944년 무장친위대에 편입되어 '카민스키 특무 여단'으로 개칭되었고, 같은 해 8월 사단으로 승격되어 바르샤바 봉기 진압에 투입되었으나, 학살과 약탈을 자행하며 전투력은 미미했다. 사단장 브로니스와프 카민스키가 사망하고 사단이 해산된 후, 잔존 병력은 러시아 해방군에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르샤바 봉기 진압군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는 러시아 제국 출신으로 러시아 내전에서 붉은 군대에 복무하고 소련 공산당에서 퇴출되는 등 부침을 겪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로코트 자치국의 수장이 되어 러시아 해방 국민군을 지휘하며 파르티잔 진압에 앞장섰고, 이후 무장친위대에 편입되어 바르샤바 봉기 진압 작전에 참여하여 전쟁 범죄를 저지른 후 처형된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바르샤바 봉기 진압군 - 오스카르 디를레방거
    오스카르 디를레방거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무장친위대에서 잔혹한 전쟁 범죄를 저지른 독일 군인으로, 디를레방거 여단을 지휘하며 폴란드와 벨라루스 등지에서 악명을 떨치고 바르샤바 봉기 진압 과정에서 끔찍한 학살을 자행했다.
  • 무장친위대 보병사단 - 제27SS의용척탄병사단 랑게마르크
    제27SS의용척탄병사단 랑게마르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벨기에 플란데르 출신 의용병으로 구성되어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에 소속되었으며, 레닌그라드, 우크라이나, 나르바 등지에서 전투를 치르다 소련군에 항복했다.
  • 무장친위대 보병사단 - 제28SS의용척탄병사단 발로니엔
    제28SS의용척탄병사단 발로니엔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에 소속된 사단으로, 벨기에 왈롱 지역 출신 의용병으로 구성되어 동부 전선에서 활동하며 여러 전투에 참전했다.
  • 무장친위대 외인의용부대 - 친위대 제13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
    친위대 제13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가 보스니아 무슬림을 주축으로 창설하여 크로아티아 독립국 내 파르티잔 진압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창설 배경, 반란, 잔혹 행위 등으로 악명을 떨치다 전쟁 후 구성원들이 전범 재판에 회부되거나 아랍-이스라엘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 무장친위대 외인의용부대 - 영국 자유군단
    영국 자유군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창설한 영국인 의용군 부대로, 볼셰비키에 맞선다는 명분으로 최대 27명 규모로 구성되었으며, 종전 후 창설자 존 아메리는 처형되었다.
친위대 제29무장척탄병사단 러시아 국민해방군
기본 정보
카민스키 여단의 부대장
카민스키 여단의 부대장
명칭카민스키 여단
소속[[File:Flag_Schutzstaffel.svg|26px]] 무장친위대
규모여단
역사
창설1941년 11월
해체1944년 8월
군대 정보
이름친위대 제29무장척탄병사단 러시아 국민해방군
약칭RONA
그림Bundesarchiv Bild 101I-280-1075-15A, Russland, Kaminski mit Polizeioffizieren.jpg
활동 기간1944년 1월 ~ 1944년 10월
소속무장친위대
병과보병
규모사단
주요 지휘관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크리스토프 폰 디흠

2. 연혁

1941년6월 22일, 독일군이 독소전을 개시하며 소련을 침공하여 광대한 지역을 점령했다. 점령지에는 다수의 소련 국민이 남겨졌는데, 이들 중 일부는 파르티잔이 되어 저항을 계속했지만, 반소 감정이 강했던 발트 지방이나 우크라이나 주민 중 일부는 독일군을 "공산 러시아의 압제로부터의 해방군"으로 환영하며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파르티잔은 종종 식량 등을 조달하기 위해 주변 마을을 습격했고, 이에 1941년 10월 벨라루스브랸스크 근교에서 친독일파 주민들이 마을을 지키기 위한 자경 조직을 결성했다. 이것이 카민스키 여단의 시작으로, 초기 지휘관은 콘스탄틴 보스코보이니크(ru)였고, 브로니스와프 카민스키는 그를 보좌했다.

자경 조직이 결성된 직후, 해당 마을은 독일군에 의해 자치권이 인정되었다. 그리고 반공산주의 성향의 러시아인과 벨라루스인들이 합류하면서 자경 조직은 시민군으로 확대되었다.

1942년 1월 8일, 대대장 보스코보이니크가 임무 수행 중 게릴라에게 살해당하면서 당시 대대장 대리였던 브로니스와프 카민스키가 시민군 지휘를 맡게 되었다. 이때의 주요 활동은 독일군과 공동으로 점령지 경비 임무 등이었다. 1942년 말까지 시민군은 약 10,000명의 병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카민스키는 이 시민군에 공식 명칭으로 '러시아 국민해방군(RONA)'이라는 명칭을 붙이고 전투 부대로서 독일군에 협력할 것을 제안했다. 독일 측은 이를 받아들여 협력의 대가로 붉은 군대로부터 노획한 야포 36문과 T-34 전차 24량을 제공했다. 이로 인해 해방군의 전력은 크게 증강되었다.

1943년 7월 4일부터 시작된 쿠르스크 전투에서 해방군은 독일군의 보급선을 지키는 전투에 참여하는 한편, 이때부터 게릴라 소탕, 게릴라 협력자 색출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대대장 카민스키는 철저한 반공산주의자였기 때문에 게릴라에 대해 가혹한 태도를 보였고, 독일군 연락 요원은 해방군 본부 밖의 교수대에 매달린 시체를 본 사실을 본부에 보고했다.

이후 쿠르스크 전투의 실패와 소련 정부의 사면 등을 내세운 선전 공작으로 해방군으로부터 탈주자가 잇따르면서 해방군 유지가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 되었고, 결국 제2 연대장이 게릴라에게 투항을 획책했다. 이는 사전에 발각되어 무산되었지만, 사정을 알게 된 카민스키는 연대 본부로 직접 가서 제2연대장을 그의 부하들 앞에서 처형하여 해방군의 붕괴를 막았다.

해방군은 구성원의 대다수를 탈주로 잃었기 때문에 후방 지역으로 이동했지만, 그 지역은 게릴라 측의 세력 지역이었기 때문에 오히려 격렬한 전투에 휘말렸다. 이 때문에 1944년 초에는 더욱 후방 지역으로 이동했고, 이 시기에 강제적으로 징집된 벨라루스인으로 보충되었다.

1944년 3월, 러시아 국민해방군은 나치 독일에 충성을 맹세하고 정식으로 무장친위대에 편입되었으며, 같은 해 6월에는 "카민스키 특무 여단"이라는 명칭이 주어졌지만, 곧 "SS 무장 돌격 여단 RONA"로 변경되었다. 카민스키는 친위대 소장으로 임명됨과 동시에 여단장으로도 임명되었다.

1944년 8월, 사단으로 승격되어 "제29SS 무장척탄병사단"이라는 명칭이 주어졌다. 같은 달 발생한 바르샤바 봉기 진압에 동원되었지만, 학살, 약탈, 부녀자 강간 등을 저지를 뿐, 전투에서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다.

바르샤바 봉기 당시의 카민스키 여단


사단장 카민스키는 같은 달 하순, 총격을 받은 차량 안에서 시체로 발견되었다. 친위대 본부는 카민스키의 부하들에게 팔치산의 습격이라고 설명했으며, 이 직후 사단은 해산되었고, 제29SS 무장척탄병사단의 명칭은 이탈리아인 부대에 부여되었다. 하지만, 카민스키의 살해는 그들의 난폭한 행위를 알게 된 친위대 대장 하인리히 힘러의 지시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남은 사단의 구성원은 제600보병사단에 편입되었지만, 책임자인 안드레이 블라소프는 구성원의 선발에 대해 엄격한 심사를 실시했다.

2. 1. 자경 조직 결성 (1941년)

1941년 6월 22일, 독일군이 독소전을 개시하며 소련을 침공하여 광대한 지역을 점령했다. 점령지에는 다수의 소련 국민이 남겨졌는데, 이들 중 일부는 파르티잔이 되어 저항을 계속했지만, 반소 감정이 강했던 발트 지방이나 우크라이나 주민 중 일부는 독일군을 "공산 러시아의 압제로부터의 해방군"으로 환영하며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파르티잔은 종종 식량 등을 조달하기 위해 주변 마을을 습격했고, 이에 1941년 10월 벨라루스의 브랸스크 근교에서 친독일파 주민들이 마을을 지키기 위한 자경 조직을 결성했다. 이것이 카민스키 여단의 시작으로, 초기 지휘관은 콘스탄틴 보스코보이니크(ru)였고, 브로니스와프 카민스키는 그를 보좌했다.

이 자경 조직이 결성된 직후, 해당 마을은 독일군에 의해 자치권이 인정되었다. 그리고 반공산주의 성향의 러시아인과 벨라루스인들이 합류하면서 자경 조직은 시민군으로 확대되었다.

2. 2. 러시아 국민해방군(RONA) 시대 (1942년 ~ 1944년)

1942년 1월 8일, 대대장 보스코보이니크가 임무 수행 중 게릴라에게 살해당하면서 당시 대대장 대리였던 브로니스와프 카민스키가 시민군 지휘를 맡게 되었다. 이때의 주요 활동은 독일군과 공동으로 점령지 경비 임무 등이었다. 1942년 말까지 시민군은 약 10,000명의 병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카민스키는 이 시민군에 공식 명칭으로 '러시아 국민 해방군'(RONA)이라는 명칭을 붙이고 전투 부대로서 독일군에 협력할 것을 제안했다. 독일 측은 이를 받아들여 협력의 대가로 붉은 군대로부터 노획한 야포 36문과 T-34 전차 24량을 제공했다. 이로 인해 해방군의 전력은 크게 증강되었다.

1943년 7월 4일부터 시작된 쿠르스크 전투에서 해방군은 독일군의 보급선을 지키는 전투에 참여하는 한편, 이때부터 게릴라 소탕, 게릴라 협력자 색출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대대장 카민스키는 철저한 반공산주의자였기 때문에 게릴라에 대해 가혹한 태도를 보였고, 독일군 연락 요원은 해방군 본부 밖의 교수대에 매달린 시체를 본 사실을 본부에 보고했다.

이후 쿠르스크 전투의 실패와 소련 정부의 사면 등을 내세운 선전 공작으로 해방군으로부터 탈주자가 잇따르면서 해방군 유지가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 되었고, 결국 제2 연대장이 게릴라에게 투항을 획책했다. 이는 사전에 발각되어 무산되었지만, 사정을 알게 된 카민스키는 연대 본부로 직접 가서 제2연대장을 그의 부하들 앞에서 처형하여 해방군의 붕괴를 막았다.

해방군은 구성원의 대다수를 탈주로 잃었기 때문에 후방 지역으로 이동했지만, 그 지역은 게릴라 측의 세력 지역이었기 때문에 오히려 격렬한 전투에 휘말렸다. 이 때문에 1944년 초에는 더욱 후방 지역으로 이동했고, 이 시기에 강제적으로 징집된 벨라루스인으로 보충되었다.

2. 3. 무장친위대 편입과 해체 (1944년)

1944년 3월, 러시아 국민해방군은 나치 독일에 충성을 맹세하고 정식으로 무장친위대에 편입되었으며, 같은 해 6월에는 "카민스키 특무 여단"이라는 명칭이 주어졌지만, 곧 "SS 무장 돌격 여단 RONA"로 변경되었다. 대장 카민스키는 친위대 소장으로 임명됨과 동시에 여단장으로도 임명되었다.

1944년 8월, 사단으로 승격되어 "제29SS 무장척탄병사단"이라는 명칭이 주어졌다. 같은 달 발생한 바르샤바 봉기 진압에 동원되었지만, 학살, 약탈, 부녀자 강간 등을 저지를 뿐, 전투에서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다.

사단장 카민스키는 같은 달 하순, 총격을 받은 차량 안에서 시체로 발견되었다. 친위대 본부는 카민스키의 부하들에게 팔치산의 습격이라고 설명했으며, 이 직후 사단은 해산되었고, 제29SS 무장척탄병사단의 명칭은 이탈리아인 부대에 부여되었다. 하지만, 카민스키의 살해는 그들의 난폭한 행위를 알게 된 친위대 대장 하인리히 힘러의 지시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남은 사단의 구성원은 제600보병사단에 편입되었지만, 책임자인 안드레이 블라소프는 구성원의 선발에 대해 엄격한 심사를 실시했다.

3. 주요 인물

3. 1. 콘스탄틴 보스코보이니크

3. 2. 브로니스와프 카민스키

4. 평가

5. 한국과의 관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