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넴-보르누 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넴-보르누 제국은 8세기경 차드호 주변에서 유목민 테부족에 의해 건국되어 19세기 말 프랑스에 정복될 때까지 존재했던 서아프리카의 강력한 국가였다. 사하라 횡단 노예 무역으로 경제적 번영을 이루었으며, 카누리족이 지배하는 사이파와 왕조가 통치했다. 14세기에는 보르누 지역으로 이동하여 세력을 유지했고, 16세기 이드리스 알루마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19세기 풀라니 전쟁과 라비 아즈-주바이르의 침략으로 쇠퇴했으며, 프랑스, 영국, 독일의 식민 지배를 거쳐 나이지리아의 일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제르의 역사 - 송가이 제국
    송가이 제국은 서아프리카 니제르 강 유역에서 번성했던 제국으로, 손니 왕조를 거쳐 아스키아 왕조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했으나 모로코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멸망 후에도 여러 소왕국으로 이어졌다.
  • 차드의 역사 - 필리프 르클레르 드 오트클로크
    필리프 르클레르 드 오트클로크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자유 프랑스군의 주요 지휘관으로서 제2기갑사단을 이끌고 파리 해방과 스트라스부르 해방에 기여했으며, 사후 프랑스 원수로 추서되어 그의 이름을 딴 르클레르 전차가 제작되기도 한 프랑스의 군인이다.
  • 차드의 역사 - 차드 국민해방전선
    차드 국민해방전선(FROLINAT)은 1965년 결성된 차드의 좌익 반군 단체이며, 차드의 완전한 독립을 추구했으나 내부 분열과 외세 개입으로 인해 차드 내전을 장기화시키고 1993년 해산되었다.
  • 1899년 폐지 - 옥구군
    옥구군은 백제 시대부터 시작하여 여러 명칭으로 불리다가 1914년 군산부 일부를 제외한 지역과 주변 지역을 통합하여 옥구군으로 유지되었고, 1995년 군산시와 통합되었다.
  • 1899년 폐지 - 창원군
    창원군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여러 차례 명칭과 위상이 바뀌며 경상남도에서 존속하다가, 마산항 개항 이후 중심지가 마산으로 이동하고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95년 창원시와 마산시에 통합되어 폐지된 군이다.
카넴-보르누 제국
지도
카넴 제국 영향력 (1200년경)
카넴 제국 영향력 (1200년경)
기본 정보
정식 명칭카넴 제국
일반 명칭카넴 제국
시대중세
정치 체제군주제
건국 시기700년경
멸망 시기1380년
건국 사건700년
멸망 사건침략으로 인해 이동, 새로운 보르누 제국 설립
이전 국가투부 문화
카누리 문화
사오 문명
다음 국가보르누 제국
코르만스
국기
국기 테두리아니오
국장
수도마난 (12세기까지)
은지미
공용어카누리어
테다어
종교애니미즘
후기 수니파 이슬람교
통화옷감
카우리 조개껍데기
구리
면적776,996 제곱킬로미터 (1200년경)
면적30만 제곱마일
면적 참고케빈 실링턴, 아프리카 역사 백과사전 3권 세트
면적 측정 시기1200년경
통치자
초대 통치자세프
두 번째 통치자후마이
세 번째 통치자두나마 1세
네 번째 통치자오마르 1세
초대 통치자 시대700년경
두 번째 통치자 시대1085년-1097년
세 번째 통치자 시대1097년-1150년
네 번째 통치자 시대1382년–1387년
통치자 칭호왕 (마이)
카넴 제국 정보
위치차드 호수 주변
주요 민족카누리족
주요 산업노예 무역
상아
사치품
문화쿠시어족 문화
이슬람교 문화
일본어 정보
일본어 공식 국명카네무 보르누 제국
일본어 건국 시기700년경
일본어 멸망 시기1893년
일본어 다음 국가프랑스령 서아프리카
하우사 왕국
소코토 제국
사드 왕조
오스만 제국
일본어 수도은지미
은가자르가무
일본어 통치자 칭호황제
일본어 초대 통치자 시대?년
일본어 초대 통치자 이름세프
일본어 두 번째 통치자 시대1075년
일본어 두 번째 통치자 시대1086년
일본어 두 번째 통치자 이름후마이
일본어 세 번째 통치자 시대1571년
일본어 세 번째 통치자 시대1603년
일본어 세 번째 통치자 이름사이이드
일본어 네 번째 통치자 시대1571년
일본어 네 번째 통치자 시대1603년
일본어 네 번째 통치자 이름이드리스 아로마
일본어 다섯 번째 통치자 시대1885년
일본어 다섯 번째 통치자 시대1893년
일본어 다섯 번째 통치자 이름하심
일본어 면적 측정 시기1200년
일본어 면적776,996
일본어 면적 측정 시기1892년
일본어 면적129,499
일본어 인구 측정 시기1892년
일본어 인구5,000,000
일본어 변천건국: 700년경
보르누 지역으로 천도: 1396년
멸망: 1893년
일본어 통화물물교환
노예
상아
한국어 정보
한국어 공식 국명카넴-보르누 제국
한국어 건국 시기600년
한국어 멸망 시기1899년
한국어 수도마난, 은지미
한국어 통치자 칭호왕 (마이)
한국어 통치자 이름카카라
우마르 (마지막 군주)
한국어 사건성립
보르누 제국 통합
한국어 사건 날짜기원전 600년
기원후 1300년
한국어 면적776,996 (1200년)
한국어 종교이슬람교

2. 역사

카넴-보르누 제국은 8세기경 차드호 주변에서 카넴 제국으로 시작되었다. 카넴 제국은 사하라 횡단 무역로의 요충지에 위치하여 번성했으며, 주요 교역품은 노예였다. 14세기 말, 내부 분쟁과 외부 공격으로 카넴 제국은 쇠퇴하고, 카네엠부족은 보르누로 이동하여 보르누 제국을 세웠다.

보르누 제국은 16세기 이드리스 카타카르마베와 이드리스 알루마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이들은 니지미를 탈환하고, 하우사랜드와 투아레그족을 지배하는 등 영토를 확장했다. 또한, 군사력을 강화하고 오스만 제국과 외교 관계를 맺는 등 국력을 신장시켰다.

17세기부터 보르누 제국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19세기 초, 풀라니 전쟁의 영향으로 응가자르가무가 함락되고, 무함마드 알-아민 알-카네미가 쿠카와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하며 권력을 잡았다. 알-카네미 사후 내분과 와다이 제국의 공격으로 보르누 제국은 더욱 약화되었다.

1893년, 라비 아즈-주바이르가 보르누를 정복하면서 제국은 멸망했다. 이후 프랑스와 영국의 식민 지배를 거쳐, 보르누 왕국의 영토는 나이지리아, 차드, 니제르, 카메룬으로 분할되었다. 옛 왕국의 잔재는 보르누 토후국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2. 1. 카넴 제국의 성립 (8세기 ~ 14세기)

카넴은 사하라 사막 횡단 무역로의 남쪽 끝, 트리폴리차드호 지역 사이에 위치했다. 도시 엘리트 계층 외에도, 테다-다자어군을 사용하는 유목민 부족 연합체, 투부족 또는 베르베르족이 포함되어 있었다.[5]

8세기에 와브 이븐 무나비는 테다-투부족을 묘사하는 데 자가와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이 민족 명칭의 최초 사용 사례이다. 알콰리즈미 역시 9세기에 자가와족을 언급했으며, 이븐 알나딤도 10세기 그의 저서 『알피흐리스트』에서 언급했다.[6]

카넴은 테다어와 카누리어로 "남쪽"을 의미하는 "아넴"에서 유래한 지리적 명칭이다. 1천년 동안 사하라 사막이 건조화됨에 따라 카넴부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남쪽의 카넴으로 이주했다. 이 집단은 카누리족의 형성에 기여했다. 카누리족의 전통에 따르면 자가와 왕조가 마구미라 불리는 유목민 집단을 이끌었다고 한다.[7]

사하라 사막의 건조화는 두 개의 정착지를 만들어냈다. 하나는 차드호 북동쪽의 테다-다자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고, 다른 하나는 보르누와 하우사랜드의 호수 서쪽에서 차드어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다.[18]

카넴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최초의 역사적 자료들은 카넴 왕국이 약 700년경 유목민 테부어를 사용하는 카넴부족에 의해 형성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카넴부족은 이전 거주지의 정치적 압력과 사막화로 인해 차드호 주변의 비옥한 땅으로 남서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에는 이미 사오 문명에 속하는 독립적인 성벽 도시 국가들이 존재했다. 두구와 왕조의 지도 아래 카넴부족은 결국 사오 문명을 지배하게 되지만, 그 전에 사오 문명의 관습들을 많이 받아들였다.[8] 두 문명 간의 전쟁은 16세기 후반까지 계속되었다.

카누리 전통에 따르면 사이프 이븐 디 야잔은 9세기경 신권 왕정을 통해 유목민들을 지배하는 왕조를 세웠다.[14] 그 후 1000년 동안 마이들은 카누리족들을 통치했는데, 여기에는 응갈라가, 캉구, 카이, 쿠부리, 카구와, 토마그라, 투부 등이 포함되었다.[18]

872년 야쿠비는 카넴을 수단 지역의 세 개의 위대한 제국 중 하나로 언급한다. 그는 "카님이라는 곳에 사는 자가와" 왕국을 묘사하는데, 이 왕국에는 여러 개의 속국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들의 거처는 갈대로 만든 오두막이고, 도시는 없다." 유목민으로 살면서, 그들의 기병대는 그들에게 군사적 우월성을 제공했다. 10세기에 알-무할라비는 그 왕국에 두 개의 도시를 언급하는데, 그중 하나는 마난이었다. 그들의 왕은 신성시되었고, 그는 "생명과 죽음, 질병과 건강을 가져올 수 있다"고 믿었다. 부는 가축, 양, 소, 낙타, 말로 측정되었다. 알-바크리의 11세기 이후 기록부터는 그 왕국을 "카넴"이라고 부른다. 12세기에 무함마드 알-이드리시는 마난을 "어떤 종류의 산업도 없고, 상업도 거의 없는 작은 도시"라고 묘사했다. 이븐 사이드 알-마그리비는 13세기에 마난을 카넴 왕들의 수도로, 카넴을 강력한 무슬림 왕국으로 묘사했다.[17][7][18]

9세기에 카누리어를 사용하는 무슬림들이 민족 갈등 시기에 자가와 유목민들로부터 카넴을 장악했다.[15] 카누리 전설에 따르면 사이프 이븐 디 야잔이 사이파와 왕조를 건설했다고 한다.[14] 새 왕조는 중앙 사하라의 자가와 무역로를 빌마 및 기타 소금 광산과 연결했다. 하지만 주요 무역 상품은 노예였다. 차드 호 남쪽의 부족들은 ''카피르''로 침략당했고, 그 후 페잔의 자윌라로 이송되어 말과 무기를 얻기 위해 노예로 팔렸다. 연간 노예 무역량은 7세기 1000명에서 15세기 5000명으로 증가했다.

마이 후마이는 1075년에 통치를 시작하여 카이, 투부, 다비르, 마구미와 동맹을 맺었다. 그는 그의 무슬림 스승 무함마드 마니에 의해 개종한 카넴의 첫 번째 무슬림 왕이 되었다. 그들은 11세기까지 유목민으로 남아 있다가 수도를 니즈미에 정착시켰다.[20][21][22][7][18]

후마이의 후계자 두나마 1세 (1098-1151)는 하즈를 세 번 수행한 후 아이답에서 익사했다. 당시 군대는 기병 10만 명과 병사 12만 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8][19][15]

카넴의 팽창은 마이 두나마 다발레미(1210~1259)의 길고 활력 넘치는 재위 기간 동안 정점에 달했다. 다발레미는 북아프리카술탄들과 외교 교류를 시작하여 하프시드 왕조 군주에게 기린을 보냈고, 메카 순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카이로에 알-라시드의 마드라사를 설립하도록 조치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주변 부족들에 대한 성전을 선포하고 4만 1천 명의 기병대를 이끌고 장기간의 정복을 시작했다. 그는 불랄라와 7년 7개월 7일 동안 싸웠다. 페잔을 지배한 후, 그는 트라간에 총독을 임명하고 아들들에게 군 지휘권을 위임했다. 사이파와가 카누리 부족 영토 너머로 지배력을 확장함에 따라, 군 사령관들에게는 'cima' 또는 '국경의 지배자'로서 영지가 주어졌다.

2. 2. 보르누 제국의 발전 (14세기 ~ 19세기)

14세기 말, 내부 분쟁과 외부 공격으로 카네엠 제국은 분열되었다. 사오와의 전쟁으로 셀레마, 쿠레 가나 에스-사기르, 쿠레 쿠라 알-카비르, 무함마드 1세 등 네 명의 마이가 사망했다.[18][19][25][21] 이후 불랄라와의 전쟁으로 1377년부터 1387년 사이에 다우드 니갈레미, 우스만 빈 다우드, 우스만 빈 이드리스, 아부 바크르 리야투 등 네 명의 마이가 연달아 죽었다. 1387년경, 불랄라는 마이 우마르 빈 이드리스를 강제로 니지미에서 쫓아내 카네엠부족을 차드 호수 서쪽 가장자리에 있는 보르누로 이동시켰다.

보르누에서도 사이파와 왕조의 어려움은 계속되었다. 15세기 초 4분의 3 동안 15명의 마이가 왕위에 올랐다. 그러다 1460년경 알리 가지 (1473–1507)가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보르누 통합을 시작했다. 그는 차드 호수 서쪽(오늘날 나이지리아)에 가자르가무라는 요새화된 수도를 건설했는데, 이는 사이파와 마이가 한 세기 만에 처음으로 얻게 된 영구적인 거주지였다. 16세기 초, 마이 이드리스 카타카르마베 (1507–1529)는 불랄라를 격파하고 옛 수도 니지미를 되찾았다. 그러나 제국의 지도자들은 농업 생산성이 더 높고 가축 사육에 더 적합한 가자르가무에 머물렀다.[26][20][15][18][19] 알리 가지는 칼리프 칭호를 얻은 최초의 제국 통치자였다.

마이 이드리스 알루마(1564년경–1596년) 통치 시기에 보르누는 전성기를 맞이하여 최대 영토 확장을 이루었고, 하우사랜드와 아히르, 투아레그 사람들을 지배하게 되었다. 불랄라와는 불가침 조약을 통해 국경을 확정하고 평화를 맺었다.[27] 군사적 혁신에는 기병 터키 용병, 노예 용병, 갑옷 기병 및 보병 사용, 암사카 요새 도시 공성전에서 볼 수 있듯이 군사 공학적 업적 등이 포함되었다. 이 군대는 선봉대와 후방 예비대를 갖추고 방패벽 전술을 사용했다.[28] 보르누 군대는 낙타나 큰 배로 이동했고, 자유 여성과 노예 여성 요리사들이 식량을 조달했으며, 요새 도시나 다른 거점을 정복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초토화 작전을 사용하기도 했다. 국경에는 리바트가 건설되었고, 북쪽으로 향하는 무역로가 안전하게 유지되어 트리폴리 파샤 및 오스만 제국과 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 1574년에서 1583년 사이에 보르누 술탄은 사하라 사막의 정치적 긴장 속에서 무라드 3세 오스만 술탄과 아흐마드 알 만수르 모로코 술탄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 보르누 술탄은 사하라 사막에서 오스만 제국의 제국주의에 맞서 모로코 술탄과 동맹을 맺었다.[29] 이븐 푸르투는 알루마를 아미르 알 무미닌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그가 샤리아를 시행하고 정의를 보장하기 위해 대규모 봉토 소유자들에게 의존했기 때문이다.[18][21][20][19][15]

17세기에 차드 호수에서 트리폴리로 가는 길은 말을 노예와 교역하는 활발한 통행로였다. 당시 보르누와 트리폴리 파찰릭 사이에 활발한 외교 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보고된다.[30] 약 200만 명의 노예가 이 길을 통해 지중해 최대 노예 시장인 트리폴리로 팔려갔다. 마틴 머서디스는 "길가의 우물 주변에는 수천 명의 노예, 대부분 젊은 여성과 소녀들의 해골이 널려 있었는데, 그들은 죽기 전에 물을 마시려고 필사적으로 노력했던 흔적이다."라고 말했다.[20]

이드리스 알루마의 후계자들 대부분은 ''디완(Diwan)''에서 얻은 빈약한 정보로만 알려져 있다. 그들 중 일부는 메카(Mecca)로 순례를 떠났고, 다른 일부는 경건함으로 유명하다. 18세기에는 보르누가 여러 차례의 장기간에 걸친 기근을 겪었다.[31][18][19] 아가데즈 술탄국은 1532년부터 조공국이었지만 1750년까지 빌마의 소금 광산을 독자적으로 운영했다.[7][21]

알루마의 행정 개혁과 군사적 탁월함은 17세기 중반 제국의 힘이 약해지기 시작할 때까지 제국을 유지했다. 18세기 후반까지 보르누의 지배는 서쪽으로, 현대 나이지리아의 하우사 족의 땅으로만 확장되었다. 제국은 여전히 마이가 통치했으며, 국가 평의회(''노케나'')에서 그의 고문들(''코케나와'')의 조언을 받았다.[32] 그의 노케나 평의회 구성원에는 그의 아들과 딸, 그리고 다른 왕족(마이나)과 비왕족(코케나와, "신흥 인물들")이 포함되었다. 코케나와에는 자유민과 ''카첼라''로 알려진 노예 환관이 포함되었다. 후자는 "많은 무슬림 궁정에서 환관들이 그랬던 것처럼 보르누 정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33]

17세기와 18세기 동안 보르누는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가 되었다. 보르노 술탄들은 사헬 지역에서 수피즘의 부상이라는 맥락에서 그들의 종교적 카리스마에 기반한 정치적 정통성을 발전시켰다.[34] 이슬람과 카누리어가 널리 채택되었고, 노예 습격이 경제를 촉진했다.[21]

이 무렵, 서쪽에서 침입한 풀라족은 풀라니 전쟁 기간 동안 보르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초, 카네엠-보르누 제국은 쇠퇴기에 접어들었고, 1808년 풀라니 전사들은 응가자르가무를 정복했다. 우스만 단 포디오가 이끄는 풀라니의 공격은 이 지역의 불경건한 무슬림들을 향한 지하드(성전) 선포로 이어졌다. 그의 캠페인은 결국 카네엠-보르누에 영향을 미쳤고 이슬람 정통주의 경향을 불러일으켰다.[19]

19세기 중반 보르누 출신의 젊은 여성


페잔 출신의 혼혈 카누리족과 슈와 아랍인 유산을 가진 무함마드 알-아민 알-카네미는 보르누로의 풀라니족 침입에 맞섰다. 알-카네미는 주로 슈와 아랍인과 카네부족으로 구성된 연합을 결성한 무슬림 학자였다. 그는 결국 1814년에 쿠카와(현재 나이지리아)에 수도를 건설했다. 쿠카와에 수도를 건설한 후, 알-카네미는 보르누 내에서 빠르게 많은 추종자를 확보하고 보르누 사회 내에서 세후(Shehu, 종교 지도자)라는 칭호를 채택하여, 꼭두각시 군주가 된 마이(Mai, 보르누의 전통 지도자)의 통치를 빠르게 대체했다. 1846년, 마지막 마이는 와다이 제국과 연합하여 내전을 일으켰고, 마지막 마이인 이브라힘의 죽음으로 이어졌다. 그때 알-카네미의 아들 우마르가 세후가 되어 국제 역사상 가장 긴 왕조 통치 중 하나가 끝났다. 그 당시 서쪽의 하우사 왕국은 소코토 칼리파국에 넘어갔고, 동쪽과 북쪽은 와다이 제국에 넘어갔다.[36][21][20][19]

하인리히 바르트의 ''여행과 발견'' 3권(1857년)에 나오는 카네무 전사들과 기마 부족장


왕조는 멸망했지만 카네무-보르누 왕국은 살아남았다. 우마르는 '마이' 칭호 대신 더 간단한 '셰후'(아랍어 '셰이크'에서 유래)라는 칭호를 사용했지만, 아버지의 활력에는 미치지 못했고, 점차 왕국을 조언자들에게 맡겼다. 보르누는 행정적 혼란, 지역 분열주의, 그리고 동쪽의 강력한 와다이 제국의 공격으로 인해 더욱 쇠퇴하기 시작했다. 우마르의 아들들 치하에서도 쇠퇴는 계속되었다. 1893년, 라비 아즈-주바이르가 수단 동부에서 침략군을 이끌고 보르누를 정복했다. 라비의 침략으로 1893년에서 1894년 사이에 셰후 아시미, 셰후 키야리, 셰후 산다 우두로마가 사망했다. 영국은 1900년 4월 22일 프랑스가 쿠세리 전투에서 라비를 죽일 때까지 그를 '보르누의 술탄'으로 인정했다.

프랑스는 영국이 3월에 보르누를 점령한 후 1902년 4월에 라비의 수도인 디크와를 점령했다. 그러나 1893년 조약에 근거하여 보르누 대부분은 영국의 통치하에 남았고, 독일은 디크와를 포함한 보르누 동부를 '독일-보르누'로 점령했다. 프랑스는 디크와 토후국의 셰후인 아부바카르를 임명했지만, 영국은 그를 보르누 토후국의 셰후로 임명하도록 설득했다. 그 후 프랑스는 그의 형제 산다를 디크와의 셰후로 임명했다. 셰후 가르바이는 1907년 1월 9일 새로운 수도 예르와를 건설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일-보르누는 영국의 북부 카메룬이 되었다.

라비 아즈-주바이르 사망 후(1900년) 셰후 산다 쿠라


1922년 셰후 아부바카르가 사망하자 산다 쿠라가 보르누의 셰후가 되었다. 1937년 그가 사망하자 그의 사촌이자 디크와의 셰후인 우마르 이븐 무하마드가 보르누의 셰후가 되었다. 뱅상 이리바렌이 지적했듯이, "산다 키야리미는 보르누 전체의 셰후가 됨으로써 1902년 이후 분열되었던 영토를 통치하에 다시 통합했다. 35년 동안 두 명의 셰후가 공존했다." 1961년 북부 카메룬은 나이지리아에 합류하기로 투표하여 보르누 왕국의 영토가 사실상 재통합되었다.[35][19]

2. 3. 카네미의 등장과 제국의 멸망 (19세기)

19세기 초, 카네엠-보르누 제국은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우스만 단 포디오가 이끄는 풀라니의 공격은 이 지역의 불경건한 무슬림들을 향한 지하드(성전) 선포로 이어졌고, 이는 카네엠-보르누에 이슬람 정통주의 경향을 불러일으켰다.[19] 1808년 풀라니 전사들은 응가자르가무를 정복했다.

무함마드 알-아민 알-카네미(Muhammad al-Amin al-Kanemi)는 풀라니족 침입에 맞서, 1814년에 쿠카와(현재 나이지리아)에 수도를 건설했다. 알-카네미는 보르누 사회 내에서 세후(Shehu, 종교 지도자)라는 칭호를 채택하여, 꼭두각시 군주가 된 마이(Mai, 보르누의 전통 지도자)의 통치를 빠르게 대체했다. 1846년, 마지막 마이(Mai)는 와다이 제국과 연합하여 내전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마지막 마이인 이브라힘이 사망하면서 사이파와 왕조가 국제 역사상 가장 긴 왕조 통치 중 하나를 끝내게 되었다.[36][21][20][19]

우마르는 '마이'(mai) 칭호 대신 '셰후'(shehu)라는 칭호를 사용했지만, 아버지의 활력에는 미치지 못했고, 점차 왕국을 조언자들에게 맡겼다. 보르누는 행정적 혼란, 지역 분열주의, 그리고 동쪽의 와다이 제국(Wadai Empire)의 공격으로 인해 더욱 쇠퇴했다. 1893년, 라비 아즈-주바이르가 수단 동부에서 침략군을 이끌고 보르누를 정복하면서 왕조는 멸망했지만 카네무-보르누 왕국은 살아남았다. 라비의 침략으로 1893년에서 1894년 사이에 셰후 아시미(Ashimi of Borno), 셰후 키야리(Kyari of Borno), 셰후 산다 우두로마(Sanda Wuduroma of Borno)가 사망했다.[35][19]

1851년 독일의 탐험가 헨리치 베스에 의해 알려졌다. 헨리치 베스는 카넴-보르누 제국을 긍정적으로 묘사했다. 그러나 갈수록 세력을 확장하고 있던 프랑스는 그들과의 의견 차이를 이유로 카넴-보르누 제국을 침공했다. 카넴-보르누 제국은 프랑스에게서 맞써 싸운 몇몇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프랑스 측은 니제르(니아메 주변)와 알제리에서 병력을 끌어 오면서 승리할 수 있었다. 결국 1899년과 1900년 사이에 이 왕국은 이웃 와다이 왕국과 함께 정복되었다.

영국은 1900년 4월 22일 프랑스가 쿠세리 전투(Battle of Kousséri)에서 라비를 죽일 때까지 그를 '보르누의 술탄'으로 인정했다. 프랑스는 1893년 조약에 근거하여 보르누 대부분은 영국의 통치하에 남았고, 독일은 디크와를 포함한 보르누 동부를 '독일-보르누'(Deutsch-Bornu)로 점령했다. 프랑스는 아부바카르(Abubakar Garbai of Borno)를 디크와 토후국(Dikwa Emirate)의 셰후로 임명했지만, 영국은 그를 보르누 토후국의 셰후로 임명하도록 설득했다. 그 후 프랑스는 그의 형제 산다(Sanda)를 디크와의 셰후로 임명했다. 셰후 가르바이는 1907년 1월 9일 새로운 수도 예르와를 건설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일-보르누는 영국의 북부 카메룬(Northern Cameroons)이 되었다.[35][19]

1922년 셰후 아부바카르가 사망하자 산다 쿠라(Sanda Kura)가 보르누의 셰후가 되었다. 1937년 그가 사망하자 그의 사촌이자 디크와의 셰후인 우마르 이븐 무하마드(Umar Ibn Muhammad of Borno) 즉 산다 키야리미(Sanda Kyarimi)가 보르누의 셰후가 되었다. 뱅상 이리바렌(Vincent Hiribarren)이 지적했듯이, "산다 키야리미는 보르누 전체의 셰후가 됨으로써 1902년 이후 분열되었던 영토를 통치하에 다시 통합했다. 35년 동안 두 명의 셰후가 공존했다." 1961년 북부 카메룬은 나이지리아에 합류하기로 투표하여 보르누 왕국의 영토가 사실상 재통합되었다.[35][19]

옛 왕국의 잔재는 국가의 여러 정부의 지배하에 보르누 토후국(Borno Emirate)으로서 존속하고 있다.[37][21][35]

3. 경제

카넴-보르누 제국은 노예 무역을 중심으로 경제를 발전시켰다. 사하라 사막 횡단 루트를 통해 노예를 주요 수입원으로 삼았으며, 말, 머스켓, 목화 등도 교역하여 부를 축적했다.[39] 차드 호 주변은 당시 중요한 경제적 요충지였으며, 투아레그족, 베르베르족, 풀라니족 등 다양한 민족들이 교역을 위해 모여들었다.[39] 주요 교역품은 노예와 상아였으며, 속국으로부터 공납을 받거나 로그네 강 중류 지역에서 노예 사냥을 통해 노예를 확보했다.[39]

3. 1. 노예 무역

카넴-보르누 제국의 경제는 노예 무역이 주를 이루었다. 사하라 사막 횡단 루트를 통해 노예 무역을 하면서 국가 수입의 주 원천으로 삼았다. 그 외에도 말, 머스켓, 목화 등을 이웃 부족이나 왕국과 교역해 더 많은 부를 얻었다. 그들은 이를 위해 차드 호를 안전하게 만드는 것을 최우선으로 삼았다. 오늘날 차드 호 주변이 경제적으로 쇠퇴한 것과는 달리, 당시 차드 호 주변은 중요한 경제적 기점이었다. 투아레그족, 베르베르족, 풀라니족 등 수많은 서아프리카사하라 사막의 민족들이 교역을 위해 모여들었다. 그들은 중요성을 알고 이 지역의 보호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했다.[39]

카넴-보르누 제국의 주요 교역품은 노예와 상아였으며, 특히 노예는 제국의 남쪽과 동쪽에 있는 와다이 왕국, 코토코 왕국, 바기르미 왕국과 같은 속국으로부터의 공납이나, 로그네 강 중류 지역의 소국들에 대한 노예 사냥을 통해 획득하였다.[39]

3. 2. 기타 교역

카넴-보르누 제국의 경제는 노예 무역이 중심이었다. 사하라 사막 횡단 루트를 통해 노예 무역을 하여 국가 수입의 주요 원천으로 삼았다. 그 외에도 말, 머스켓, 목화 등을 이웃 부족이나 왕국과 교역해 더 많은 부를 얻었다. 그들은 이를 위해 차드 호를 안전하게 만드는 것을 최우선으로 삼았다. 차드 호 주변은 오늘날 경제적으로 쇠퇴하였지만, 당시에는 중요한 경제적 거점이었다. 투아레그족, 베르베르족, 풀라니족 등 수많은 서아프리카사하라 사막의 민족들이 교역을 위해 모여들었다. 그들은 중요성을 알고 이 지역의 보호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했다.[39]

카넴-보르누 제국의 주요 교역품은 노예와 상아였으며, 특히 노예는 제국의 남쪽과 동쪽에 있는 와다이 왕국, 코토코 왕국, 바기르미 왕국과 같은 속국으로부터의 공납이나, 로그네 강 중류 지역의 소국들에 대한 노예 사냥을 통해 획득하였다.[39]

4. 문화

카넴-보르누 제국의 문화는 매우 융성했다. 왕족들의 이야기를 다룬 서사시는 널리 알려졌으며, 아랍 이슬람 국가의 왕족들 사이에서도 애창되었다. 서사시는 주로 왕(마이)으로 인해 발전한 차드호 주변의 경제 상황과 정복된 부족들이 바치는 조공에 관한 내용이다.

4. 1. 이슬람 문화의 발전

카넴-보르누 제국의 문화는 매우 융성했다. 왕족들의 이야기를 다룬 서사시는 아랍 이슬람 국가의 왕족들 사이에서 널리 애창되었다. 서사시의 대략적인 내용은 왕(마이)으로 인해 발전한 차드호 주변 경제 상황과 정복된 부족들이 바치는 조공에 관한 이야기이다.

4. 2. 구전 문학과 서사시

카넴-보르누 제국의 문화는 매우 융성했으며, 왕족의 이야기를 다룬 서사시가 널리 알려졌다. 이 서사시는 아랍 이슬람 국가의 왕족들 사이에서 애창될 정도였다. 서사시의 내용은 주로 왕(마이)으로 인해 발전한 차드호 주변의 경제 상황과 정복된 부족들이 바치는 조공에 관한 이야기이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3-Volume Se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7-04
[2] 웹사이트 Empire of Kanem-Bornu (ca. 9th century-1900) • https://www.blackpas[...] 2022-07-23
[3] 백과사전 Kanem-Bornu https://www.britanni[...] 2014-09-24
[4] 학술지 The Encyclopedia of empire https://www.academia[...] 2016
[5] 서적 موسوعة سفير للتاريخ الاسلامي - المجلد الثالث ج3 المسلمون في إفريقيا جنوبي الصحراء https://books.google[...] شركة سفير
[6] 서적 '' Al-Fiḥrist''
[7] 서적 The Sahara and the Sudan from the Arab conquest of the Maghrib to the rise of the Almoravids, in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Vol. 2, from c. 500 BC to AD 10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8] 서적 Empire
[9] 학술지 Response to Dierk Lange 1979
[10] 학술지 Review of Ancient Kingdoms of West Africa-Africa-Centred and Canaanite-Israelite Perspectives: A Collection of Published and Unpublished Studies in English and French https://www.jstor.or[...] 2006
[11] 서적 Founding of Kanem http://dierklange.co[...]
[12] 웹사이트 Reviews of Dierk Lange – Ancient Kingdoms of West Africa http://dierklange.co[...] 2019-05-16
[13] 학술지 The 'Mune'-Symbol as the Ark of the Covenant between Duguwa and Sefuwa http://dierklange.co[...] Borno Museum Society 2019-05-16
[14] 서적 West Africa: The Rough Guide The Rough Guides 1995-11
[15] 학술지 Histoire de l'empire du Bornou Librairie Larose 1949
[16] 서적 Slavery from Roman Times to the Early Transatlantic Trad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5
[17] 서적 Ancient Ghana and Mali Methuen & Co Ltd 1973
[18] 서적 History of West Africa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2
[19] 서적 The Bornu Sahara and Sudan John Murray 1936
[20] 서적 The Fortunes of Africa PublicAffairs 2014
[21] 서적 History of Africa Palgrave Macnikkan 2012
[22] 서적 Kanem-Borno: 1,000 Years of Splendor https://archive.org/[...] Chelsea House Publishers 1995
[23] 서적 Oliver
[24] 서적 Hughes
[25] 서적 Early states
[26] 서적 The History of Islam in Africa Ohio University Press
[27] 서적 Du lac Tchad à la Mecque: Le sultanat du Borno et son monde (xvie - xviie siècle) http://books.openedi[...] Éditions de la Sorbonne 2019-11-08
[28] 서적 في تأريخ السودان : كتاب غزوات السلطان ادريس ألوما في برنو (1564-1576) = A Sudanic chronicle : the Borno expeditions of Idrīs Alauma (1564-1576) according to the account of Aḥmad B. Furṭū: Arabic text, English translation, commentary and geographical gazetteer F. Steiner 1987
[29] 학술지 A struggle for Sahara: Idrīs ibn 'Alī's embassy to Aḥmad al-Manṣūr in the context of Borno-Morocco-Ottoman relations, 1577–1583 https://www.academia[...]
[30] 학술지 Le Discours historique de l'estat du royaume de Borno, genèse et construction d'une histoire du Borno par un captif de Tripoli au XVIIe siècle http://journals.open[...] 2013-04-16
[31] 서적 Diwan
[32] 서적 Shehus
[33] 서적 A Thousand Years of West African History: A Handbook for Teachers and Students Ibadan University Press 1965
[34] 학술지 La légitimité des sultans face à l'essor de l'islam confrérique au Sahel Central (XVIe -XIXe siècles) https://www.academia[...] 2018-01
[35] 서적 A History of Borno: Trans-Saharan African Empire to Failing Nigerian State Hurst & Company 2017
[36] 서적 Shehus
[37] 서적 Life
[38] 서적 チャド盆地の地域史と農牧業 朝倉書店 2007-04-10
[39] 서적 チャド盆地の地域史と農牧業 朝倉書店 2007-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