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누 경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누 경기는 카누를 사용하여 진행되는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포괄한다. 고대부터 이동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19세기 말부터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 발전했다. 1936년 하계 올림픽에서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카누 스프린트, 카누 슬라롬, 카누 마라톤 등 다양한 경기 형식이 존재한다. 국제 카누 연맹(ICF)은 170개 이상의 국가 카누 협회 및 연맹을 회원으로 두고 있으며, 카누는 스포츠 외에도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 널리 즐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누 - 쪽배
    쪽배는 통나무를 파서 만든 배로, 오랜 기간 어업, 운송, 문화 행사 등에 사용되었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나, 현대에는 전통 문화 계승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 카누 - 카누폴로
    카누폴로는 카누를 타고 물 위에서 팀을 이루어 즐기는 스포츠로, 수구, 농구, 카약의 특징이 결합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즐겨지고 대한민국에서는 동호인 클럽, 대학교,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활동이 이어진다.
  • 올림픽 경기 종목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 올림픽 경기 종목 - 럭비
    럭비는 1823년 잉글랜드 럭비 스쿨에서 유래한 구기 종목으로, 19세기 중반 럭비 풋볼 유니온 설립 후 규칙이 정립되었고, 1895년 럭비 유니온(15인제)과 럭비 리그(13인제)로 분열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럭비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가 개최되고, 7인제 럭비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카누 경기
개요
스포츠 종류수상 스포츠
경기 방식노를 사용하여 카누 또는 카약을 조종하여 속도를 겨루는 경기
관련 단체국제 카누 연맹 (ICF)
역사
기원북아메리카 원주민의 교통 수단 및 수렵 활동
스포츠화19세기 후반 유럽에서 스포츠로 발전
올림픽1936년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
종목
카누 (Canoe)한쪽 날만 있는 패들을 사용하며, 무릎을 꿇거나 앉아서 탄다.
카약 (Kayak)양쪽 날이 있는 패들을 사용하며, 앉아서 탄다.
세부 종목스프린트 (Sprint): 단거리 속도 경기
슬라롬 (Slalom): 흐르는 물에서 장애물을 통과하는 기술 경기
마라톤 (Marathon): 장거리 경기
폴로 (Polo): 카누를 타고 하는 구기 경기
드래곤 보트 (Dragon Boat): 여러 명이 함께 노를 젓는 단체 경기
경기 규칙
출발정해진 출발선에서 출발 신호에 맞춰 출발
코스지정된 코스를 따라 진행
결승결승선을 통과하는 순서대로 순위 결정
반칙다른 선수 방해
코스 이탈
부정 출발
장비
카누/카약선수 체형과 경기 종목에 맞는 카누 또는 카약
패들카누: 한쪽 날 패들, 카약: 양쪽 날 패들
구명 조끼안전을 위한 필수 장비
헬멧슬라롬 경기 시 머리 보호
기술
패들링효율적인 패들링 기술이 속도와 직결
방향 조절정확한 방향 조절 능력
균형 감각카누/카약 위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
체력장거리 경기에서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체력
국제 대회
올림픽하계 올림픽의 정식 종목
세계 선수권 대회국제 카누 연맹 (ICF) 주관
월드컵국제 카누 연맹 (ICF) 주관
기타
관련 용어스트로크, 스컬링, 힐, 턴, 롤링 등
한국대한카누연맹

2. 역사

미국에서 카누 타기, 1920년대


카누는 고대부터 교통 수단으로 사용되었다.[1] 북아메리카, 아마존 유역, 폴리네시아 등 많은 지역에서 장거리 이동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엔진을 탑재한 선박이나 비행기, 철도 등에 그 지위를 빼앗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누는 수상 레저 및 스포츠 분야에서 굳건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레저 및 스포츠로서 카누의 기원은 스코틀랜드 탐험가 존 맥그리거 (1825-1892)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1858년 캐나다미국 탐험에서 카누와 카약을 처음 접했고, 영국으로 돌아와 직접 카누를 제작하여 유럽중동의 수로에서 사용했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담은 ''A Thousand Miles in the Rob Roy Canoe''라는 책을 저술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1866년에는 로열 카누 클럽을 설립했다. 1874년에는 이 클럽 주최로 세계 최초의 카누 대회인 패들링 챌린지 컵이 개최되었다.

2. 1. 조직화된 레크리에이션 카누의 역사



현대 레크리에이션 카누는 19세기 말에 시작되었다. 카누를 스포츠로 처음 장려한 사람 중 한 명은 1880년대에 스웨덴에 카누를 소개한 칼 스미스였다. 1924년, 오스트리아, 독일, 덴마크, 스웨덴의 카누 협회는 국제 카누 연맹(ICF)의 전신인 '국제 카누 스포츠 대표부'를 설립했다.[2]

카누는 1936년 하계 올림픽에서 올림픽 종목이 되었다.[3][4]

3. 스포츠

카누는 카누 스프린트, 카누 마라톤과 같이 정해진 코스를 빠르게 완주하거나 장거리 코스를 완주하는 경주를 포함한다. 하계 올림픽에는 카누 경기가 포함된다. 카누 슬라롬(이전에는 급류 슬라롬으로 알려짐)은 덮개가 있는 카누 또는 카약을 타고 강 급류에서 아래쪽 또는 위쪽으로 매달린 게이트 코스를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통과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경쟁 스포츠이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서는 카누 슬라롬 또는 카누/카약 슬라롬이라고 부른다.[12]

기네스 세계 기록에 따르면 벌렌 크루거는 생애 동안 이 스포츠에서 가장 많은 거리(100,000마일 이상)를 패들링했다.[13] 카누 또는 카약을 사용하는 스포츠에는 카누 경주 외에도 카누 폴로, 화이트워터 로데오, 익스트림 레이싱, 서프 스키 등이 있으며, 장애인 스포츠로 파라 카누가 있다.

3. 1. 주요 경기 형식

카누의 주요 경기 형식은 다음과 같다.

  • 카누 스프린트: 정해진 코스를 빠르게 완주하는 경기이다.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이다.
  • 카누 슬라롬: 급류에서 기문을 통과하는 경기이다.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이다.[12]
  • 카누 폴로: 카누를 타고 하는 수구와 유사한 경기이다.
  • 급류 카누: 급류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기술을 겨루는 경기이다.
  • 카누 마라톤: 장거리 코스를 완주하는 경기이다.
  • 플레이보팅: 급류에서 다양한 기술을 선보이는 경기이다.
  • 파라 카누: 장애인 스포츠의 하나로, 장애인 선수들이 참가하는 카누 경기이다.

3. 2. 올림픽 카누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카누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12]

3. 3. 국제 카누 연맹 (ICF)

국제 카누 연맹(ICF)의 전신은 1924년 오스트리아, 독일, 덴마크, 스웨덴의 카누 협회들이 설립한 '국제 카누 스포츠 대표부'였다.[2] 국제 카누 연맹에는 170개 이상의 국가 카누 협회 및 연맹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7] 대한민국 카누 연맹도 ICF 회원으로서 국제 교류 및 협력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4. 레크리에이션

오늘날 대부분의 카누는 스포츠 또는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일부로 수행된다. 유럽 일부 지역에서 카누는 카누와 카약을 모두 지칭하며,[8][9] 카누는 오픈 카누[10] 또는 캐나디안이라고 불린다.[11]

카누의 오락적 측면은 명확히 정해져 있지 않으며, 새로운 하이브리드 카누나 카약,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의 발달과 함께 더욱 인위적이고 불분명해지고 있다. 이러한 풍조는 보통 국가 규모로 이루어지지만, 카누는 개인, 그룹, 클럽 단위의 활동이다. 많은 그룹은 연습에 중점을 두지 않고, 단지 물 위에서 즐기기 위해 보트를 타는 것이 목적이다.

버렌 크루거(en:Verlen Kruger)는 평생 20,000km가 넘는 두 번의 항해를 포함하여 100,000km에 가까운 거리를 카누로 이동하여 가장 먼 거리를 카누로 이동한 선수로 기네스 기록에 인정받았다. 돈 스타켈(en:Don Starkell)은 캐나다 위니펙에서 브라질 벨렝에 이르는 12,181km를 완주했다.[16]

4. 1.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활동

핀란드 리에크사의 코코야르비 호수에서 카누를 타는 사람들


미국 뉴욕주 라마포 강에서 카누를 타는 사람.
미국 뉴욕주 라마포 강에서 카누를 타는 사람


오늘날 대부분의 카누는 스포츠 또는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일부로 수행된다. 레크리에이션 형태의 카누에는 카누 캠핑이 포함되며, 호수, 강, 바다, 연못 및 개울에서 다양하게 카누를 즐길 수 있다. 카누의 오락적 측면은 명확히 정해져 있지 않으며, 새로운 하이브리드 카누나 카약,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의 발달과 함께 그 정의는 더욱 인위적이고 불분명해지고 있다.

  • '''소형 선박 세일링''': 카약 애호가들이 발전시켜 온 것이지만, 카누를 타는 사람들에게도 패들 조작 경험을 늘리는 것이 된다. 윈드 패들과 같은 소형 선박 세일링은 패들의 노력을 증폭시키거나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 '''화이트워터 카누''': 물이 거품처럼 이는 급류를 카누로 내려가는 것은 즐겁고, 기분 전환이 되며 일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 짧은 거리의 쉬운 래프팅부터 완벽한 장비를 갖추고 며칠에 걸쳐 격렬한 급류를 장거리 항해하는 과격한 모험까지 포함된다.
  • '''씨 카약''': 바다에서 하는 카약이다. 당일 여행부터 오랜 기간을 거쳐 진행하는 모험까지 모두 포함한다.
  • '''플레이 보트''': 파도를 타면서 강의 한 지점에서 기술을 선보이는 것이다.
  • '''카누 캠핑''': 여행이나 항해를 할 때 카누·카약과 캠핑을 조합한 것이다.

5. 기타 형식

웨이브스키는 서핑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 웨이브스키: 작고 기동성이 뛰어난, 큰 서핑보드와 약간 닮은 선체(서핑)로 바다의 파도를 가르며 노를 젓는다. 파도 위에서 다양한 활주를 선보이거나, 파도 사이에서 까다로운 기술을 선보인다. 서핑과 매우 유사하다. 선수는 스키 위에 앉아 선체에 몸을 고정할 수 있다. 대회 등에서는 기술의 난이도와 스타일로 점수를 매겨 평가한다.
  • Surf ski|서프스키영어: 가늘고 긴 경기용 선체를 바다에서 젓는다. 파도를 타거나 내리는 것을 조작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파도 속에서 기동성을 발휘하는 것은 어렵다. 선수는 어깨와 허리를 벨트로 고정하는 좌석에 앉아 카약처럼 양쪽에 물갈퀴가 달린 노를 사용한다. 가장 흔하게 열리는 레이스 형식은 서핑을 하는 듯한 감각을 느낄 수 있으며 큰 파도를 얻을 수 있는 대해에서 장거리를 항해하는 것이다.
  • 래프팅: 한 명 또는 여러 명이 각각 소형, 대형의 공기로 부풀린 뗏목과 같은 배를 타고 거친 강을 내려간다. 화이트워터 카누와도 매우 유사하다.

6. 카누 조작법

카누는 노련한 선수들이 주의 깊게 주변을 살피고, 긴밀하게 의사소통하여 물의 흐름이 빠른 곳에서도 쉽게 항해할 수 있다. 위가 닫힌 카약이 통과할 수 있는 대부분의 급류는 위가 열린 카누로도 내려갈 수 있지만, 며칠이 걸리는 모험과 같이 매우 크고, 쉽게 보트를 집어삼킬 수 있는 구멍이 있어 항로를 유지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며 매우 높은 폭포 같은 곳을 내려가야 하는 경우는 예외이다.

두 명이 카누를 탈 때는 일반적으로 서로 반대쪽을 젓는다. 선수를 담당하는 보우맨은 왼손으로 배 가장자리 바로 위에서 패들의 자루를 잡고, 물갈퀴는 완전히 수중에 잠기게 한 다음 오른손으로 패들의 자루 끝의 그립을 잡는다. 왼쪽 팔은 주로 회전, 선회를 담당하고 오른쪽 팔은 오른쪽 몸통의 큰 근육으로 만들어낸 힘의 대부분을 패들에 전달한다. 선미를 담당하는 스턴맨은 오른손으로 패들의 자루를 잡고 왼손으로 그립을 잡는다.

6. 1. 기본 조작

카누는 불안정하다는 선입견이 있지만, 적절하게 조작하면 안정적이다. 예를 들어 카누 안에 타고 있는 사람은 가능한 한 몸의 무게 중심을 낮게 유지해야 한다. 숙련된 선수들은 주의 깊게 주변을 살피고, 긴밀하게 의사소통하여 물의 흐름이 빠른 곳에서도 쉽게 항해할 수 있다.

비버 댐 위에 올라간 나무와 캔버스 카누


두 명이 카누를 탈 때는 일반적으로 서로 반대쪽을 젓는다. 선수를 담당하는 보우맨은 왼손으로 배 가장자리 바로 위에서 패들의 자루를 잡고, 물갈퀴는 완전히 수중에 잠기게 한 다음 오른손으로 패들의 자루 끝의 그립을 잡는다. 왼쪽 팔은 주로 회전, 선회를 담당하고 오른쪽 팔은 오른쪽 몸통의 큰 근육으로 만들어낸 힘의 대부분을 패들에 전달한다. 선미를 담당하는 스턴맨은 오른손으로 패들의 자루를 잡고 왼손으로 그립을 잡는다. 앞으로 나아가려면 좌우 사람이 패들을 배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앞쪽에서 뒤쪽으로 젓는 기본적인 노젓기 방식을 사용한다.

6. 2. 탠덤 스티어링 (2인승)

2명이 노를 저을 때, 힘이 더 센 선미(스턴맨) 담당이 반대 방향으로 카누가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두 사람의 노 젓는 힘을 균등하게 유지하는 것은 카누를 똑바로 나아가게 하는 데 중요하다. 똑바로 노를 젓기 위해서는 높은 노 젓기 기술을 가지거나, 싯 & 스위치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싯 & 스위치 방식은 6~8번 노를 저을 때마다 패들을 교체하여 카누가 한 방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여겨지며 카누 마라톤 레이스에서도 자주 채용된다.

6. 3. 패들 스트로크

카누 패들 스트로크는 카누를 전진, 후진, 옆으로 움직여 조종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 노젓기 방법에는 앞, 뒤, J-스트로크, C-스트로크, 앞뒤로 가볍게 젓기, 배 가장자리를 따라 젓기, 지렛대를 이용한 스트로크, 당기기, 다페크라고 불리는 움직이지 않는 당기기, 보트 옆에서 패들을 당기거나 미는 스컬, 부프 스트로크가 있다. 부프 스트로크는 구멍을 넘어가기 위해 선수를 들어 올리거나 보트를 둑에 딱 붙이기 위해 사용된다.

많은 스트로크는 다음 몇 단계로 나눌 수 있다.

  • 엔트리 페이즈: 스트로크를 시작하기 위해 패들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 파워 페이즈: 패들에 힘을 전달하여 물을 잡고 있다는 감각을 얻고, 수중의 세트 포지션에서 보트를 앞으로 움직인다.
  • 리커버리 페이즈: 패들을 끌어 미끄러뜨려 물에서 빼내어 엔트리 페이즈로 돌아가거나 다른 스트로크 방법으로 전환한다.


복합 스트로크는 하나의 동작에 다양한 스트로크를 결합한 것이다. 예를 들어 C-스트로크는 파워 페이즈를 시작하기 전에 선수 옆의 물을 조금 끌어당긴다.

패들의 물갈퀴 부분의 탑이라고 불리는 위치에서 위치를 정하고, 물의 저항을 방해 없이 제대로 잡기 위해 원을 그리며 젓는다. 그 후 패들의 측면으로 물을 자르듯이 움직이거나, 리커버리 스트로크로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패들이 물 속에 있는 동안 뒤에서 앞으로 움직일 때 자르듯이 움직인다. 리커버리 스트로크는 수중이거나 수면 위에서 이루어지는데, 이처럼 패들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물을 자르거나 물에서 들어 올림으로써 다음 파워 페이즈가 시작되는 위치로 패들을 이동시켜 불필요한 노젓기를 줄인다.

효율적인 파워 페이즈는 대개 초보자가 상상하는 것보다 짧다. 스트로크 기술은 짧은 스트로크를 할 때의 몸의 움직임과 연동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앞 방향 스트로크가 노젓는 사람의 무릎 뒤로 가지 않도록, 짧은 스트로크가 효율적인 것이다. 또한, 패들의 물갈퀴를 보트가 진행할 방향에 수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하면 에너지 낭비인 물을 긁어올리거나 밀어내지 않아도 된다.

6. 4. 세팅 폴

세팅 폴(Setting pole|세팅 폴영어)은 패들로 젓기에는 너무 얕은 물가에서 움직이거나, 똑바로 나아가기에는 너무 빠른 물살에 거스를 때 사용한다. 소용돌이를 잘 이용하면 중간 속도의 강에서도 세팅 폴을 사용하여 전진할 수 있다.[1]

6. 5. 가날 보빙

가날 보빙(Ganal bobbing)은 패들 없이 카누를 전진시키는 기술이다. 배 앞이나 뒤의 선체 위에서 서거나 웅크리고 앉아 카누를 앞뒤로 흔드는 방식으로, 비효율적이고 안정성이 떨어진다. 선체에 서는 것은 위험하지만, 게임으로도 가능하다. 두 사람이 양쪽 끝에 서서 균형을 잡고, 상대방을 물에 빠뜨리는 방식이다.

참조

[1] 간행물 The Role of the Canoe https://www.jstor.or[...] 1943
[2] 간행물 "Muddying the waters: recreational conflict and rights of use of British rivers" https://doi.org/10.1[...] 2017-09-01
[3] 웹사이트 Canoe/Kayak Sprint Equipment and History http://www.olympic.o[...]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6-05-28
[4] 웹사이트 Rio 2016 Olympics: Know your sport — Canoeing http://indianexpress[...] 2016-08-10
[5] 보고서 1936 Summer Olympics Official Report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About ICF events - competition levels https://www.canoeicf[...] 2024-12-06
[7] 웹사이트 About the International Canoe Federation (ICF) https://www.canoeicf[...] 2024-12-06
[8] 웹사이트 Kayak vs Canoe {{!}} Tips for choosing whether to buy a canoe or kayak https://gopaddling.i[...] 2024-12-06
[9] 웹사이트 About the International Canoe Federation (ICF) https://www.canoeicf[...] 2024-12-06
[10] 웹사이트 Open Canoe Association UK https://www.opencano[...] 2024-12-06
[11] Wikisource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Canoe
[12] 웹사이트 Canoe Slalom https://olympics.com[...] 2024-12-06
[13] 간행물 Obituary: Verlen Kruger Remembered http://www.canoekaya[...] 2014-06-25
[14] 서적 Canoeing Human Kinetics
[15] Guide talkCanoeing - Guide http://www.talkcanoe[...]
[16] 간행물 Obituary: Verlen Kruger Remembered http://www.canoekaya[...] 2014-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