쪽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쪽배는 통나무를 파내어 만든 배를 의미하며, 선사 시대부터 다양한 문명에서 물의 이동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고대 사회에서 교통, 자원 수송,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되었으며, 한반도에서도 고조선 시대부터 삼국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근대 이후 증기선 등 새로운 선박 기술의 등장으로 쇠퇴했지만, 현대에는 전통 문화 보존 및 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쪽배는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와 제작 기술을 보이며,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누 - 카누 경기
카누 경기는 카누를 이용하여 속도와 기술 등을 겨루는 스포츠로, 이동 수단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이 되었으며, 다양한 경기 종류와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 국제 카누 연맹의 주도하에 발전하고 있다. - 카누 - 카누폴로
카누폴로는 카누를 타고 물 위에서 팀을 이루어 즐기는 스포츠로, 수구, 농구, 카약의 특징이 결합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즐겨지고 대한민국에서는 동호인 클럽, 대학교,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활동이 이어진다. - 목제품 - 탄닌
탄닌은 다수의 수산기를 가진 다가 페놀 화합물로, 과일의 색과 떫은 맛을 내고 거대 분자와 결합하며, 가죽 제조나 수렴 작용에 사용되고, 가수분해성 탄닌과 축합형 탄닌으로 나뉘며, 식물에 널리 분포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목제품 - 목탄 가스
목탄 가스는 유기물을 불완전 연소시켜 얻는 가연성 가스로, 연료로 사용되며, 과거 석탄 가스의 대체재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일부 국가에서 자동차 및 산업용 발전기용으로 생산되어 에너지 자립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
| 쪽배 | |
|---|---|
| 쪽배 정보 | |
![]() | |
![]() | |
![]() | |
| 설명 | |
| 정의 | 통나무를 파서 만든 배 |
| 종류 | 카누 용선 아웃리거 카누 |
| 역사 | |
| 기원 | 신석기 시대 |
| 고고학적 증거 | 페세 통나무배 (기원전 8040년 ~ 7510년) 듀르흐홀란트 통나무배 (기원전 6315년 ~ 6000년) |
| 사용 문화권 | 전 세계 |
| 재료 및 제작 | |
| 주재료 | 통나무 (주로 침엽수) |
| 제작 방법 | 통나무 속 파내기 불을 이용한 속 파내기 도끼, 자귀, 끌 등 사용 |
| 추가 재료 | 안정성 위한 아웃리거 추진력 위한 돛 |
| 용도 | |
| 주요 용도 | 수송 어업 사냥 전쟁 |
| 현대적 용도 |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카누 경주) |
| 문화적 중요성 | |
| 상징성 | 특정 문화권에서 전통 및 역사 상징 의식 및 축제 사용 |
| 민속 | 다양한 민속 이야기 및 전설 등장 |
| 기타 | |
| 참고 자료 | 다양한 고고학 유적지 및 박물관 소장 |
| 관련 용어 | 카누, 카약, 용선 |
2. 정의


쪽배는 통나무를 파내어 만든 배로, 단재 굴착선이라고도 한다. 쪽배의 크기는 재료가 되는 나무에 의해 제한되어 전장 5~8미터 정도가 일반적이지만, 오사카시니시요도가와구 오니초 사기스에서 발굴된 고분 시대로 추정되는 전장 11.7미터의 녹나무 굴착선처럼 10미터를 넘는 대형도 존재했다.[41]
복재 굴착선 중 앞뒤를 이은 것으로는, 오사카시 이마후쿠 나마즈에강의 산고 다리(현 조토구 이마후쿠니시 1초메)에서 다이쇼 6년 (1917년) 5월에 출토된 굴착선(전장 13.46미터, 전폭 1.89미터)과 나니와구난바나카 3초메의 이타치강에서 메이지 11년 (1878년)에 출토된 잔존장 12미터 정도의 굴착선이 있었으나, 모두 공습으로 불타버렸다. 이타치강에서 출토된 배는 당시 일본에 거주하던 모스가 견학하여 스케치와 사진을 남겼다. 덴포 9년 (1838년) 아이치현아마군사오리정에서 출토된 굴착선은 남아있던 길이가 11칸 2척 (20.6미터)이었다고 전해진다. 이 세 가지 복재 굴착선은 모두 녹나무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3. 역사
선사 시대의 통나무배는 한 개의 통나무를 파내어 만들었으며, 크기는 재료가 되는 나무에 의해 제한되어 전장 5~8미터 정도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오사카시 니시요도가와구 오니초 사기스에서 발굴된 고분 시대로 추정되는 전장 11.7m의 녹나무 굴착선처럼 10미터를 넘는 대형도 존재했다.[41]
다이쇼 6년 5월, 오사카시 이마후쿠 나마즈에강의 산고 다리(현 조토구 이마후쿠니시 1초메)에서 전장 13.46m, 전폭 1.89m의 굴착선이 출토되었지만 공습으로 불타버렸다. 메이지 11년 나니와구 난바나카 3초메의 이타치강에서 출토된 잔존장 12미터 정도의 굴착선도 공습으로 소실되었으나, 당시 일본에 거주하던 모스가 스케치와 사진을 남겼다.[41] 덴포 9년 아이치현 아마군 사오리정에서 출토된 굴착선은 남아있던 길이가 11칸 2척 (20.6m)이었다고 전해진다.[41] 이 세 굴착선은 모두 녹나무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야마가타현 히가시타가와군 후지시마정(현재 쓰루오카시)에서는 나라 시대·헤이안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길이 14.05m의 삼나무 통나무배가 출토되었는데, 오사카시 출토의 고분 시대의 것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것으로 여겨진다. 통나무 하나로 만들어진 것으로는 현존하는 일본 최대 크기로, 쓰루오카시 히가시타가와 문화 기념관에 전시되어 있다.
후지 5호에서는 지금까지 9척의 통나무배가 발견되었다. 후지카와구치코정 야생 조류의 숲 공원에 전시된 것은 전체 길이 약 10m, 폭 약 0.8m로 야마나시현 내 최대 규모이며, 가마쿠라 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적으로 보면, 중국에서는 8000년 전의 통나무배가 출토되었고, 남태평양 지역에서는 역사적으로 통나무배가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솔로몬 제도의 레넬 섬의 통나무배가 대표적이다. 유럽에서는 네덜란드에서 발견된 Pesse canoe가 기원전 8040년~기원전 7510년 경의 것으로 추정되어 현재 알려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통나무배로 불린다. 영국 스코틀랜드에서는 150건 정도의 선사 시대 통나무배가 발견되었으며, 잉글랜드 남서부 도싯의 풀 항구에서는 2,200년 전의 유럽 떡갈나무 통나무배가 발견되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슬라브 민족은 10세기 경, 우크라이나에서는 19세기 말까지 통나무배를 사용하였다. 아프리카 말라위 호에서는 현재도 통나무배가 사용되고 있으며, 아메리카의 인디언들도 통나무배를 사용하였다.

3. 1. 선사 시대
일본에서 발견된 선사 시대의 통나무배는 약 200건에 달하며, 이 중 관동 지방에서 발견된 사례가 150건 가까이로 가장 많다. 특히 지바현에서 발견된 사례는 100건에 달해 일본 전체의 절반을 차지한다.[42]
1948년 12월, 미나미보소시 카모 유적에서 전장 7미터, 폭 50센티미터, 지금으로부터 5,200년 전 조몬 시대 중기 초두의 것으로 추정되는 가래나무 통나무배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오랫동안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졌다. 2013년 11월에는 이치카와시 카미나리시타 유적에서 길이 약 7.2미터, 폭 약 0.5미터의 가래나무로 만든 통나무배가 출토되었다. 이는 조몬 시대 초기의 약 7,500년 전의 것으로 보이며,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생각된다.[42][43][44]
1995년 타코마치 구리야마가와 유역 유적군에서는 전장 7.45미터의 가래나무 통나무배가 발견되었다. 이는 지금으로부터 5,500년 전 조몬 시대 초기에 해당하며, 이치카와시 카미나리시타 유적 출토품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래된 것이다.
1929년 아야세가와 강바닥 준설 과정에서 카나메초에서 발견되어 소카시립 역사 민속 자료관에 전시되어 있는 길이 6.06미터, 폭 67센티미터의 가야나무 통나무배는, 2001년 연대 측정 결과 지금으로부터 5,300년 전 조몬 시대 전기의 것으로 밝혀졌다.[45]
후쿠이현 와카사정 토리하마 조개더미에서는 2척의 통나무배가 발굴되었으며, 이 중 1981년 7월에 발견된 것은 조몬 시대 전기의 것으로 당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졌다.
교토부 마이즈루시 우라입 유적에서는 1995년 6월부터 1998년 5월에 걸쳐 발굴 조사가 진행되었고, 이 과정에서 지금으로부터 5,300년 전의 통나무배(시 지정 문화재, 현존 길이 4.4미터)가 출토되었다. 이 통나무배는 전장 8미터, 폭 0.85미터로 추정되며, 일본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것으로 여겨졌다.
나가사키현 니시소노기군타라미정(현 이사하야시) 이키리키 유적은 조몬・야요이 시대부터 중세에 이르는 복합 유적으로, 토기나 석기 외에 조몬 시대 전기~전기의 통나무배 선저 부분이 출토되어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3. 2. 고대
나라 시대와 헤이안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길이 14.05m의 삼나무 통나무배(刳舟)가 야마가타현히가시타가와군후지시마정(현재 쓰루오카시)에서 출토되었다. 이는 오사카시에서 출토된 고분 시대의 것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것이다. 통나무 하나로 만들어진 것으로는 현존하는 일본 최대 크기이며, 쓰루오카시 히가시타가와 문화 기념관에 전시되어 있다.[1]
후지 5호에서는 지금까지 9척의 통나무배가 발견되었다. 후지카와구치코정 야생 조류의 숲 공원에 전시된 것은 전체 길이 약 10m, 폭 약 0.8m로 야마나시현 내 최대 규모이며, 가마쿠라 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2]
류큐 왕국에서 사용되었던 배 가운데, 대형 구조선인 진공선은 정크였고, 약간 작은 마간선(마란선)도 비슷한 구조였다. 아마미 제도의 이타츠케(板付), 고바야선(쿠바야), 오키나와섬 북부의 타타나(二棚船), 오기미촌의 축제 운자미에 등장하는 하리선, 야에야마 제도의 풍년제에 등장하는 파레이선 등 화선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배도 있었지만, 그보다 남쪽에서 사용되던 소형 사바니는 모두 통나무배(쿠리부니)였다.[3]
통나무배 구조의 사바니는 2~3명 정도를 태울 수 있는 작은 배로, 노로 조종했다. 그러나 메이지 시대 이후 아기야라고 불리는 몰이 그물 어업이 발전하면서 대형화되었고, 파랑 저항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 선형이 세련되게 다듬어졌다. 그 결과, 내파성과 함께 고속성이 향상되어 산호초 지대와 같이 장애물이 많은 수역에서 조업하는 데 뛰어났다.[4]
3. 3. 중세
일본 야마가타현 히가시타가와군 후지시마정(현재 쓰루오카시)에서 나라 시대·헤이안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길이 14.05m의 삼나무 통나무배가 출토되었다. 이는 오사카시에서 출토된 고분 시대의 것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것이다. 통나무 하나로 만들어진 것으로는 현존하는 일본 최대 크기이며, 쓰루오카시 히가시타가와 문화 기념관에 전시되어 있다.[1]
후지 5호에서는 지금까지 9척의 통나무배가 발견되었다. 후지카와구치코정의 야생 조류의 숲 공원에 전시된 것은 전체 길이 약 10m, 폭 약 0.8m로 야마나시현 내 최대 규모이며, 가마쿠라 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2]
솔로몬 제도의 레넬 섬에서는 역사적으로 통나무배가 많이 사용되었다. 배 밑창에 속을 파낸 재료를 사용하고 뱃전, 뱃머리, 선미에 다른 재료를 덧붙여 묶는 경우도 많았다. 현재는 아웃리거 카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웃리거 카누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동남아시아 섬 지역에서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확산과 함께 퍼져나간 것으로 보인다. 통나무배에서 발전했다는 설과 중국의 뗏목에서 발전했다는 설이 있지만, 사료 부족으로 정설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3]
네덜란드에서는 "현재 알려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통나무배(카누)"로 불리는 Pesse canoe가 발견되었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기원전 8040년~기원전 7510년 경의 것으로 추정된다. (네덜란드의 A28 자동차 도로 건설 중이던 1955년에 발견되었다.)[4]
영국 스코틀랜드에서는 150건 정도의 선사 시대 통나무배 발견 사례가 있다.[5] 잉글랜드 남서부 도싯의 풀 항구에서는 1964년 준설 작업 시 유럽 떡갈나무로 만든 통나무배가 발견되었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2,200년 전의 것으로 판명되어 현재 풀 마을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6]
3. 4. 근대
메이지 시대 20년대 아이누의 통나무배는 한 개의 통나무를 파내어 만들었으며, 크기는 재료가 되는 나무에 의해 제한되어 보통 전장 5~8미터 정도였다.[41] 그러나 오사카시니시요도가와구 오니초 사기스에서 발굴된 고분 시대로 추정되는 전장 11.7m의 녹나무 굴착선 등 10미터를 넘는 대형도 존재했다.
앞뒤를 이은 복재 굴착선으로는, 다이쇼 6년(1917년) 5월 오사카시 이마후쿠 나마즈에강의 산고 다리(현 조토구 이마후쿠니시 1초메)에서 출토된 굴착선이 있으며, 전장 13.46m, 전폭 1.89m였지만 공습으로 불타버렸다. 메이지 11년(1878년) 나니와구난바나카 3초메의 이타치강에서 출토된 잔존장 12미터 정도의 굴착선도 공습으로 불타버렸지만, 당시 일본에 거주하던 모스가 스케치와 사진을 남겼다.[41] 덴포 9년(1838년) 아이치현아마군사오리정에서 출토된 굴착선은 남아있던 길이가 11칸 2척 (20.6m)이었다고 전해진다.[41] 이 세 굴착선은 모두 녹나무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야마가타현히가시타가와군후지시마정(현재 쓰루오카시)에서는 나라·헤이안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길이 14.05m의 삼나무 굴주(刳舟, 통나무배)가 출토되었는데, 오사카시 출토의 고분 시대의 것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것으로 여겨진다. 단재(単材)로 만들어진 통나무배 중 현존하는 일본 최대 크기로, 쓰루오카시 히가시타가와 문화 기념관에 전시되어 있다.
후지 5호에서는 지금까지 9척의 통나무배가 발견되었다. 후지카와구치코정의 야생 조류의 숲 공원에 전시된 것은 전체 길이 약 10m, 폭 약 0.8m로 야마나시현 내 최대 규모이며, 가마쿠라 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3. 5. 현대
현대 사회에서 통나무배는 전통 문화 보존, 관광 자원, 레저 활동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아즈치성 고고학 박물관에는 선사 시대 비와호에서 사용되던 통나무배의 복제품이 전시되어 있는데, 고호쿠정 오노에서 다케시마까지의 실험 항해에 사용되었다. 메이지 시대 20년대 아이누족의 통나무배도 주목할 만하다.[41]
일반적으로 통나무배는 전장 5~8미터 정도이지만, 오사카시 니시요도가와구 오니초 사기스에서 발굴된 고분 시대 추정 전장 11.7미터의 녹나무 굴착선처럼 10미터를 넘는 대형도 있다. 야마가타현 히가시타가와군 후지시마정(현재 쓰루오카시)에서는 나라 시대・헤이안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길이 14.05미터의 삼나무 통나무배가 출토되었는데, 이는 현존하는 통나무배 중 일본 최대 크기로 쓰루오카시 히가시타가와 문화 기념관에 전시되어 있다.
후지 5호에서는 지금까지 9척의 통나무배가 발견되었다. 후지카와구치코정의 야생 조류의 숲 공원에 전시된 것은 전체 길이 약 10미터, 폭 약 0.8미터로 야마나시현 내 최대 규모이며, 가마쿠라 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스코틀랜드에서는 150건 정도의 선사 시대 통나무배가 발견되었고, 잉글랜드 남서부 도싯의 풀 항구에서는 1964년 준설 작업 시 오크재 통나무배가 발견되었는데,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지금부터 2,200년 전의 것으로 판명되어 현재 풀 마을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4. 제작
통나무배 제작은 적절한 크기의 통나무를 선택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배가 비교적 가볍고 부력을 가지면서도, 승무원과 화물을 지탱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튼튼해야 한다. 특정 종류의 나무는 강도, 내구성 및 밀도에 따라 선호되는 경우가 많았다. 배의 모양은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만들어지며, 선수와 선미는 뾰족하게 처리한다.
먼저, 외부에서 나무 껍질을 제거한다. 금속 도구가 등장하기 전에는 통나무배는 통제된 불을 사용하여 속을 비웠다. 그 다음, 불에 탄 나무는 끌을 사용하여 제거했다. 도구를 사용하는 또 다른 방법은 나무의 내부 길이에 걸쳐 평행한 홈을 파낸 다음, 홈 사이의 나무를 쪼개어 제거하는 것이다. 속을 비운 후에는 칼이나 끌로 내부를 다듬고 매끄럽게 만들었다.
더 원시적인 디자인은 나무의 원래 치수를 유지하고 바닥을 둥글게 만든다. 그러나 속이 빈 통나무의 측면을 조심스럽게 증기로 가열하여 유연하게 만든 다음, 구부려서 중앙이 더 넓은 평평한 바닥의 "배"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선사 시대의 것, 역사 시대의 것, 현존하는 것을 포함하여 많은 사례를 차지하는 단재 굴착선은, 한 개의 통나무를 파내어 만들어지며 크기는 재료가 되는 나무에 의해 제한되어 전장 5~8미터 정도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오사카시니시요도가와구 오니초 사기스에서 발굴된 고분 시대로 추정되는 전장 11.7미터의 녹나무 굴착선 등 10미터를 넘는 대형의 것도 존재했다.
복재 굴착선 중 앞뒤를 이은 것으로는, 오사카시 이마후쿠 나마즈에강의 산고 다리(현 조토구 이마후쿠니시 1초메)에서 다이쇼 6년 (1917년) 5월에 출토된 굴착선이 있으며, 전장 13.46미터, 전폭 1.89미터였다고 하지만 공습으로 불타버렸다. 또한 나니와구난바나카 3초메의 이타치강에서, 메이지 11년 (1878년)에 출토된 잔존장 12미터 정도의 굴착선도 공습으로 불타버렸지만, 당시 일본에 거주하던 모스도 견학했으며 스케치나 사진 등이 남아 있다. 그 외, 덴포 9년 (1838년) 아이치현아마군사오리정에서 출토된 굴착선은 남아있던 길이가 11칸 2척 (20.6미터)이었다고 전해진다[41]。이 세 가지 사례의 앞뒤를 이은 복재 굴착선은 모두 녹나무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통나무를 파낼 때에는 석기 시대에는 석기를 사용했고, 현대에는 금속제 도끼나 끌과 같은 도구를 사용한다. 북미에서는 (원주민 시대부터) 통나무 위에서 불을 지펴 숯으로 만들어 파내는 기법도 사용한다. 배 안쪽 바닥 면은 굽어 있는 경우도 있고, 평평하게 마무리하는 경우도 있다.
4. 1. 재료 선택
통나무배를 만들려면 먼저 알맞은 크기의 통나무를 골라야 한다. 통나무배는 가볍고 물에 잘 뜨면서도 사람과 짐을 실을 수 있을 만큼 튼튼해야 하기 때문이다. 강도, 내구성, 밀도와 같은 특성 때문에 특정 종류의 나무가 선호되기도 한다.금속 도구가 없던 시절에는 불을 조절하여 나무 속을 파냈다.[47] 불에 탄 나무는 끌로 제거했다. 나무 내부에 평행한 홈을 여러 개 파고, 홈 사이의 나무를 쪼개어 제거하는 방법도 있었다. 속을 비운 후에는 칼이나 끌로 내부를 다듬고 매끄럽게 만들었다.[47]
오늘날에는 금속제 도끼나 끌 같은 도구를 사용한다. 북미 원주민들은 예전부터 통나무 위에서 불을 지펴 숯으로 만들어 파내는 기법을 사용했다.
4. 2. 제작 도구
통나무배 제작은 적절한 크기의 통나무를 고르는 것부터 시작한다. 배가 가볍고 뜰 수 있으면서도, 사람과 짐을 실을 수 있을 만큼 튼튼해야 하기 때문에 나무의 종류 선택이 중요하다. 강도, 내구성, 밀도 등을 고려하여 특정 나무 종류를 선호했다.[1] 배의 모양은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선수와 선미를 뾰족하게 만든다.[1]먼저, 통나무 겉면의 껍질을 벗겨낸다.[1] 금속 도구가 없던 옛날에는 불을 피워 통나무 속을 태우고, 탄 부분을 끌로 긁어내는 방식으로 속을 비웠다.[1] 나무에 평행한 홈을 여러 개 파고, 홈 사이의 나무를 쪼개어 제거하는 방법도 있었다.[1] 속을 비운 후에는 칼이나 끌로 내부를 다듬어 매끄럽게 만들었다.[1]
석기 시대에는 돌도끼 같은 석기를 사용했고[1], 현대에는 금속 도끼나 끌을 사용한다.[1] 북미 원주민들은 통나무 위에 불을 피워 숯으로 만들어 파내는 기법을 사용하기도 했다.[1]
4. 3. 제작 과정
통나무배 제작은 먼저 적절한 크기의 통나무를 선택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배가 가볍고 부력을 가지면서도, 승무원과 화물을 실을 수 있을 만큼 튼튼해야 하기 때문이다. 강도, 내구성, 밀도 등을 고려하여 특정 종류의 나무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았다.[47]통나무를 선택한 후에는 바깥쪽 껍질을 제거한다. 금속 도구가 없던 시절에는 불을 이용하여 통나무 속을 비웠다. 불에 탄 나무는 끌을 사용하여 제거했다. 다른 방법으로는 나무 내부에 평행한 홈을 여러 개 파낸 다음, 홈 사이의 나무를 쪼개어 제거하는 방법도 있었다. 속을 비운 후에는 칼이나 끌로 내부를 다듬고 매끄럽게 만들었다.[47]
더 원시적인 디자인은 나무의 원래 모양을 유지하고 바닥을 둥글게 만든다. 하지만 속이 빈 통나무의 측면을 증기로 가열하여 유연하게 만든 다음, 구부려서 중앙이 넓고 평평한 바닥을 가진 "배" 모양을 만들 수도 있다.[47]

거친 바다에서 항해하는 통나무배에는 아웃리거를 장착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두 개의 작은 통나무를 긴 막대기로 주 선체와 평행하게 장착한다. 아웃리거가 두 개인 경우에는 선체의 양쪽에 하나씩 장착한다.[47]


최근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으로 만든 소형 선박이 등장하고, 재료가 되는 큰 나무를 구하기 어려워지면서 통나무배는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통나무배들이 중요 유형 민속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47]
| 지역 | 통나무배 이름 |
|---|---|
| 홋카이도 | 아이누의 통나무배 (하천용) (1957년 6월 3일 지정) |
| 아오모리현 | 토마리의 통나무배 (1963년 5월 15일 지정) |
| 아오모리현 | 쓰가루 해협 및 주변 지역의 무다마하기형 어선 (1997년 12월 15일 지정) |
| 아키타현 | 오오누마의 상자형 통나무배 (킷츠) (1964년 5월 29일 지정) |
| 아키타현 | 다자와호의 통나무배 (1964년 5월 29일 지정) |
| 아키타현 | 오가 반도의 통나무배 (1965년 6월 9일) |
| 이와테현 | 오오후나토의 통나무 (1958년 4월 18일 지정) |
| 이와테현 | 사와우치의 통나무배 (1964년 5월 29일 지정) |
| 니가타현 | 도브네 (하나키리) (1955년 4월 22일 지정) |
| 시마네현 | 모로데부네 (1955년 2월 3일 지정) |
| 시마네현 | 토모도 (1955년 2월 3일 지정) |
| 시마네현 | 소리코 (1963년 5월 15일 지정) |
| 야마구치현 | 에자키의 통나무배 (1957년 6월 3일 지정) |
또한, "도브네의 제작 공정" (니가타현), "다네가시마의 통나무배 제작 습속" (가고시마현)이 기록 작성 등의 조치를 강구해야 할 무형의 민속 문화재로 선택되었고, "쓰가루 해협 및 주변 지역에서의 일본식 배 제작 기술" (아오모리현)이 중요 무형 민속 문화재로 지정되는 등, 유형, 무형의 민속 자료가 많이 남아있다.[47]
통나무를 파낼 때에는 석기 시대에는 석기를 사용했고, 현대에는 금속제 도끼나 끌과 같은 도구를 사용한다. 북미에서는 (원주민 시대부터) 통나무 위에서 불을 지펴 숯으로 만들어 파내는 기법도 사용한다.[47]
배 안쪽 바닥 면은 굽어 있는 경우도 있고, 평평하게 마무리하는 경우도 있다.[47]
5. 지역별 특징
세계 각지에서 통나무배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 및 활용되었다.
아프리카에서는 두푸나 카누가 가장 오래된 통나무배로 알려져 있으며, 노크 문화의 조각상에서도 통나무배를 탄 사람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서아프리카에서는 통나무 카누가 강을 이용한 무역 네트워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아시아에서는 중국에서 8,000년 된 통나무배가 발견되었으며, 미얀마의 모켄족은 여전히 통나무배를 사용한다. 인도에서도 통나무배가 전통 어선으로 사용되며, 콜레루 호수에서는 통나무배 경주가 열리기도 한다.


유럽에서는 피나무로 만든 통나무배가 많이 발견되었으며, 네덜란드의 페세 카누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배로 알려져 있다. 독일, 아일랜드, 영국, 체코, 폴란드, 스칸디나비아 등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통나무배가 발견되었다.

아메리카에서는 태평양 북서부 원주민들이 거대한 삼나무를 이용해 통나무배를 제작했으며, 1978년에는 하이다족 디자인의 통나무배로 밴쿠버에서 하와이까지 항해하기도 했다.
오세아니아에서는 아웃리거를 장착한 대형 통나무배가 장거리 항해에 사용되었으며, 마오리족의 와카가 대표적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토레스 해협 도서민, 솔로몬 제도 주민들도 통나무배를 사용했다.
한국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통나무배가 사용되었으며, 조몬 시대의 유적에서 많은 통나무배가 발견되었다. 특히 지바현 구주쿠리 평야와 시가현 비와호 주변에서 많이 출토되었다. 조선 시대 이후에도 통나무배는 어로 활동에 사용되었으나,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선박의 등장으로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5. 1. 아프리카
나이지리아에서 발견된 두푸나 카누는 8,000년 된 통나무배로,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배이며, 세계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배이다. 열대 우림과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미옴보 삼림 지대는 통나무 카누에 필요한 수로와 나무를 모두 제공하며, 이 카누는 남쪽의 림포포 강 유역에서 동아프리카, 중앙아프리카를 거쳐 서아프리카까지 널리 사용된다. 아프리카 티크는 카누 제작에 선호되는 목재이지만, 여러 종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부 지역에서는 공급이 부족하다.통나무배는 깊은 호수와 강을 가로지르거나 늪의 수로(''마코로'' 또는 ''무툼비'') 또는 얕은 지역에서 노를 저어 이동하며, 운송, 낚시, 사냥에 사용되었는데, 과거에는 매우 위험한 하마 사냥에도 사용되었다. 통나무배는 아프리카의 프랑스어권 지역에서 피로그(pirogue)라고 불린다.[2]
노크 조각상은 통나무 카누에 탄 두 사람과 그들의 상품을 묘사하고 있으며, 선박의 두 인물 모두 노를 젓고 있다. 노크 테라코타로 묘사된 통나무 카누는 노크 사람들이 화물을 지류(예: 구라라 강)를 따라 운송하고, 이를 나이저 강의 지역 무역 네트워크에서 교환하는 데 사용했음을 시사한다. 머리에 조개를 얹은 인물을 묘사한 노크 테라코타는 이러한 강을 이용한 무역로가 대서양 해안까지 뻗어 있었음을 시사할 수 있다. 아프리카 해양사에서 더 이른 시기에 나이지리아 북부 지역에서 약 8,000년 전에 제작된 두푸나 카누가 있으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알려진 두 번째로 오래된 형태의 선박인 노크 테라코타의 통나무 카누 묘사는 기원전 첫 천년기에 나이지리아 중부 지역에서 만들어졌다.[3]
서아프리카 통나무 카누는 둥근 형태의 선미와 수면 위 15°~50° 각도의 뾰족한 선수, 부분적으로 둥글거나 평평한 바닥으로 안정성 증가, V자형 선체, 약 0.30m 미만의 수심에서 항해에 적합한 얕은 흘수, 때로는 길이가 약 30.48m 이상이다. 제작에 사용된 기술 및 방법론(예: 문화적 가치 평가, 철기 사용)은 베누에 강, 감비아 강, 나이저 강, 세네갈 강과 차드 호를 연결하는 상호 연결된 강 시스템 전체에서 카누가 지속적으로 운행하고 항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했다. 이 강 시스템은 다양한 수원(예: 호수, 강, 바다, 개울)과 생태 구역(예: 사하라 사막, 사헬, 사바나)을 연결하여, 서아프리카와 북아프리카 전역의 다양한 지역(예: 바마코, 제네, 가오, 몹티, 세구, 팀북투)을 연결하는 강을 이용한 무역 네트워크를 따라 사람, 정보, 경제적 상품을 운송할 수 있었다. 서아프리카 카누 제작자들의 지식과 이해(예: 수문학, 해양 지리학, 카누 항해가 수심, 조수, 해류, 바람의 영향을 받는 방식)는 무역과 낚시와 같은 활동을 하면서 지역 강 시스템의 다양한 수로를 숙련되게 항해하는 데 기여했다. 서아프리카 통나무 카누의 제작 방식은 아프리카 디아스포라에 의해 제작된 아메리카 대륙의 카누에서도 사용되었다. 카누 제작의 신성함은 세네감비아의 속담으로 표현된다. "왕의 피와 카누 제작자의 눈물은 땅에 닿아서는 안 되는 신성한 것이다." 서아프리카 통나무 카누는 경제적 가치 외에도 사회문화적, 심리영적 가치를 지녔다.[4]
1735년 존 앳킨스는 "카누는 전체 해안에서 사람과 상품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라고 관찰했다. 자주 전복되곤 했던 유럽의 노젓는 배는 서아프리카 통나무 카누에 비해 속도 면에서 기동성과 성능이 떨어졌다. 바보트는 서아프리카 카누 제작자와 서아프리카 통나무 카누에 대해 "이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이 배를 움직이는 속도는 믿기 어려울 정도이다."라고 말했다. 알비제 다 카다모스토는 포르투갈의 카라벨이 감비아 통나무 카누에 의해 "쉽게" 능가되는 것을 관찰했다. 크루 카누 제작자가 거친 바다의 조건을 항해하는 기술은 찰스 토마스에 의해 관찰되었다.[4]
1590년대 가나의 코멘다와 타코라디는 아한타족이 만든 통나무 카누의 생산 지역이었다. 1679년 바보트는 타코라디가 "최대 약 7257.48kg까지 실을 수 있는 통나무를 제작하는 주요 카누 생산 센터"라고 관찰했다. 17세기와 18세기 사이에는 통나무 카누의 생산 지역 및/또는 시장이 샤마에 있었고, 이후에는 수포메 섬의 시장으로만 남게 되었다. 1660년대에는 페투족이 다른 지역 카누 제작자 외에도 아한타족이 만든 통나무 카누를 구매하는 것을 뮬러가 관찰했다.[4]
서아프리카인(예: 가나, 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 세네갈)과 서부 중앙 아프리카인(예: 카메룬)은 독립적으로 서핑 기술을 개발했다. 1640년대 골드 코스트에서 서핑에 대한 기록을 남긴 마이클 헴머삼은 "부모들은 아이들을 널빤지에 묶어 물에 던져 넣었다."라고 말했다. 1679년 바보트는 가나 엘미나의 아이들이 서핑을 하는 것에 대해 "엘미나의 아이들은 '널빤지나 갈대 묶음을 배에 묶어 물에 던져 수영하는 것을 배웠는데, 이는 구경꾼들에게 좋은 구경거리가 되었다."라고 기록했다. 1834년 가나 아크라에서 서핑에 대한 제임스 알렉산더의 기록: "해변에서 아이들이 가벼운 널빤지를 배에 묶어 바다로 헤엄쳐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들은 서핑을 기다렸고, 파도 꼭대기에서 구름처럼 굴러왔다. 그러나 나는 상어가 가끔 바위 뒤에서 덤벼들어 그들을 '잡아먹는다'는 말을 들었다." 1861년 카메룬 남부에서 서핑에 대한 토마스 허친슨의 기록: "어부들은 '길이가 약 1.83m, 폭이 약 35.56cm~약 40.64cm, 깊이가 약 10.16cm~약 15.24cm 밖에 되지 않는 작은 통나무배'를 탔다.[5]
5. 2. 아시아
8,000년 전, 중국 동부 저장성 콰후차오에서 고고학자들이 통나무배를 발견했다.[6] 이것은 아시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카누이다.
미얀마 메르귀 제도와 태국 북부에 사는 해상 유목민 모켄족은 여전히 통나무배를 만들고 사용한다.[7] 모켄족의 기원 설화에 따르면, 신화 속 여왕이 남자 조상의 금지된 사랑에 대한 벌로 통나무배를 타고 바다에서 살도록 추방했다고 한다.[8]
2010년 11월, 필리핀 팡가시난주 로잘레스의 아그노 강 근처에서 수백 년 된 미완성 통나무배가 발견되었다.[9]

인도에서 통나무배는 전통적인 어선으로 많이 사용된다. 콜레루 호수에서는 통나무배 경주가 열리기도 한다. 20년 전에는 1,000척 이상의 통나무배가 낚시에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100척 미만으로 줄었다.[10]
일본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역사 시대에 걸쳐 많은 통나무배가 발견되었다. 보통 5~8미터 정도지만, 10미터가 넘는 대형 통나무배도 있다.
여러 재료를 사용한 복재 굴착선 중에서는 다이쇼 6년(1917년)에 출토된 전장 13.46미터의 통나무배가 있었지만, 공습으로 불타버렸다. 메이지 11년(1878년)에 출토된 길이 12미터 정도의 통나무배도 공습으로 소실되었지만, 에드워드 S. 모스가 남긴 스케치와 사진이 남아있다. 덴포 9년(1838년) 아이치현에서 출토된 통나무배는 20.6미터였다고 전해진다.[41] 이 세 척의 복재 굴착선은 모두 녹나무로 제작되었다.
일본에서 발견된 선사 시대 통나무배는 약 200건이며, 관동 지방에 가장 많고, 그 중 지바현에서 100건 가까이 발견되었다. 특히 지바현 북동부 구리야마강 유역에서 많이 출토되었으며,[42] 시가현 비와호 주변에서도 25건 이상 발견되었다.
일본 선사 시대 통나무배는 조몬 시대 후기・말기의 것이 많지만, 조몬 전기나 전기의 출토 사례도 있다. 2013년에는 지바현 이치카와시 카미나리시타 유적에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조몬 시대 초기의 것으로 보이는 통나무배가 출토되었다. 가래나무로 만들어진 길이 7.45미터의 통나무배는 해양에서도 사용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도호쿠 지방의 발견 사례
; 관동 지방의 발견 사례
- 지바현
- 지바시 - 1947년에 통나무배가 발견되어 통나무배 연구의 원점이 되었다. 1951년에는 연꽃 씨앗이 발견되어 발아에 성공, 오가 연꽃이라 명명되었다.
- 미나미보소시 - 1948년 카모 유적에서 5,200년 전 조몬 시대 중기 초두의 가래나무 통나무배(전장 7미터)가 발견되어 오랫동안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졌다.
- 구주쿠리 평야 - 구주쿠리하마 연안에서 지바현 전체의 80% 이상 발견. 소사시와 산무군 요코시바히카리정에서 30척 이상, 가토리군 타코마치에서 20척 이상 발견. 1995년 타코마치에서 발견된 가래나무 통나무배(전장 7.45미터)는 5,500년 전 조몬 시대 초기의 것이다.
- 이치카와시 - 2013년 카미나리시타 유적에서 길이 약 7.2미터의 가래나무 통나무배가 출토. 조몬 시대 초기 약 7,500년 전의 것으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42][43][44]
- 사이타마현
- 25척 이상 출토. 1929년 아야세가와에서 발견된 가야나무 통나무배(길이 6.06미터)는 2001년 연대 측정 결과 5,300년 전 조몬 시대 전기의 것으로 밝혀졌다.[45]
- 이바라키현
- 17건 출토. 가장 오래된 것은 안세이 연간 다이호누마 간척 시 발견되어 시모쓰마시 다이호 하치만궁에 보관.[46]
- 도쿄도
- 기타구 가미나카자토 나카자토 유적에서 1989년 4,700년 전 조몬 시대 중기 가래나무 통나무배(전장 5.79미터) 발견. 2004년 도쿄도 유형 문화재로 지정.
- 가나가와현
- 요코스카시 쿠리하마 덴푸쿠지 유적에서 조몬 시대 중기 초두 가래나무 통나무배(현존 길이 3.04미터) 1척 발견.
; 긴키 지방・호쿠리쿠 지방의 발견 사례
- 후쿠이현・교토부 (와카사만 주변)
- 와카사정 (토리하마 조개더미・유리 유적) - 유리 유적에서 2006년부터 2007년까지 5척 발견. 1990년부터 1991년까지 4척 발견. 토리하마 조개더미에서 2척 발굴. 1981년 발견된 조몬 시대 전기의 것은 당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짐.
- 마이즈루시 (우라입 유적) - 1995년부터 1998년까지 5,300년 전 통나무배(시 지정 문화재)(현존 길이 4.4미터, 전장 8미터 추정) 출토. 일본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것으로 여겨짐.
- 오사카부
- 오사카시에서는 전장 10미터를 넘는 대형 굴착 배가 발견. 단재 굴착 배뿐만 아니라 복재화한 준구조선도 출토. 제2차 세계 대전 전화로 유실된 것이 많음. 1930년 후쿠시마구 후나쓰하시 유적에서 출토된 라왕재 통나무배는 고분 시대의 것으로 추정. 주오구 모리노미야 유적에서는 닻돌 발견.
; 산인 지방의 발견 사례
- 돗토리현
- 돗토리시 카쓰미 유적에서 1993년과 1995년에 해양 사용 가능한 대형 통나무배(전장 7.24미터 및 6.41미터, 조몬 시대 후기 중엽) 발견.
- 시마네현
- 7건 출토. 시마네 대학 구내 유적에서 6,000~5,000년 전 조몬 전기 삼나무 판재(통나무배 추정 판재)와 카이 2개, 야스자루 등 출토. 마스다시 쿠시로쵸 오키테 유적에서 2005년 출토된 통나무배는 야요이 시대 중기 전엽 가능성.
; 규슈 지방의 발견 사례
- 나가사키현
- 니시소노기군 타라미정(현・이사하야시) 이키리키 유적에서 조몬・야요이 시대부터 중세에 이르는 복합 유적. 조몬 시대 전기~전기 통나무배 선저 부분 출토.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짐. 규슈 최초 발굴.
야마가타현 후지시마정(현재 쓰루오카시)에서 나라 시대・헤이안 시대 추정 길이 14.05미터 삼나무 통나무배 출토. 오사카시 출토 고분 시대 것에 이어 두 번째로 큼. 단재(통나무)로 만들어진 현존 일본 최대 크기. 쓰루오카시 히가시타가와 문화 기념관에 전시.
후지 5호에서는 9척의 통나무배 발견. 후지카와구치코정 야생 조류의 숲 공원에 전시된 것은 길이 약 10미터, 폭 약 0.8미터로 야마나시현 내 최대 규모. 가마쿠라 시대 추정.
통나무배는 부서지지 않고 가라앉지 않는 특징 때문에 조선 기술 발달 후에도 어로 현장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소형 선박 등장과 재료 확보 어려움으로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47]
류큐 왕국에서 사용된 선박 중 대형 구조선인 진공선은 정크였고, 소형 마간선도 비슷했다. 아마미 제도 이타츠케, 고바야선, 오키나와섬 북부 타타나, 오기미촌 축제 운자미 하리선, 야에야마 제도 풍년제 파레이선 등 화선과 유사한 구조의 배도 있었지만, 남쪽에서 사용되던 소형 사바니는 통나무배(쿠리부니)였다.
통나무배 구조 사바니는 2~3인용 크기로 노로 조종하는 작은 배였지만, 메이지 시대 이후 아기야(몰이 그물 어업) 발달에 따라 대형화되고, 파랑 저항 제거 연구로 선형이 세련되어 내파성과 고속성이 향상, 산호초 지대 조업에 뛰어났다.
5. 3. 유럽
고대 유럽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많은 통나무배가 피나무로 만들어졌다. 첫째, 피나무는 뷔름 빙하기가 끝난 후 구석기 시대에 풍부했고 쉽게 구할 수 있었다. 둘째, 피나무는 당시 숲에서 가장 키가 큰 나무 중 하나로 자라 더 긴 배를 만들기 쉬웠다. 피나무는 또한 조각하기에 적합하며 쉽게 갈라지거나 금이 가지 않았다. 또한 유럽의 원시림에 있는 다른 대부분의 나무 종류보다 가벼워서 피나무로 만든 배는 화물 적재량이 더 좋고 운반하기가 더 쉬웠다.[11][12]
네덜란드에서 발견된 페세 카누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배로 여겨지는 통나무배로, 탄소 연대 측정 결과 기원전 8040년에서 기원전 7510년 사이로 추정된다. 네덜란드에서 발견된 다른 통나무배로는 노르트홀란트주에서 2척이 있다. 2003년에는 위트헤스트 근처에서 기원전 617-600년으로 추정되는 배가 발견되었고, 2007년에는 덴 오버르 근처에서 기원전 3300-3000년으로 추정되는 배가 발견되었다.
통나무배는 독일에서도 발견되었다. 독일어로는 이 배를 "Einbaum"(단일 나무)이라고 부른다. 옛 한자동맹 도시인 슈트랄준트에서는 2002년에 세 척의 통나무배가 발굴되었다. 이 중 두 척은 약 7,000년 된 배로 발트해 지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배이다. 세 번째 배(6,000년)는 12m 길이로 이 지역에서 가장 긴 통나무배로 기록되었다. 이 유물들은 열악한 보관 상태로 인해 부분적으로 훼손되었다.[13][14]
1991년에는 취리히 호수의 매넨도르프-슈트란드바드에서 거의 6m에 달하는 피나무 통나무배 유해가 발견되었다. 이 배는 이후 6,500년 된 것으로 추정되었다.[15]
1902년에는 아일랜드 골웨이주, 러건의 애더골 보그에서 길이 15m 이상, 폭 1m의 참나무 통나무배가 발견되어 아일랜드 국립 박물관에 기증되었다. 러건 배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는 3940 +/- 25 BP였다. 이 배에는 아웃리거가 있었거나 다른 배에 연결되었음을 시사하는 구멍이 있다.
2012년, 영국 웨일스 몬머스셔, 몬머스, 파크 글린드워르에서 몬머스 고고학회의 발굴 조사 결과, 러건 통나무배와 비슷한 길이의 신석기 시대 통나무배 트라이매린을 시사하는 3개의 도랑이 발견되었으며, 탄소 연대 측정 결과 3700+/-35 BP로 추정되었다.[16]
''제국 통치론(De Administrando Imperio)''에는 슬라브족이 키예프의 루스인에게 판매한 단목선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17] 이 배들은 9세기와 10세기에 루스-비잔틴 전쟁 동안 비잔틴 제국에 맞서 사용되었다. 그들은 통나무배를 사용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하고 놀라운 속도와 기동성으로 자신들의 영토로 철수했다. 따라서 일부 비잔틴 자료에서는 Δρομίται("달리는 사람들")이라는 이름이 키예프 루스에 적용되었다. 단목선에는 종종 지휘 및 통제 센터 역할을 하는 더 큰 갤리선이 동반되었다. 각 슬라브족 통나무배는 40~70명의 전사를 수용할 수 있었다.
자포로지안 코사크의 코사크도 16세기와 17세기에 드네프르강에서 나와 흑해 해안을 습격한 통나무배의 교묘한 사용으로 유명했다. 차이카로 알려진 작고, 얕은 흘수선, 매우 기동성이 뛰어난 갤리선을 사용하여 그들은 흑해를 빠르게 가로질렀다. 코사크 자신의 기록에 따르면, 50~70명의 승무원을 태운 이 선박은 드네프르강 어귀에서 아나톨리아 해안까지 40시간 만에 도달할 수 있었다.
체코 공화국에서는 40척 이상의 선사 시대 통나무배가 발견되었다. 가장 최근에 발견된 것은 1999년 모헬니체에서 발견된 10m 길이의 통나무배이다. 그것은 하나의 참나무 통나무에서 잘라낸 것으로 폭은 1.05m이다. 이 통나무배는 기원전 1000년경으로 추정되며 모헬니체 박물관(국립 역사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지리적으로 체코 통나무배 유적과 유물은 엘베강과 모라바강을 따라 밀집되어 있다.[18]
폴란드는 레빈 브제스키, 코지 및 로쇼비츠키 라스에서 발견된 소위 ''레빈''형 통나무배로 유명하며, 서기 초 프셰보르스크 문화와 관련이 있다. 레빈 통나무배는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단면, 직사각형 선체 끝, 배 길이에 비해 낮은 측면 높이가 특징이다. 또한, 거의 모든 레빈형 배는 앞쪽에 구멍 하나와 뒤쪽에 두 개의 구멍이 있다. 낮은 높이는 단일 통나무를 길이 방향으로 반으로 쪼개어 하나의 통나무에서 두 개의 동일한 목재를 얻기 위한 것이다. 장점은 결과적으로 동일한 쌍둥이 선체가 있다는 점이며, 이 선체는 연결되어 이중 선체 뗏목을 형성한다. 짝을 이룬 선체는 가로 기둥으로 연결되었으며, 이 기둥은 플랫폼 끝의 구멍을 통과하지 않고 상단 벽이나 선체 끝의 특수 홈에 고정되었다. 이 선박은 일반적으로 7m–12m 길이었으며, 특별한 설계로 인해 가장 큰 선박은 최대 1.5톤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었다.[19][20]
스칸디나비아에서는 많은 선사 시대 통나무배가 발견되었다. 이 배들은 더 잔잔한 수역에서의 운송, 낚시, 그리고 어쩌면 고래잡이와 물개잡이에 사용되었다. 통나무배는 금속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 유형의 수공예품을 만들기에 적합한 큰 나무가 부족해질 때까지 북유럽의 석기 시대 사람들에게 흔했다. 길이는 원시림의 나무 크기에 따라 최대 12m로 제한되었다. 덴마크에서는 2001년과 그 이전 몇 년 동안, 아르후스 북쪽의 에고달렌에서 대규모 고고학 발굴 프로젝트에서 몇 척의 피나무 통나무배가 발굴되었다. 이 배들은 기원전 5210-4910년으로 탄소 연대 측정되었으며, 북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배로 알려져 있다.[21][22] 스칸디나비아에서는 나중에 통나무배 측면에 추가 보드를 묶어 여유 높이(및 내해성)를 높였다. 결국, 통나무배 부분은 단단한 용골로 줄어들었고, 측면에 묶인 보드는 겹판 선체가 되었다.[23]
영국에서는 두 척의 통나무배가 뉴포트, 슈롭셔에서 발견되었으며, 현재 하퍼 아담스 대학교 뉴포트에 전시되어 있다. 철기 시대의 그레이트 브리튼 거주민들은 낚시와 기본적인 무역에 장기간의 배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64년에는 도싯의 풀 항구에서 통나무배가 발굴되었다. 기원전 3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풀 통나무배는 18명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크며 거대한 참나무로 제작되었다. 현재 풀 박물관에 있다. 이보다 더 오래된 통나무배(핸슨 통나무배)는 1998년 더비 남쪽의 셔들로에서 발굴되었다. 그것은 기원전 1500년경 청동기 시대로 추정되며 현재 더비 박물관 및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 같은 위치에 또 다른 선사 시대 배가 있었지만, 그것은 ''제자리에'' 묻혀 있었다.
북유럽에서는 통나무배 제작 전통이 에스토니아에서 20세기와 21세기까지 이어져 왔다. 이곳 390km2 황무지 지역인 소오마의 계절적 홍수로 인해 기존의 운송 수단이 불가능해진다. 최근 수십 년 동안 통나무배(에스토니아어 ''하아브야스'') 제작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고대 전통을 되살렸다.[24] 2021년 12월, 에스토니아 소오마 지역의 통나무배 문화는 유네스코의 무형 문화 유산 목록에 추가되었다.[25]
5. 4. 아메리카
통나무배는 적합한 통나무를 구할 수 있는 아메리카 전역의 원주민에 의해 제작되었다.
태평양 북서부의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나무를 다루는 데 매우 능숙했으며, 지금도 그렇다. 24m 높이의 토템 기둥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일상적인 사용과 의례를 위해 18m가 넘는 통나무배도 제작했다.[26] 워싱턴 (주)에서는 전통적으로 대양 항해용 통나무배는 거대한 삼나무(예: 태평양 적삼나무)로 만들고, 작은 강 주변의 원주민들은 가문비나무 통나무를 사용한다. 삼나무 통나무는 가문비나무보다 염수에 대한 탄력성이 훨씬 뛰어나다.
1978년, 조디 토처와 두 명의 동료는 하이다족의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통나무배(Orenda II)를 타고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에서 하와이까지 항해했다. 이 통나무배는 약 12.19m 길이였으며, 미송으로 만들어졌고, 무게는 약 3175.15kg였다. 이 임무는 하이다족이 고대 시대에 하와이로 여행했다는 이야기에 신빙성을 더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총 2개월 동안의 항해 끝에 이들은 약 7242km를 이동했다.[27][28]
5. 5. 오세아니아
태평양 제도에서 굴착식 카누는 매우 크며, 성숙한 통나무로 만들어졌고 바다에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아웃리거를 장착했으며, 한때 장거리 여행에 사용되었다.[30]마오리족은 1280년경 동 폴리네시아에서 뉴질랜드로 와카라고 불리는 매우 큰 통나무배를 타고 왔다. 이러한 배는 잔잔하고 안전한 해안가나 강에서 40명에서 80명의 전사를 태웠다. 폴리네시아 카타마란으로 대양 항해가 이루어졌다고 여겨지며, 2011년 뉴질랜드에서 1400년경으로 탄소 연대 측정이 된 단일 선체가 발견되었다.[30] 뉴질랜드에서는 가볍고 강하며 부패에 강한 특성 때문에 작은 와카는 종종 토타라 한 그루의 통나무로 만들어졌다. 더 큰 와카는 아마포 밧줄로 묶인 약 7개의 부분으로 만들어졌다. 모든 와카는 매우 낮은 건현을 특징으로 한다. 하와이에서는 '와아' (카누)가 전통적으로 코아 나무의 줄기로 제작된다. 와아는 일반적으로 선원 6명(키잡이 1명, 노를 젓는 사람 5명)을 태운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은 1640년경부터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해안 지역에서 통나무 카누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카누는 해삼 어부인 부기인들이 술라웨시 섬 남부의 마카사르에서 가져온 것이다.[31] 아넘랜드에서는 현지 욜구족이 통나무 카누를 ''리팔리파''(lipalipa) [32] 또는 ''리파-리파''(lippa-lippa)라고 부른다.[31]
토레스 해협 도서민들은 자신들만의 독특한 이중 아웃트리거를 사용했는데, 이는 아마도 뉴기니의 파푸아 지역 사회에서 도입되어 나중에 개조된 것으로 보인다. 이 카누는 길이가 약 14m였으며, 두 개의 대나무 돛대와 판다누스 돗자리로 만든 돛을 가지고 있었다. 이 카누는 최대 80km까지 항해할 수 있었고, 최대 12명을 태울 수 있었다.[33]
솔로몬 제도 주민들은 섬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통나무 쪽배를 사용해 왔으며, 현재도 사용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 점령 기간 동안 사용되었는데, 작은 시각적 및 소음 신호 때문에 연합군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사용한 가장 작은 배 중 하나였다. ''PT-109''가 침몰한 후, 비우쿠 가사는 난파된 존 F. 케네디에게 쪽배를 타고 도달했다.
5. 6. 한국
한국에서 발견된 선사 시대의 통나무배는 약 200건에 달하며, 관동 지방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150건 가까이). 그중 지바현에서 발견된 사례는 100건에 달해 일본 전체의 절반을 차지한다. 지바현 북동부의 조몬 시대 라군(석호)이었던 구리야마강과 그 지류 카리야테가와 유역의 옛 쓰바키노우미 주변에서 특히 많이 출토되었다.[42] 시가현 비와호 주변(25건 이상), 후쿠이현에서 시마네현에 걸친 동해 쪽에서도 발견되었다. 오사카만에서는 고분 시대로 추정되는 대형 통나무배가 몇 건 출토되었다.일본의 선사 시대 통나무배는 조몬 후기・말기의 것이 많지만, 조몬 전기나 전기의 출토 사례도 있다. 2013년 지바현 이치카와시 카미나리시타 유적에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조몬 시대 초기의 것으로 보이는 통나무배가 출토되었다.
; 도호쿠 지방의 발견 사례
; 관동 지방의 발견 사례
- 지바현
- * 지바시 도쿄 대학 검견천 후생 농장(현 도쿄 대학 검견천 종합 운동장) 부근: 종전 후 1947년 7월, 거의 완전한 형태의 통나무배 발견. 1951년 3월에는 연꽃 씨앗 3개가 발견되었고, 이 중 1개가 발아하여 오가 연꽃으로 명명됨.
- * 남보소 아와군토요타 마을 (현 미나미보소시) 카모 유적: 1948년 12월, 전장 7미터, 폭 50센티미터, 5,200년 전 조몬 시대 중기 초두의 가래나무 통나무배 발견 (오랫동안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짐).
- * 구주쿠리 지방: 구주쿠리하마 연안에서 지바현 전체의 80% 이상 발견. 대부분 구리야마가와 수계 (소사시와 산무군요코시바히카리정: 30척 이상, 가토리군타코마치: 20척 이상). 1995년 타코마치 구리야마가와 유역 유적군에서 발견된 전장 7.45미터의 가래나무 통나무배는 5,500년 전 조몬 시대 초기의 것으로, 이치카와시 카미나리시타 유적 출토 통나무배 다음으로 오래됨.
- * 이치카와시 카미나리시타 유적: 2013년 11월, 길이 약 7.2미터, 폭 약 0.5미터, 약 7,500년 전 조몬 시대 초기의 가래나무 통나무배 출토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42][43][44]
- 사이타마현
- * 통나무배 25척 이상 출토. 1929년 아야세가와 강바닥 준설 중 카나메초에서 발견되어 소카시립 역사 민속 자료관에 전시 중인 길이 6.06미터, 폭 67센티미터의 가야나무 통나무배는 2001년 연대 측정 결과 5,300년 전 조몬 시대 전기의 것으로 밝혀짐.[45]
- 이바라키현
- * 17건 출토. 가장 오래된 것은 안세이 연간 다이호누마 간척 시 발견되어 시모쓰마시 다이호 하치만궁에 보관됨.[46]
- 도쿄도
- * 기타구 가미나카자토 나카자토 유적: 1989년 도호쿠 신칸센 건설 공사 중 4,700년 전 조몬 시대 중기 가래나무 통나무배(전장 5.79미터, 최대 폭 72센티미터) 발견. 2004년 3월 도쿄도 유형 문화재로 지정.
- 가나가와현
- * 요코스카시 쿠리하마 덴푸쿠지 유적: 조몬 시대 중기 초두, 가래나무제, 현존 길이 3.04미터, 현존 폭 37.5센티미터의 통나무배 1척 출토.
; 긴키 지방・호쿠리쿠 지방의 발견 사례
- 시가현
- * 대부분 내호 혹은 내호 근처 4유적에서 25척 이상 발견. 히코네시에서 마이바라정에 걸친 마쓰바라 내호・이리에 내호 유적에서 17척 발견.
- 후쿠이현・교토부 (와카사만 주변)
- * 후쿠이현 와카사정 (토리하마 조개더미・유리 유적): 유리 유적에서 2006년 1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조몬 시대 후기 무렵 지층에서 통나무배 5척 발견.
- * 교토부 마이즈루시 (우라입 유적): 간사이 전력 마이즈루 발전소 건설에 따라 1995년 6월부터 1998년 5월까지 발굴 조사 실시. 5,300년 전 통나무배(시 지정 문화재, 현존 길이 4.4미터, 전장 8미터, 폭 0.85미터로 추정) 출토 (일본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것으로 여겨짐).
- 오사카부
- * 오사카시에서 전장 10미터를 넘는 대형 굴착 배가 발견됨. 단재 굴착 배뿐만 아니라 복재화한 준구조선도 출토. 대부분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실. 1930년 후쿠시마구 후나쓰하시 유적 출토 라왕재 통나무배 등이 남아있음.
; 산인 지방의 발견 사례
- 돗토리현
- * 돗토리시 카쓰미 카쓰미 유적: 1993년과 1995년 해양 사용 가능 대형 통나무배(전장 7.24미터 및 6.41미터, 조몬 시대 후기 중엽) 발견.
- 시마네현
- * 7건 출토. 시마네 대학 구내 유적: 6,000~5,000년 전 조몬 전기 흑탄층에서 길이 약 6미터의 삼나무 판재(통나무배 추정 판재)와 노(櫂) 2개, 야스자루 등 출토.
; 규슈 지방의 발견 사례
- 나가사키현
- * 니시소노기군타라미정 (현 이사하야시) 이키리키 유적: 조몬・야요이 시대부터 중세에 이르는 복합 유적. 조몬 시대 전기~전기 통나무배 선저 부분 출토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짐).
야마가타현 히가시타가와군 후지시마정(현 쓰루오카시): 나라 시대・헤이안 시대 추정 길이 14.05미터 삼나무 굴주(刳舟, 통나무배) 출토 (오사카시 출토 고분 시대 통나무배 다음으로 큼). 현존하는 단재(単材) 통나무배 중 일본 최대 크기. 쓰루오카시 히가시타가와 문화 기념관 전시.
후지 5호: 9척의 통나무배 발견. 후지카와구치코정 야생 조류의 숲 공원 전시 통나무배는 전체 길이 약 10미터, 폭 약 0.8미터 (야마나시현 내 최대 규모), 가마쿠라 시대 추정.
통나무배는 조선 기술 발달 이후에도 어로 등에서 실용화되었으나,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소형 선박 등장과 재료(큰 나무) 확보의 어려움으로 점차 사라짐.[47]
; 홋카이도
- 아이누의 통나무배 (하천용) (1957년 6월 3일 지정)
; 아오모리현
- 토마리의 통나무배 (1963년 5월 15일 지정)
; 아키타현
- 오오누마의 상자형 통나무배 (킷츠) (1964년 5월 29일 지정)
- 다자와호의 통나무배 (1964년 5월 29일 지정)
- 오가 반도의 통나무배 (1965년 6월 9일)
; 이와테현
- 오오후나토의 통나무 (1958년 4월 18일 지정)
- 사와우치의 통나무배 (1964년 5월 29일 지정)
; 니가타현
- 도브네 (하나키리) (1955년 4월 22일 지정)
; 시마네현
- 모로데부네 (1955년 2월 3일 지정)
- 토모도 (1955년 2월 3일 지정)
- 소리코 (1963년 5월 15일 지정)
; 야마구치현
- 에자키의 통나무배 (1957년 6월 3일 지정)
류큐 왕국 사용 선박: 대형 구조선 진공선은 정크, 소형 마간선(마란선)도 유사 구조. 사바니는 통나무배(쿠리부니).
사바니는 2~3인승, 노로 조종하는 작은 배였으나, 메이지 시대 이후 아기야(몰이 그물 어업) 발달에 따라 대형화, 파랑 저항 제거 연구, 선형 개량으로 내파성, 고속성 향상.
6. 사회문화적 의미
단재 굴착선은 한 개의 통나무를 파내어 만들었으며, 크기는 재료가 되는 나무에 의해 제한되어 보통 전장 5~8미터 정도였다. 하지만 오사카시 니시요도가와구 오니초 사기스에서 발굴된 고분 시대 추정 전장 11.7m의 녹나무 굴착선처럼 10m가 넘는 대형도 있었다.
복재 굴착선 중 앞뒤를 이은 것으로는 오사카시 이마후쿠 나마즈에강의 산고 다리(현 조토구 이마후쿠니시 1초메)에서 1917년 5월에 출토된 굴착선(전장 13.46m, 전폭 1.89m)이 있으나 공습으로 소실되었다. 나니와구 난바나카 3초메의 이타치강에서 1878년 출토된 잔존장 12m 정도의 굴착선도 공습으로 소실되었지만, 에드워드 S. 모스가 견학하여 스케치와 사진을 남겼다. 1838년 아이치현 아마군 사오리정 출토 굴착선은 잔존 길이 20.6m였다고 전해진다.[41]
6. 1. 문화적 가치
선사 시대부터 역사 시대를 거쳐 현재까지, 통나무배는 한 개의 통나무를 파내어 만드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일반적인 크기는 재료가 되는 나무에 따라 5~8미터 정도였지만, 오사카시 니시요도가와구 오니초 사기스에서 발굴된 고분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전장 11.7m의 녹나무 통나무배처럼 10m가 넘는 대형도 있었다.
여러 재료를 사용한 통나무배 중에서는, 오사카시 이마후쿠 나마즈에강의 산고 다리(현 조토구 이마후쿠니시 1초메)에서 1917년 5월에 출토된 통나무배가 대표적이다. 이 통나무배는 전장 13.46m, 전폭 1.89m였으나 공습으로 소실되었다. 나니와구 난바나카 3초메의 이타치강에서 1878년에 출토된 잔존 길이 약 12m의 통나무배도 공습으로 소실되었지만, 당시 일본에 거주하던 모스가 견학하여 스케치와 사진을 남겼다. 1838년 아이치현 아마군 사오리정에서 출토된 통나무배는 남아있던 길이가 20.6m였다고 전해진다.[41] 이 세 가지 사례의 앞뒤를 이은 복재 통나무배는 모두 녹나무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7. 보존 및 활용
통나무배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훌륭한 관광 자원이 될 수 있으며, 체험, 축제, 전시 등의 관광 상품 개발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7. 1. 관광 자원화
통나무배를 활용한 체험, 축제, 전시 등의 관광 상품을 개발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통나무배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훌륭한 관광 자원이 될 수 있다.
발굴 사례
| 출토 지역 | 출토 시기 | 길이 | 비고 |
|---|---|---|---|
| 오사카시니시요도가와구 오니초 사기스 | 고분 시대 | 11.7m | 녹나무 굴착선 |
| 오사카시 이마후쿠 나마즈에강의 산고 다리(현 조토구 이마후쿠니시 1초메) | 1917년(다이쇼 6년) 5월 | 13.46m | 공습으로 소실[41] |
| 나니와구난바나카 3초메의 이타치강 | 1878년(메이지 11년) | 잔존 길이 12m | 공습으로 소실[41] |
| 아이치현아마군사오리정 | 1838년(덴포 9년) | 잔존 길이 20.6m | [41] |
참조
[1]
서적
1000 Inventions and Discoveries
[2]
논문
Pits, pots and plants at Pangwari — Deciphering the nature of a Nok Culture site
https://www.tandfonl[...]
2020
[3]
논문
The Nok Terracotta Sculptures of Pangwari
https://brill.com/vi[...]
2016-01-12
[4]
서적
Undercurrents of Power Aquatic Culture in the African Diaspor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8-03-20
[5]
서적
Undercurrents of Power Aquatic Culture in the African Diaspor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8-03-20
[6]
간행물
The discovery of an 8000-year-old dugout canoe at Kuahuqiao in the Lower Yangzi River, China.
http://antiquity.ac.[...]
antiquity.ac.uk
2005
[7]
웹사이트
Mergui Archipelago
http://www.burmaboat[...]
[8]
웹사이트
The Mergui Archipelago and The Moken
http://www.burmaboat[...]
2013-10-08
[9]
웹사이트
Centuries-old wooden boat retrieved in Pangasinan
http://www.philstar.[...]
[10]
뉴스
Boat race brings back memories of life in Kolleru
https://www.thehindu[...]
2018-02-03
[11]
웹사이트
Kano
https://collectie.hu[...]
2018-02-17
[12]
웹사이트
Kano
https://collectie.hu[...]
2018-02-17
[13]
웹사이트
The Terminal Mesolithic and Early Neolithic log boats of Stralsund-Mischwasserspeicher (Hansestadt Stralsund, Fpl. 225). Evidence of early waterborne transport on the German Southern Baltic coast
https://www.academia[...]
2009-01
[14]
간행물
Der endmesolithisch/fruhneolithische Fundplatz Stralsund-Mischwasserspeicher--Zeugnisse fruher Bootsbautechnologie an der Ostseekuste Mecklenburg-Vorpommerns. Bodendenkmalpflege in Mecklenburg-Vorpommern
2004
[15]
웹사이트
Einbäume aus Zürcher Gewässern - Ulmer Museum
https://web.archive.[...]
2002
[16]
서적
The Lost Lake evidence of Prehistoric Boat Building
2013
[17]
웹사이트
Of the Pechenegs, and how many advantages
http://faculty.washi[...]
[18]
논문
Logboats from Bohemia and Moravia, Czech Republic
https://www.academia[...]
2009
[19]
웹사이트
Czech Logboats: Early Inland Watercraft from Bohemia and Moravia
https://www.academia[...]
[20]
간행물
Radiocarbon and Dendrochronological Dating of Logboats from Poland
Proceedings of the 17th International 14C Conference
2001
[21]
웹사이트
Arkæologien under motorvejen
http://www.hum.au.dk[...]
[22]
웹사이트
'Viking era' dugout boat found in Norway
http://www.smh.com.a[...]
2003-09-10
[23]
웹사이트
The Viking Longship
http://www.users.glo[...]
[24]
웹사이트
Haabjas - Estonian Dugout Canoe
http://haabjas.blogs[...]
[25]
웹사이트
Estonian World
https://estonianworl[...]
2021-12-15
[26]
웹사이트
Meadow Lakes Elementary / Overview
https://web.archive.[...]
[27]
논문
A man, a tree and an ocean to cross
1979-03-05
[28]
뉴스
Orenda recalled
1978-11-22
[29]
웹사이트
Pacific islands sailing canoes
http://philateliemar[...]
webring.com
2016-01-18
[30]
간행물
"An early sophisticated East Polynesian voyaging canoe discovered on New Zealand's coast"
http://www.pnas.org/[...]
[31]
서적
Macassan History and Heritage: Journeys, Encounters and Influences
https://library.dbca[...]
ANU Press
2013
[32]
웹사이트
Djalu' Gurruwiwi
https://web.archive.[...]
Buku-Larrnggay Mulka Centre
2015
[33]
웹사이트
Torres Strait Islander culture
https://www.creative[...]
2019-11-05
[34]
문서
読みは同じく「まるきぶね」。
[35]
문서
ギリシア語で、mono(=単一)+ xylon(=樹木)。
[36]
문서
英語の「log ログ」は丸太(まるた。=丸木)のこと。「dugout ダグアウト」は「dug」が「掘る」という意味で、「dugout」で「掘り出す」「掘り出し」という意味。
[37]
서적
丸木舟
小学館
[38]
서적
丸木舟
平凡社
[39]
서적
1000 Inventions and Discoveries
DK
2014
[40]
문서
南太平洋のカヌーは、洋上で台風に遭うとわざと転覆させ台風をやりすごすことで遠洋航海をする。
[41]
간행물
名古屋大学年代測定総合研究センター 加速器質量分析計業績報告書 1993年「諸桑の古船」小考
https://www.nendai.n[...]
名古屋大学年代測定総合研究センター
1993
[42]
간행물
千葉県における縄文時代丸木舟の出土例について
https://www.echiba.o[...]
千葉県教育振興財団
[43]
웹사이트
国内最古の丸木舟か 7500年前、千葉・市川で出土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4-02-01
[44]
뉴스
最古の丸木舟を発見 縄文人の計り知れない航海力 日本経済新聞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45]
웹사이트
草加を楽しむ 綾瀬川(旧新田村)出土丸木舟
https://www.city.sok[...]
[46]
웹사이트
県指定文化財 丸木舟(大宝八幡宮)
http://www.shimotsum[...]
下妻市観光協会
[47]
뉴스
男鹿半島の漁民の足 姿を消すか丸木舟 民芸ブーム身売り続出
朝日新聞
1970-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