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핑은 파도를 타는 수상 스포츠로, 폴리네시아에서 기원했으며, 1885년 캘리포니아에서 처음 기록되었다. 서핑은 서핑보드를 이용해 파도의 속도와 힘을 이용하여 기술을 구사하는 스포츠로, 숏보드, 롱보드 등 다양한 종류의 보드와 장비가 사용된다. 파도의 형태, 서프 브레이크, 그리고 서퍼의 기술 수준에 따라 다양한 기술과 위험 요소가 존재하며, 튜브 라이딩, 롱보드 기술, 에어 기술 등이 대표적이다. 서핑은 서핑 문화라는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며, 음악, 영화, 패션 등 대중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서핑은 서핑 스쿨과 훈련을 통해 배울 수 있으며, 안전 수칙 준수가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핑 - 빅 웨이브 서핑
빅 웨이브 서핑은 매우 높은 파도에서 서핑을 즐기는 익스트림 스포츠로, 장비와 기술의 발전, 새로운 서핑 장소의 발견과 함께 발전해왔으며, 위험성이 높아 안전 장비와 구조 기술이 중요하고, WSL 빅 웨이브 어워드 등의 대회가 열리며 문화 콘텐츠로도 활용되지만, 기후 변화와 해양 오염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 서핑 - 보디보딩
보디보딩은 몸을 이용하여 파도를 타는 수상 스포츠로, 고대 폴리네시아 서핑에서 유래하여 톰 모어가 현대적으로 발명했으며, 다양한 기술과 라이딩 스타일로 전 세계에서 즐기고 국제 대회도 개최되는 스포츠이다. - 올림픽에 관한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 올림픽에 관한 - 스톡홀름
스톡홀름은 발트해와 멜라렌호 사이에 위치한 스웨덴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14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정치, 문화,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유럽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 중 하나이다.
서핑 | |
---|---|
기본 정보 | |
![]() | |
종목 | 서핑 |
관련 기관 | 세계 서핑 리그 (WSL) 국제 서핑 협회 (ISA) |
최초 | 전 세계 |
성별 구분 | 남녀별 경기 있음 |
장비 | 서프보드 리쉬 웻슈트 |
올림픽 | 2020년부터 |
기술 및 환경 | |
파도 크기 | 최대 86 (약 26m) |
주요 서핑 장소 | |
장소 | https://www.cnn.com/travel/article/50-surf-spots/index.html |
올림픽 | |
올림픽 참가 | https://olympics.com/ioc/news/ioc-approves-five-new-sports-for-olympic-games-tokyo-2020부터 |
첫 금메달리스트 | https://omaringa.com.br/esportes/2021/07/27/toquio-2020-consegue-o-bronze/ (남자) https://www.nytimes.com/live/2021/07/26/sports/olympics-tokyo-medals-results#olympics-surfing (여자) |
기타 | |
다른 이름 | 파도타기 |
접촉 | 경우에 따라 배, 발, 무릎 |
혼성 경기 | 있음 |
경기 장소 | 수상 |
2. 기원과 역사
서핑의 기원은 최소 서기 4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정확한 시기는 불분명하다. 가장 유력한 설은 항해술에 능했던 고대 폴리네시아인들이 고기잡이 후 보트를 이용해 파도를 타는 기술을 터득하고, 나무판에 올라타면서 서핑이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벤 피니의 연구에 따르면, 서핑은 폴리네시아 전역에 널리 퍼져 동쪽으로는 이스터섬, 서쪽으로는 뉴기니, 북쪽으로는 하와이, 남쪽으로는 뉴질랜드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고대 폴리네시아 사회에서 서핑은 단순한 스포츠를 넘어 의식에도 등장하는 등 문화의 중심적인 존재로 발전했다. 하와이의 카메하메하 1세도 서핑을 즐겼다고 전해진다.
유럽인 중 처음으로 서핑을 목격한 사람은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 선장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타히티와 하와이에서 서핑을 목격하고 항해일지에 기록했다. 그러나 이후 기독교 선교사들은 폴리네시아 문화를 야만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서핑을 금지하고 서프보드를 불태우는 등 탄압했다. 이로 인해 폴리네시아에서 서핑은 한때 쇠퇴했다.
일본에서는 태평양 전쟁 이후인 1950년대 주일미군에 의해 서핑이 전래되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 이전부터 파도타기를 즐기던 사람들이 있었고, 전쟁 전 사진도 존재한다.[79][80]
서핑은 물과 파도가 있는 곳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난 것으로, 기원을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견해도 있다.[81]
2. 1. 페루

고대 페루에서는 약 3,000년에서 5,000년 전부터 어부들이 갈대로 만든 카약과 같은 배(모치카)를 타고 바다에서 낚시를 한 후 파도를 타고 해안으로 돌아왔다.[6][7] 모체 문화는 토토라로 만든 작은 말이라는 뜻의 토토라 카바이토스를 사용했으며, 기원후 200년경 사용되었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다.[8] 예수회 선교사 호세 데 아코스타는 1590년에 출판한 저서 ''Historia natural y moral de las Indias''에서 칼라오에서 잉카인들이 서핑을 했다는 초기 기록을 남겼다.[9]
2. 2. 폴리네시아
폴리네시아 문화에서 서핑은 중요한 활동이었다. 현대 서핑은 하와이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서핑의 역사는 기원후 400년경 폴리네시아인들이 타히티와 마르키즈 제도에서 하와이 제도로 이동하면서 시작되었으며, 그들은 파이포 보드를 이용한 서핑을 포함한 많은 관습을 가지고 왔다. 서핑 보드에 서서 타는 기술은 하와이에서 발명되었다.[10]
여러 유럽 탐험가들이 폴리네시아에서 서핑을 목격했다. 1767년 타히티에서 영국 탐험가들이 서핑을 관찰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새뮤얼 월리스와 HMS 돌핀(Dolphin)의 승무원들이 그 해 6월에 이 섬을 방문한 최초의 영국인들이었다. 또 다른 후보는 HMS 인데버(Endeavour)를 타고 제임스 쿡의 첫 번째 항해에 참여했던 식물학자 조셉 뱅크스[11]이며, 그는 1769년 4월 10일에 타히티에 도착했다. 제임스 킹 중위는 1779년 쿡 선장이 사망한 후 그의 일지를 완성하면서 하와이에서 서핑 기술에 대해 처음으로 기록한 사람이다.
허먼 멜빌의 1849년 소설 ''마르디''는 폴리네시아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며, "오호누에서의 희귀한 스포츠"를 묘사한다. 여기서 서핑 보드는 길이 약 5피트, 사람의 몸통 너비, 양쪽이 볼록하며, 광택이 나고, 끝이 둥글게 되어 있으며, 매우 귀하게 여겨져 사용 후에는 항상 기름을 바르고, 소유자의 집에 눈에 띄게 걸어 둔다고 묘사되어 있다.[12] 마크 트웨인은 1866년 하와이를 방문했을 때, 남녀노소 모든 연령대의 나체 원주민들이 서핑을 즐기는 모습을 보았다고 기록했다.[13]
사모아에서는 서핑을 ''fa'ase'e'' 또는 ''se'egalu''라고 불렀으며(Augustin Krämer, ''The Samoa Islands''[14] 참조), 통가에서는 하와이인과 동부 폴리네시아인이 서핑을 하기 훨씬 전인 1000년 이상 전부터 서핑이 행해졌다.
2. 3. 서아프리카
서핑의 역사에서 볼 수 있듯이, 가나, 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 세네갈 등의 서아프리카와 카메룬 등의 서중앙아프리카에서는 독자적으로 서핑 기술이 발달했다.[15]1640년대 중반, 마이클 헤머삼(Michael Hemmersam)은 골드코스트의 서핑에 대해 "부모들은 '자녀들을 보드에 묶어 물에 던졌다.'"라고 기록했다.[15] 1679년, 바르보트(Barbot)는 가나 엘미나 아이들의 서핑에 대해 "엘미나의 아이들은 배나 작은 갈대 다발을 배처럼 이용하여 수영하는 법을 배웠는데, 이는 구경꾼들에게 좋은 오락거리였다."라고 기록했다.[15]
1834년 제임스 알렉산더(James Alexander)는 가나 아크라의 서핑에 대해 "해변에서는 한편, 아이들이 배를 깔고 바다로 헤엄쳐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들은 파도를 기다렸고, 마치 구름처럼 파도 위를 굴러왔다. 하지만 상어가 가끔 바위 뒤에서 튀어나와 그들을 잡아먹는다고 들었다."라고 기록했다.[15] 1861년 토마스 허친슨(Thomas Hutchinson)은 카메룬 남부의 서핑에 대해 "어부들은 길이 약 1.83m, 너비 약 35.56cm~약 40.64cm, 깊이 약 10.16cm~약 15.24cm에 불과한 작은 통나무배를 탔다."라고 기록했다.[15]
2. 4. 캘리포니아
1885년 7월, 세 명의 하와이 왕족 십대 소년 다비드 카와나나코아(David Kawānanakoa), 에드워드 켈리이아호누이(Edward Keliʻiahonui), 조나 꾸히오 칼라니아나올레(Jonah Kūhiō Kalanianaʻole)가 캘리포니아주 산타크루즈에서 더위를 식히러 왔을 때, 주문 제작한 레드우드 나무 서프보드를 타고 산 로렌조 강 어귀에서 서핑을 했다.[16]
1907년, 토지 개발업자 애벗 키니는 조지 프리스를 캘리포니아로 데려와 서핑 시범을 보이게 했다.[22] 같은 해, 토지 재벌 헨리 E. 헌팅턴은 캘리포니아주 레돈도 비치에 서핑을 도입했다.[23] 그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프리스를 호텔 레돈도 앞에서 서핑 시범을 보이고 생명 구조원으로 고용했다.[23] 듀크 카하나모쿠는 1912년과 1920년 올림픽 수영 금메달리스트로, 미국과 호주에 서핑을 전파했다.[24]
1920년대 후반, 메리 앤 호킨스는 듀크 카하나모쿠에게 영감을 받아 서핑을 시작했다. 1936년, 산타모니카 방파제에서 캘리포니아 최초의 여성 패들보드 경주에서 우승했다.[25] 1938년 여성 0.8km 패들보드 경주와 베니스 방파제 경주를 포함한 수많은 대회에서 우승하며 이 종목을 지배했다.[25] 호킨스는 탠덤 서핑(한 개의 보드에 두 명이 동시에 서핑하는 종목)의 선구자이기도 했다. 1939년 남부 캘리포니아 여러 해변에서 패들보딩과 탠덤 서핑 시범을 보이며 여성 서퍼들에게 영감을 주었다.[25]

1939년 1월, 호킨스는 산타모니카 패들 클럽 여성 보조 그룹의 수장으로 임명되었고, 1940년 1월에는 부사장으로 승진했다.[25] 그녀의 동료 "화이티" 해리슨은 그녀를 "최고의 탠덤 라이더"라고 칭찬했다.[25]
미국인의 하와이 진출 영향으로 태평양을 사이에 두고 하와이와 마주하는 캘리포니아주에 서핑이 전파되었다. 하와이 제도로 향하는 파도와 발생지를 같이 한다. “마베릭스”라고 불리는 빅웨이브 서핑 포인트도 유명하다. 현재 서핑 문화를 주도하는 것은 캘리포니아이다. 수많은 서핑 산업과 서핑 잡지 등도 본거지를 캘리포니아에 두고 있으며, 수많은 카리스마 서퍼를 배출해 왔다. 또한, 서프 뮤직으로 유명한 비치 보이스도 이곳이 본거지이다.
3. 서핑 파도
튜브 형태는 길이 대 너비 비율로 정의된다. 완벽한 원통형 와류는 1:1의 비율을 가진다.
- 정사각형: 1:1 미만
- 원형: 1~2:1
- 아몬드형: 2:1 초과
파도가 부서지는 모습의 질을 설명하는 용어인 "껍질 벗기기(Peel)" 또는 "벗겨짐(Peeling off)"은 "서핑에 적합한 빠르고 깨끗하며 고르게 떨어지는 컬 라인으로, 일반적으로 포인트 브레이크에서 발견된다"고 정의되었다.[28]
튜브 속도는 파도의 길이를 따라 브레이크가 진행되는 속도이며, 서퍼가 튜브의 진행에 맞춰 파도를 따라 이동해야 하는 속도이다. 튜브 속도는 껍질 각도와 파도의 속도를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껍질 각도는 파면과 시간에 따른 브레이크 지점의 수평 투영 사이의 각도로, 일반적인 브레이크에서는 브레이크 후 남은 백워터 선으로 가장 쉽게 나타낼 수 있다. 클로즈아웃 되거나 길이를 따라 한꺼번에 부서지는 브레이크는 파면과 평행한 백워터를 남기며, 껍질 각도는 0°이다. 이는 브레이크에 맞춰 충분히 빠르게 파도면을 따라 진행하려면 무한한 속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서핑이 불가능하다. 파도면을 따라 더 천천히 진행되는 브레이크는 파도면의 선과 각도가 다른 새로운 백워터 선을 남긴다.
:
여기서:
- 파도면을 따라 서퍼의 속도
- 파도의 속도(전파 방향의 속도)
- 껍질 각도
대부분의 경우 25° 미만의 껍질 각도는 서핑하기에는 너무 빠르다.
- 빠름: 30°
- 중간: 45°
- 느림: 60°
빠름 | 중간 | 느림 | |
---|---|---|---|
정사각형 | 코브라 | 테아후푸 | 샤크 아일랜드 |
원형 | 스피디스, Gnaraloo | 반자이 파이프라인 | |
아몬드형 | Lagundri Bay, 슈퍼뱅크 | 제프리스 베이, 벨스 비치 | 앙구리 포인트 |
3. 1. 파도의 형성
튜브 형태는 길이 대 너비 비율로 정의된다. 완벽한 원통형 와류는 1:1의 비율을 가진다. 다른 형태는 다음과 같다.
- 정사각형: 1:1 미만
- 원형: 1~2:1
- 아몬드형: 2:1 초과
파도가 부서지는 모습의 질을 설명하는 용어인 "껍질 벗기기(Peel)" 또는 "벗겨짐(Peeling off)"은 "서핑에 적합한 빠르고 깨끗하며 고르게 떨어지는 컬 라인으로, 일반적으로 포인트 브레이크에서 발견된다"고 정의되었다.[28]
튜브 속도는 파도의 길이를 따라 브레이크가 진행되는 속도이며, 서퍼가 튜브가 진행됨에 맞춰 파도를 따라 이동해야 하는 속도이다. 튜브 속도는 껍질 각도와 파도의 속도를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껍질 각도는 파면과 시간에 따른 브레이크 지점의 수평 투영 사이의 각도로, 일반적인 브레이크에서는 브레이크 후 남은 백워터 선으로 가장 쉽게 나타낼 수 있다. 클로즈아웃 되거나 길이를 따라 한꺼번에 부서지는 브레이크는 파면과 평행한 백워터를 남기며, 껍질 각도는 0°이다. 이는 브레이크에 맞춰 충분히 빠르게 파도면을 따라 진행하려면 무한한 속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서핑이 불가능하다. 파도면을 따라 더 천천히 진행되는 브레이크는 파도면의 선과 각도가 다른 새로운 백워터 선을 남긴다.
:
여기서:
:파도면을 따라 서퍼의 속도
:파도의 속도(전파 방향의 속도)
:껍질 각도
대부분의 경우 25° 미만의 껍질 각도는 서핑하기에는 너무 빠르다.
- 빠름: 30°
- 중간: 45°
- 느림: 60°
빠름 | 중간 | 느림 | |
---|---|---|---|
정사각형 | 코브라 | 테아후푸 | 샤크 아일랜드 |
원형 | 스피디스, Gnaraloo | 반자이 파이프라인 | |
아몬드형 | Lagundri Bay, 슈퍼뱅크 | 제프리스 베이, 벨스 비치 | 앙구리 포인트 |
파형의 종류는 수심 감소율에 따라 달라진다. 쇄파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쇄파 지수(ξb)가 0.4 미만인 분산형(spilling), 0.4 < ξb < 2인 낙하형(plunging), ξb > 2인 붕괴형(collapsing), 그리고 ξb > 2인 쇄도형(surging)이다. 어떤 유형이 발생하는지는 해저 경사에 따라 달라진다.
서핑에 적합한 파도는 분산형 또는 낙하형으로 쇄파하며, 적절한 굴절각(peel angle)을 가지면 서핑 가치가 더욱 향상된다. 파고와 주기, 풍속과 풍향과 같은 다른 요소들도 쇄파의 가파름과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쇄파의 유형과 형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쇄파 지점 이전의 해저 경사이다. 쇄파 지수와 이리바렌 수를 사용하면 파도의 가파름과 해저 경사의 함수로 쇄파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3. 2. 튜브 모양과 속도
튜브 형태는 길이 대 너비 비율로 정의된다. 완벽한 원통형 와류는 1:1의 비율을 가진다. 다른 형태는 다음과 같다.
- 정사각형: 1:1 미만
- 원형: 1~2:1
- 아몬드형: 2:1 초과
파도가 부서지는 모습의 질을 설명하는 용어인 "껍질 벗기기(Peel)" 또는 "벗겨짐(Peeling off)"은 "서핑에 적합한 빠르고 깨끗하며 고르게 떨어지는 컬 라인으로, 일반적으로 포인트 브레이크에서 발견된다"고 정의되었다.[28]
튜브 속도는 파도의 길이를 따라 부서짐이 진행되는 속도이며, 서퍼가 튜브의 진행에 맞춰 파도를 따라 이동해야 하는 속도이다. 튜브 속도는 껍질 각도와 파도의 속도를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껍질 각도는 파면과 시간에 따른 부서짐 지점의 수평 투영 사이의 각도로, 일반적인 경우 부서진 후 남은 백워터 선으로 가장 쉽게 나타낼 수 있다. 클로즈아웃 되거나 길이를 따라 한꺼번에 부서지는 파도는 파면과 평행한 백워터를 남기며, 껍질 각도는 0°이다. 이는 부서짐에 맞춰 충분히 빠르게 파도면을 따라 진행하려면 무한한 속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서핑이 불가능하다. 파도면을 따라 더 천천히 진행되는 파도는 파도면의 선과 각도가 다른 새로운 백워터 선을 남긴다.
:
여기서:
:파도면을 따라 서퍼의 속도
:파도의 속도(전파 방향의 속도)
:껍질 각도
대부분의 경우 25° 미만의 껍질 각도는 서핑하기에 너무 빠르다.
- 빠름: 30°
- 중간: 45°
- 느림: 60°
빠름 | 중간 | 느림 | |
---|---|---|---|
정사각형 | 코브라 | 테아후푸 | 샤크 아일랜드 |
원형 | 스피디스, Gnaraloo | 반자이 파이프라인 | |
아몬드형 | Lagundri Bay, 슈퍼뱅크 | 제프리스 베이, 벨스 비치 | 앙구리 포인트 |
3. 3. 파도의 강도
튜브 형태는 길이 대 너비 비율로 정의된다. 완벽한 원통형 와류는 1:1 비율을 갖는다. 다른 형태는 다음과 같다.- 정사각형: 1:1 미만
- 원형: 1~2:1
- 아몬드형: 2:1 초과
파도가 부서지는 모양을 설명하는 "껍질 벗기기(Peel)" 또는 "벗겨짐(Peeling off)"은 "서핑에 적합한 빠르고 깨끗하며 고르게 떨어지는 컬 라인으로, 일반적으로 포인트 브레이크에서 발견된다"고 정의되었다.[28]
튜브 속도는 파도의 길이를 따라 부서지는 지점이 이동하는 속도이며, 서퍼가 튜브 안에서 파도를 타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속도이다. 튜브 속도는 껍질 각도와 파도의 속도를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껍질 각도는 파면과 시간에 따른 부서지는 지점의 수평 투영 사이의 각도이며, 일반적인 경우 부서진 후 남은 백워터 선으로 가장 쉽게 나타낼 수 있다. 한꺼번에 부서지는 파도는 파면과 평행한 백워터를 남기며, 껍질 각도는 0°이다. 이는 파도면을 따라 충분히 빠르게 이동하려면 무한한 속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서핑이 불가능하다. 파도면을 따라 더 천천히 부서지는 파도는 파도면의 선과 각도가 다른 새로운 백워터 선을 남긴다.
:
여기서:
: 파도면을 따라 서퍼의 속도
: 파도의 속도(전파 방향의 속도)
: 껍질 각도
대부분 25° 미만의 껍질 각도는 서핑하기에는 너무 빠르다.
- 빠름: 30°
- 중간: 45°
- 느림: 60°
빠름 | 중간 | 느림 | |
---|---|---|---|
정사각형 | 코브라 | 테아후푸 | 샤크 아일랜드 |
원형 | 스피디스, Gnaraloo | 반자이 파이프라인 | |
아몬드형 | Lagundri Bay, 슈퍼뱅크 | 제프리스 베이, 벨스 비치 | 앙구리 포인트 |
3. 4. 인공 암초
죄송합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인공 암초'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에 해당 내용이 추가되어야 합니다.3. 5. 인공 파도
도심 등 내륙에서 서핑을 체험할 수 있도록 인공 파도를 만드는 대형 수영장도 있다.[85]
4. 서핑 기술
thumb
서핑 기술은 패들, 겟 아웃, 테이크오프 등 다양한 기술을 포함한다. 오스트레일리아는 긴 해안선을 가지고 있어 서핑이 성행하는 나라이다. 1970년대 중반에는 웨인 버솔로뮤(Wayne Bartholomew, 후일 ASP 회장) 등이 숏보드를 이용한 세밀한 턴 기술을 창시하여 숏보드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현재도 믹 패닝(Mick Fanning), 타지 버로우(Taj Burrow), 조엘 퍼킨슨(Joel Parkinson) 등 WCT(World Championship Tour) 최고 서퍼들을 다수 배출하는 서핑 선진 지역 중 하나이다.
4. 1. 기본 기술
- '''패들(Paddle)''' : 손으로 노를 저어 나아가는 것이다. 보통 엎드려서 하지만, 롱보드의 경우에는 정좌 자세로 하는 니패들(knee paddle)도 있다.
- '''겟 아웃(Get out)''' : 패들링을 하여 바다로 나가는 것이다.
- * '''푸싱 스루(Pushing through)''' : 겟 아웃 시, 팔굽혀펴기 자세로 보드를 물속에 넣고, 보드와 몸 사이로 파도를 통과시키는 것이다.
- * '''돌핀 스루/덕 다이브(Dolphin through/Duck dive)''' : 겟 아웃 시, 팔굽혀펴기 자세로 보드와 함께 몸을 물속에 넣고, 파도 아래를 통과하는 것이다.
- * '''스크루톤 슛(Scorton shoot)''' : 겟 아웃 시, 보드 후방에 중심을 두고 테일을 물속에 넣고, 파도가 덮치는 순간 노즈 방향으로 중심을 이동하여 파도를 통과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롱보드에서 사용한다.
- * '''롤링 스루(Rolling through)''' : 겟 아웃 시, 반바퀴 회전하여 보드를 당겨 물속에 넣고, 파도 아래를 통과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롱보드에서 사용한다.
- '''테이크오프(Take off)''' : 파도를 타는 것이다. 보통 패들로 속도를 내서 탄다.
- * '''노 패들 테이크오프/찌르기 타기(No paddle take off)''' : 보드를 물속에 넣었다 빼는 반동을 이용하여 테이크오프하는 것이다.
- * '''레이트 테이크오프(Late take off)''' : 파도가 깨지기 직전에 테이크오프하는 것이다.
- * '''리버스 테이크오프/스케그 퍼스트(Reverse take off/Skeg first)''' : 테일부터 테이크오프하여 보드를 반바퀴 회전시켜 일반적인 라이딩 자세를 취하는 것이다.
- * '''투인(Tow in)''' : 수상 오토바이에 끌려 테이크오프하는 것이다.
- '''페이드 턴(Fade turn)''' : 일부러 깨지는 방향과 반대로 테이크오프하여 일어서면 깨지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 '''업스 앤 다운즈(Ups and downs)''' : 파도의 경사면을 상하로 움직여 속도를 내는 것이다.
- '''워킹(Walking)''' : 롱보드에서 보드 위를 걷는 것이다. 발을 끌어 걷는 셔플(Shuffle)과 발을 교차시켜 걷는 크로스 스텝(Cross step)이 있다. 체중 이동을 하여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목적이다. 원래 위치로 돌아오는 것은 스텝 백(Step back)이다.
- '''노즈 라이딩(Nose riding)''' : 롱보드에서 노즈(보드의 앞쪽 1/3)에 올라타는 것이다. 노즈 끝에 발가락 5개를 걸치는 행 파이브(Hang five), 10개를 걸치는 행 텐(Hang ten), 발뒤꿈치를 걸치는 힐 오버(Heel over)가 있다. 퍼포먼스적인 요소도 있지만, 원래는 체중 이동을 하여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목적이다.
- '''트리밍(Trimming)''' : 라이딩의 리듬과 자세를 조절하는 턴이다.
- '''보텀 턴(Bottom turn)''' : 파도 경사면의 바닥 부분에서 턴하는 것이다.
- '''탑 턴(Top turn)''' : 파도 경사면의 윗부분에서 턴하는 것이다.
- * '''테일 슬라이드(Tail slide)''' : 탑 턴 시 보드의 테일을 밀어내어 슬라이드시키는 것이다.
- * '''오프 더 탑(Off the top)''' : 파도 상단의 무너질 것 같은 부분에서 힘차게 보드의 각도를 바꾸는 것이다.
- ** '''오프 더 립/리핑(Off the lip/Ripping)''' : 파도의 립에 서핑보드를 대고 턴하는 것이다.
- * '''롤러코스터(Roller coaster)''' : 파도의 수프에 보드를 쳐박듯이 올라타고, 수프와 함께 내려오는 것이다.
- '''레이백(Layback)''' : 파도의 탑 등에서 턴을 할 때, 수면에 등이 닿을 정도로 몸을 기울여 똑바로 누운 상태로 턴하는 것이다.
- '''컷백(Cutback)''' : 파도의 파워가 없는 부분까지 나가버렸을 때, 방향을 바꿔 파워가 있는 부분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 * '''라운드하우스 컷백(Roundhouse cutback)''' : 회전 반경이 큰 호를 그리는 컷백이다.
- '''리엔트리(Re-entry)''' : 파도의 바깥으로 한번 나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것이다.
- * '''플로터(Floater)''' : 수프나 립을 넘어 라이딩하는 것이다.
- '''쓰리 식스티(Three sixty)''' :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것이다.
- '''에어리얼(Aerial)''' : 공중으로 뛰어올라 다시 물에 착수하는 것이다.
- '''풀아웃(Pull out)''' : 파도에서 내려오는 것이다. 의지와 상관없이 떨어지는 것은 와이프아웃(Wipe out)이다.
- * '''아일랜드 풀아웃(Island pull out)''' : 튜브나 덤퍼에서 탑을 향해 풀아웃이 불가능할 때, 보드와 함께 몸을 파도의 벽에 밀어넣어 하는 풀아웃이다.
- * '''베일아웃(Bail out)''' : 보드에서 내려오는 것이다.
4. 2. 서핑 용어
- '''패들(Paddle)''' : 손으로 노를 저어 나아가는 것을 말한다. 보통 엎드려서 하지만, 롱보드의 경우에는 정좌 자세로 하는 니패들(knee paddle)도 있다.
- '''겟 아웃(Get out)''' : 패들링을 하여 바다로 나가는 것을 말한다.
- * '''푸싱 스루(Pushing through)''' : 겟 아웃 시, 팔굽혀펴기 자세로 보드를 물속에 넣고, 보드와 몸 사이로 파도를 통과시키는 것이다.
- * '''돌핀 스루/덕 다이브(Dolphin through/Duck dive)''' : 겟 아웃 시, 팔굽혀펴기 자세로 보드와 함께 몸을 물속에 넣고, 파도 아래를 통과하는 것이다.
- * '''스크루톤 슛(Scorton shoot)''' : 겟 아웃 시, 보드 후방에 중심을 두고 테일(tail)을 물속에 넣고, 파도가 덮치는 순간 노즈(nose) 방향으로 중심을 이동하여 파도를 통과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롱보드에서 사용한다.
- * '''롤링 스루(Rolling through)''' : 겟 아웃 시, 반바퀴 회전하여 보드를 당겨 물속에 넣고, 파도 아래를 통과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롱보드에서 사용한다.
- '''테이크오프(Take off)''' : 파도를 타는 것을 말한다. 보통 패들로 속도를 내서 탄다.
- * '''노 패들 테이크오프/찌르기 타기(No paddle take off)''' : 보드를 물속에 넣었다 빼는 반동을 이용하여 테이크오프하는 것이다.
- * '''레이트 테이크오프(Late take off)''' : 파도가 깨지기 직전에 테이크오프하는 것이다.
- * '''리버스 테이크오프/스케그 퍼스트(Reverse take off/Skeg first)''' : 테일부터 테이크오프하여 보드를 반바퀴 회전시켜 일반적인 라이딩 자세를 취하는 것이다.
- * '''투인(Tow in)''' : 수상 오토바이에 끌려 테이크오프하는 것이다.
- '''페이드 턴(Fade turn)''' : 일부러 깨지는 방향과 반대로 테이크오프하여 일어서면 깨지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 '''업스 앤 다운즈(Ups and downs)''' : 파도의 경사면을 상하로 움직여 속도를 내는 것이다.
- '''워킹(Walking)''' : 롱보드에서 보드 위를 걷는 것을 말한다. 발을 끌어 걷는 셔플(Shuffle)과 발을 교차시켜 걷는 크로스 스텝(Cross step)이 있다. 체중 이동을 하여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목적이다. 원래 위치로 돌아오는 것은 스텝 백(Step back)이다.
- '''노즈 라이딩(Nose riding)''' : 롱보드에서 노즈(보드의 앞쪽 1/3)에 올라타는 것이다. 노즈 끝에 발가락 5개를 걸치는 행 파이브(Hang five), 10개를 걸치는 행 텐(Hang ten), 발뒤꿈치를 걸치는 힐 오버(Heel over)가 있다. 퍼포먼스적인 요소도 있지만, 원래는 체중 이동을 하여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목적이다.
- '''트리밍(Trimming)''' : 라이딩의 리듬과 자세를 조절하는 턴이다.
- '''보텀 턴(Bottom turn)''' : 파도 경사면의 바닥 부분에서 턴하는 것이다.
- '''탑 턴(Top turn)''' : 파도 경사면의 윗부분에서 턴하는 것이다.
- * '''테일 슬라이드(Tail slide)''' : 탑 턴 시 보드의 테일을 밀어내어 슬라이드시키는 것이다.
- * '''오프 더 탑(Off the top)''' : 파도 상단의 무너질 것 같은 부분에서 힘차게 보드의 각도를 바꾸는 것이다.
- ** '''오프 더 립/리핑(Off the lip/Ripping)''' : 파도의 립(lip)에 서프보드를 대고 턴하는 것이다.
- * '''롤러코스터(Roller coaster)''' : 파도의 수프(soup)에 보드를 쳐박듯이 올라타고, 수프와 함께 내려오는 것이다.
- '''레이백(Layback)''' : 파도의 탑 등에서 턴을 할 때, 수면에 등이 닿을 정도로 몸을 기울여 똑바로 누운 상태로 턴하는 것이다.
- '''컷백(Cutback)''' : 파도의 파워가 없는 부분까지 나가버렸을 때, 방향을 바꿔 파워가 있는 부분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 * '''라운드하우스 컷백(Roundhouse cutback)''' : 회전 반경이 큰 호를 그리는 컷백이다.
- '''리엔트리(Re-entry)''' : 파도의 바깥으로 한번 나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것이다.
- * '''플로터(Floater)''' : 수프나 립을 넘어 라이딩하는 것이다.
- '''쓰리 식스티(Three sixty)''' :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것이다.
- '''에어리얼(Aerial)''' : 공중으로 뛰어올라 다시 물에 착수하는 것이다.
- '''풀아웃(Pull out)''' : 파도에서 내려오는 것이다. 의지와 상관없이 떨어지는 것은 와이프아웃(Wipe out)이다.
- * '''아일랜드 풀아웃(Island pull out)''' : 튜브(tube)나 덤퍼(dumper)에서 탑을 향해 풀아웃이 불가능할 때, 보드와 함께 몸을 파도의 벽에 밀어넣어 하는 풀아웃이다.
- * '''베일아웃(Bail out)''' : 보드에서 내려오는 것이다.
5. 서핑 배우기
서핑을 배우는 것은 여러 기술과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이다. 서핑은 단순히 파도를 타는 것뿐만 아니라, 패들링, 파도 잡기, 균형 유지 등 다양한 기술이 필요하다.
서핑을 배우기에 이상적인 조건은 부드럽게 무너지는 작은 파도이며, 가능하다면 모래 바닥이 있는 곳이 안전하다. 서핑 기술은 크게 패들링, 이륙 자세, 균형 유지로 나눌 수 있다.
- 패들링: 파도를 뚫고 나아가기 위한 기술(덕 다이빙, 에스키모 롤, 터틀 롤 등)을 익혀야 한다.[40]
- 이륙 자세: 파도 세트를 예측하고 파도가 어디서 부서질지 예측하는 경험이 필요하다. 파도가 보드를 밀기 시작하면 재빨리 일어서야 한다.[40]
- 균형: 서프보드 위에서 균형을 잡는 것이 중요하며, 밸런스 보드, 롱보드(스케이트보드), 서프스케이트 등으로 연습할 수 있다.[41][42] 그러나 이러한 훈련은 바다의 역동적인 파도를 완벽히 재현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있다.[43][44]
- 스케이트 볼 훈련: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스케이트 볼 훈련이 권장된다. 스케이트 볼은 서핑 중 경험하는 원심력을 더 현실적으로 시뮬레이션하여, 실제 파도에서의 움직임을 연습하는 데 도움을 준다.
패들링, 일어서기, 균형 잡기를 반복하려면 체력이 필요하며, 워밍업 루틴을 통해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45]
5. 1. 서핑 강습 및 캠프
많은 인기 서핑 명소에는 서핑 강습과 서핑 캠프를 제공하는 서핑 스쿨이 있다. 초보자와 중급자를 위한 서핑 캠프는 서핑 기본에 중점을 둔 여러 날에 걸친 강습으로, 새로운 서퍼들을 능숙한 라이더로 만들도록 설계되었다. 올인클루시브 서핑 캠프는 숙박, 식사, 강습, 서프보드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서핑 강습은 육상에서의 지도와 안전 교육으로 시작하여, 강사가 학생들이 롱보드 또는 "소프트보드"를 타고 파도를 탈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이어진다.[36] 소프트보드는 더 안전하고, 더 짧은 보드보다 패들링 속도와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서핑을 배우기에 이상적인 서프보드로 여겨진다. 펀보드는 롱보드의 부피와 안정성을 더 작은 서프보드의 관리 가능한 크기와 결합하기 때문에 초보자에게도 인기 있는 형태이다. 새롭고 경험이 없는 서퍼들은 일반적으로 약 2.13m에서 약 2.44m 펀보드 크기의 소프트보드를 타고 파도를 타는 법을 배운다. 서프보드의 부드러움으로 인해 부상의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강사 없이 서핑을 배우는 것도 가능하지만, 서핑 강사와 함께하면 일반적으로 더 안전하고 빠르다.[37] 일반적인 서핑 강습은 일대일로 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룹으로 할 수도 있다.
5. 2. 서핑 훈련 방법
많은 인기 있는 서핑 명소에는 서핑 스쿨과 서핑 캠프가 있어 서핑 강습을 제공한다. 초보자와 중급자를 위한 서핑 캠프는 여러 날에 걸쳐 서핑의 기본을 가르치는 강습이다. 이러한 캠프는 새로운 서퍼를 능숙한 라이더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올인클루시브 서핑 캠프는 숙박, 식사, 강습, 서프보드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서핑 강습은 육상에서의 지도와 안전 교육으로 시작하여, 강사가 학생들이 롱보드나 "소프트보드"를 타고 파도를 탈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이어진다. 소프트보드는 더 안전하고, 더 짧은 보드보다 패들링 속도와 안정성이 뛰어나 초보자가 서핑을 배우기에 이상적인 서프보드로 여겨진다. 펀보드는 롱보드의 부피와 안정성을 더 작은 서프보드의 관리 가능한 크기와 결합하기 때문에 초보자에게 인기 있는 형태이다.[36] 새롭고 경험이 없는 서퍼들은 일반적으로 약 2.13m에서 약 2.44m 펀보드 크기의 소프트보드를 타고 파도를 타는 법을 배운다. 서프보드의 부드러움 덕분에 부상의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강사 없이 서핑을 배우는 것도 가능하지만, 서핑 강사와 함께하면 일반적으로 더 안전하고 빠르다.[37] 일반적인 서핑 강습은 일대일로 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룹으로 할 수도 있다.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및 육상 기반 서핑 코칭 및 훈련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38][39] 온라인 서핑 코칭을 통해 서퍼들은 어디에서든 자신의 속도와 편의에 맞춰 배울 수 있다. 스케이트보드 시뮬레이션과 같은 육상 기반 훈련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연습하고, 전문 코치의 안내를 받아 비디오 분석 앱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기술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가장 인기 있는 서핑 장소는 초보자에게 완벽한 서핑 조건뿐만 아니라 상급 학생에게 도전적인 파도를 제공한다. 배우기에 이상적인 조건은 경험이 많은 서퍼들이 원하는 가파르고 빠르게 밀리는 파도와는 달리 부드럽게 무너지는 작은 파도이다. 가능하다면 모래 바닥이 일반적으로 더 안전하다.
서핑은 패들링 힘, 파도를 잡기 위한 자세, 타이밍, 균형 등 여러 가지 기술로 나눌 수 있다. 패들링은 힘이 필요하지만, 다가오는 파도를 뚫고 나가는 기술(덕 다이빙, 에스키모 롤 또는 터틀 롤이라고도 함)을 익히는 것도 필요하다. 이륙 자세는 파도 세트를 예측하고 파도가 어디서 부서질지 예측하는 경험이 필요하다. 서퍼는 파도가 보드를 앞으로 밀기 시작하자마자 재빨리 일어서야 한다. 파도에서의 선호하는 위치는 파도가 부서지는 곳을 포함하여 파도의 특징을 읽는 경험에 따라 결정된다.[40] 균형은 서프보드에 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균형 훈련 운동은 좋은 준비가 된다. 밸런스 보드, 롱보드(스케이트보드), 서프스케이트 또는 스윙 보드로 연습하면 초보자는 서핑 기술을 익힐 수 있다.[41][42] 그러나 이러한 육상 기반 훈련 방법은 서핑 코칭 커뮤니티에서 비판을 받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43] 평평한 표면에서의 훈련은 바다 파도의 역동적인 특성을 정확하게 모방하지 않기 때문에 과도한 흔들림과 같이 서핑 스타일과 습관이 잘못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있다.[44]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스케이트 볼에서의 훈련이 권장된다. 스케이트 볼은 서핑 중에 경험하는 원심력을 더 현실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훈련은 물에서 서퍼가 만나는 곡선형의 파도 모양과 움직임을 재현함으로써 더 나은 제어와 스타일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스케이트 볼 훈련을 통합하면 기본 균형 훈련의 이점과 파도 역학의 미묘한 차이점을 균형 있게 유지하여 서핑 경험을 위한 더 포괄적인 준비를 할 수 있다.
패들링, 일어서기, 균형 잡기의 반복적인 사이클에는 체력과 체력이 필요하다. 적절한 워밍업 루틴을 갖추면 부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45]
5. 3. 서핑 기술 요소
많은 인기 서핑 명소에는 서핑 강습과 서핑 캠프를 제공하는 서핑 스쿨이 있다. 초보자와 중급자를 위한 서핑 캠프는 서핑 기본에 중점을 둔 여러 날에 걸친 강습으로, 새로운 서퍼들을 능숙한 라이더로 만들도록 설계되었다. 올인클루시브 서핑 캠프는 숙박, 식사, 강습, 서프보드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서핑 강습은 육상에서의 지도와 안전 교육으로 시작하여, 강사가 학생들이 롱보드 또는 "소프트보드"를 타고 파도를 탈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이어진다. 소프트보드는 더 안전하고 더 짧은 보드보다 패들링 속도와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서핑을 배우기에 이상적인 서프보드로 여겨진다. 펀보드는 롱보드의 부피와 안정성을 더 작은 서프보드의 관리 가능한 크기와 결합하기 때문에 초보자에게도 인기 있는 형태이다.[36] 새롭고 경험이 없는 서퍼들은 일반적으로 약 2.13m에서 약 2.44m 펀보드 크기의 소프트보드를 타고 파도를 타는 법을 배우게 되며, 서프보드의 부드러움으로 인해 부상의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
강사 없이 서핑을 배우는 것도 가능하지만, 서핑 강사와 함께하면 일반적으로 더 안전하고 빠르다.[37] 일반적인 서핑 강습은 일대일로 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룹으로 할 수도 있다.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및 육상 기반 서핑 코칭 및 훈련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38][39] 온라인 서핑 코칭을 통해 서퍼들은 어디에서든 자신의 속도와 편의에 맞춰 배울 수 있다. 스케이트보드 시뮬레이션과 같은 육상 기반 훈련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연습하고, 전문 코치의 안내를 받아 비디오 분석 앱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기술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가장 인기 있는 서핑 장소는 초보자에게 완벽한 서핑 조건뿐만 아니라 상급 학생에게 도전적인 파도를 제공한다. 배우기에 이상적인 조건은 경험이 많은 서퍼들이 원하는 가파르고 빠르게 밀리는 파도와는 달리 부드럽게 무너지는 작은 파도이다. 가능하다면 모래 바닥이 일반적으로 더 안전하다.
서핑은 패들링 힘, 파도를 잡기 위한 자세, 타이밍, 균형 등 여러 가지 기술로 나눌 수 있다. 패들링은 힘이 필요하지만, 다가오는 파도를 뚫고 나가는 기술(덕 다이빙, 에스키모 롤 또는 터틀 롤이라고도 함)을 익히는 것도 필요하다. 이륙 자세는 파도 세트를 예측하고 파도가 어디서 부서질지 예측하는 경험이 필요하다. 서퍼는 파도가 보드를 앞으로 밀기 시작하자마자 재빨리 일어서야 한다. 파도에서의 선호하는 위치는 파도가 부서지는 곳을 포함하여 파도의 특징을 읽는 경험에 따라 결정된다.[40] 균형은 서프보드에 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밸런스 보드, 롱보드(스케이트보드), 서프스케이트 또는 스윙 보드로 연습하면 초보자는 서핑 기술을 익힐 수 있다.[41][42] 그러나 이러한 육상 기반 훈련 방법은 서핑 코칭 커뮤니티에서 비판을 받았는데,[43] 평평한 표면에서의 훈련은 바다 파도의 역동적인 특성을 정확하게 모방하지 않기 때문에 과도한 흔들림과 같이 서핑 스타일과 습관이 잘못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있다.[44]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스케이트 볼에서의 훈련이 권장된다. 스케이트 볼은 서핑 중에 경험하는 원심력을 더 현실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훈련은 물에서 서퍼가 만나는 곡선형의 파도 모양과 움직임을 재현함으로써 더 나은 제어와 스타일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스케이트 볼 훈련을 통합하면 기본 균형 훈련의 이점과 파도 역학의 미묘한 차이점을 균형 있게 유지하여 서핑 경험을 위한 더 포괄적인 준비를 할 수 있다. 패들링, 일어서기, 균형 잡기의 반복적인 사이클에는 체력과 체력이 필요하며, 적절한 워밍업 루틴을 갖추면 부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45]
6. 서핑 장비
서핑에는 서핑보드, 롱보드, 스탠드업 패들보드(SUP), 바디보드, 웨이브 스키, 스킴보드, 니보드, 서핑 매트 등 다양한 장비가 사용된다.
현대 서핑보드는 대부분 유리섬유 폼(PU)에 나무 스트링거, 유리섬유 천, 폴리에스터 수지(PE)를 사용하며, 이보다 강하고 가벼운 에폭시 수지와 발포 폴리스티렌 폼(EPS)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장비들이 사용된다.
- 리쉬: 와이프 아웃 후 보드가 떠내려가거나 다른 서퍼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 서핑 왁스: 서퍼의 발이 보드 데크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 트랙션 패드: 서핑 왁스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 지느러미(스케그): 영구 부착되거나 교체 가능하다.
서핑을 위해 특별히 디자인되거나 적합한 스포츠웨어는 ''보드웨어''로 판매되며(스노보드에서도 이 용어가 사용됨), 따뜻한 기후에서는 수영복, 서핑 트렁크 또는 보드 쇼츠, 러시 가드를 착용한다. 차가운 물에서는 웨트슈트, 부츠, 후드, 장갑을 착용하여 낮은 수온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46]
6. 1. 서핑보드
서핑보드는 원래 단단한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약 3.66m 길이에 약 68.04kg 무게를 가질 정도로 크고 무거웠다.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에 등장한 가벼운 발사 나무 서핑보드는 휴대성과 조종성을 크게 향상시켰다.[46]
현대 서핑보드는 대부분 유리섬유 폼(PU)에 나무 스트링거, 유리섬유 천, 폴리에스터 수지(PE)를 사용하여 만든다. 이보다 더 강하고 가벼운 에폭시 수지와 발포 폴리스티렌 폼(EPS)을 사용한 보드도 등장했다. 에폭시/EPS 보드는 더 가볍고 부력이 좋아 패들링이 쉽고 물에서 더 빠르지만, 기존 PU/PE 보드만큼의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아 상급 서퍼들은 기존 재료로 만들어진 보드를 선호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탄소 섬유와 가변 유연성 복합재를 유리섬유 및 에폭시/폴리에스터 수지와 함께 사용하는 디자인도 등장하고 있다.[46]
오늘날 사용되는 서핑보드는 크기, 모양, 디자인이 매우 다양하다. 현대 롱보드는 약 2.74m 에서 약 3.05m 길이로, 초기 서핑보드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기술이 적용되었다. 숏보드는 1960년대 후반에 시작되어 약 1.83m 에서 약 2.13m 길이에 세 개의 지느러미를 가진 ''쓰러스터'' 스타일로 발전했다. 쓰러스터는 호주의 쉐이퍼 사이먼 앤더슨이 발명했다.[46]
펀보드는 롱보드보다 조종성이 좋고 숏보드보다 부력이 좋은 중간 크기의 보드이다. 숏보드 스타일의 롱보드인 ''에그''는 더 많은 패들 파워가 필요한 서퍼들에게 적합하다. ''피쉬''는 짧고 넓으며 분할된 꼬리(스왈로우 테일)를 가진 보드로, 작은 파도에 적합하다. ''건''은 크고 두꺼우며 긴 코와 꼬리(핀테일)를 가진 보드로, 큰 파도에 적합하다.[46]
일반적으로 약 2.74m 이상의 롱보드와 그 이하의 숏보드로 나뉜다. 1968년부터 보드가 짧아지기 시작하여 1971년에는 5~6피트의 숏보드가 등장했다. 스타일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길이와 형태의 보드가 사용된다. 큰 파도용 건(Gun)이나, 숏보드로 롱보드와 같은 형태의 에그노즈 보드 등이 있다. 롱보드와 숏보드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이 펀보드이다. 펀보드는 해외에서는 "HYBRID BOARD"라고 불린다.[46]
발명 이후 나무 보드였지만, 전후부터 현재까지 발포 우레탄 폼을 유리섬유와 폴리에스터수지로 감싼 것이 주류가 되었다.[46] 미국의 "클락스 폼사"(Clarks Foam) 제품 블랭크가 시장의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21세기 초에 갑자기 도산하여 업계는 일시적으로 큰 혼란을 겪었다. 하지만 이 때문에 신소재 개발 연구 등이 진행되었다는 측면도 있다.[46]
에폭시 수지(폴리스티렌 등) 폼을 사용하거나, 최근에는 탄소섬유를 에폭시 수지로 감싼 보드나, 중공 폴리프로필렌(하이드로폼)을 탄소섬유로 감싼 중공 보드 등, 더욱 강도가 높고 가벼운 보드를 만들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50년 이상 크게 변하지 않았다.[46]
보통은, 셰이퍼 또는 기계에 의해 블랭크의 폼이 깎인다. 길이, 폭, 두께, 아웃라인, 레일 형태, 로커(노즈와 테일의 경사), 테일 형태에 따라 성능이 크게 달라진다. 서프숍에는 그 지역에 적합한 보드를 두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일반적인 보드를 타면서 자신의 필요가 명확해지면, 숍이나 직접 셰이퍼와 상담하여 보드를 주문하게 된다. 주문 보드는 컬러링이나 마크/로고의 배치 등도 지정할 수 있으며, 유명 셰이퍼의 코멘트를 적어달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46]
몰드 보드 등이라고 불리는 금형을 사용하여 대량 생산되는 제품도 있다고 한다.[46]
보드 밑면에 부착된 지느러미 모양의 부분은 스케그라고도 부른다. 초기에는 지느러미가 없었지만, 안정성을 위해 고안되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고 알려져 있다. 시대가 지남에 따라 지느러미의 개수가 늘어났다. 부상 방지를 위해 가장자리 부분만 고무로 만들어진 지느러미도 있다.[82]
지느러미 종류 | 설명 |
---|---|
싱글(1개) | 하나의 지느러미를 보드 뒷면 후방에 수직으로 약간 뒤쪽으로 기울여 설치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 안정성이 높아 롱보드에서 선호한다. |
트윈(2개) | 싱글 지느러미에서 발전한 형태로, 보드의 앞쪽을 향해 좌우 대칭으로 약간 중앙 방향으로 지느러미를 앞쪽으로 향하게 약간 벌려 설치하여 회전성을 높였다. |
트윈 스태빌라이저 | 양쪽의 2개 지느러미를 밑변으로 하는 낮은 이등변 삼각형의 보드 후방 꼭짓점에 작은 3번째 지느러미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싱글과 트윈의 중간 형태를 의도한 형식이다. |
트라이(3개) | 1980년대 후반에 사이먼 앤더슨이 개발한 쓰러스터(확실한 턴으로 가속할 수 있는 특성) 시스템. 1990년대부터 2009년경까지 일본에서 주류였다. 쓰러스터 핀이라는 명칭은 사이먼이 상표등록을 했다. 2015년 시점에서도 숏보드에서 사용률이 높다. |
쿼드(4개) | -- 2000년대 중반부터 일본에서 사용자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
퀸트(5개) | 2015년 시점, 주문 제작품을 제외한 신품 보드에서 많이 보인다. |
섹스트(6개) | |
키르핀 | 선박의 키르와 마찬가지로, 싱글 지느러미의 끝에 방사형으로 2개의 지느러미를 가진다. 멀티핀이 완전히 보급되기 이전인 1980년대에 일시적으로 주목받았다. |
6. 2. 기타 장비
리쉬(와이프 아웃 후 보드가 떠내려가는 것을 막고 다른 서퍼에게 부딪히는 것을 방지), 서핑 왁스, 트랙션 패드(서퍼의 발이 보드 데크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 및 지느러미(스케그라고도 함)가 있으며, 영구 부착되거나 교체 가능하다.[46] 서핑을 위해 특별히 디자인되거나 적합한 스포츠웨어는 ''보드웨어''로 판매될 수 있다(스노보드에서도 이 용어가 사용됨). 따뜻한 기후에서는 수영복, 서핑 트렁크 또는 보드 쇼츠를 착용하고, 때로는 러시 가드를 착용하며, 차가운 물에서는 서퍼가 더 낮은 수온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웨트슈트, 부츠, 후드 및 장갑을 선택할 수 있다.[46] 최근에는 이동성을 저해하지 않고 최대한의 따뜻함을 제공하기 위해 얇은 티타늄 층을 가진 러시 베스트가 도입되었다.thumb
기타 장비는 다음과 같다:
- '''리쉬''': 서핑보드와 몸을 연결하는 끈 모양의 것으로, 리쉬 코드, 파워 코드 등으로도 불린다. 1970년대 이후 보급되어 서퍼들이 와이프 아웃을 두려워하지 않고 과감한 기동을 시도할 수 있게 해 서핑의 가능성을 크게 확장했다. 다만, 큰 파도에서는 위험할 수 있어 사용하지 않는 상급자도 있다.
- '''왁스''': 데크에 바르는 미끄럼 방지제이다. 수온에 따라 경도가 다른 종류가 있으며, 베이스 코트, 탑 코트 등이 있다.
- '''데크 패드''': 데크에 붙이는 경질 스펀지 형태의 미끄럼 방지제이다. 보드 방향 전환이나 돌핀 슬루 시 보드를 차기 쉽게 해준다. 숏보드에서는 앞발은 왁스, 뒷발은 패드를 조합하는 경우가 많지만, 양발 모두 왁스나 패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롱보드에서는 왁스를 선호하지만 패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왁스 대신 클리어 데크 등 미끄럼 방지 시트도 개발되어 있다.
- '''지느러미''': 글라스온핀이라고 불리는 고정형과 1964년 몰리 팝이 고안한 FCS(Fin Control Systems)나 퓨처핀(Future Fins) 등 교체 가능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2000년대 초에는 탈착 가능한 타입이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되었는데,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고 이동 시 손상 방지에 효과적이며, 5개 이상의 포트가 있는 보드에서는 멀티 핀으로 개수, 종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7. 서핑의 물리학
서핑의 물리학은 서핑 구역에서의 파도 생성에 대한 물리적 해양학적 특성, 서핑보드의 특징, 그리고 서퍼와 물 및 보드의 상호 작용을 포함한다.[50][53][51]
해양파는 정상 위치에서 벗어난 여러 물 입자가 정상 위치로 돌아오는 순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정의된다.[50] 바람은 물결과 와류를 생성하여 파도가 점차 속도와 거리(수평거리)를 얻게 한다. 파도는 에너지와 속도가 증가한 후 더 길고 강해진다.[53] 완전히 발달된 바다는 10시간 동안 지속되는 폭풍을 경험하고, 외양에서 15m의 파고를 생성하는 가장 강한 파랑 작용을 보인다.[50]
외양에서 생성된 파도는 심해파로 분류된다. 심해파는 바닥과의 상호 작용이 없으며, 물 분자의 궤도는 원형이다. 파장은 수심에 비해 짧고, 속도는 수분 저면에 도달하기 전에 감소한다.[50] 심해파는 파장의 절반보다 큰 수심에서 발생하는 파도이다.[49] 바람은 심해에서 파도가 부서지도록 만든다.
심해파는 해안으로 이동하여 수심이 파장의 절반 미만이 되면 천해파가 된다. 파동 운동은 바닥에 의해 제한되어 궤도 경로가 타원으로 평평해진다. 바닥은 파도의 바닥에 마찰 항력을 작용하여 속도(또는 파형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굴절을 일으킨다. 파도의 속도 감소는 파도를 짧게 만들어 높이와 경사를 증가시키고, 항력이 발생하는 파도의 아래쪽보다 파도 위쪽의 속도가 더 커지기 때문에 위쪽(파정)이 무너진다.[50]
쇄파대는 여러 유형의 파도가 수렴하여 복잡한 파도 패턴을 만드는 곳이다. 서핑에 적합한 파도는 5m/s의 최대 속도에서 발생한다. 지역 해안 바람이 파도가 부서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속도는 상대적인 것이다.[53] 쇄파대에서 천해파는 전 세계 바람에 의해 해변으로 운반되어 지역 바람과 상호 작용하여 서핑 파도를 만든다.[53][51]
이안류는 파도가 해안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해안가로 운반된 물이 다시 바다로 돌아가면서 발생하는 빠르고 좁은 해류이다.[56] 쐐기형 수심 분포는 서퍼들을 “이륙 지점”으로 데려다준 다음 해변으로 나가게 하는 편리하고 일정한 5~10미터의 이안류를 만든다. 해양학자들은 이안류 형성에 대해 파도 상호 작용 모델과 경계 상호 작용 모델 두 가지 이론을 가지고 있다. 두 모델 모두 이안류를 생성하는 결과를 낳는다.[56] 이안류는 파도가 치는 지역에서 더 깊은 물로 확장될 때 매우 강하고 좁을 수 있으며, 속도는 0.5m/s에서 2.5m/s에 이른다.[57] 이는 사람이 수영할 수 있는 속도보다 빠르다.
300cm 길이의 더 긴 서핑보드는 물과의 마찰이 더 커서 180cm 길이의 더 작고 가벼운 보드보다 느리다. 긴 보드는 균형을 잡는 데 도움이 필요한 초보자에게 좋다. 작은 보드는 더 많은 제어와 조작성을 원하는 숙련된 서퍼에게 적합하다.[52] 서핑을 할 때 서퍼는 파도가 깨지는 지점 너머로 패들링하여 파도를 기다린다. 서핑이 가능한 파도가 오면, 서퍼는 파도의 속도에 맞추기 위해 매우 빠르게 패들링해야 하므로 파도가 서퍼를 가속시킬 수 있다.[52] 서퍼가 파도의 속도에 도달하면, 파도가 가팔라짐에 따라 안정을 유지하고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속하게 일어서서 낮게 몸을 숙이고 파도의 앞쪽에 위치해야 한다. 가속도는 뒤쪽보다 앞쪽이 더 작다. 파도를 타는 물리학적 원리는 수평 가속력 (F·sinθ)과 수직력 (F·cosθ=mg)을 포함한다. 따라서 서퍼는 속도를 높이려면 앞으로 기울이고, 속도를 줄이려면 뒷발에 체중을 실어야 한다. 또한 파도를 더 오래 타려면 파도의 정점과 평행하게 이동해야 한다.[52]
7. 1. 파도 형성
해양파는 정상 위치에서 벗어난 여러 물 입자가 정상 위치로 돌아오는 순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정의된다.[50] 바람은 물결과 와류를 생성하여 파도가 점차 속도와 거리(수평거리)를 얻게 한다. 파도는 에너지와 속도가 증가한 후 더 길고 강해진다.[53] 완전히 발달된 바다는 10시간 동안 지속되는 폭풍을 경험하고, 외양에서 15m의 파고를 생성하는 가장 강한 파랑 작용을 보인다.[50]외양에서 생성된 파도는 심해파로 분류된다. 심해파는 바닥과의 상호 작용이 없으며, 이러한 물 분자의 궤도는 원형이다. 파장은 수심에 비해 짧고, 속도는 수분 저면에 도달하기 전에 감소한다.[50] 심해파는 파장의 절반보다 큰 수심에서 발생하는 파도이다.[49] 바람은 심해에서 파도가 부서지도록 만든다.
심해파는 해안으로 이동하여 수심이 파장의 절반 미만이 되면 천해파가 된다. 파동 운동은 바닥에 의해 제한되어 궤도 경로가 타원으로 평평해진다. 바닥은 파도의 바닥에 마찰 항력을 작용하여 속도(또는 파형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굴절을 일으킨다. 파도의 속도 감소는 파도를 짧게 만들어 높이와 경사를 증가시키고, 항력이 발생하는 파도의 아래쪽보다 파도 위쪽의 속도가 더 커지기 때문에 위쪽(파정)이 무너진다.[50]
쇄파대는 여러 유형의 파도가 수렴하여 복잡한 파도 패턴을 만드는 곳이다. 서핑에 적합한 파도는 5m/s의 최대 속도에서 발생한다. 이 속도는 상대적인 것인데, 지역 해안 바람이 파도가 부서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53] 쇄파대에서 천해파는 전 세계 바람에 의해 해변으로 운반되어 지역 바람과 상호 작용하여 서핑 파도를 만든다.[53][51]
서로 다른 해안 및 해안 외곽 바람 패턴은 서로 다른 유형의 파도를 만든다. 해안 바람은 무작위 파도 파괴 패턴을 일으키며 숙련된 서퍼에게 더 적합하다.[53][51] 약한 해안 외곽 바람은 더 부드러운 파도를 만들고, 강한 직접적인 해안 외곽 바람은 급강하하거나 큰 배럴 파도를 만든다.[53] 배럴 파도는 파도가 부서질 때 수심이 작기 때문에 크다. 따라서 파괴 강도(또는 힘)가 증가하고 파도의 속도와 높이가 증가한다.[53] 해안 외곽 바람은 약한 잔물결을 평평하게 하여 서핑이 불가능한 조건을 만든다. 약한 잔물결은 표면 중력에 의해 생성되고 파장이 길다.[53][52]
7. 2. 서핑을 위한 파도 조건
서핑의 물리학은 서핑 구역에서의 파도 생성, 서핑보드의 특징, 그리고 서퍼와 물 및 보드의 상호 작용을 포함한다.해양파는 정상 위치에서 벗어난 여러 물 입자가 정상 위치로 돌아오는 순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정의된다.[50] 바람은 물결과 와류를 생성하여 파도가 점차 속도와 거리(수평거리)를 얻게 한다. 파도는 에너지와 속도가 증가한 후 더 길고 강해진다.[53] 완전히 발달된 바다는 10시간 동안 지속되는 폭풍을 경험하고, 외양에서 15m의 파고를 생성하는 가장 강한 파랑 작용을 보인다.[50]
외양에서 생성된 파도는 심해파로 분류된다. 심해파는 바닥과의 상호 작용이 없으며, 이러한 물 분자의 궤도는 원형이다. 파장은 수심에 비해 짧고, 속도는 수분 저면에 도달하기 전에 감소한다.[50] 심해파는 파장의 절반보다 큰 수심에서 발생하는 파도이다.[49] 바람은 심해에서 파도가 부서지도록 만든다.
심해파는 해안으로 이동하여 수심이 파장의 절반 미만이 되면 천해파가 된다. 파동 운동은 바닥에 의해 제한되어 궤도 경로가 타원으로 평평해진다. 바닥은 파도의 바닥에 마찰 항력을 작용하여 속도(또는 파형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굴절을 일으킨다. 파도의 속도 감소는 파도를 짧게 만들어 높이와 경사를 증가시키고, 항력이 발생하는 파도의 아래쪽보다 파도 위쪽의 속도가 더 커지기 때문에 위쪽(파정)이 무너진다.[50]
쇄파대는 여러 유형의 파도가 수렴하여 복잡한 파도 패턴을 만드는 곳이다. 서핑에 적합한 파도는 5m/s의 최대 속도에서 발생한다. 이 속도는 상대적인 것인데, 지역 해안 바람이 파도가 부서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53] 쇄파대에서 천해파는 전 세계 바람에 의해 해변으로 운반되어 지역 바람과 상호 작용하여 서핑 파도를 만든다.[53][51]
쇄파대의 서로 다른 해안 및 해안 외곽 바람 패턴은 서로 다른 유형의 파도를 만든다. 해안 바람은 무작위 파도 파괴 패턴을 일으키며 숙련된 서퍼에게 더 적합하다.[53][51] 약한 해안 외곽 바람은 더 부드러운 파도를 만들고, 강한 직접적인 해안 외곽 바람은 급강하하거나 큰 배럴 파도를 만든다.[53] 배럴 파도는 파도가 부서질 때 수심이 작기 때문에 크다. 따라서 파괴 강도(또는 힘)가 증가하고 파도의 속도와 높이가 증가한다.[53] 해안 외곽 바람은 약한 잔물결을 평평하게 하여 서핑이 불가능한 조건을 만든다. 약한 잔물결은 표면 중력에 의해 생성되고 파장이 길다.[53][52]
서핑에 적합한 파도는 다음과 같은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 파도의 높이
- 파도의 벗겨짐 각도(α)
- 파도의 깨짐 강도
- 파도 구간 길이
파도의 높이는 서퍼가 추정한 상대적인 높이와 해양학자들이 측정한 정확한 높이 두 가지로 측정된다. 서퍼가 측정한 높이는 과학자들이 측정한 높이보다 1.36배에서 2.58배까지 높았다. 과학적으로 서핑이 가능한 파도 높이는 1m에서 20m이다.[53]
파도의 벗겨짐 각도는 서핑에 적합한 파도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파도의 벗겨짐 각도는 벗겨짐 선과 깨지는 파도의 정점선에 대한 접선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것이다. 이 각도는 파도의 정점 속도를 조절한다. 파도의 속도는 전파 속도 벡터(Vw)와 벗겨짐 속도 벡터(Vp)의 합으로, 파도의 전체 속도(Vs)를 결정한다.[53]
파도의 깨짐 강도는 파도가 깨질 때의 힘을 측정하는 것으로, 흩어지거나 급하게 쏟아지는 정도를 나타낸다(서퍼들은 급하게 쏟아지는 파도를 "배럴 웨이브"라고 부른다). 파도 구간 길이는 파도 세트에서 두 개의 깨지는 파도 정점 사이의 거리이다. 국지적인 바람, 비선형 파도 상호 작용, 섬의 차폐 효과, 그리고 잔물결 상호 작용으로 인해 서핑 구역에서 다양한 파도 형태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파도 구간 길이를 측정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53]
파도 높이, 파도의 벗겨짐 각도(α), 파도의 깨짐 강도, 그리고 파도 구간 길이와 같은 매개변수는 서핑을 연구한 과거 해양학자들에 의해 표준화되었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러한 매개변수는 형성된 파도의 유형과 서퍼의 기술 수준을 일치시키는 가이드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53]
기술 수준 | 벗겨짐 각도 (°) | 파도 높이 (m) | 구간 속도 (m/s) | 구간 길이 (m) | 일반적인 파도 발생 장소 |
---|---|---|---|---|---|
초보 | 60-70 | 2.5 | 10 | 25 | 경사가 완만한 곳; 플로리다주 애틀랜틱 비치 |
중급 | 55 | 2.5 | 20 | 40 | 벨스 비치; 오스트레일리아 |
상급 | 40-50 | 3 | 20 | 40-60 | 키라 포인트; 버리리 헤즈 |
상급 아마추어 | 30 | 3 | 20 | 60 | 빙긴 비치; 파당 파당 비치 |
세계 정상급 서퍼 | >27 | 3 | 20 | 60 | 반자이 파이프라인; 샤크 아일랜드 |
표 1은 파도의 벗겨짐 각도가 작을수록 서퍼의 기술 수준이 높다는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파도의 벗겨짐 각도가 작을수록 파도의 속도가 증가한다. 서퍼는 파도의 속도에 맞춰 빠르게 반응하고 패들링을 해야 파도를 탈 수 있다. 따라서 벗겨짐 각도가 작은 파도를 타려면 더 많은 경험이 필요하다. 경험이 많은 서퍼는 더 긴 구간 길이, 더 높은 속도, 그리고 더 높은 파도 높이를 감당할 수 있다.[53] 서핑 조건은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르다.
7. 3. 서프 브레이크
서프 브레이크(surf break)는 파도가 부서지는 원인이 되는 장애물이나 물체가 있는 지역을 말한다. 서프 브레이크는 다양한 규모의 현상을 포함한다. 파도 단면 생성에는 박리각(peel angle)과 파도의 부서짐 강도와 같은 미시적 요소가 작용한다. 미시적 요소는 파고와 파정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서프 브레이크의 중시적 요소는 경사면(ramp), 플랫폼(platform), 쐐기(wedge) 또는 암반(ledge) 등이 있다. 거시적 과정은 처음에 해안에서 먼 곳에서 파도를 생성하는 전반적인 바람이다. 서프 브레이크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53]- 곶(포인트 브레이크): 곶(headland) 또는 포인트 브레이크(point break)는 물과 상호 작용하여 곶 주변에서 굴절을 일으킨다. 곶은 고주파의 파도를 흡수하고 장주기 파도는 지속되는데, 이는 서핑하기에 더 용이하다. 곶이나 포인트 브레이크에 의해 형성된 서핑 브레이크가 있는 지역으로는 더니든(뉴질랜드), 래글런(뉴질랜드), 말리부(캘리포니아), 린콘(캘리포니아), 키라(호주)가 있다.[53]
- 해변 브레이크: 비치 브레이크(beach break)는 파도가 모래 바닥 위에서 부서지는 열린 해안선 지역이다. 비치 브레이크는 가장 흔하지만 동시에 가장 변동이 심한 서핑 포인트이기도 하다. 한 곳의 비치 브레이크에서 여러 개의 피크(peak, 파도가 부서지는 지점)가 연이어 나타나 서핑을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타이루아와 아라모아나 해변(뉴질랜드), 골드코스트(오스트레일리아)가 있다.[53]
- 강/하구 입구의 모래톱: 강 또는 하구의 입구 퇴적 둑(entrance bar)은 간조 삼각주(ebb-tidal delta), 퇴적물 유출 및 조류로부터 파도를 발생시킨다. 뉴질랜드의 완가마타 바(Whangamata Bar)는 이상적인 하구 입구 퇴적 둑의 예이다.[53]
- 암초 브레이크: 암초 지형에서 파도가 부서지는 곳(Reef break)은 암초 위에서 큰 파도가 끊임없이 부서지기 때문에 서핑에 적합한 장소이다. 암초는 보통 산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암초 지형에서 서핑을 할 때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암초 지형에서 만들어지는 파도는 세계 최고 수준의 파도로 알려져 있다. 파당파당(인도네시아), 파이프라인(하와이), 울루와투(발리), 테아후포오(타히티)는 유명한 암초 지형 서핑 명소이다.[53][54]
- 절벽 브레이크: 절벽 브레이크(ledge break)는 가파른 암석 절벽으로 인해 형성되는데, 파도가 깊은 물을 지나다가 갑자기 절벽에서 얕은 물에 도달하면서 강력한 파도를 만든다. 호주 샤크 아일랜드(Shark Island, Australia)는 절벽 브레이크가 있는 곳이다. 절벽 브레이크는 서핑 조건을 어렵게 만들어, 때로는 보디서핑만이 파도에 대처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되기도 한다.[53]
7. 4. 방파제와 파도 형성
방파제는 침식을 조절하고, 항해 수로를 보존하며, 항구를 만들기 위해 수역에 추가된다. 방파제는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삼각주delta영어의 유형과 방파제의 크기라는 두 가지 주요 제어 변수가 있다.[55]1종 방파제는 파랑대(surf zone) 너비보다 훨씬 길어서 파도가 방파제의 해안쪽 끝에서 부서진다. 1종 방파제의 효과는 방파제에 쐐기 형태로 퇴적물이 축적되는 것이다. 이 파도는 크고, 퇴적물 쐐기 형태를 지나면서 크기가 증가한다. 1종 방파제의 예로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미션 비치(Mission Beach)가 있다. 이 1000m 방파제는 1950년 미션 베이(Mission Bay) 입구에 설치되었다. 파도는 방파제의 북쪽에서 발생하며, 파장이 길고 강력하다. 미션 베이의 해저 지형은 쐐기 형태를 이루고 있어 파도가 방파제에 가까워짐에 따라 굴절된다.[55] 파도는 굴절 후 보강 간섭을 일으켜 파도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2형 방파제는 간조 삼각주(ebb-tidal delta), 즉 밀물과 썰물 사이를 전이하는 삼각주에서 발생한다. 이 지역은 수심이 얕고, 굴절 현상이 나타나며, 독특한 해저 지형으로 인해 높은 파고가 발생한다.[55]
플로리다주 애틀랜틱 비치(Atlantic Beach)의 "더 폴스(The Poles)"가 2형 방파제의 한 예이다. 애틀랜틱 비치는 큰 폭풍우를 제외하고는 평평한 파도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더 폴스"는 세인트 존스 강(St. Johns River) 남쪽에 설치된 500m 길이의 방파제로 인해 평소보다 큰 파도가 발생한다. 이 방파제는 강에 깊은 수로를 만들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더 폴스"에 삼각주를 형성했다. 이 지역은 세인트 존스 강 남쪽 하구 지역의 공사 전후 조건을 비교했을 때, 방파제로 인해 파도의 크기가 서핑에 적합하도록 증가되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55]
"더 폴스"의 파도 크기는 유입되는 물의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동쪽(55°)에서 유입되는 물이 방파제와 상호 작용할 때, 남쪽(100°)에서 유입되는 물보다 더 큰 파도를 생성한다. 남쪽(100°)에서 유입되는 파도가 "더 폴스"로 이동할 때, 파도 중 하나는 남쪽 방파제의 북쪽에서, 다른 하나는 방파제의 남쪽에서 부서진다. 이로 인해 파도가 합쳐져 더 큰 파도를 만들지 못한다. 동쪽(55°)에서 유입되는 파도는 방파제의 북쪽에서 합쳐져 더 큰 파도를 만든다.[55]
3종 방파제는 자연적으로 파도가 형성되는, 해저 지형이 변하지 않는 간조 지역에 위치한다. 3종 방파제의 예로는 캘리포니아주 칼즈배드의 타마랙 사우스사이드가 있다.[55]
4종 방파제는 더 이상 기능하지 않고 퇴적물을 가두지도 않는 방파제이다. 파도는 파쇄대의 암초에서 생성된다. 4종 방파제는 캘리포니아주 칼즈배드의 타마랙에서 찾아볼 수 있다.[55]
7. 5. 이안류
이안류는 파도가 해안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해안가로 운반된 물이 다시 바다로 돌아가면서 발생하는 빠르고 좁은 해류이다.[56] 쐐기형 수심 분포는 서퍼들을 “이륙 지점”으로 데려다준 다음 해변으로 나가게 하는 편리하고 일정한 5~10미터의 이안류를 만든다.[55]해양학자들은 이안류 형성에 대해 두 가지 이론을 가지고 있다.
- 파도 상호 작용 모델은 파도의 두 가장자리가 상호 작용하여 파고의 차이를 만들고 연안류의 연안 이동을 일으킨다고 가정한다.
- 경계 상호 작용 모델은 해저 지형이 연안 순환과 연안 이동을 일으킨다고 가정한다.
두 모델 모두 이안류를 생성하는 결과를 낳는다.[56]
이안류는 파도가 치는 지역에서 더 깊은 물로 확장될 때 매우 강하고 좁을 수 있으며, 속도는 0.5m/s에서 2.5m/s에 이른다.[57] 이는 사람이 수영할 수 있는 속도보다 빠르다. 제트류의 물은 퇴적물이 풍부하고 기포가 많으며 빠르게 이동한다. 이안류의 머리는 연안 이동을 한다. 이안류는 상당하고 빈번한 해양 팽창을 경험하는 완만한 경사의 해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57]
7. 6. 서프보드 위에서의 운동
300cm 길이의 더 긴 서핑보드는 물과의 마찰이 더 커서 180cm 길이의 더 작고 가벼운 보드보다 느리다. 긴 보드는 균형을 잡는 데 도움이 필요한 초보자에게 좋다. 작은 보드는 더 많은 제어와 조작성을 원하는 숙련된 서퍼에게 적합하다.[52]서핑을 할 때 서퍼는 파도가 깨지는 지점 너머로 패들링하여 파도를 기다린다. 서핑이 가능한 파도가 오면, 서퍼는 파도의 속도에 맞추기 위해 매우 빠르게 패들링해야 하므로 파도가 서퍼를 가속시킬 수 있다.[52]
서퍼가 파도의 속도에 도달하면, 파도가 가팔라짐에 따라 안정을 유지하고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속하게 일어서서 낮게 몸을 숙이고 파도의 앞쪽에 위치해야 한다. 가속도는 뒤쪽보다 앞쪽이 더 작다. 파도를 타는 물리학적 원리는 수평 가속력 (F·sinθ)과 수직력 (F·cosθ=mg)을 포함한다. 따라서 서퍼는 속도를 높이려면 앞으로 기울이고, 속도를 줄이려면 뒷발에 체중을 실어야 한다. 또한 파도를 더 오래 타려면 파도의 정점과 평행하게 이동해야 한다.[52]
8. 서핑의 위험 요소
서핑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위험 요소가 있다.
- '''익사''': 수상 스포츠인 서핑은 익사의 위험을 내포한다.[58] 서핑 보드는 부력을 주지만, 사용자와 분리될 수 있다.[59] 리쉬(leash)는 보드가 떠내려가는 것을 막지만, 서퍼가 물 위에 있도록 보장하지는 않는다. 리쉬가 암초 등에 걸리거나, 와이프아웃(wipeout) 시 보드가 서퍼를 칠 수 있다.[60]
- '''해양 생물''': 해양 생물은 부상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66] 상어, 가오리, 쥐치, 바다표범, 해파리 등이 위험하다.[67]
- '''이안류''': 해안에서 바다로 흐르는 빠르고 좁은 해류로, 서퍼를 먼바다로 휩쓸어 갈 수 있다.[56] 최대 속도는 2.5m/s로, 사람보다 빠르다.[57]

- '''해저''': 파도에 휩쓸린 서퍼는 해저와 충돌하여 부상, 사망할 수 있다. 암초, 해변 파도는 수심이 얕아 위험하다.

8. 1. 익사
서핑은 다른 모든 수상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익사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58] 보드는 서퍼가 부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사용자와 분리될 수 있다.[59] 발목이나 무릎에 연결된 리쉬는 보드가 떠내려가는 것을 막을 수 있지만, 라이더가 보드 위나 수면 위에 머물도록 해주지는 않는다. 전문 서퍼 마크 푸(Mark Foo)의 익사 사례를 포함하여, 리쉬는 암초나 다른 물체에 걸려 서퍼를 물 속에 가두어 익사의 원인이 될 수 있다.[60] 와이프아웃(파도에 휩쓸리는 것) 동안 서핑보드를 서퍼 가까이에 유지함으로써, 리쉬는 보드가 라이더를 칠 가능성을 높이고, 이는 라이더를 의식 불명으로 만들어 익사로 이어질 수 있다(특히 소프트보드 대신 하드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넘어진 라이더의 보드는 큰 파도에 갇힐 수 있으며, 만약 라이더가 리쉬로 연결되어 있다면, 물 속에서 먼 거리까지 끌려갈 수 있다.[60] 서퍼는 더 큰 파도와 더 어려운 조건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고급 기술과 경험을 습득할 때까지 작은 파도에서 서핑하는 데 주의해야 한다. 세계적인 수준의 서퍼조차도 매우 어려운 조건에서 익사했다.[61]8. 2. 충돌
부적절한 조건에서는 서퍼의 신체가 접촉할 수 있는 모든 것이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여기에는 모래톱, 바위, 작은 얼음, 암초, 서핑보드 및 다른 서퍼들이 포함된다.[62] 이러한 물체와의 충돌은 때때로 상처나 찰과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드물게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부상의 상당수(최대 66%)[63]는 서핑보드(코 또는 핀)와의 충돌로 인해 발생한다. 핀은 심한 열상과 절단[64]뿐만 아니라 타박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부상은 경미할 수 있지만, 바닷물로 인한 감염에 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서퍼스 어게인스트 시웨이지(Surfers Against Sewage)와 같은 단체는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더 깨끗한 해수를 위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전 세계에서 서핑을 할 때 지역 해충과 질병이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65]
서핑보드에서 떨어지거나 다른 사람과 충돌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와이프아웃(wipeout)이라고 한다.
8. 3. 해양 생물
해양 생물은 때때로 부상을 입히거나 심지어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66] 상어, 가오리, 쥐치, 바다표범 및 해파리와 같은 동물들이 때때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67] 따뜻한 물에서 서핑을 하는 사람들은 종종 얕은 곳을 걸어갈 때 "가오리 셔플"을 하는데, 이는 모래 위에서 발을 끌면서 바닥에 숨어 있을지도 모르는 가오리를 놀라게 하는 것이다.[68]8. 4. 이안류
이안류는 파도가 해안으로 이동하면서 해안가로 운반된 물이 다시 바다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빠르고 좁은 해류이다.[56] 쐐기형 수심 분포는 서퍼들을 "이륙 지점"으로 데려다준 다음 해변으로 나가게 하는 편리하고 일정한 5m에서 10m의 이안류를 만든다.[55]해양학자들은 이안류 형성에 대해 두 가지 이론을 가지고 있다. 파도 상호 작용 모델은 파도의 두 가장자리가 상호 작용하여 파고의 차이를 만들고 연안류의 연안 이동을 일으킨다고 가정한다. 경계 상호 작용 모델은 해저 지형이 연안 순환과 연안 이동을 일으킨다고 가정한다. 두 모델 모두 이안류를 생성하는 결과를 낳는다.[56]
이안류는 파도가 치는 지역에서 더 깊은 물로 확장될 때 매우 강하고 좁을 수 있으며, 속도는 0.5m/s에서 2.5m/s에 이른다.[57] 이는 사람이 수영할 수 있는 속도보다 빠르다. 제트류의 물은 퇴적물이 풍부하고 기포가 많으며 빠르게 이동한다. 이안류의 머리는 연안 이동을 한다. 이안류는 상당하고 빈번한 해양 팽창을 경험하는 완만한 경사의 해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57]
이안류는 해안에서 바다 쪽으로 흐르는 수로이다. 상황에 따라 이러한 해류는 경험이 많은 서퍼와 경험이 없는 서퍼 모두에게 위험할 수 있다. 이안류는 잔잔한 물로 보이기 때문에, 지친 수영객이나 경험이 부족한 수영객 또는 서퍼가 이안류에 들어가 파도가 부서지는 지점 너머로 떠내려갈 수 있다. 많은 이안류는 훨씬 작지만, 가장 큰 이안류의 폭은 12m에서 15m에 달한다. 이안류에서 바다 쪽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은 대부분의 수영선수보다 강하기 때문에 해안으로 돌아오는 것이 어렵지만, 해안과 평행하게 노를 저으면 서퍼는 쉽게 이안류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또는 일부 서퍼는 파도가 부서지는 구역 너머로 나가는 빠르고 쉬운 방법이기 때문에 이안류를 실제로 타기도 한다.[69]
8. 5. 해저
해저는 서퍼들에게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파도를 타다 넘어진 서퍼는 파도에 휘말려 흔들리며, 종종 아래쪽으로 떨어진다. 특히 암초가 있는 곳이나 해변에서 파도가 부서지는 곳에서는 해저와의 충돌로 서퍼들이 심각한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해변이나 암초에서 파도가 부서지는 곳은 간조 시 수심이 매우 얕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호주의 사이클롭스(Cyclops)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두꺼운 암초 중 하나로, 최대 10m 높이의 파도가 치지만, 수면 아래 암초는 약 2m 정도에 불과하다.8. 6. 미생물
엑서터 대학교에서 2018년 1월에 실시한 "해변족 설문 조사"(Beach Bum Survey)에 따르면, 서퍼와 바디보더는 일반인에 비해 항생제 내성을 가진 대장균을 보유할 가능성이 3배, 그리고 쉽게 항생제 내성을 획득할 수 있는 다른 박테리아를 보유할 가능성이 4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70][71] 연구진은 서퍼들이 수영하는 사람들보다 약 10배 많은 해수를 삼키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다고 설명했다.8. 7. 귀 손상
서퍼들은 때때로 외이도 외골증을 막기 위해 귀마개와 같은 귀 보호구를 사용한다.[1] 서퍼스 이어는 차가운 물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후 귀관 근처의 뼈가 자라 귀관이 좁아지는 질환이다.[1] 좁아진 귀관은 귀에서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어렵게 한다.[1] 이로 인해 통증, 감염, 그리고 때로는 귀울림이 발생할 수 있다.[1]
서퍼, 수영 선수 및 기타 수상 스포츠 선수들을 위해 설계된 귀마개는 주로 귀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 귀관 내부에 보호적인 공기층을 유지하도록 만들어졌다.[1] 또한 차가운 공기, 먼지 및 박테리아를 차단할 수도 있다.[1] 많은 디자인은 소리가 통과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플러그가 실수로 빠져나가는 경우를 대비하여 뜨거나 끈이 달려 있다.[1]
8. 8. 서핑 발진
서핑 찰과상(rash)은 피부에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서퍼의 가슴이나 허벅지 안쪽에 나타나는 고통스러운 붉고 울퉁불퉁한 반점이다. 래시가드는 마찰이나 햇볕 화상으로 인한 서핑 찰과상의 발생률을 줄여준다. 바셀린과 같은 치료 연고를 사용하여 자극받은 피부를 치료할 수 있다.[72]8. 9. 척수 손상
서퍼의 척수병증은 드물게 발생하는 척수 손상으로, 허리를 과도하게 젖힐 때 하지 마비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는 척추의 주요 혈관 중 하나가 꼬이면서 척수에 산소 공급이 차단되어 발생한다. 어떤 경우에는 마비가 영구적으로 지속될 수 있다. 요가, 필라테스 등 허리가 젖혀지는 모든 활동에서 이러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 드문 현상은 대부분 서핑을 처음 경험하는 사람들에게서 관찰되었다. 물리치료 박사(Doctor of Physical Therapy, DPT)인 세르지오 플로리안(Sergio Florian)에 따르면, 척수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몇 가지 권장 사항으로는 적절한 준비운동, 세션 시간 제한, 그리고 파도를 기다리는 동안 보드에 앉아 있는 것이지 누워 있지 않는 것이 있다.[73]9. 서퍼와 서핑 문화
서퍼들은 파도타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문화를 대표하며, 이들에게 서핑은 단순한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넘어 삶의 중심이 되기도 한다.
서핑은 스케이트보드, 스노보드 등 다양한 보드 스포츠의 기원이 되었다. 파도가 잔잔할 때는 보도 서핑을 즐기거나, 빈 수영장에서 풀 스케이팅을 하기도 했다. 또한, 스누퍼의 발명을 통해 스노보드로 이어지기도 했다.
많은 서퍼들은 바다와 영적인 연결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며, 물 안팎에서의 서핑 경험을 일종의 영적 경험이나 종교로 묘사하기도 한다.[77]
9. 1. 서핑 문화
서퍼들은 파도타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문화를 대표한다. 어떤 사람들은 서핑을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 삼지만, 다른 사람들은 삶의 중심으로 삼기도 한다. 미국의 서핑 문화는 하와이와 캘리포니아에서 가장 두드러지는데, 이 두 주는 최고의 서핑 조건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안선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파도가 있을 수 있으며, 미국 전역에 걸쳐 서퍼들의 긴밀하면서도 광범위한 하위 문화가 나타났다. 이 문화의 역사적 표지에는 서퍼들의 보드를 싣는 데 사용되는 우디(woodie)라고 하는 스테이션 왜건과 서핑을 할 때 일반적으로 착용하는 긴 수영 팬츠인 보드 쇼츠가 포함된다. 서퍼들은 또한 추운 지역이나 계절이 바뀌어 공기와 물이 차가워질 때 웨트슈트를 착용한다.1960년대, 서핑이 캘리포니아에서 유행하면서 미국 대중 문화에 퍼져나갔다. 1959년 기젯 시리즈를 시작으로 여러 청소년 영화들이 서핑을 미국 청소년들의 꿈 같은 삶으로 변모시켰다. 비치 파티(1963), 와일드 서프를 타다(1964), 비치 블랭킷 빙고(1965)를 포함한 후속 영화들은 태양과 파도의 캘리포니아 드림을 홍보했다. 서핑 문화는 또한 비치 보이스의 초기 레코드에 영향을 주었다.
이 스포츠는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해안의 하위 문화 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74] 특히 서핑에 가장 유리한 날씨와 수온 조건을 갖춘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그렇다.
서핑이라는 스포츠는 이제 특히 의류 및 패션 시장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산업을 대표한다. 1964년에 설립된 국제서핑협회(ISA)는 서핑을 개선하기 위해 설립된 가장 오래된 서핑 관련 단체이며, 국제올림픽위원회에 의해 서핑의 최고 권위 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다. 1964년에 국가 및 국제 서핑 대회가 시작되었다. 또한, 월드 서프 리그(WSL)는 1976년에 설립되어 전 세계 최고의 서핑 명소에서 최고의 경쟁자들을 주최하는 다양한 챔피언십 투어를 홍보한다. 소수의 사람들은 기업 후원을 받고 멀리 떨어진 목적지에서 사진작가와 촬영감독을 위해 공연함으로써 서핑으로 생계를 유지하는데, 이들은 일반적으로 프리서퍼라고 불린다. 26.2미터 길이의 서핑보드에 66명의 서퍼가 한 번에 서핑보드에 가장 많은 사람이 올라탄 기록을 캘리포니아주 헌팅턴 비치에서 세웠다.[75] 데일 웹스터는 14,641일 동안 연속으로 서핑을 하여 이를 자신의 주요 삶의 중심으로 삼았다.[76]
2023년 현재 기네스 세계 기록은 포르투갈 나자레에서 세바스티안 슈테트너가 탄 26.2미터(86피트)의 파도를 역대 최대 파도로 인정했다.[1]
파도가 잔잔할 때 서퍼들은 보도 서핑을 했는데, 이는 현재 스케이트보드라고 한다. 보도 서핑은 서핑과 비슷한 느낌을 주며 포장된 도로나 보도만 있으면 된다. 서퍼들은 파도의 느낌을 내기 위해 빈 뒷마당 수영장에 몰래 들어가서 탈 수 있었는데, 이것을 풀 스케이팅이라고 한다. 결국 서핑은 스누퍼의 발명으로 슬로프로 진출했는데, 이후 최초의 스노보드로 인정받았다. 수년에 걸쳐 다른 많은 보드 스포츠가 발명되었지만, 모두 서핑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많은 서퍼들은 바다와 영적인 연결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며, 물 안팎에서의 서핑 경험을 일종의 영적 경험이나 종교라고 묘사한다.[77]
9. 2. 지역별 서핑 문화
서핑은 하와이, 캘리포니아, 호주 등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해왔다.
- '''하와이'''는 알류샨 열도 부근에서 발생한 파도가 북태평양을 거쳐 하와이 제도로 밀려와 서핑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서핑은 하와이 원주민의 전통 놀이였으나, 기독교 전파와 함께 억압되었다. 이후 하와이 출신 올림픽 수영 영웅 듀크 카하나모쿠 덕분에 부활하였다. 1960년대 할리우드 영화를 통해 해양 스포츠로 자리 잡았으며, 오아후섬 노스쇼어를 중심으로 빅웨이브 서핑이 전성기를 맞았다. 1970년대 중반 숏보드 보급으로 빅웨이브 서핑과 롱보드는 쇠퇴했으나, 1980년대 이후 에디 아이카우 기념 대회와 버팔로 케아울라나 등의 노력으로 재평가받았다. 1990년대에는 레이어드 해밀턴 등이 토잉 서핑을 고안, 마우이섬 앞바다 "조스"가 주목받았다. 2000년대에는 앤디 아이언스가 ASP(Association of Surfing Professionals)의 WSL(World Championship Tour) 투어에서 활약하며 하와이 서퍼들의 실력을 알렸다.
- '''캘리포니아'''는 하와이의 영향으로 서핑이 전파되었다. 하와이와 같은 파도 발생지를 공유하며, "마베릭스"라는 빅웨이브 서핑 포인트가 유명하다. 캘리포니아는 현재 서핑 산업과 문화의 중심지이며, 비치 보이스와 같은 서프 뮤직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 '''오스트레일리아'''는 긴 해안선을 가진 서핑 강국이다. 1970년대 중반 웨인 버솔로뮤 등에 의해 숏보드 턴 기술이 창시되어 숏보드 발전에 기여했다. 현재도 믹 패닝, 타지 버로우, 조엘 파킨슨 등 세계 정상급 서퍼들을 배출하고 있다.
- '''일본'''의 경우, 에도 시대 문헌에 데와 국쇼나이 번 영지 유노하마에서 아이들이 파도타기를 했다는 기록과 "세노시"라는 나무판으로 파도타기를 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즉, 현재 야마가타현쇼나이 지방이 일본 파도타기의 문헌상 발상지이다. 현대적 형태의 일본 서핑은 가나가와현후지사와시쿠게누마 해안에서 치가사키시 일대, 가마쿠라시(쇼난 해안), 치바현 외방 지방(가모가와시, 현 이즈미시 미사키정 다이토 해변 등)에서 태평양 전쟁 이후 주일미군에 의해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다.[78] 1966년 제1회 전일본 서핑 대회가 치바현 가모가와시에서 개최되었고, 1982년부터 일본 프로 서핑 연맹(JPSA) 주최 프로 대회 "JPSA 서킷"(현 JPSA 투어)이 개최되고 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서핑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 치바현 이치노미야정 츠리가사키 해안(시다시타 포인트)에서 경기가 개최되었다.[83]
9. 3. 서핑 대회
세계 서핑 리그(WSL)가 주최하는 챔피언십 투어(CT)는 프로 서퍼 세계 챔피언을 가리는 투어로, 1경기 총 상금은 남자 30만달러, 여자 8만달러(1경기만 10만달러)이다.[83] 월드 퀄리파잉 시리즈(WQS)는 세계 투어 출전권을 얻기 위한 대회로, 출전자 수준과 상금 규모에 따라 6스타부터 1스타까지 분류된다. 스타 수가 많을수록 수준, 상금 규모, 포인트 부여가 커진다.[83]일본 프로 서핑 연맹(JPSA)이 주최하는 재팬 프로 서핑 투어는 쇼트보드와 롱보드 프로 서퍼 일본 챔피언을 가리는 투어이다. 이 중 "'올 재팬 프로(All Japan Pro)'"는 투어 중 가장 역사와 권위가 있는 대회로, 매년 투어 최고 상금을 걸고 경쟁한다.[83]
경기 방식은 사용하는 도구에 따라 쇼트보드와 롱보드 대회로 나뉘며, 각각 남녀 및 주니어 대회로 구분된다.
다음은 주요 서핑 대회의 종류와 상금 규모를 정리한 표이다.
대회 종류 | 주최 | 종목 | 설명 | 상금 규모 (1경기) |
---|---|---|---|---|
챔피언십 투어(CT) | 세계 서핑 리그(WSL) | 쇼트보드 | 프로 서퍼 세계 챔피언 결정 | 남자 30만달러, 여자 8만달러 (1경기만 10만달러) |
월드 퀄리파잉 시리즈(WQS) | 세계 서핑 리그(WSL) | 쇼트보드 | 세계 투어 출전권 획득, 스타 등급 (1~6) | 남자: 6스타 12.5만달러 ~ 1스타 1만달러, 여자: 6스타 3만달러 ~ 1스타 5천달러 |
재팬 프로 서핑 투어 | 일본 프로 서핑 연맹(JPSA) | 쇼트보드, 롱보드 | 일본 챔피언 결정, 올 재팬 프로 개최 | 투어 최고 상금 (올 재팬 프로) |
세계 롱보드 선수권 대회 (WLC) | 세계 프로 서핑 연맹 (ASP) | 롱보드 | 롱보드 프로 서퍼 세계 챔피언 결정 (연 1회) | 남자 5만달러, 여자 3만달러 |
세계 롱보드 투어 (WLT) | 세계 프로 서핑 연맹 (ASP) | 롱보드 | WQS 스타 시스템과 유사, 등급별 대회 | 6스타 (여자 1개), 3스타 (여자 1개), 2스타 (남자 2개), 1스타 (남녀 각 4개) |
9. 4. 인공 파도 서핑
웨이크(wake)를 이용한 웨이크서핑은 보트 등이 만든 인공 파도를 타는 스포츠이다. 웨이크서핑은 내륙의 호수 등에서도 즐길 수 있으며, 바다에서도 파도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84]인공 파도를 만드는 대형 수영장을 통해 도심 등 내륙에서도 서핑을 체험할 수 있다.[85]
9. 5. 서핑 음악
미국인의 하와이 진출 영향으로 태평양을 사이에 두고 하와이와 마주하는 캘리포니아주에 서핑이 전파되었다. 서프 뮤직으로 유명한 비치 보이스도 이곳이 본거지이다.[1]
비치 보이스를 비롯하여 해변에서 서퍼들이 즐겨 듣는 밴드와 음악이 있다.[1]
- 더 애스트로넛츠(The Astronauts)
- 비치 보이스(Beach Boys)
- 브루스 앤 테리(Bruce & Terry)
- 더 찬테이스(The Chantays)
- 딕 데일(Dick Dale)
- 잔 앤 딘(Jan & Dean)
- 더 마켓츠(The Marketts)
- 로니 앤 데이토나스(Ronnie & the Daytonas)
- 더 루터스(The Routers)
- 티본즈(T-Bones)
참조
[1]
뉴스
Surfer rides World Record 26.21 m (86 ft) wave
https://www.guinness[...]
2022-05-25
[2]
웹사이트
World's 50 best surf spots
https://www.cnn.com/[...]
2013-07
[3]
웹사이트
IOC approves five new sports for Olympic Games Tokyo 2020
https://olympics.com[...]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6-08-03
[4]
웹사이트
Tóquio 2020: Ìtalo Ferreira consegue a inédita medalha de ouro em Tóquio 2020!!
https://omaringa.com[...]
Jornal O Maringá
2021-07-27
[5]
웹사이트
Carissa Moore, Italo Ferreira Win Surfing Gold
https://www.nytimes.[...]
NYTimes
2021-07-27
[6]
서적
The Critical Surf Studies Reader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What are Caballitos de Totora?
https://www.surferto[...]
2017-03-20
[8]
서적
Los Mochicas
Rafael Larco Herrera Archaeological Museum
[9]
서적
Historia natural y moral de las Indias
https://books.google[...]
Casa de Juan de Leon
[10]
서적
Waves of Resistance: Surfing and History in Twentieth-century Hawaiʻ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11]
서적
Off the Map: Tales of Endurance and Exploration
Atlantic Monthly Press
[12]
서적
Mardi, and A Voyage Thither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3]
서적
Roughing It
https://books.google[...]
Digireads.com Publishing
[14]
서적
The Samoa Island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5]
서적
Undercurrents of Power Aquatic Culture in the African Diaspor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8-03-20
[16]
뉴스
Riders of the Sea Spray
http://www.gtweekly.[...]
2010-03-31
[17]
뉴스
Britain's original beach boys
https://www.thetimes[...]
2012-04-09
[18]
웹사이트
Hawaiian Royals Surf Bridlington – in 1890! - Museum of British Surfing
https://www.museumof[...]
[19]
서적
Legendary Surfers: The 1930s
https://books.google[...]
Lulu
[20]
학술지
George Freeth: King of the Surfers and California's Forgotten Hero
https://online.ucpre[...]
2001-07-01
[21]
서적
Pacific Passages: An Anthology of Surfing Writing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8-05
[22]
학술지
The Hawaii Promotion Committee and the Appropriation of Surfing
https://online.ucpre[...]
2020-09-29
[23]
서적
Surf and Rescue: George Freeth and the Birth of California Beach Cultur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22-06-28
[24]
웹사이트
The legend of Duke Kahanamoku, the father of modern surfing and double Olympic champion in Antwerp
https://olympics.com[...]
[25]
서적
Waikīkī dreams: how California appropriated Hawaiian beach culture.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24
[26]
웹사이트
Woman of the Year
http://www.surfingwa[...]
[27]
서적
The Bluffer's Guide to Surfing
Oval Books
[28]
서적
The Encyclopedia of Surfing
Harvest Book Harcourt Inc
[29]
웹사이트
Seli 1: One Year On
http://www.zigzag.co[...]
Online Publishers Association South Africa
2009-09-23
[30]
뉴스
India's first artificial reef to protect Kovalam
http://timesofindia.[...]
2010-05-20
[31]
웹사이트
MADE IN JAPAN Unlike its counterparts, Miyazaki's Ocean Dome wavepool is for real
http://www.surfline.[...]
Surfline/Wavetrak, Inc
2000-11-08
[32]
웹사이트
Sustainable inland surfing destinations
http://thewave.com/B[...]
[33]
웹사이트
A Guide to Surfing Airs
https://www.ombe.co/[...]
[34]
서적
Surfing – A History of the Ancient Hawaiian Sport
Pomegranate Artbooks
[35]
서적
The Art of Surfing: A Training Manual for the Developing and Competitive Surfer
https://archive.org/[...]
Globe Pequot Press
[36]
웹사이트
How to surf; learn to surf in one day
http://hvsboardsport[...]
Hvs Boardsport
2017-11-20
[37]
웹사이트
Can You Teach Yourself to Surf?
https://independents[...]
2024-09-08
[38]
웹사이트
Surf industry riding high on wave of older, wealthier surfers
https://bond.edu.au/[...]
[39]
웹사이트
Brave chevalier dives headlong into seedy world of online surf coaching programs (Part One)!
https://beachgrit.co[...]
2023-02-25
[40]
웹사이트
The quick guide on how to surf
http://www.learnhowt[...]
learnhowtosurf.info
[41]
웹사이트
How to Choose the Best Surf Skateboard: The Complete Guide
https://www.ridingbo[...]
2018-07-17
[42]
웹사이트
Surf Training 101: What Is a Surf Skate? OMBE
https://www.ombe.co/[...]
[43]
웹사이트
Kelly Slater Calls Out Surf Skaters for "Kookiness"
https://www.surfer.c[...]
2023-08-09
[44]
웹사이트
Why you shouldn't wiggle on a surf skate OMBE
https://www.ombe.co/[...]
[45]
뉴스
Warm Up So You Don't Wipe Out
https://www.mensheal[...]
2017-08-01
[46]
웹사이트
HOW TO CHOOSE THE RIGHT WETSUIT FOR SURFING?
https://www.degree33[...]
surfhandbook.com
2020-02-03
[47]
뉴스
Bigger and Better
http://www.surfermag[...]
Surfer Magazine
2014-09-15
[48]
서적
West of Jesus: Surfing, Science, and the Origins of Belief
Bloomsbury
2006-06-13
[49]
웹사이트
Wave Energy and Wave Changes with Depth
https://manoa.hawaii[...]
[50]
서적
Descriptive Physical Oceanography: An Introduction
Academic Press
2011
[51]
학술지
Surf zone dynamics simulated by a Boussinesq type model. Part I. Model description of cross-shore motion of regular waves
1997
[52]
학술지
Surf Physics
2001
[53]
학술지
Research-Based Surfing Literature for Coastal Management and the Science of Surfing—A Review
http://www.jcronline[...]
2009
[54]
웹사이트
The differences between beach breaks, point breaks, and reef breaks
https://www.degree33[...]
[55]
학술지
Categorizing the Types of Surfing Breaks around Jetty Structures
http://escholarship.[...]
2003-03-07
[56]
학술지
Rip Currents and Their Causes
https://journals.tdl[...]
1978
[57]
학술지
Rip Currents: Theoretical Investigations
http://chinacat.coas[...]
1969
[58]
웹사이트
Is Surfing Dangerous?
https://hvsboardspor[...]
2018-01-01
[59]
웹사이트
Ocean Safety
https://www.surfingh[...]
2009-02-05
[60]
웹사이트
Sony Pictures Classics: Riding Giants
http://www.sonyclass[...]
[61]
웹사이트
Mark Foo Biography
http://www.surfline.[...]
Surfline
[62]
웹사이트
Dangers – Hard Bottoms
http://www.surfingsa[...]
Site Tutor Inc
[63]
웹사이트
Dangers of Surfing
http://www.surfboard[...]
[64]
웹사이트
Skeg Cuts - The Most Common Surf Trauma-Injury - OMNA_Inc
https://www.omnainc.[...]
[65]
웹사이트
ANDY IRONS PASSES AWAY, CAUSE UNDER INVESTIGATION
http://business.tran[...]
Bonnier Corporation
2010-11-02
[66]
웹사이트
Unprovoked White Shark Attacks on Surfers
http://www.sharkrese[...]
Shark Research Committee
[67]
웹사이트
Surf Dangers Animals
http://www.surfingsa[...]
[68]
웹사이트
Doing the 'Stingray Shuffle'
https://abcnews.go.c[...]
ABC News
2006-09-05
[69]
뉴스
Surfing's hidden dangers
http://news.bbc.co.u[...]
2001-09-07
[70]
학술지
Exposure to and colonisation by antibiotic-resistant E. coli in UK coastal water users: Environmental surveillance, exposure assessment, and epidemiological study (Beach Bum Survey)
2018-01-14
[71]
뉴스
Surfers three times more likely to have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in guts
https://www.eurekale[...]
2018-01-14
[72]
웹사이트
How to deal with surf rash?
https://www.surfhand[...]
surfhandbook.com
2020-09-06
[73]
웹사이트
Beginner Surfer Left Paralysed after Suffering Rare Surfer's Myelopathy - Magicseaweed.com
https://magicseaweed[...]
[74]
웹사이트
Liam Hemsworth leaves 2019 with surfboard
http://www.thearkate[...]
[75]
웹사이트
66 Surfers Set World Record by Riding on a Board at Once
https://abcnews.go.c[...]
ABC News
2024-09-21
[76]
웹사이트
Everyday Dale Ends His Streak
https://www.surfer.c[...]
2024-09-21
[77]
웹사이트
The Spirituality Of Surfing: Finding Religion Riding The Waves
http://www.huffingto[...]
huffingtonpost.com
2014-08-03
[78]
웹사이트
サーフィンブログ ::: OLYMPIA SURF&SPORTS 初代メンバーさんとの再会 1
http://blog.olympia-[...]
[79]
웹사이트
湘南が日本サーフィン発祥の地とするHP
http://m-y-star.com/[...]
[80]
웹사이트
四国での板子乗り
http://www.padobo.co[...]
[81]
웹사이트
VOL1「波乗りの歴史を知ろう」NO.3 鎌倉物語 其の壱:古代から近代
http://www.padobo.co[...]
[82]
웹사이트
PROTECK FIN
http://www.follows.c[...]
[83]
뉴스
「サーフィンの聖地にしよう 一宮町が東京五輪の会場に」
http://www.chibanipp[...]
千葉日報
2016-08-15
[84]
웹사이트
ウェイクサーフィン■ボートを使った新しいマリンスポーツ
http://japan-wakesur[...]
日本ウェイクサーフィン協会
2018-12-06
[85]
뉴스
「人工サーフィンの波が来た!神戸に続き大井町でも」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18-12-03
[86]
뉴스
Surfer rides World Record 24 m (78 ft) wave
https://www.bbc.co.u[...]
2012-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