룩소르 신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룩소르 신전은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 건축된 신전으로, 테베 삼위신인 아문, 무트, 콘수에게 봉헌되었다. 아멘호테프 3세에 의해 중심부가 건립되었고, 람세스 2세 시대에 신전 축이 변경되고 카르나크 신전으로 이어지는 참도가 구축되었다. 로마 시대에는 군대의 요새로 사용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El Uksûr"로 불리며 룩소르라는 지명이 유래되었다. 2013년에는 중국인 관광객의 낙서로 인해 문화재 훼손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4년 발굴 - 마다바 지도
마다바 지도는 6세기경 제작된 모자이크 지도로, 레바논에서 나일 삼각주에 이르는 지역을 묘사하며, 특히 성지 지형과 성경 속 기독교 유적지를 상세히 묘사하여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자료이다. - 이집트의 조각품 - 아부 심벨 신전
아부 심벨 신전은 람세스 2세 시대에 건설된 이집트의 암굴 신전으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1년에 두 번 태양 광선이 신전 내부를 비추는 현상으로 유명하다. - 이집트의 조각품 - 기자의 대스핑크스
기자의 대스핑크스는 이집트 기자에 위치한 거대한 석회암 조각상으로, 카프레 왕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지만 건설 시기와 관련하여 다양한 학설이 존재하며, 고대부터 숭배의 대상이었다.
룩소르 신전 | |
---|---|
개요 | |
![]() | |
위치 | 룩소르, 룩소르 주, 이집트 |
지역 | 상이집트 |
유형 | 성소 |
일부 | 테베 |
건설 시기 | 기원전 1400년경 |
유네스코 세계유산 | official_name: 룩소르 신전 part_of: 고대 테베와 네크로폴리스 criteria: (i), (iii), (vi) ID: 87-002 year: 1979년 area: 7,390.16 헥타르 (73.90 제곱킬로미터) buffer_zone: 443.55 헥타르 (4.44 제곱킬로미터) |
명칭 | |
아랍어 | معبد الأقصر (마아바드 알욱수르) |
영어 | Luxor Temple (룩소르 템플) |
고대 이집트어 | Ipet resyt (이페트 레시트) |
상세 정보 | |
용도 | 테베 삼주신을 위한 성소 |
주요 건축물 | 탑문 열주실 안뜰 지성소 |
관련 행사 | 오페트 축제 |
추가 정보 | |
스핑크스 대로 | 카르나크 신전과 연결됨 |
특징 | 람세스 2세의 조각상 및 탑문 투탕카멘의 열주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성소 |
기타 | 룩소르 오벨리스크 중 하나가 콩코르드 광장에 위치 |
위치 |
2. 역사
룩소르 신전은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 건축되었으며, 테베 삼위신인 아문, 그의 배우자 무트, 그리고 그들의 아들 콘수에게 봉헌되었다. 매년 열리는 오페트 축제는 아문의 신상이 인근 카르나크 신전(''ipet-sut'')에서 나일강을 따라 행렬하여 그의 배우자 무트와 함께 잠시 머무르는 행사로, 아문-레와 파라오의 풍요를 증진시키는 데 목적이 있었다.
룩소르 신전은 왕실 카(Royal Ka)의 숭배에 바쳐진 신전으로 해석되기도 한다.[6] 왕실 카 숭배의 예는 탑문 앞에 있는 신격화된 람세스 2세의 거대한 좌상과 대열주 입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6]
13세기경 이슬람교 성자 아부 알-하지 (Abu al-Hajjaj[35], 엘-하가그[24])를 위해 건립된 아부 하가그 모스크(Abu Haggag Mosque영어[17][36])가 람세스 2세의 안뜰에 걸쳐 건립되어 있다.[24]
중세 시대부터 룩소르 주민들은 사원 안과 주변, 산의 남쪽 끝에 정착했다.[1] 이로 인해 수 세기 동안 잔해가 쌓여 14.5m 높이의 인공 언덕이 생겼다.[1] 가스통 마스페로 교수가 1884년에 발굴 작업을 시작하여 1960년까지 불규칙하게 진행했다.[1]
2. 1. 초기 역사
이집트 중왕국 시대(기원전 2055년 - 1650년)[18][15], 제13왕조(기원전 1795-1650년 이후)[18] 세베크헤테프 2세의 이름을 새긴 석재가 후세 유구의 기초에 재활용된 것으로 보아, 이 시대에 건축물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25] 이후 제18왕조(기원전 1550-1295년)[18] 하트셉수트 (재위 기원전 1473년 - 1458년)[18]의 많은 건조물을 대신하여[13], 카르나크 신전 중심부 아멘 대신전의 부속 신전으로[26], 아멘호테프 3세 (재위 기원전 1390년 - 1352년)[18]가 중심부를 건립했다.[13]아문 신관단에 대항한 아들 아크나톤 (아멘호테프 4세, 재위 기원전 1352-1336년)[18] 시대에 중단되었으나, 아문 숭배를 부흥시킨 투탕카멘 (투트 안크 아문, 재위 기원전 1336-1327년)[18]이 대열주랑 (콜로네이드)을 완성했다.[13][27] 호렘헤브 (재위 기원전 1323-1295년)[18]와 제19왕조(기원전 1295-1186년)[18] 세티 1세 (재위 기원전 1294-1279년)[18]를 거쳐[28], 람세스 2세 (재위 기원전 1279-1213년)[18]의 확장에 의해 아문 대신전을 향해 신전 축선이 동쪽으로 변경되고, 주주식 안뜰(제1 안뜰)과 Pylon영어(파일론[29])이 건설됨과 동시에 카르나크 신전으로 이어지는 장대한 참도가 구축되었다.[30]
말기 왕조 (기원전 747년 - 332년)[18] 시대, 제25왕조 (기원전 747-656년)[18] 샤바카 (재위 기원전 716년 - 702년)[18]에 의해 열주 키오스크가 건설되었고, 제30왕조(기원전 380년 - 343년)[18] 넥타네보 1세 (기원전 380-362년)는 탑문 앞 앞뜰을 조성하고 카르나크로 이어지는 참도를 수백 개의 사람 머리 스핑크스(Androsfingeit)로 장식했다.[31]
신전 심부에는 아멘호테프 3세 및 알렉산드로스 대왕 (알렉산드로스 3세, 재위 기원전 332-323년)[18]이 건설한 사당이 있다.[17][32] 로마 시대 3세기 후반부터 4세기 초에는 신전과 주변이 군대 요새 (카스트라〈카스트룸〉)가 되어 로마 정부의 기지 역할을 했다.[33] 중세에는 "성 (The Castles)"을 의미하는 ''El Uksûr''로 알려졌고, 이것이 "룩소르"라는 명칭으로 변화했다.[25]
2. 2. 신왕국 시대
룩소르 신전은 신왕국 시대에 건축되었으며, 테베 삼위신인 아문, 그의 배우자 무트, 그리고 그들의 아들 콘수에게 봉헌되었다. 매년 열리는 오페트 축제는 아문의 신상(cult statue)이 인근 카르나크 신전(''ipet-sut'')에서 나일강을 따라 행렬하여 그의 배우자 무트와 함께 잠시 머무르는 행사였으며, 아문-레와 파라오의 풍요를 증진시키는 데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룩소르 신전에서 진행된 Epigraphic Survey 팀의 다른 연구들은 룩소르와 연례 축제(오페트 축제)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6] 그들은 룩소르가 신성한 이집트 통치자, 더 정확히는 왕실 카(Royal Ka)의 숭배에 바쳐진 신전이라고 결론지었다.[6] 왕실 카 숭배의 예는 탑문 앞에 있는 신격화된 람세스 2세의 거대한 좌상과 대열주 입구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왕실 카의 화신으로서의 왕의 숭배상, 즉 카 조각상이다.제18왕조 하트셉수트 (재위 기원전 1473년 - 1458년)[18]에 의한 많은 건조물 대신,[13] 카르나크 신전의 중심을 형성하는 아멘 대신전의 부속 신전으로서,[26] 아멘호테프 3세 (재위 기원전 1390년 - 1352년)[18]에 의해 중심 부분이 건립되었다.[13]
이후 아문 신관단에 대항한 아들 아크나톤 (아멘호테프 4세, 재위 기원전 1352-1336년)[18] 시대에 중단되었지만, 아문 숭배를 부흥시킨 투탕카멘 (투트 안크 아문, 재위 기원전 1336-1327년)[18]에 의해 대열주랑(콜로네이드)이 완성되었다.[13][27] 호렘헤브 (재위 기원전 1323-1295년)[18]와 제19왕조(기원전 1295-1186년)[18]의 세티 1세 (재위 기원전 1294-1279년)[18]에 계승된 후,[28] 람세스 2세 (재위 기원전 1279-1213년)[18]의 확장에 의해 아문 대신전을 향해 신전의 축선이 동쪽으로 변경되고, 주주식 안뜰(제1 안뜰)과 Pylon|파일론영어[29]이 건설됨과 동시에 카르나크 신전으로 이어지는 장대한 참도가 구축되었다.[30]
2. 3. 후기 왕조와 쇠퇴
이집트 말기 왕조(기원전 747년-기원전 332년)[18] 시대, 제25왕조(기원전 747년-기원전 656년)[18]의 샤바카(재위 기원전 716년-기원전 702년)[18]에 의해 열주를 가진 키오스크가 건설되었다고 생각되며, 제30왕조(기원전 380년-기원전 343년)[18]의 넥타네보 1세(기원전 380년-기원전 362년)는 탑문 앞의 앞뜰을 조성함과 동시에 카르나크 신전에 이르는 참도를 수백 개의 사람 머리 스핑크스로 장식했다.[31]신전 심부에는 아멘호테프 3세 및 후세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알렉산드로스 3세, 재위 기원전 332년-기원전 323년)[18]에 의해 구축된 사당이 있다.[17][32] 로마 시대 3세기 후반부터 4세기 초까지 신전 및 그 주변은 군대의 요새(카스트라)가 되어, 그 영역은 로마 정부의 기지였다.[33] 중세에는 "성 (The Castles)"을 의미하는 ''El Uksûr''로 알려지게 되었고, 이것이 "룩소르"라는 명칭으로 변했다.[25]
2. 4. 중세 시대와 발굴
중세 시대부터 룩소르의 인구는 사원 안과 주변, 산의 남쪽 끝에 정착했다.[1] 이로 인해 수 세기 동안 잔해가 쌓여 14.5m 높이의 인공 언덕이 생겼다.[1] 가스통 마스페로 교수가 1884년에 발굴 작업을 시작하여 1960년까지 불규칙하게 진행했다.[1] 시간이 지나면서 쌓인 쓰레기 더미가 현대 마을의 아랍 지역의 핵을 형성하는 뜰과 열주가 있는 신전의 4분의 3을 덮었다. 마스페로는 1881년에 이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마리에트 파샤의 지위를 얻었다. 쓰레기뿐만 아니라 막사, 상점, 집, 오두막, 비둘기 탑 등 발굴을 위해 제거해야 할 것들이 있었다. 여전히 제거되지 않은 신전 내부의 작동하는 모스크가 있다. 마스페로는 이집트 공공사업부 장관으로부터 주택과 부속 건물로 덮인 토지 조상에 대한 보상을 협상하기 위해 자금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권한을 받았다.활발하게 사용되는 아부 알-하가그 모스크(مسجد أبو الحجاج بالأقصرar)는 룩소르 신전 내부에 위치해 있으며, 고대 기둥 위에 세워져 있다. 룩소르 신전의 해당 부분은 서기 395년 로마인에 의해 교회로 개조되었고, 약 1,200년경에는 모스크로 개조되어 4,000년 이상 종교적인 예배가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11]
13세기경의 이슬람교 성자 아부 알-하지 (Abu al-Hajjaj[35], 엘-하가그[24])을 위해 건립된 아부 하가그 모스크(Abu Haggag Mosque영어)[17][36]가 람세스 2세의 안뜰에 걸쳐 건립되어 있다.[24]
3. 건축
룩소르 신전은 상 이집트 기념물 건설에 사용된 게벨 엘-실실라 지역의 누비아 사암으로 지어졌다.[4] 다른 이집트 건축물과 마찬가지로 상징성이나 환영주의가 흔히 사용되었다.[5] 예를 들어, 룩소르 신전 입구에 있는 두 개의 오벨리스크는 높이가 같지 않지만, 동일한 높이로 보이게 하는 환영을 만들어냈다.[5]
신전의 주요 부분은 다음과 같다.
- 탑문: 람세스 2세 시대에 건설된 높이 24m, 폭 65m의 거대한 탑문이[42] 참배길 입구에 있다.
- 람세스 2세의 안뜰 (제1 안뜰): 탑문을 통과하면 2중의 미개화(폐화)식 파피루스 기둥으로 둘러싸인 안뜰이 펼쳐진다.
- 아멘호테프 3세의 대열주랑: 람세스 2세의 안뜰에서 제2 탑문 입구를 지나면, 높이 17m의 거대한 개화식 파피루스 기둥 14개가 2열로 늘어선 대열주랑이 있다.
- 아멘호테프 3세의 중정 (태양의 중정): 대열주랑을 지나면 나타난다.
- 열주실: 중정 남쪽에 32개의 미개화 파피루스 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 로마 시대 예배당 (제1 전실): 원래 신전 안쪽으로 연결되었으나, 로마 군단 주둔으로 로마 황제 숭배 예배당이 되었다.[72]
- 탄생의 방: 성스러운 배 신전 동쪽에 있다.
- 지성소: 신전 가장 안쪽에 있으며, 알렉산드로스 3세에 의해 사암 신전이 건립되었다.[78]
3. 1. 주요 건축 요소
룩소르 신전은 상 이집트의 기념물 건설에 사용된 게벨 엘-실실라 지역의 누비아 사암으로 지어졌다.[4] 다른 이집트 건축물과 마찬가지로 상징성이나 환영주의가 사용되었는데,[5] 예를 들어 룩소르 신전 입구의 두 개의 오벨리스크는 높이가 다르지만, 신전 배치상으로는 같은 높이로 보이도록 착시 효과를 냈다.[5]- A. 아멘호테프 3세의 지성소(Sanctuary of Amun)
- B. 아멘호테프 3세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성주 사당(Barque shrine)
- C. 아멘호테프 3세의 「탄생의 방」(‘Birth room’) (중심 축부: 제2 전실)
- D. 로마 시대의 내진(Roman sanctuary) - 제1 전실(전랑)
- E. 열주실(Hypostyle hall)
- F. 제3 탑문(3rd pylon)
- G. 아멘호테프 3세의 대열주랑(Processional colonnade)
- H. 람세스 2세의 제2 탑문(2nd pylon)
- I. 람세스 2세의 제1 탑문(1st pylon)
- K. 람세스 2세의 오벨리스크(Obelisks)
- a. 아멘호테프 3세의 아문 신전(Temple of Amun)
- b. 아멘호테프 3세의 안뜰(Sun court) - 제2 안뜰
- c. 람세스 2세의 삼주신의 성주 사당(Barque stop and Shrine of the Theban triade)
- d. 투탕카멘, 호렘헤브의 열주랑(Colonnade)
- e. 람세스 2세의 안뜰(Great Court) - 제1 안뜰
- f. 샤바카의 키오스크(Kiosk)
- 제1 탑문: 람세스 2세가 건설한 높이 24m, 폭 65m의 거대한 탑문이다.[42] 정면에는 6개의 람세스 2세 조각상(좌상 2개, 입상 4개)이 있고,[43][44] 외벽에는 카데시 전투 부조가,[15] 내벽에는 샤바카의 부조가 새겨져 있다.[43]
- 람세스 2세의 안뜰 (제1 안뜰): 2중 파피루스 기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삼위신 (아멘, 무트, 콘스)의 성선 사당이 있다.[47] 열주 사이에는 람세스 2세상과 네페르타리 소상이 있다.[15][48]
- 아멘호테프 3세의 대열주랑: 높이 17m의 개화식 파피루스 기둥 14개가 2열로 늘어서 있다. 투탕카멘 시대에 장식되었으며, 열주랑 벽면에는 오페트 축제 모습이 부조로 새겨져 있다.[51] 호렘헤브가 자신의 것으로 삼았다.
- 아멘호테프 3세의 안뜰 (제2 안뜰, 태양의 중정):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까지 장식이 더해졌다. 1989년에 조각상 "은닉처"가 발견되었다.[66]
- 열주실: 32개의 미개화 파피루스 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 로마 시대 예배당 (제1 전실): 원래 신전 안쪽으로 연결되었으나, 로마 군단 주둔으로 로마 황제 숭배 예배당이 되었다.[72]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사두정치 4명을 그린 프레스코화가 있다.[73]
- 탄생의 방: 아문과 무테무이야의 결합, 아멘호테프 3세 탄생 부조가 있다.[51][76] 오페트 축제 때 "성혼" 의례가 행해졌다.[72]
4. 훼손
2013년, 한 중국인 학생이 조각상에 "딩진하오가 여기에 왔다"(丁锦昊到此一游|딩진하오다오츠이유중국어)라고 중국어로 새겨진 글씨의 사진을 올렸다. 이 사건은 언론을 통해 해당 학생이 낙서와 다른 훼손 행위를 저질렀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증가하는 관광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 낙서는 이후 부분적으로 지워졌다.[12]
원래 신전 안쪽으로 연결되었던 전랑(제1전실)은 로마 군단의 주둔으로 인해 로마 황제 숭배 예배당이 되었다.[72] 8개의 기둥은 철거되었고, 안쪽 지성소로 향하는 입구는 벽감(후진, 압스)을 만들어 막았다.[73] 벽감 양쪽에는 2개의 화강암[64] 코린트식 원주가 설치되었다.[52] 제18왕조의 벽면 부조 위에 프레스코로 장식되었으며, 프레스코가 벗겨진 부분에서는 이전의 부조 장식을 볼 수 있다.[74] 깊이 1.5m의 후진 벽감 상부에 그려진 프레스코로 된 4명의 초상화는 디오클레티아누스(재위 284년-305년[18])에 의한 사두정치(테트라르키아)의 4명을 그린 것이라고 한다.[73] 막힌 후진 벽감부에는 그 후, 왕에 의한 헌물 봉헌 광장[75]으로 통하는 좁은 입구가 열렸다.
참조
[1]
간행물
Excavation of the Temple of Luxor
Science
1885
[2]
웹사이트
Chapel of Imperial Cult
https://madainprojec[...]
2019-04-10
[3]
웹사이트
Ancient Thebes with its Necropolis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1-09-07
[4]
논문
Weathering damage on Pharaonic sandstone monuments in Luxor-Egypt
2003
[5]
논문
Illusionism in Egyptian Architecture
1969
[6]
논문
Luxor Temple and the Cult of the Royal Ka
1985
[7]
웹사이트
Pharaoh and Temple Building in the Fourth Century BCE
https://archiv.ub.un[...]
2018
[8]
서적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rban Regeneration
2017
[9]
논문
Places about Thebes
1955
[10]
웹사이트
Chapel of Serapis
https://madainprojec[...]
2019-05-26
[11]
서적
The Search For Nefertiti
https://books.google[...]
Hachette
2019-08-21
[12]
뉴스
Netizen outrage after Chinese tourist defaces Egyptian temple
http://www.cnn.com/2[...]
2013-05-27
[13]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14]
웹사이트
Luxor
https://www.globaleg[...]
2024-02-04
[15]
문서
Oakes & Gahlin (2003)
[16]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17]
문서
ショー、ニコルソン 『古代エジプト百科事典』 (1997)
[18]
문서
ショー、ニコルソン「古代エジプト年表」、『古代エジプト百科事典』 (1997)
[19]
문서
ショー、ニコルソン 『古代エジプト百科事典』 (1997)
[20]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21]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22]
문서
ショー、ニコルソン 『古代エジプト百科事典』 (1997)
[23]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24]
문서
仁田 (1998)
[25]
문서
Weigall, 1996
[26]
문서
仁田 (1998)
[27]
문서
Weigall, 1996
[28]
문서
Weigall, 1996
[29]
문서
ショー、ニコルソン 『古代エジプト百科事典』 (1997)
[30]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31]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32]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33]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34]
간행물
Excavation of the Temple of Luxor
Science
1885
[35]
웹사이트
Sayyidina Abu Al-Hajaj Al-Luxory
https://mazaratmisr.[...]
2024-02-04
[36]
간행물
Abu-l-Hajjaj al-Uqsuri, saint patron de Louqsor
https://journals.ope[...]
CEDEJ
2024-02-04
[37]
문서
Weathering damage on Pharaonic sandstone monuments in Luxor-Egypt
[38]
문서
Illusionism in Egyptian Architecture
[39]
문서
Weigall, 1996
[40]
문서
Weigall, 1996
[41]
문서
Weigall, 1996
[42]
웹사이트
Luxor Temple
https://exploreluxor[...]
2024-02-04
[43]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44]
웹사이트
Luxor temple
https://ancientegypt[...]
2024-02-04
[45]
뉴스
Controversy hits newly restored Ramses II colossus at Luxor Temple
https://english.ahra[...]
ahram online
2024-02-04
[46]
문서
ショー、ニコルソン、『古代エジプト百科事典』 (1997)
[47]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48]
문서
Weigall, 1996
[49]
문서
Oakes & Gahlin (2003)
[50]
문서
ショー、ニコルソン、『古代エジプト百科事典』 (1997)
[51]
문서
Oakes & Gahlin (2003)
[52]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53]
문서
仁田 (1998)
[54]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55]
문서
仁田 (2005)
[56]
문서
山花 (2010)
[57]
웹사이트
アムンとムトの大きなダイアド
https://luxortemple.[...]
Chicago House Research Institute
2024-02-04
[58]
문서
河合 (2017)
[59]
웹사이트
カルナックからルクソールへの儀式用はしけの行列に随行する祝祭の人々: プレート17の詳細
https://luxortemple.[...]
Chicago House Research Institute
2024-02-04
[60]
웹사이트
第7話: アメン(現在は失われている)、コンス、ムート、王の吠え声とともにルクソール神殿を出発する王
https://luxortemple.[...]
Chicago House Research Institute
2024-02-04
[61]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62]
웹사이트
王の座像(A-I)とアムンとムトの小二頭像(B)
https://luxortemple.[...]
Chicago House Research Institute
2024-02-04
[63]
웹사이트
アムンとムトの小さなダイアド
https://luxortemple.[...]
Chicago House Research Institute
2024-02-04
[64]
문서
Weigall, 1996
[65]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66]
문서
ショー、ニコルソン 『古代エジプト百科事典』 (1997)
[67]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68]
문서
ショー、ニコルソン 『古代エジプト百科事典』 (1997)
[69]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70]
문서
Weigall, 1996
[71]
서적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72]
서적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73]
웹사이트
The Roman Occupation and Fortress at Luxor Temple
https://luxortemple.[...]
Chicago House Research Institute
2024-02-04
[74]
서적
Digital Epigraphy
Museo Egizio
2024-02-04
[75]
서적
ウィルキンソン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2002)
[76]
서적
Weigall, 1996
[77]
웹사이트
The Opet Festival: Rejuvenation of the Gods
https://luxortemple.[...]
Chicago House Research Institute
2024-02-04
[78]
서적
Bosch-Puche, 2011
[79]
서적
Weigall, 1996
[80]
서적
中村 (2021)
[81]
서적
Bosch-Puche,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