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길은 인도 라다크 연방 직할지에 위치한 도시로, 여러 강 계곡이 합류하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티베트어에서 유래된 이름은 '밝고 건전한 광활함' 또는 '산악 원형 극장'을 의미하며, 과거 스리나가르, 레, 스카르두로 이어지는 주요 길목이었다. 도그라 왕조 시대에는 요새가 건설되었으며, 인도 독립 이후에는 제1차 카슈미르 전쟁과 카르길 전쟁의 무대가 되기도 했다. 현재는 이슬람교가 다수를 차지하며, 스리나가르에서 205km 거리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다크 - 레 (도시)
레는 인도 북부 라다크의 고산 지대에 위치한 도시로, 역사적으로 라다크 왕국의 수도이자 무역 중심지였으며,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고 레 궁전 등의 볼거리와 현대적인 발전이 공존하는 관광 도시이다. - 라다크 - 뎀초크 지역
뎀초크 지역은 인도와 중국 간 영유권 분쟁 지역으로, 라다크 일부를 포함하며 실제 통제선을 따라 위치하고, 양국은 상반된 영유권을 주장하며 분쟁을 겪고 있다. - 인도의 주도 - 뭄바이
뭄바이는 아라비아 해에 위치한 인도 마하라슈트라 주의 주도로, 인도의 경제, 금융, 상업 중심지이며, 과거 봄베이로 불렸고, 뭄바이 교외 철도 등 대중교통 시스템을 갖춘, 인도 영화와 다양한 문화, 스포츠의 중심지이다. - 인도의 주도 - 아가르탈라
인도 트리푸라 주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인 아가르탈라는 기원전 1900년경부터 힌두 왕국의 수도였으며, 무굴 제국과 영국령 인도 시대를 거쳐 1874~75년 시로 승격 후 계획 도시로 재건, 1947년 인도 독립 이후 급속한 성장으로 다문화 도시가 되었으나, 교통 혼잡, 주택 부족, 환경 오염 등의 문제도 안고 있다.
카르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 카르길 |
위치 | 라다크의 작은 마을, 분쟁 지역인 카슈미르의 인도 통치 지역 동부 |
별칭 | (없음) |
![]() | |
![]() | |
기본 정보 | |
국가 | 인도 |
행정 구역 | 라다크 연방 직할지 |
구 | 카르길 |
테실 | 카르길 |
설립 | 1979년 7월 1일 |
정부 형태 | 라다크 자치 힐 개발 위원회, 카르길 |
면적 | 2.14 km² |
해발 고도 | 2676 m |
인구 (2011년) | 16,338명 |
시간대 | IST |
UTC 시간대 | +5:30 |
우편 번호 | 194103 |
차량 등록 번호 | LA 01 |
웹사이트 | 카르길 공식 웹사이트 |
공용어 | 우르두어 푸르기어 라다크어 브록스카트어 영어 |
기타 사용 언어 | 시나어 발티어 |
발음 | |
영어 발음 | /ˈkɑrɡɪl/ |
2. 어원
라다크 연대기에 카르길의 이름은 dkar skyil|카르 킬bo로 표기되어 있다.[5] 이 단어는 밝거나 건전한 광활함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6]
카르길은 중심적인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세 시대에는 큰 규모의 정착지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신 그 근처에 두 개의 강력한 요새가 있었다. 동쪽의 소드 계곡에는 16세기 또는 17세기경에 '''소드 파사리'''(sod pa sa ri|소드 파사리bo) (현재 '''파사르 카르''')라고 불리는 요새가 있었다. 이곳은 소드 계곡 자체, 와카 롱의 하류 부분, 그리고 카르길 분지를 포함하는 "하부 푸리그"의 수도였다.[11] 18세기 또는 19세기경에 이 왕조는 카르길 남동쪽의 와카 롱 계곡에 있는 '''파슈쿰'''(pas kyum|파슈쿰bo)에 지부를 설립했다.[11]
현대 신문들은 이 이름을 dkar `khyil|카르 킬bo로 표기한다고 한다.[7] 또한 밝거나 건전한 산악 원형 극장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8] 이 구절은 티베트 문학에서 자주 나타난다.
카르길 분지는 실제로 낮은 산으로 둘러싸인 광활한 느낌을 주며, 동남쪽 모퉁이에 낮은 쿠르바탕 고원이 있다. 이는 계곡으로 접근할 수 있는 깊은 협곡과는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9]
그러나 카르길 사람들은 이 이름을 'Khar'(요새)와 'rkil'(중심)과 연관시키며, 여러 요새들 중 중심지라는 의미로 해석한다. 라디카 굽타는 이곳이 스리나가르, 레, 스카르두에서 동일한 거리에 있는 장소에 적합한 설명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3. 지리
카르길은 수루강 계곡(북쪽, 남쪽), 레로 이어지는 와카 롱 계곡(동남쪽), 바탈릭 인근 인더스 계곡으로 이어지는 소드 계곡(동쪽) 등 여러 강 계곡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다. 드라스강 계곡은 북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서 수루 계곡에서 갈라져 나와 조지 라 고개와 카슈미르로 이어진다. 수루 계곡을 따라 더 북쪽으로 가면 인더스 계곡에 도달하며, 스카르두로 이어진다. 따라서 카르길은 카슈미르, 라다크, 발티스탄 사이의 주요 길목에 위치해 있다.
학자 자넷 리즈비는 마롤과 다 사이의 인더스 계곡은 좁은 협곡으로, 근대 이전 시대에는 쉽게 통과할 수 없었다고 말한다. 따라서 발티스탄과 레 사이의 일반적인 무역 경로는 수루 계곡과 와카 롱을 경유하여 카르길을 통과했다.[10]
인도 분할과 제1차 카슈미르 전쟁 이후, 발티스탄은 파키스탄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파키스탄령 카슈미르와의 통제선은 카르길 북쪽으로 약 11km 떨어져 있다. 카르길 마을과 스리나가르-레 고속도로를 내려다보는 피크 13620이라는 주요 고지는 제1차 카슈미르 전쟁이 끝날 때 파키스탄의 통제하에 남아 있었다.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동안 인도군은 통제선을 능선 북쪽으로 밀어 카르길의 안전을 확보했다. 훈더만이라는 주요 마을은 이 작전의 결과로 인도의 통제하에 들어갔다.
카르길의 평균 해발고도는 2676m이며, 수루강 (인더스 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
카르길 시는 스리나가르에서 205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통제선 건너 길기트-발티스탄을 마주보고 있다. 히말라야 산맥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카르길은 온대 기후를 보인다. 여름은 덥고 밤에는 시원하며, 겨울은 길고 추워서 기온이 종종 -20°C 이하로 떨어진다.
4. 역사
4. 1. 도그라 왕조 시대
중심적인 위치에도 불구하고 카르길에는 중세 시대에 대규모 정착지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신 그 근처에 두 개의 강력한 요새가 있었다. 동쪽의 소드 계곡에는 16세기 또는 17세기 경에 '''소드 파사리'''(sod pa sa ri|소드 파사리bo) (현재 '''파사르 카르''')라고 불리는 요새가 있었다. 이곳은 소드 계곡 자체, 와카 롱의 하류 부분, 그리고 카르길 분지를 포함하는 "하부 푸리그"의 수도였다.[11] 18세기 또는 19세기 경에 이 왕조는 카르길 남동쪽의 와카 롱 계곡에 있는 '''파슈쿰'''(pas kyum|파슈쿰bo)에 지부를 설립했다.[11]
1834년 조라와르 싱의 라다크 침공 당시, 도그라족은 소드 파사리와 파슈쿰을 공격하여 요새를 파괴했다. 그 후 조라와르 싱은 카르길과 드라스에 ''카르다르''(행정관)를 배치했으며, 이 목적으로 카르길에 요새를 건설한 것으로 보인다. 알렉산더 커닝햄은 카르길의 "새로운 요새"를 와카 롱과의 합류 지점 바로 위에 있는 수루 강의 왼쪽 둑에 있는 약 약 54.86m 규모의 사각형으로 묘사했다. 이 요새는 수루 강 위의 다리를 방어하고 카슈미르-라다크 도로를 완전히 통제할 수 있었다.
1838년, 이 지역 사람들은 도그라족에 반란을 일으켜 ''카르다르''를 살해했다고 한다. 이 지역 전체는 카슈미르의 시크교 총독이 사주한 것으로 알려진 반란으로 시달렸다. 1840년 조라와르 싱은 라다크로 두 번째 원정을 시작하여 걀포를 폐위시키고 라다크를 시크 제국에 병합했다. 그는 또한 발티스탄 침공을 결정했다. 발티스탄으로 가는 길에 그는 소드로 우회하여 그곳의 반군을 물리치고 푸리그 전체를 "병합"했다. 그는 드라스와 수루에 ''카르다르''를 임명했다.
조라와르 싱이 티베트에서 사망한 후, 라다크와 푸리그에서 또 다른 반란이 일어났다. 그러나 도그라족은 와지르 락파트 휘하의 새로운 군대를 파견하여 티베트군을 격퇴하고 ''현상 유지''를 회복했다. 돌아온 새 와지르는 카르길 요새에 주둔하고 이 지역의 모든 라자들을 포로로 잡았다.
1854년, 현재의 카르길 지역에는 카르길, 드라스, 잔스카르에 각각 3개의 ''일라카''(하위 지구)가 있었다. 그들은 ''타나다르''라고 불리는 민간 관리들이 이끌었다. 카르길이 행정 중심지이자 도시로 성장한 것은 이러한 설립 덕분인 것으로 보인다.
잠무-카슈미르의 프라탑 싱 통치 기간 동안 모든 변경 지역(길기트 포함)을 위한 ''와자라트''(지구)가 설립되었고, 카르길은 이 와자라트의 ''테실''(군)이 되었다. 얼마 후 길기트가 분리되었고, 카르길, 스카르두, 레가 함께 라다크 ''와자라트''로 설립되었다. 지구 본부는 세 지역 사이를 매년 이동했다.
4. 2. 인도 독립 이후
과거 레와 카르길은 20세기 중반까지 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를 잇는 무역로의 중간 기착지이자 휴식 장소였다. 식민 시대 동안, 카르길 마을의 이러한 무역로의 중요성은 대상 숙소와 우체국, 전신국의 형태로 나타났다. 카르길의 작은 바자르에 있던 작은 나무 상점들과 대형 상점들은 성냥, 등유, 다양한 종류의 설탕과 차, 봄베이와 맨체스터산 면직물, 저렴한 유리 및 반짝이 장식을 판매했다.
제1차 카슈미르 전쟁 (1947–48)은 라다크 '와자라트'를 분할하는 휴전선으로 종결되었으며, 카르길과 레 '테실'은 인도 측에, 스카르두 '테실'은 파키스탄 측에 속하게 되었다. 두 개의 인도 '테실'은 나중에 구로 승격되었고, 라다크는 잠무 및 카슈미르와 동등하게 인도의 잠무 카슈미르의 행정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파키스탄은 스카르두 '테실'의 이름을 발티스탄으로 바꾸고 더 작은 구로 분할했다.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이후, 양국은 심라 협정을 맺어 이전의 휴전선을 통제선으로 바꾸고, 해당 경계와 관련하여 무력 충돌을 하지 않기로 약속했다.[12] 1999년 이 지역은 파키스탄군의 침투를 겪었고, 이는 카르길 전쟁으로 이어졌다.[13][14]
4. 2. 1. 카르길 전쟁 (1999)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이후, 인도와 파키스탄 양국은 심라 협정을 맺어 이전의 휴전선을 통제선으로 조정하고, 이와 관련하여 무력 충돌을 피하기로 합의했다.[12]
1999년, 이 지역에 파키스탄군이 침투하면서 카르길 전쟁이 발발했다. 전투는 스리나가르-레 도로를 내려다보는 160km 길이의 능선을 따라 벌어졌으며, 당시 이 도로는 라다크로 향하는 유일한 길이었다.[13] 고속도로 위 능선에 위치한 군사 초소는 보통 해발 5000m였고, 일부는 5485m에 달하기도 했다. 몇 달에 걸친 전투와 외교적 노력 끝에, 파키스탄군은 통제선으로 물러났다.[14]
5. 인구
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카르길 시의 인구는 16,338명이며, 남성은 10,082명, 여성은 6,256명이다. 0~6세 아동 인구는 1,569명으로 전체 인구의 9.6%를 차지한다. 성비는 여성 1,000명당 남성 621명으로, 이전 잠무 카슈미르 주의 평균인 889명에 비해 낮다. 도시의 문맹률은 75.53%이며, 남성 문맹률은 85.57%, 여성 문맹률은 59.35%이다.[18] 1961년 1,681명이었던 카르길 타운의 총 인구는 2011년 16,338명으로 거의 10배 증가했고, 도시화 수준도 3.7%에서 11.6%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동안 카르길 구 전체의 인구는 45,064명에서 140,802명으로 3배 증가했다.[17]
5. 1. 종교
카르길 시에서는 이슬람교가 가장 큰 종교로, 92%가 넘는 사람들이 따르고 있다. 불교는 신도 7.8%로 두 번째로 큰 종교이다. 나머지 0.003%의 인구는 시크교를 믿는다.[19]6. 교통
카르길 공항은 카르길 시내에서 8km 떨어진 곳에 있는 비운영 공항이다. 이 공항은 UDAN 계획에 포함되어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 운영될 예정이다. 가장 가까운 운영 공항은 스리나가르 국제공항이다. 카르길은 아직 철도 연결이 되어 있지 않다. 스리나가르-카르길-레 철도 노선이 스리나가르와 카르길을 거쳐 레까지 연결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카르길에서 가장 가까운 주요 철도역은 472km 떨어진 잠무 타위역이다.[1] 국도 (NH 1)가 스리나가르에서 레까지 연결되며 카르길을 통과한다. 스카르두-카르길 도로는 한때 카르길과 길기트-발티스탄의 도시인 스카르두를 연결했으나, 1948년 카슈미르 전쟁 이후 폐쇄되었다. 인도 정부는 인도주의적 제스처로 도로 개통을 제안했지만, 파키스탄 정부는 이를 거부했다.[21][22][23]
6. 1. 항공
카르길 공항은 카르길 시내에서 8km 떨어진 곳에 있는 비운영 공항이다. 이 공항은 UDAN 계획에 포함되어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 운영될 예정이다. 가장 가까운 운영 공항은 스리나가르 국제공항이다.6. 2. 철도
카르길은 아직 철도 연결이 되어 있지 않다. 스리나가르와 카르길을 거쳐 레를 연결하는 스리나가르-카르길-레 철도 노선이 제안되었다. 카르길에서 가장 가까운 주요 철도역은 472km 떨어진 잠무 타위역이다.[1]6. 3. 도로
인도 국도 (NH 1)가 스리나가르에서 레까지 연결되며 카르길을 통과한다.6. 4. 스카르두-카르길 도로 (폐쇄)
사계절 운행이 가능한 스카르두-카르길 도로는 한때 카르길과 길기트-발티스탄의 도시인 스카르두를 연결했다. 1948년 카슈미르 전쟁 이후 이 도로는 폐쇄되었다. 인도 정부는 인도주의적 제스처로 도로 개통을 제안했지만, 파키스탄 정부는 이를 거부했다.[21][22][23]
7. 미디어 및 통신
올 인디아 라디오의 채널 ''AIR 카르길 AM 684''는 카르길의 라디오 방송국에서 방송된다.[20] 그레이터 라다크는 연방 직할지에서 발행되는 주간 바이링구얼 신문으로 가장 많이 배포된다.
참조
[1]
웹사이트
Report of the Commissioner for linguistic minorities: 50th report (July 2012 to June 2013)
http://nclm.nic.in/s[...]
Commissioner for Linguistic Minorities, Ministry of Minority Affairs, Government of India
2015-01-14
[2]
서적
Art and Devotion at a Buddhist Temple in the Indian Himalaya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5
[3]
citation
Kashmir, region Indian subcontinent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4]
citation
Aksai Chin, Plateau Region, Asia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5]
citation
Encyclopedia Americana
https://books.google[...]
Scholastic Library Publishing
[6]
citation
Encyclopedia of the United Nations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G to M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7]
citation
A History of Modern South Asia: Politics, States, Diaspora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8]
citation
Encyclopedia of Conflicts Since World War II
Routledge
[9]
citation
The Difficult Politics of Peace: Rivalry in Modern South Asia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3-30
[10]
citation
Kashmir: Roots of Conflict, Paths to Peac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1]
citation
An Environmental History of India: From Earliest Times to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citation
Understanding Kashmir and Kashmiri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
문서
Osada et al (2000), p. 298.
[14]
서적
Antiquities of Indian Tibet, Part 2
https://archive.org/[...]
Superintendent Government Printing
[15]
웹사이트
THL Tibetan to English Translation Tool
https://www.thlib.or[...]
[16]
citation
The Emergence of Bon and the Tibetan Polemical Tradition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17]
citation
dgon rabs kun gsal nyi snang /
https://books.google[...]
Library of Tibetan Works and Archives
[18]
웹사이트
THL Tibetan to English Translation Tool
https://www.thlib.or[...]
[19]
Google Maps
View of the Kargil valley from the north
https://www.google.c[...]
2023-01-17
[20]
citation
Lost kingdoms of the gold-digging ants (Review of ''L'or des fourmis: La découverte de l'Eldorado grec au Tibet'' by Michel Peissel)
1988-Summer
[21]
citation
Buddhism before the First Diffusion? The case of Tangol, Dras, Phikhar and Sani-Tarungtse in Purig and Zanskar (Ladakh)
https://journals.ope[...]
[22]
서적
The Armed Forces of Pakistan
Allen & Unwin
[23]
웹사이트
1999 Kargil Conflict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09-05-20
[24]
웹사이트
War in Kargil – The CCC's summary on the war
http://www.ccc.nps.n[...]
2009-05-20
[25]
웹사이트
Profile of Kargil District
http://kargil.nic.in[...]
2009-05-18
[26]
웹사이트
Climate & Soil conditions
http://kargil.nic.in[...]
2009-05-20
[27]
간행물
Dynamics of Mountain Urbanisation: Evidence from the Trans-Himalayan Town of Kargil, Ladakh, India
2023
[28]
문서
District Census Handbook: Kargil
https://cdn.s3waas.g[...]
Directorate of Census Operations
2011
[29]
웹사이트
Kargil City Population
https://www.censusin[...]
2020-09-22
[30]
웹사이트
How one Ladakhi Woman Kept Kargil's AIR Station Running, Despite Enemy Shelling!
https://www.thebette[...]
2020-10-07
[31]
웹사이트
Moving on the Kargil-Skardu road
http://www.indianexp[...]
2013-04-22
[32]
웹사이트
The Kargil-Skardu Route: Implications of its Opening by Zainab Akhter
http://www.ipcs.org/[...]
Ipcs.org
2013-04-22
[33]
웹사이트
Q. 368 Present status of Kargil to Skardu Road | Institute for Defence Studies and Analyses
http://www.idsa.in/r[...]
Idsa.in
2013-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