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 (도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는 히말라야산맥에 위치한 라다크 왕국의 수도였으며, 인더스 계곡을 따라 티베트, 카슈미르, 인도, 중국 간의 중요한 무역로의 경유지였다. 16세기 말 타시 남걀 왕이 건설한 라다크 왕궁 유적과 남걀 체모 곰파 사원이 주요 건축물이다. 현재는 라다크 자치구 의회의 행정을 받으며, 레 구시가지는 기후 변화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한 유적지로 지정되었다. 레는 델리, 잠무, 스리나가르 등지에서 항공편으로 접근 가능하며, 스리나가르-레 고속도로와 레-마날리 고속도로를 통해 육로로 연결된다. 또한 레에는 레 궁전, 남걀 체모 곰파, 샨티 스투파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다크 - 카르길
    카르길은 인도 잠무 카슈미르 주의 라다크 지역에 있는 도시로, 카슈미르, 라다크, 발티스탄을 잇는 요충지이자 과거 무역로의 기착지였으나, 통제선 설정 및 카르길 전쟁 이후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현재는 국도 1호선이 지나가는 관광지이다.
  • 라다크 - 뎀초크 지역
    뎀초크 지역은 인도와 중국 간 영유권 분쟁 지역으로, 라다크 일부를 포함하며 실제 통제선을 따라 위치하고, 양국은 상반된 영유권을 주장하며 분쟁을 겪고 있다.
레 (도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샨티 스투파에서 바라본 레 시가지
샨티 스투파에서 바라본 레 시가지
샨티 스투파
샨티 스투파
레 구시가지, 라다크, 인도
레 구시가지, 라다크, 인도
게스트하우스 밖 꽃밭
게스트하우스 밖 꽃밭
상카르 수도원
상카르 수도원
레 궁전 전경
레 궁전 전경
기본 정보
정식 명칭
원어 명칭 (티베트어)གླེ་
로마자 표기 (티베트어)Le
원어 명칭 (힌디어)लेह
위치인도의 라다크 레 현
면적9.15 km²
고도3,500 m
인구 (2011년)30,870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언어라다크어, 발트어, 힌디어, 영어
시간대IST
UTC 오프셋+5:30
차량 번호판LA 02
웹사이트leh.nic.in
행정 구역
소속 국가인도
소속 지역라다크 연방 직할지
소속 행정 구역레 현
정부 형태라다크 자치 산악 개발 위원회, 레

2. 역사

레는 히말라야산맥에 위치한 라다크 왕국의 수도였으며, 포탈라궁을 본떠 만든 라다크 왕궁 유적은 과거 왕실의 거처로 사용되었다.

레는 수세기 동안 인더스 계곡을 따라 티베트, 카슈미르, 인도, 중국을 잇는 중요한 무역로의 경유지였다. 주요 교역 물품은 소금, 곡물, 캐시미어 울, 대마 수지, 인디고, 실크 등이었다.

10세기 말, 티베트 왕자 니마 곤은 서티베트를 정복하고 여러 마을과 성을 건설했다. 그는 셰이에 주요 조각품 건설을 명령했으며, 셰이는 라다크 왕들의 고대 왕좌였다.[7]

델레그스 남걀 시대(1660–1685) 카슈미르의 나와브는 티베트-라다크-무굴 전쟁에서 델레그스 남걀을 도운 대가로 레에 큰 수니파 모스크 건설을 요구했다. 이 모스크는 이슬람과 티베트 건축 양식이 혼합되어 있다.[9]

16세기 말, 타시 남걀 왕은 현재는 폐허가 된 요새와 수호신들의 사원인 곤캉을 건설했다. 남걀 사원은 레의 주요 불교 중심지이다.[13] 상카르 사원 소유의 작은 2층 건물인 상카르 라브랑은 레 구시가지에 있으며, 백색 미트레야 사원은 총카파가 라다크로 보낸 임무가 도착한 후, 드라크파 붐데 왕의 통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15] 샹바와 첸레시 사원의 연대는 불분명하다.[12]

2. 1. 초기 역사

레의 전통 의상을 입은 사람들


레는 수세기 동안 티베트, 카슈미르, 인도, 중국 사이의 인더스 계곡을 따라 중요한 무역로의 경유지였다. 주요 운송 물품은 소금, 곡물, ''파쉬미'' 또는 캐시미어 울, 타림 분지에서 온 ''차라스'' 또는 대마 수지, 인디고, 실크 실 및 바라나시 브로케이드였다.

쿠샨 제국 시대(서기 1~3세기)부터[5], 그리고 확실히 당나라 시대부터[6] 중국인들이 라다크를 통과하는 무역로를 알고 있었다는 몇 가지 징후가 있지만, 10세기 말 이전의 이 지역 역사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당시 티베트 왕자 ''스카이드 데 님마 곤''(또는 니마 곤)은 반불교 티베트 왕 랑다르마의 손자였다(재위: c. 838~841). 그는 서 티베트를 정복했는데, 그의 군대는 원래 300명에 불과했다. 니마 곤은 여러 마을과 성을 건설했다고 전해지며, 셰이의 주요 조각품 건설을 명령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비문에서 그 조각품들을 ''찬포''(아버지와 조상의 왕조 이름)와 ''응가리스''(서 티베트)의 모든 사람들의 종교적 이익을 위해 만들었다고 말한다. 이것은 이미 이 세대에서 랑다르마의 불교 반대가 사라졌음을 보여준다."[7] 현대 레에서 동쪽으로 15km 떨어진 셰이는 라다크 왕들의 고대 왕좌였다.

델레그스 남걀(1660–1685) 시대에[8], 당시 무굴 제국의 지방이었던 카슈미르의 나와브는 몽골군이 라다크를 일시적으로 떠나도록 조치했지만, 나중에 돌아왔다. 1679~1684년의 티베트-라다크-무굴 전쟁에서 델레그스 남걀을 돕는 대가로, 나와브는 여러 가지 가혹한 요구를 했다. 그중 하나는 레 바자르 상단, 레 궁전 아래에 있는 레에 큰 수니파 모스크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이 모스크는 이슬람과 티베트 건축 양식이 혼합되어 있으며 5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다. 이것이 레의 첫 번째 모스크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더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작은 모스크 두 개가 있다.[9]

전통적으로 무역로는 사방에서 레로 수렴되었다. 현대 고속도로는 펀자브에서 만디, 쿨루 계곡, 로탕 고개, 라홀을 거쳐 인더스 계곡으로, 그 후 레까지의 가장 직접적인 경로를 따른다. 스리나가르에서 오는 경로는 오늘날 ''조지 라''(고개)를 넘어 카르길로, 그 후 인더스 계곡을 따라 레까지 가는 길과 거의 같다. 발티스탄에서는 두 개의 어려운 경로가 있었다. 주요 경로는 인더스에서 시요크 계곡을 따라 고개를 넘어 다시 하누 강을 따라 인더스 아래 칼시(칼라체)까지 이어졌다. 다른 경로는 스카르두에서 인더스를 따라 카르길로, 그리고 레로 바로 올라갔다. 여름과 겨울 모두 레에서 카라코람 고개와 샤이둘라를 거쳐 야르칸드까지 가는 경로가 있었다. 레에서 라사까지 가는 가능한 경로도 몇 개 있었다.[10]

현재 궁전과 마을을 내려다보는 높은 남걀('승리') 봉우리 꼭대기에 지어진 라다크의 첫 번째 기록된 왕실 거주지는 16세기 말(CE)에 왕 타시 남걀이 건설한 현재는 폐허가 된 요새와 ''곤-캉''(수호 신들의 사원)이다. 남걀(또한 "체모 곰파"(붉은 곰파) 또는 ''드곤파소마''(새 사원)라고도 함)[12] 사원은 레의 주요 불교 중심지이다.[13] 프랭크가 한때 "다르드 성"으로 알려졌다고 보고한 요새의 오래된 벽이 그 뒤에 있다. 만약 실제로 다르드족에 의해 건설되었다면, 천 년 전에 라다크에 티베트 통치자들이 세워지기 전에 건설되었을 것이다.[14]

상카르 라브랑(Bsam dkar bla brang)은 상카르 사원 소유의 작은 2층 건물이다. 상카르 사원은 레 북서쪽에 있는 바쿨라 린포체의 자리이다. 사원의 라브랑 건물은 레 구시가지, 마니캉 지구에 위치해 있다. 마니캉은 레의 주요 바자르와 왕궁으로 이어지는 역사적인 스탈람 길 사이의 지역이다. 이 지점에 서 있는 네 개의 거대한 ''스투파''는 역사적인 레의 시작을 알린다. 최근 기억으로는, 상카르 라브랑은 아래층에 금속 세공인의 작업장이 있었고, 위층에는 "스트리트 미트레야"라고도 알려진 백색 미트레야 사원(Byams khang dkar po)의 수도승 관리인이 살았다. 백색 미트레야 사원은 티베트 라마 총카파가 라다크로 보낸 임무가 도착한 후, 드라크파 붐데(Grags pa 'bum lde, r. ca 1410–1435) 왕의 통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15]

이 아래에는 샹바(Byams-pa, ''즉.'', 미륵)와 첸레시(sPyan-ras-gzigs, 즉 관세음보살) 사원이 있는데, 그 연대는 불분명하다.[12]

2. 2. 중세 - 근대



레는 수세기 동안 티베트, 카슈미르, 인도, 중국 사이의 인더스 계곡을 따라 중요한 무역로의 경유지였다. 주요 운송 물품은 소금, 곡물, 파쉬미 또는 캐시미어 울, 타림 분지에서 온 차라스 또는 대마 수지, 인디고, 실크 실 및 바라나시 브로케이드였다.[5][6]

10세기 말 이전의 이 지역 역사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당시 티베트 왕자 스카이드 데 님마 곤(또는 니마 곤)은 반불교 티베트 왕 랑다르마의 손자였다. 그는 서 티베트를 정복했는데, 그의 군대는 원래 300명에 불과했다. 니마 곤은 여러 마을과 성을 건설했으며, 셰이의 주요 조각품 건설을 명령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 레에서 동쪽으로 15km 떨어진 셰이는 라다크 왕들의 고대 왕좌였다.[7]

델레그스 남걀(1660–1685) 시대에[8], 당시 무굴 제국의 지방이었던 카슈미르의 나와브는 몽골군이 라다크를 일시적으로 떠나도록 조치했지만, 나중에 돌아왔다. 1679~1684년의 티베트-라다크-무굴 전쟁에서 델레그스 남걀을 돕는 대가로, 나와브는 여러 가지 가혹한 요구를 했다. 그중 하나는 레 바자르 상단, 레 궁전 아래에 있는 레에 큰 수니파 모스크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이 모스크는 이슬람과 티베트 건축 양식이 혼합되어 있으며 5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다. 이것이 레의 첫 번째 모스크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며, 더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작은 모스크 두 개가 있다.[9]

전통적으로 무역로는 사방에서 레로 수렴되었다.[10]

현재 궁전과 마을을 내려다보는 높은 남걀('승리') 봉우리 꼭대기에 지어진 라다크의 첫 번째 기록된 왕실 거주지는 16세기 말(CE)에 왕 타시 남걀이 건설한 현재는 폐허가 된 요새와 곤캉(수호 신들의 사원)이다. 남걀 사원은 레의 주요 불교 중심지이다.[13]

상카르 라브랑(Bsam dkar bla brang)은 상카르 사원 소유의 작은 2층 건물이다. 상카르 사원은 레 북서쪽에 있는 바쿨라 린포체의 자리이다. 백색 미트레야 사원은 티베트 라마 총카파가 라다크로 보낸 임무가 도착한 후, 드라크파 붐데(Grags pa 'bum lde, r. ca 1410–1435) 왕의 통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15]

이 아래에는 샹바(Byams-pa, 즉, 미륵)와 첸레시(sPyan-ras-gzigs, 즉 관세음보살) 사원이 있는데, 그 연대는 불분명하다.[12]

2. 3. 근대 - 현대



레는 수세기 동안 티베트, 카슈미르, 인도, 중국 사이의 인더스 계곡을 따라 중요한 무역로의 경유지였다. 주요 운송 물품은 소금, 곡물, ''파쉬미'' 또는 캐시미어 울, 타림 분지에서 온 ''차라스'' 또는 대마 수지, 인디고, 실크 실 및 바라나시 브로케이드였다.

10세기 말, 반불교 티베트 왕 랑다르마의 손자인 티베트 왕자 ''스카이드 데 님마 곤''(또는 니마 곤)이 서 티베트를 정복하고 여러 마을과 성을 건설했다. 그는 셰이의 주요 조각품 건설을 명령했으며, 현대 레에서 동쪽으로 15km 떨어진 셰이는 라다크 왕들의 고대 왕좌였다.[7]

델레그스 남걀(1660–1685) 시대에[8] 카슈미르의 나와브는 몽골군이 라다크를 일시적으로 떠나도록 조치했지만, 나중에 돌아왔다. 1679~1684년의 티베트-라다크-무굴 전쟁에서 델레그스 남걀을 도운 대가로, 나와브는 레 바자르 상단, 레 궁전 아래에 큰 수니파 모스크를 건설할 것을 요구했다. 이 모스크는 이슬람과 티베트 건축 양식이 혼합되어 있으며 5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다. 이것은 레에서 최초로 지어진 모스크는 아니었으며, 더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작은 모스크 두 개가 존재했다.[9]

전통적으로 무역로는 사방에서 레로 수렴되었다. 현대 고속도로는 펀자브에서 만디, 쿨루 계곡, 로탕 고개, 라홀을 거쳐 인더스 계곡으로, 그 후 레까지 이어지는 가장 직접적인 경로를 따른다. 스리나가르에서 오는 경로는 조지 라를 넘어 카르길로, 그 후 인더스 계곡을 따라 레까지 가는 길과 거의 같다.

16세기 말, 왕 타시 남걀이 현재는 폐허가 된 요새와 ''곤-캉''(수호 신들의 사원)을 건설했다. 남걀 사원은 레의 주요 불교 중심지이다.[13] 프랭크가 한때 "다르드 성"으로 알려졌다고 보고한 요새의 오래된 벽이 그 뒤에 있는데, 만약 다르드족에 의해 건설되었다면, 천 년 전에 라다크에 티베트 통치자들이 세워지기 전에 건설되었을 것이다.[14]

상카르 사원 소유의 작은 2층 건물인 상카르 라브랑은 레 구시가지, 마니캉 지구에 위치해 있다. 마니캉은 레의 주요 바자르와 왕궁으로 이어지는 역사적인 스탈람 길 사이의 지역이다. 이 지점에 서 있는 네 개의 거대한 ''스투파''는 역사적인 레의 시작을 알린다. 백색 미트레야 사원은 티베트 라마 총카파가 라다크로 보낸 임무가 도착한 후, 드라크파 붐데 왕의 통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15] 이 아래에는 샹바와 첸레시 사원이 있는데, 그 연대는 불분명하다.[12]

3. 레 구시가지

레 구시가지는 옛 건축 양식이 남아 있는 곳이다. 기후 변화 및 기타 이유로 인한 강수량 증가로 인해, 세계 기념물 기금이 선정한 가장 멸종 위기에 처한 100곳의 장소 목록에 추가되었다.[19] 구시가지의 방치와 변화하는 정착 패턴 또한 이 지역의 장기적인 보존을 위협하고 있다.[20] 기후 및 개발 지식 네트워크의 연구에 따르면, 레의 급격하고 계획되지 않은 도시화는 일부 지역에서 갑작스러운 홍수의 위험을 증가시켰으며, 다른 지역에서는 종종 보고되지 않는 '보이지 않는 재해'의 덜 극적이고 점진적인 영향을 겪고 있다.[21]

4. 행정

라다크 자치구 의회(LAHDC)는 레의 행정을 담당한다.

라다크 자치구 의회는 4명의 지명 위원과 26명의 선출 위원 등 총 30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수석 행정 위원이 이 의회를 이끌고 의장을 맡는다. 레 부구청장은 LAHDC의 최고 경영자 직책을 겸임한다. 현재 레 지역 부구청장은 산토시 수크데베이다.

5. 지리

레는 인더스강 유역에 위치하며, 주변은 해발 3,500m에 달하는 산들로 둘러싸여 있다. 낭가 사고와 같은 봉우리는 5,500m 이상이다.[22] 주요 접근 도로로는 스리나가르-레 고속도로(434km)와 레-마날리 고속도로(428km)가 있으며, 두 도로 모두 계절에 따라 개방된다.[22] 스리나가르와 마날리에서 오는 도로는 겨울철에 눈으로 막히는 경우가 많지만, 인더스 계곡의 지방 도로는 강설량이 적어 일반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현재 새로운 님무-파둠-달차 도로가 건설 중이다.

레와 그 주변

5. 1. 기후

레는 쾨펜의 기후 구분상 한랭 사막 기후( ''BWk'')에 속하며, 11월 말부터 3월 초까지 길고 추운 겨울이 특징이다. 겨울 대부분 기간 동안 최저 기온은 영하를 훨씬 밑돈다. 이 도시는 겨울 동안 눈이 드물게 내리며, 높은 고도로 인해 인도 기준으로 매우 춥다. 나머지 달의 날씨는 일반적으로 맑고 낮에는 따뜻하다. 연평균 강수량은 100mm 정도이다. 2010년에는 레에서 돌발 홍수로 100명 이상이 사망했다.[24]

레의 기후(1991~2020년 평균, 1883~2020년 극값)[25][26]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9.013.419.423.928.934.836.635.431.827.020.013.636.6
평균 최고 기온 (°C)1.54.29.715.320.024.428.528.123.416.710.64.515.6
평균 최저 기온 (°C)-13.1-9.2-3.71.66.211.315.915.19.20.3-7.2-11.70.4
최저 기온 기록 (°C)-28.3-28.6-19.4-12.8-7.7-1.10.61.5-4.4-9.6-18.6-25.6-28.6
평균 강수량 (mm)4.3mm2.5mm1.5mm1.7mm0.6mm2.9mm6.8mm6.2mm4.4mm2.3mm0.7mm1mm34.8mm
평균 강수일수 (≥ 0.3 mm)1.41.20.91.10.61.51.92.21.60.30.30.4-
평균 상대 습도 (%)515146363026333431274046-


6. 농업

레 주변의 농업 모습


레는 평균 해발 약 3500m에 위치해 있어, 일 년에 한 작물만 재배할 수 있지만, 칼라체에서는 두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5월 말에 레에서 작물을 파종할 때쯤이면 칼라체에서는 이미 절반 정도 자란 상태이다. 주요 작물은 '그림' (알몸 보리, Hordeum vulgare영어 L. var. nudumla Hook. f., 껍질을 제거하기 쉬운 고대 품종의 재배 보리)이다. 라다크의 주식인 참파는 이 보리로 만들어진다.[27] 라다크의 농업용수는 3월과 4월에 보리밭에 관개가 가장 필요할 때 수위가 낮아지는 인더스강에서 나온다.[28] 건조한 온대 기후에서 포도, 살구, 건포도, 호두, 사과도 재배된다.[29]

7. 인구 통계

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 따르면,[30] 레의 인구는 30,870명이었다. 일시적인 노동자, 상인, 정부 공무원들이 많아 남성이 인구의 70%를 차지했고 여성은 30%였다. 아동 성비는 987이었다. 레의 평균 문맹률은 90%로 전국 평균 74.04%보다 높았다. 남성 문맹률은 94.89%, 여성 문맹률은 78.85%였다. 레 인구의 5.5%는 6세 미만이었다. 레 사람들은 티베트어족인 라다크어를 사용하는 민족 티베트인이다.

제5대 달라이 라마가 티베트에서 라다크로 오면서 카슈미르가 라다크를 병합한 시점에 무슬림이 존재했다. 그 이후 무역과 카슈미르 계곡에서 라다크로의 관광 이전으로 카슈미르 계곡에서 더 많은 이주가 있었다.

라다크는 규모에 비해 관광객이 매우 많다. 2010년에는 77,800명의 관광객이 레를 방문했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방문객 수는 77% 증가했는데, 이는 주로 인도 국내 여행객의 증가에 기인한다.[31]

7. 1. 종교

레의 옛 시장 사람들


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레(도시)에서 불교는 가장 큰 종교로, 43.8%가 넘는 사람들이 따르고 있다.[32] 힌두교는 35.4%의 신도로 두 번째로 큰 종교이다. 이슬람교시크교는 각각 15.14%와 2.7%를 차지한다.[32]

8세기부터 불교이슬람교를 포함한 다양한 종교의 사람들이 레에서 함께 살았다. 그들은 초기 남걀 왕조부터 이 지역에 함께 거주했으며, 그들 간의 어떠한 갈등에 대한 기록도 없다.

최근에는 더 나은 기회를 찾아 인근 카르길과 카슈미르에서 레로 무슬림의 이주가 증가했으며, 불교도와 무슬림 공동체 간의 관계는 사회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악화되었다.[34]

기독교, 힌두교, 시크교와 같은 다른 종교도 레에 존재한다. 레의 작은 기독교 공동체는 1860년대 라홀의 모라비안 선교사들에 의해 개종한 티베트 불교도들의 후손이며, 이들은 1885년 레에 또 다른 선교부를 열 수 있었고 칼라체에 지부를 두었다. 그들은 1947년 인도 독립까지 머물렀다.[35]

매년 종교적 조화와 ''신두'' 강의 영광을 증진하기 위해 도시에서 15km 떨어진 셰이에서 신두 다르샨 축제가 열린다.[36]

8. 교통

레는 인도 본토와 연결되는 국도 1호선과 국도 3호선 두 개의 주요 고산 도로가 있다. 이 도로들은 모두 산사태 위험이 있고 겨울에는 눈 때문에 통행이 불가능하다. 국도 1호선은 스리나가르를 거쳐 카르길까지 이어져 비교적 오랫동안 개방된다. 레-마날리 고속도로는 매우 높은 고개와 고원을 지나기 때문에 통행이 어려울 수 있다. 현재 세 번째 도로인 님무-파담-다르차 도로가 건설 중이다.

레 쿠쇼크 바쿨라 림포체 공항을 통해 델리에서 항공편으로 1시간 거리에 있으며, 육로는 하계에만 통행이 가능하다.

8. 1. 항공

레 쿠쇼크 바쿨라 림포체 공항


레 쿠쇼크 바쿨라 림포체 공항은 델리, 잠무, 스리나가르, 찬디가르에서 출발하고 도착하는 항공편이 있다. 에어 인디아, 스파이스젯, 인디고, 비스타라는 성수기에는 델리-레 노선을 매일 여러 편 운항한다.

8. 2. 도로

이 도시는 인더스강 유역에 위치하며 해발 3,500m에 달하는 고산 지대이다. 주요 접근 도로로는 434km의 스리나가르-레 고속도로와 428km의 레-마날리 고속도로가 있다. 두 도로 모두 계절에 따라 개방된다.[22] 겨울철에는 눈으로 인해 도로가 막히는 경우가 많지만, 인더스 계곡의 지방 도로는 강설량이 적어 비교적 통행이 자유롭다.

레는 두 개의 주요 고산 도로를 통해 인도 본토와 연결된다. 국도 1호선은 스리나가르에서 카르길을 거쳐 이어지며, 레-마날리 고속도로는 높은 고개와 고원 지대를 통과한다. 이 도로들은 겨울철에는 눈으로 인해 통행이 불가능하다. 현재 세 번째 도로인 님무-파담-다르차 도로가 건설 중이다.

도로명설명
국도 1호선카슈미르 계곡에서 이어지는 434km의 도로로, 4월/5월부터 10월/11월까지 통행이 가능하다. 조지 라(해발 3505m)를 넘는 구간이 가장 험난하다. 잠무 카슈미르 주 도로 교통 공사(JKSRTC)에서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며, 택시도 이용 가능하다.
국도 3호선 (레-마날리 고속도로)1989년에 개통된 473km 길이의 도로로, 6월부터 10월 말까지 개통된다. 루프쇼의 고지대 사막 고원을 통과하며, 해발 3660m에서 4570m에 이르는 높은 고개들을 넘어야 한다. 탕랑 라(해발 5325m)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차량 통행 가능 고개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37]
님무-파담-다르차 도로현재 건설 중인 레로 가는 세 번째 도로이다.


8. 3. 철도

현재 라다크에는 철도 서비스가 없지만, 바누플리-레 철도 노선과 스리나가르-카르길-레 철도 노선 등 두 개의 철도 노선이 제안되어 있다.[38]

9. 미디어 및 통신

국영 전인도 라디오 레 지국은 레에 지역 방송국을 두고 있으며, 다양한 대중 관심사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인도 우체국이 운영하는 레 본부 우체국 또한 주요 통신 수단으로 활용된다. 2021년 12월 14일, 라다크 최초의 FM 라디오 방송국이 레에 설립되어[42] 2024년 2월 현재 총 4개의 FM 방송국과 1개의 중파 방송국이 운영되고 있다.[43]

10. 관광

레는 수세기 동안 티베트, 카슈미르, 인도, 중국 사이의 인더스 계곡을 따라 중요한 무역로의 경유지였다. 주요 운송 물품은 소금, 곡물, ''파쉬미'' 또는 캐시미어 울, 타림 분지에서 온 ''차라스'' 또는 대마 수지, 인디고, 실크 실 및 바라나시 브로케이드였다.[10]

펀자브에서 만디, 쿨루 계곡, 로탕 고개, 라홀을 거쳐 인더스 계곡으로, 그 후 레까지 이어지는 현대 고속도로가 있다. 스리나가르에서 오는 경로는 조지 라를 넘어 카르길로, 그 후 인더스 계곡을 따라 레까지 이어진다. 발티스탄에서는 두 개의 어려운 경로가 있었으며, 여름과 겨울 모두 레에서 카라코람 고개와 샤이둘라를 거쳐 야르칸드까지 가는 경로가 있었다. 레에서 라사까지 가는 가능한 경로도 몇 개 있었다.[10]

2010년, 레는 구름 폭발로 인한 홍수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레에는 300개 가까운 숙박 시설과 여러 여행사, 택시 등이 있어 라다크 관광의 기점이 된다.

10. 1. 주요 관광지


  • 레 궁전: 센게 남걀 왕(1612–1642)이 건설한 9층 건물이다.[16] 위층은 왕족이 사용했고, 아래층은 마구간과 창고였다. 19세기 중반 카슈미르인 군대의 포위로 버려졌고, 왕족은 남쪽 스토크 궁전으로 거처를 옮겼다.[17] 포탈라궁을 본떠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 남걀 체모 곰파: 16세기 말 타시 남걀 왕이 건설한, 현재는 폐허가 된 요새와 '곤-캉'(수호신들의 사원)이다. 레의 주요 불교 중심지이다.[13]
  • 샨티 스투파: 1991년 일본 승려 나카무라 유키아키가 건설했으며, 달라이 라마 14세가 봉안한 부처의 유물이 보존되어 있다.
  • 참바 사원: 미륵관세음보살 사원이 있는데, 연대는 불분명하다.[12]
  • 자마 마스지드: 1660년대 무굴 제국과의 협정으로 건설된 수니파 모스크이다. 이슬람과 티베트 건축 양식이 혼합되어 있으며 5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다.[9] 레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는 아니다.
  • 상카르 곰파와 마을: 상카르 사원 소유의 작은 2층 건물이다. 상카르 사원은 레 북서쪽에 있는 바쿨라 린포체의 자리이다.
  • 라다크 마라톤: 레에서 개최되는 국제 마라톤으로, 가장 해발 고도가 높은 곳에서 열리는 마라톤이라고도 한다.
  • 다툰 사히브: 레의 메인 바자르 근처에 있는 성목.
  • 초 캉 곰파, 전쟁 박물관, 승리의 탑, 조라와르 요새, 아이스 스투파: (본문에 관련 정보 없음)


레 궁전 레 시장에서 본 모습


조라와르 요새

참조

[1] 서적 Languages of Belonging: Islam, Regional Identity, and the Making of Kashmir https://books.google[...] Hurst & Company 2004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LEH https://www.merriam-[...] 2023-01-28
[3] 간행물 Kashmir, region Indian subcontinent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2019-08-15
[4] 간행물 Aksai Chin, Plateau Region, Asia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2019-08-16
[5] 간행물 Encyclopedia Americana https://books.google[...] Scholastic Library Publishing
[6] 간행물 Encyclopedia of the United Nations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G to M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7] 간행물 A History of Modern South Asia: Politics, States, Diaspora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China: Border War with India, 1962 Routledge
[9] 간행물 The Difficult Politics of Peace: Rivalry in Modern South Asia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10] 간행물 Kashmir: Roots of Conflict, Paths to Peac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1] 간행물 An Environmental History of India: From Earliest Times to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간행물 Understanding Kashmir and Kashmiri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 간행물 Encyclopae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2022-04-02
[14] 문서 Hill (2009), pp. 200-204.
[15] 문서 Francke (1977 edition), pp. 76-78
[16] 문서 Francke (1914), pp. 89-90.
[17] 문서 Francke (1977 edition), p. 20.
[18] 문서 Francke (1977 edition), pp. 120-123.
[19] 문서 Rizvi (1996), pp. 109-111.
[20] 문서 Rizvi (1996), p. 64.
[21] 문서 Francke (1914), p. 70.
[22] 문서 Rizvi (1996), pp. 41, 64, 225-226.
[23] 문서 Rizvi (1996), pp. 226-227.
[24] 문서 'The Stone Maitreya of Leh: The Rediscovery and Recovery of an Early Tibetan Monument.'
[25] 웹사이트 Incredible India {{!}} Leh Palace https://www.incredib[...] 2021-10-16
[26] 문서 Rizvi (1996), pp. 69, 290.
[27] 문서 Francke (1914), p. 68. See also, ibid, p. 45.
[28] 뉴스 Tourist Boom Brings Threat to Leh's Tibetan Architecture http://news.sawf.org[...] AFP 2007-08-19
[29] 뉴스 Ethnic Leh Houses Falling Apart http://www.worldchan[...] AFP 2007-08-23
[30] Webarchive Local approaches to harmonising climate adaptation and disaster risk reduction: Lessons from India, Anshu Sharma, Sahba Chauhan and Sunny Kumar, the Climate and Development Knowledge Network, 2014 http://cdkn.org/2014[...] cdkn.org 2014
[31] 웹사이트 jktourism.org http://www.jktourism[...]
[32] 웹사이트 Leh http://www.imd.gov.i[...] 2017-08-16
[33] 뉴스 Mudslides Kill 125 in Kashmir https://www.nytimes.[...] 2010-08-06
[3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1991-2020 https://www.imdpune.[...]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23-02-25
[35] 웹사이트 Leh Climatological Table Period: 1951–1980 http://www.mausam.go[...]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20-04-04
[36] 문서 Rizvi (1996), p. 38.
[37] 뉴스 Jammu & Kashmir – Geography & Geology http://www.peacekash[...] 2015-07-28
[38] 서적 Know Your State Jammu and Kashmir and Ladakh Arihant Publications India
[39] 웹사이트 District Census Handbook Leh (Ladakh) https://censusindia.[...] Directorate of Census Operations (Jammu & Kashmir)
[40] 웹사이트 History http://leh.nic.in/pa[...] 2012-05-18
[41] 웹사이트 Leh City Population https://www.censusin[...] 2021-06-26
[42] 문서 Travels in Central Asia by Meer Izzut-oollah in the Years 1812-13.
[43] 뉴스 Why Buddhist women are marrying Muslim men in Ladakh https://wap.business[...] 2017-09-15
[44] 문서 Rizvi (1996), p. 212.
[36] 웹사이트 Sindhu Darshan Festival https://web.archive.[...] 2011-01-22
[37] 문서 Khardung La for a discussion of the world's highest motorable passes.
[38] 뉴스 How to Reach Leh http://www.indianbac[...] 2012-12-01
[39] 웹사이트 HDFC BANK LEH Branch IFSC Code, MICR Code, Address & Phone Number https://economictime[...]
[40] 웹사이트 AXIS BANK LEH LADAKH Branch IFSC Code, MICR Code, Address & Phone Number https://economictime[...]
[41] 웹사이트 IDBI BANK LTD, Leh Branch, Ladakh, Jammu & Kashmir, BankIFSCcode.com https://bankifsccode[...]
[42] 뉴스 Ladakh gets its first-ever FM radio station https://indianexpres[...] 2021-12-14
[43] 웹사이트 Frequencies for Leh https://fmscan.org/m[...] 2024-02-03
[44] 웹사이트 Leh Climatological Table Period: 1951–1980 https://web.archive.[...]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15-04-11
[45] 웹사이트 Leh Climatological Table Period: 1951–1980 https://web.archive.[...]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20-04-04
[46] 웹인용 Leh Climatological Table Period: 1951–1980 https://web.archive.[...]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15-04-11
[47] 웹인용 Leh Climatological Table Period: 1951–1980 https://web.archive.[...]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20-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